||<-3>
<:> '''[[FLOWERS 시리즈|{{{#f16181 FLOWERS 시리즈}}}]]''' || ||<:> [[FLOWERS 시리즈/가을편|{{{#a3a1c7 FLOWERS 가을편}}}]] || ☞ ||<:> {{{#8dd2ec '''FLOWERS 겨울편'''}}} || [include(틀:모에 게임 어워드 월간상)] [[파일:플라워즈 겨울편 표지 메인.png|align=center]] {{{+3 '''FLOWERS -Le volume sur hiver-'''}}} > '''언제까지나 함께하고 싶은 사람이 있나요''' > '''いつまでも一緒にいたいと想える人はいますか''' [목차] || 발매 || 2017.09.15 || || 제작 || [[Innocent Grey]] || || 플랫폼 || PC([[Windows 7]]/[[Windows 8]]/[[Windows 10]] 일본어판), [[PlayStation Vita]] || || 캐릭터 디자인 || 스기나 미키(杉菜水姫 / スギナミキ) || || 시나리오 || 시미즈 하츠미(志水はつみ) || || 음악 || [[MANYO]] || || 장르 || [[백합(장르)|백합]]계 미스터리 [[어드벤처]] || || 공식 홈페이지 || [[http://www.gungnir.co.jp/lily/flowers4/]] || == 개요 == [youtube(36lAVsXO7XQ)] || OP: Fairy Wreath - 노래: [[시모츠키 하루카]] & [[스즈유]] || [youtube(gkEaet_6RRg)] || 사계 Ver. OP || [youtube(H0nwOlpzJwI)] || Fairy Wreath 실사판 PV[* 스타일리스트로 마유리 役인 [[오카모토 리에]]가 참여했다.] - 출연 : [[스즈유]] & [[카토 유이]][* 위키 내의 인물과는 동명이인. 뮤지컬 배우 및 가수로 활동 중이다.] || FLOWERS 시리즈의 마지막 작품이다. 2017년 4월 30일 character1에 참가한다는 공지중 코우사카 마유리의 성우 [[오카모토 리에]]의 사인회 알림 이미지에 앙그레캄의 동복으로 생각되는 옷을 입은 마유리가 선행 공개되었다. ~~하지만 하복과 추복을 입은 일러스트는 늘상 주기적으로 공개되어왔다. 필요 이상의 기대는 정신건강에 해롭다.~~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그런데...]]'''[* 사실 다시 돌아오겠다는 약속을 이전부터 했었다! [[Innocent Grey|이노그레]] 15주년 콘서트 때 코우사카 마유리 역의 [[오카모토 리에]]가 극장 내에서 주의사항을 말한 이후 떡밥처럼 살짝 언급했던 것.] 2017년 9월 15일 겨울편 발매. [* 겨울편의 공식 홈페이지의 오픈으로 인해 이번 겨울편의 서술자 중에는 코우사카 마유리도 포함되는 듯 하다. 반면 네리네와 유즈리하 모두 가을편에 서술된 대로 학원에서 [[탈주|모습을 감추게 된다]]. 이후 본편 4장에서 잠시나마 모습을 다시 드러낸다. 이 때 해당 시점 이전까진 재사용 대사를 사용했던 보이스 음량 조절에서도 전용 대사가 추가된다. 이후 짧게나마 다시금 모습을 드러내며 최종적으로는 조력자로 포지션이 바뀌게 된다.] 2018년 3월 16일 vita판 겨울편 발매. 2016년 봄편을 시작으로 전작들이 2년 주기로 스팀에 발매된 걸 미루어봤을 때, 겨울편의 스팀판은 2022년에 발매될 것으로 보였고 실제로 2022년 6월 18일에 발매가 확정되었다. 각 장의 부제는 시리즈의 완결편답게 봄, 여름, 가을의 부제가 섞여있다. 서술자는 릿카로서 기존에 등장했던 부제를 다른 시선으로 바라보는 투로 설명한다. 2주차부턴 마유리가 설명을 하는 것으로 변경된다. 여름편처럼 모든 CG를 회수하기 위해선 선택지를 변칙적으로 선택해야 100% 회수를 할 수 있다. 음량 설정에서 들을 수 있는 캐릭터별 음량 조정의 주제는 시리즈 마지막편에 걸맞게 클리어 전에는 계절의 끝을 맞이하는 각자의 각오를, 클리어 후에는 클리어에 대한 수고의 말들과 앞으로의 일들을 기대하는 코멘트로 이뤄져있다. GOOD 엔딩의 테마곡인 Love in Bloom의 경우 곡의 가사를 잘 보면 시리즈의 완결작임을 보여주듯 이전작들의 주제곡 가사를 오마주한 가사가 포함돼있다. 국내에선 [[스마일게이트#s-3|STOVE]]를 통해 북미판 베이스로 한국어화 되어 2023년 9월 14일에 발매됐다. == 시스템 == 겨울편은 총 6장으로 구성되어 있고 추리파트와 선택지 백합에 관련된 부분은 가을편과 동일하다. 공략 가능한 캐릭터는 2명이다. * 코우사카 마유리 * 하나비시 릿카 엔딩은 GOOD 엔딩, 1번 엔딩, 2주차 이후 개방되는 2번 엔딩과 그랜드 피날레[* 합본판인 사계에서는 여름편과 마찬가지로 1회차에 진입 가능. 클리어 시 GOOD 엔딩과 같이 클리어 되는 것으로 취급된다.]. 추리 파트 실패 게임오버 배드엔딩 3개, 선택지 미스[*1번 6장 후반부에 선택지 미스로 인해 바스키아의 방에서 열쇠를 찾아내지 못할 경우 강제적으로 배드엔딩을 맞이하게 된다. 내용 또한 꿈도 희망도 없는 내용으로 끝난다.]에 의한 배드엔딩 1개. 총 8개이다. 2주차부턴 일부 부분[*2번 오리지널판은 미해당이지만 합본편인 사계에선 그랜드 피날레 엔딩 후 오프닝에 유즈리하와 머리를 자른 네리네가 추가되며, 스탭롤에도 마찬가지로 두 사람이 추가되고, 마지막 부분에 모든 계절의 메인화면에서 나온 꽃들이 1번씩 교차되어 나온 뒤 겨울의 앙그레컴으로 넘어가는 연출이 추가된다. 공통적으로 프롤로그의 마유리가 나오는 CG가 변경되고, 1주차에선 표본으로 남겨진 편지를 릿카가 읽는 형태지만 2주차에선 과거의 핵심 인물인 키후네 사유리(CV. [[마에다 케이]])가 본인의 심경을 담아 편지를 쓰는 과정으로 바뀌게 된다.]이 달라진다는 차이점이 있다. 또한 1주차와 2주차에선 각 장의 시작에서의 설명하는 인물이 달라진다. == 스토리 == [include(틀:스포일러)] 《진실의 여신에게 다다르기 위한 열쇠를 가르쳐주지》 야츠시로 유즈리하가 준 시련을 극복해내어 니케아 회의 회장이 된 시라하네 스오우. 스오우는 약속대로 "시작이자 마지막인 7대 불가사의"의 이름을 얻게 된다. 그것이 봄에 사라진 아미티에, 코우사카 마유리와 이어질 거라고. 겨울을 맞이하여 성 앙그레캄 학원에 일어나는 한 층 더 큰 고난. 시라하네 스오우는 친구들의 힘을 빌려 수많은 어려움에 맞서려하지만... " 나에 대해서는 잊어줬으면 좋겠어. " 간절하게 찾던 그녀의 말에 큰 충격을 입게 된다. 다시금 나타나는 새어머니의 그림. 엇갈리는 마음, 뜻밖의 재개(再開)는 그녀에게 무엇을 가져다주는가. 마지막의 계절이 모든 것을 녹인다 - == 등장인물 == [[FLOWERS 시리즈/등장인물]] == 사운드 트랙 == ||<-3>
'''{{{#white FLOWERS ORIGINAL SOUNDTRACK 『HIVER』}}}''' || ||<|14>
[[파일:flowers_ost_hiv.png]] || 01.겨울의 앙그레캄 || 15.모노로그(winter ver.) || || 02.눈꽃바람 || 16.시온 || || 03.하나스오우(박태기나무) || 17.코스모스 || || 04.눈뜸 || 18.아네모네 || || 05.의혹 || 19.Fairy Wreath(piano arrange) || || 06.Analysis || 20.Fairy Wreath(violin arrange) || || 07.partie de soirée || 21.Love in Bloom(piano arrange) || || 08.수줍음 || 22.Love in Bloom(violin arrange) || || 09.토끼풀 || 23.FLOWERS(trio) || || 10.알리움 || 24.FLOWERS(instrumental) || || 11.상드리용(신데렐라) || 25.Fairy Wreath || || 12.bleu clair || 26.Fairy Wreath(instrumental) || || 13.réunion || 27.Love in Bloom || || 14.밀회 || 28.Love in Bloom(instrumental) || [[분류:FLOWERS 시리즈]][[분류:2017년 게임]][[분류:Windows 게임]][[분류:PlayStation Vita 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