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금융투자]][[분류:두문자어]] [목차] == FIRE == FIRE는 Financial Independence, Retire Early의 준말. 미국에서 유행하는 절약운동으로 재정적 독립-조기은퇴라는 뜻이다. 영문 위키백과에도 [[https://en.wikipedia.org/wiki/FIRE_movement|FIRE movement]]라는 문서가 있다. 한국에서는 이런 관념에 대해 '경제적 자유'라고도 부르며, FIRE족이라는 말로 이와 같은 상태에 이른 이들을 칭한다. '자유'라고 해서 경제적 제약 없이 하고 싶은 것 다 하고 사고 싶은 것 다 사는 부자의 모습을 떠오르기 쉽지만 대체로 적극적인 저축과 투자로 연 지출의 25~30배에 해당하는 은퇴자금을 모아 근로소득 없이도 생계를 무리없이 꾸려나갈 수준의 재정상태에 이르러서 적성에도 안 맞고 딱히 흥미롭지도 않아 괴롭고 귀찮기만 한 '''노동으로부터의 해방'''을 목적으로 한다.[* 물론 개인 취향에 따라 무력감에 안 빠지기 위해 자원 봉사나 적성에 잘 맞지만 훨씬 적은 임금을 받는 거의 취미에 가까운 일을 하는 것을 목표로 택하는 사람도 있다.] FIRE는 미시, 거시, 계량 경제적인 전문분야라기보다는 개개인의 '재정관리'에 대한 생각, 행동 방식 혹은 철학에 가깝다. 한국에서는 '경제적 자유'라고 불리다보니 파이어 운동의 앞 부분인 Financial Independence, 즉 돈을 극단적으로 모으는 것 혹은 부자가 되는 것에 대해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FIRE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경제적 자유는 절반일뿐 은퇴 이후의 삶도 그 못지 않게 중요하다. 물론 그 기준은 사람마다 다른데, 한국 기준으로 대개는 통장에 10억원이 있으면 노동 없이도 생활에 무리가 없다고 보는 편이나, 서울 소재 집 한 채 가격이 십수억 이상을 우습게 찍는 2010~2020년대 이후의 한국에서는 고작(?) 10억원으로도 쉽지는 않다. [[무자식 상팔자]]를 누리는 부부조차도 이는 적잖이 부담스러운데 자식까지 딸려있는 사람이라면 그 안정적인 재정상태를 유지하여 자식에게까지 물려줘야 하는 더 큰 부담이 있기에 더욱 쉽지 않다. 이론상으로 소득과 자산이 증가할수록 훨씬 상승하는 세금이나 주식 배당금 등의 변수를 무시한 채 아무런 투자 없이 연간 1%의 금리로 매일 10만원꼴로 벌어들일 수 있으려면 대략 36억 5천만원의 예금이 통장 잔고로 상시 남아있어야 하는데, 이 정도의 금액은 웬만큼 성공적인 장기 투자로도 달성하기 쉽지 않은 거액이므로 FIRE족들도 대개는 그에 미치지 못하며, 그 때문에 급여를 받기 위한 노동은 그만둘지 몰라도 투자소득을 유지하기 위한 공부는 꾸준히 하게 된다. 일단은 [[부동산]], [[주식]], [[암호화폐]]를 비롯한 각종 투자를 게을리하지 않는다는 전제 하에 각종 지출을 제하고도 앉은 자리에서 곧장 현금화해도 장기적으로 지장이 없는 자산을 1억원 이상을 유지하고 매년 그 자산이 늘어난다면 이 경지에 이르렀다 봐도 무방하다. == 역사 == 주로 2010년대에 유행을 타기 시작한 삶의 방식으로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서 운동이 커지게 되었다. 메인 컨샙은 1992년 Vicki Robin과 Joe Dominquez가 쓴 베스트셀러인 'Money or Your Life'와 Jacob Lund Fisker가 작성한 'Early Retirement Extreme'에서 나왔다. 이 책들은 월급과 심플한 삶을 통해 투자에서 경제적 자유로가는 길에 대해 제시했다. 특히, 2011년 시작한 [[https://www.mrmoneymustache.com/|Mr. Money Mustache의 블로그]]는 파이어 운동이 정말 유명해지게 만들었다. 'Financial Freedom'을 쓴 Grant Sabatier도 파이어 운동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2018년에 미국 메스컴을 타면서 대중에 널리알려지는 계기가 되었다. [[https://en.wikipedia.org/wiki/FIRE_movement|FIRE movement History 참고]] == 매체 == [[TVN]] 트렌드로드 뉴욕편에서 파이어를 다루는 내용으로 방송했다. [youtube(jaYlus0iPDM)] == 기타 == * 비슷한 타이틀을 달고 활동하는 [[유투버]]나 도서도 검색하면 여럿 쏟아져나올 정도. * 한국어 용어인 '경제적 자유'가 [[경제적 자유주의]]와는 맥락상 무관한 말이라 경제학 전공자들의 입장에서는 검색시 번거롭다. 물론 생활상식, 투자상식 수준을 넘어 진지하게 공부하고 연구를 하는 경제학 전공자들에게도 FIRE는 최고의 로망임은 마찬가지이긴 하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파이어, version=171, paragraph=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