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FC 모바일]] [include(틀:상위 문서, top1=FC 모바일)] [include(틀:FC Mobile)] [include(틀:FC 모바일/클래스)] [목차] == 개요 == [[FC모바일]]의 클래스를 정리한 문서이다. FC 모바일은 선수 클래스를 통해서 스쿼드를 구성하고 경기를 진행한다. 다양한 업데이트를 하면서 다양한 선수 클래스가 출시되고 있다. == [[/ICON|아이콘 (ICON)]] == [[파일:ICON(피파 온라인 4/클래스) 로고.png]] '''축구 역사에 한 획을 그은 전설적인 선수들만 구성된 클래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FC 모바일/클래스/ICON)] == 킥오프 (KICK OFF) == [[FC 온라인]]의 Live와 비슷한 개념으로 FC 온라인과는 다르게 특별 훈련 재료로 사용된다. OVR이 높아진 일반 카드들이다. 특훈할 때 사용하자. 그래도 초보자들에겐 가성비도 좋고 오버롤도 기존 일반 카드보다 높아 초반 주력 탑11에 잠깐 써지기도 한다. === 킥 오프 (KICK OFF) (2022년 이전) === 19-20 겨울, 20-21 여름 이적 시장에서 이적한 선수들을 바탕으로 출시한 이벤트다. 보상으로는 OVR 106 ~ 111 프라임 아이콘이나 프라임 아이콘 잠브로타, 델피에로, 마테우스, 크레스포, 야신 또는 OVR 103 즐라탄, 하메스, 카바니 등등을 얻을 수 있었다. 이벤트 형식은 뽑기나 이적 시장을 통해 일반 KO 선수를 사 스킬 게임으로 얻은 KO 코인과 교환해서 KO 슈프림 선수와 슈프림 코인을 얻고, 모은 슈프림 코인으로 프라임 아이콘을 교환 하는 방식이었다. 처음에는 정상적으로 진행되다가 일반 KO 선수를 이적 시장에서 사서 슈프림 선수로 교환 후 슈프림 선수를 팔면, TP는 전혀 손해를 보지 않고 거의 공짜로 슈프림 코인을 얻을 수 있어 사람들이 일반 KO 선수들을 대량 구매하는 현상이 생겼고, 일반 KO 선수의 상향된 버전인 슈프림 선수가 오히려 더 싸지기 시작하는 현상이 일어났다. 엄청난 이적 시장 사재기 후에는 일반 KO 선수들이 너무 비싸져 위에 방법을 쓰면 오히려 손해를 보는 반대의 상황이 일어났다. 하지만 뽑기로 일반 KO 선수들을 뽑는 것보다는 사는 게 훨씬 더 효율이 좋아 가격은 계속 유지되었다. 프라임 아이콘 출시 후 나온 이벤트로써 KO 선수들이 너무 스탯이 낮아 오히려 프라임 아이콘 메타를 더욱 더 돋보이게 하는 느낌을 주었다. 위의 이유로 이벤트가 끝난 후에 KO 선수들은 거의 쓰레기 취급을 받고 있다.[* 하지만 오버롤이 100 이상인 선수들은 진화 등급이 오를수록 일반 카드보다 팀 오버롤이 더 높아지기 때문에 종종 슈프림 선수들을 사용하는 유저들을 볼 수도 있었다.] 2021년 12월 16일 자 업데이트로 거래 제한이 되었다. === KICK OFF 21 (KO21) === '''출시일 : 2021년 11월 4일''' 이번 이적 시장에서 유럽 5대 리그로 이적한 선수들로 구성되었다. 무료 보상으로 KO21 티켓이나 선수 티켓을 얻을 수 있었다. 그리고 훈련과 경기로 KO21 티켓을 얻어 100개를 모아 쓰거나 선수 티켓으로 바꿀 수 있었다. 그리고 챕터 3에 PSG 챕터가 있는데 마찬가지로 훈련과 경기를 통해 PSG 티켓을 얻어 18개로 돈나룸마를 얻을 찬스를, 20개로 메시를 얻을 수 있는 찬스를 얻을 수 있었다. 그리고 메시나 돈나룸마가 나올 수 있는 팩을 뽑을 때마다 PSG 선수 티켓을 주는데 50개를 모으면 메시를, 20개를 모으면 돈나룸마를 교환할 수 있었다. || [[파일:3C305727-7E67-44A0-83B8-10CEA23BE685.jpg]] || [[파일:38AC09A5-18E5-40C3-BDE4-B629BB8DCD0D.jpg]] || ||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 리오넬 메시 || === 2022-23 시즌 === === 2023-24 시즌 === [[파일:9E0962A3-C684-447B-AD93-E3F20C88F23A.jpg]] '''출시일 : 2023년 9월 22일''' 2023-24시즌을 맞아 출시한 킥오프. == [[/Team Of The Season|Team Of The Season (TOTS)]]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FC 모바일/클래스/Team Of The Season)] == [[/Team Of The Year|Team Of The Year (TOTY)]]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FC 모바일/클래스/Team Of The Year)] == [[/UEFA Champions League|UEFA Champions League (UCL)]]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FC 모바일/클래스/UEFA Champions League)] == 히어로즈 HEROES == 리그에서 뛰어난 활약을 펼쳤던 선수들로 이루어진 클래스다. 미페는 카툰 미페이다. === HERO 22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jmjSP_n4i3k)]}}} || 2022년 5월에 출시하였으며 예전에 뛰어나게 활약했던 선수들을 모아놓았다. 대체 오버롤이 114 정도라서 심각한 밸런스 붕괴가 예상되었다. 그런데 지금은 '''지놀라, 마리오 고메스,모리엔테스'''를 제외하면 아무도 안 쓰는 진화 재료가 되어버렸다. 여담으로 최초로 선수 일러스트를 일반 미페와 카툰 미페, 이 두 가지로 카드를 내놓았다.[* 일반 미페 버전은 9000만에서 1억 4천만 정도 하는데 카툰 버전은 기본이 1억이고 가끔 1억 7천만에서 9천만까지 올라갈 때도 있다.] 이후 스페셜 찬스에서 카툰 선수들이 풀리면서 가격이 비슷해졌다. 현재는 가격이 많이 떨어진 상태다. 그래서 진화 재료로도 인기가 많다. === HERO & LEGACY 23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HERO&LEGACY23 표지.png|width=100%]]}}} ||<-2> {{{#efc450 '''출'''}}}{{{#3e6b8b '''시'''}}} || [[2023년]] [[3월 9일]] || ||<|2> {{{#efc450 '''최고'''}}}[br]{{{#97b785 '''O'''}}}{{{#ef6e23 '''VR'''}}}[br]{{{#3e6b8b '''선수'''}}} || '''{{{#efc450 HE}}}{{{#97b785 RO}}}''' || {{{+5 '''121'''}}}[br]디에고 포를란, 루디 펠러, 파팽, 박지성, 야야 투레, 하비에르 마스체라노, 루시우, 히카르두 카르발류 || || '''{{{#ef6e23 LEG}}}{{{#3e6b8b ACY}}}''' || {{{+5 '''118'''}}}[br]파울로 디발라, 프렝키 더용, A. 뤼디거, 데헤아 || ||<|2> {{{#efc450 '''최저'''}}}[br]{{{#97b785 '''O'''}}}{{{#ef6e23 '''VR'''}}}[br]{{{#3e6b8b '''선수'''}}} || '''{{{#efc450 HE}}}{{{#97b785 RO}}}''' || {{{+5 '''120'''}}}[br]H. 키웰, W. 스몰라레크, 피터 크라우치, 토마스 브롤린, S. 알 오와이란, 디르크 카위트, 시드니 고부, 랜던 도노번, 제이-제이 오코차, H. 나카타, C. 마르키시오, 호안 카프데빌라, R. 마르케스 || || '''{{{#ef6e23 LEG}}}{{{#3e6b8b ACY}}}''' || {{{+5 '''113'''}}}[br]S. 로데, R. 콜로-무아니, 조나탕 클로스, 오르쿤 쾨크취, 마이클 올리스, 수비멘디, C. 서머빌, F. 펠리스트리, 예레미, P. 사르, 마티스 텔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80deg, #efc450, #97b785)" {{{#fff {{{#!folding [ 프로그램 설명 펼치기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HERO&LEGACY23 메인.png|width=100%]]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80deg, #ef6e23, #3e6b8b)" {{{#fff {{{#!folding [ 선수 명단 펼치기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E7AD106-8DEF-4CDC-AD99-BE1AEFB255F7.png|width=100%]]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HTS5TwMOYis)]}}} || EA Sports™와 MARVEL이 협력하여 선정한 HERO23와 HERO 선수들이 활약했던 클럽에서 현재 활약하고 있는 선수들로 만든 LEGACY23이 출시되었다. HERO 선수들 중 [[야야 투레]]와 [[피터 크라우치]]는 유저들에서 매우 활발하게 사용되는 중이고,[* 야야 투레는 라 크로케타 개인기에 피지컬도 괜찮고, 크라우치는 키가 매우 커서 헤딩 메타에 유리하다. 그러나 FC 모바일에 키가 클수록 성능이 나쁘다라는 말이 나오자 마자 크라우치의 가격이 50억 떨어졌다.] 그 외에도 [[루시우]], [[후안 카프데빌라]], [[디에고 포를란]]정도 역시 기용해볼 만 하다. HERO23 OVR은 '''120 ~ 121''' LEGACY23 OVR은 '''113 ~ 118''' == 앰배서더 클래스 == === [[첼시 FC|Chelsea FC]] Ambassadors 21 (CFC21)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M91pPfui0w)]}}} || FC 온라인와 함께 출시한 [[첼시 FC]] 앰배서더 클래스 최저 OVR 111, 최고 OVR 113 ||[[파일:1686182744699.jpg|width=100%]]|| || {{{#!folding [ 선수 명단 펼치기 ] [[파일:1686182692245.jpg|width=100%]] }}} || FC 온라인과 다르게 현역 선수도 같이 출시되었다.[* 현재는 라이브 선수의 거래가 불가능하다.] 선수 선정에 대해 논란이 있었다. [[안드리 셰브첸코|셰우첸코]]는 비싼 이적료로 첼시에 영입되었으나 부상을 겪으며 폼이 완전 하락하여 먹튀 소리를 들었고 [[에르난 크레스포|크레스포]]는 [[디디에 드록바]]에게 밀리며 제대로 활약하지 못했는데도 첼시 앰배서더로 나와 논란이 되었었다. [* 개편 2022년 11월 17일 패치로 아이콘 선수를 제외한 모든 선수들의 거래가 불가능해졌다.] === [[레알 마드리드 CF|Real Madrid]] Ambassadors 22 (RMA22) === 최저 OVR 115, 최고 OVR 118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dbJePigGL38)]}}} || ||[[파일:1686181236089.jpg|width=100%]]|| || {{{#!folding [ 선수 명단 펼치기 ] [[파일:1686180991720.jpg|width=100%]] }}} || 쓸 만한 선수는 [[데이비드 베컴]], [[지네딘 지단]], [[카림 벤제마]], [[티보 쿠르투아]]가 있다. 레알에서 먹튀 소리를 듣던 [[카카]]가 포함되어 있어 논란이 됐다. === [[유벤투스 FC|Juventus 24]] (JUV24)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 20%, #ececeb 20%, #979694 40%, #000 40%, #000 60%, #ececeb 60%, #979694 80%, #000 8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4DEDA7A5-F3A9-4708-B532-2C7F48A5BC6B.jpg|width=100%]]}}}}}} || {{{#ececeb '''출시'''}}} || [[2023년]] [[9월 7일]] || || {{{#000 '''최고 OVR 선수'''}}} || {{{+5 '''125'''}}}[br][[알레산드로 델 피에로|A. 델피에로]] || || {{{#ececeb '''최저 OVR 선수'''}}} || {{{+5 '''118'''}}}[br][[알레산드로 델 피에로|A. 델피에로]] (거래불가)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 20%, #ececeb 20%, #979694 40%, #000 40%, #000 60%, #ececeb 60%, #979694 80%, #000 80%)" {{{#fff {{{#!folding [ 선수 명단 펼치기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85908B9F-E4E8-4596-8CA6-3EA2EDE364ED.jpg|width=100%]] }}}}}}}}}}}} || [youtube(OWukUg5TAWg)] '''출시일 : 2023년 11월 9일''' FC 온라인과 함께 출시한 [[유벤투스]] 앰배서더 클래스 [[위르겐 콜러]]는 유벤투스에서 별다른 활약을 하지 못했는데도 유벤투스 앰배서더에 포함되었다. 그러나 전에 나왔던 앰배서더 클래스들의 선수 선정이 더 막장이라 크게 논란이 되진 않았다. == KFA ==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을 클래스로 만들었다. === Korean Heroes 12 (KH12)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uXr9FNaXaZo)]}}} || {{{#4b4f4a '''출시'''}}} || [[2021년]] [[7월 22일]] || || {{{#4b4f4a '''최고 OVR 선수'''}}} || {{{+5 '''111'''}}}[br]박주영, 구자철, 지동원 || || {{{#4b4f4a '''최저 OVR 선수'''}}} || {{{+5 '''109'''}}}[br]김창수, 남태희, 정우영, 이범영, 오재석, 황석호, 김기희, 백성동, 박종우, 김현성 || ||<-3> {{{#4b4f4a {{{#!folding [ 선수 명단 펼치기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kh12.png|width=100%]] }}}}}}}}} || '''출시일 : 2021년 7월 22일''' 2012 런던에서 동메달을 획득한 선수들로 구성된 클래스 (OVR 109 ~ 111) === KFA21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hYyH7t2yRnw)]}}} || {{{#4b4f4a '''출시'''}}} || [[2021년]] [[7월 22일]] || || {{{#4b4f4a '''최고 OVR 선수'''}}} || {{{+5 '''110[* 8강 진출로 OVR +2 상승. 기존의 OVR은 '''108''']'''}}}[br]황의조, 권창훈, 박지수, 이강인 || || {{{#4b4f4a '''최저 OVR 선수'''}}} || {{{+5 '''106[* 8강 진출로 OVR +2 상승. 기존의 OVR은 '''106''']'''}}}[br]엄원상, 안준수, 김재우, 김진야, 설영우, 이유현, 김동현, 안찬기, 김진규 || ||<-3> {{{#4b4f4a {{{#!folding [ 선수 명단 펼치기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kfa21.png|width=100%]] }}}}}}}}} || '''출시일 : 2021년 7월 22일''' 2020 도쿄 U-23 대표로 선발된 선수들로 구성하였다. (OVR 106 ~ 108 -> '''108 ~ 110'''[* 대한민국 최종 성적 8강 진출로 최종적으로 오버롤이 2 상승했다.]) KFA21 선수들은 올림픽 최종 성적에 따라 오버롤이 상승되었다.[* 대한민국 8강 진출 시 OVR 2 상승, 4위 OVR 3 상승, 동메달 4 상승, 금 또는 은메달일 경우 OVR 5 상승] 이 오버롤 상승을 이용하여 미리 선수들을 사재기한 사람들이 엄청난 적자를 보았다. === KFA18 === ||<|3> [[파일:KFA2318.png|width=100%]] || {{{#F4D64B '''출'''}}}{{{#3FC5A1 '''시'''}}} || [[2023년]] [[11월 16일]] || || {{{#F4D64B '''최고 O'''}}}{{{#3FC5A1 '''VR 선수'''}}} || {{{+5 '''122'''}}}[br][[황의조]] || || {{{#F4D64B '''최저 O'''}}}{{{#3FC5A1 '''VR 선수'''}}} || {{{+5 '''116'''}}}[br][[이승모]], [[김건웅]], [[황현수]], [[정태욱]]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55deg, #F4D64B, #C6DB3E, #3FC5A1, #1EA4AE)" {{{#7D29F2 {{{#!folding [ 선수 상세 정보 펼치기 ] || '''{{{#F4D64B 선수 이름}}}''' || '''{{{#F4D64B 미니 페이스온}}}''' || '''{{{#C6DB3E 오버롤}}}''' || '''{{{#C6DB3E 스킬 부스트}}}''' || '''{{{#3FC5A1 주포지션}}}''' || '''{{{#3FC5A1 개인기}}}''' || '''{{{#1EA4AE 주발과 약발}}}''' || || [[황의조]] || || 122 || [RED] 타이거 || ST || 라 크로케타 || 4 - '''5''' || || [[손흥민]] || || 121 || [RED] 마에스트로 || RW || 룰렛 || 5 - '''5''' || || [[조현우]] || || 120 || [RED] 라스트라인 || GK || 스텝오버 || '''5''' - 4 || || [[황희찬]] || || 119 || [RED] 호크 || LW || 녹 온 드리블 || 4 - '''5''' || || [[이승우]] || || 119 || 세컨드 스트라이커 || LW || 룰렛 || 4 - '''5''' || || [[김민재]] || || 119 || [RED] 앵커 || CB || 레인체인지 || 3 - '''5''' || || [[나상호]] || || 118 || 홀딩 || ST || 힐투힐 || '''5''' - 3 || || [[조유민]] || || 118 || 홀딩 || CB || 레인체인지 || 3 - '''5''' || || [[김진야]] || || 118 || 홀딩 || CB || 레인체인지 || 3 - '''5''' || || [[이진현]] || || 117 || 홀딩 || CM || 룰렛 || 4 - '''5''' || || [[이시영(축구선수)|이시영]] || || 117 || GK 다이빙 || RB || 스텝오버 || '''5''' - 3 || || [[이승모]] || || 116 || 세컨드 스트라이커 || CM || 룰렛 || 5 - '''5''' || || [[김건웅]] || || 116 || 세컨드 스트라이커 || CDM || 룰렛 || 5 - '''5''' || || [[황현수]] || || 116 || 세컨드 스트라이커 || CB || 룰렛 || 5 - '''5''' || || [[정태욱]] || || 116 || 세컨드 스트라이커 || CB || 룰렛 || 5 - '''5''' || }}}}}}}}} || === KFA23 === ||<|3> [[파일:KFA2318.png|width=100%]] || {{{#F4D64B '''출'''}}}{{{#3FC5A1 '''시'''}}} || [[2023년]] [[11월 16일]] || || {{{#F4D64B '''최고 O'''}}}{{{#3FC5A1 '''VR 선수'''}}} || {{{+5 '''121'''}}}[br][[백승호]] || || {{{#F4D64B '''최저 O'''}}}{{{#3FC5A1 '''VR 선수'''}}} || {{{+5 '''116'''}}}[br][[박재용]], [[김정훈]], [[민성준]]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55deg, #F4D64B, #C6DB3E, #3FC5A1, #1EA4AE)" {{{#7D29F2 {{{#!folding [ 선수 상세 정보 펼치기 ] || '''{{{#F4D64B 선수 이름}}}''' || '''{{{#F4D64B 미니 페이스온}}}''' || '''{{{#C6DB3E 오버롤}}}''' || '''{{{#C6DB3E 스킬 부스트}}}''' || '''{{{#3FC5A1 주포지션}}}''' || '''{{{#3FC5A1 개인기}}}''' || '''{{{#1EA4AE 주발과 약발}}}''' || || [[백승호]] || || 121 || [RED] 타이거 || CM || 라 크로케타 || 4 - '''5''' || || [[정우영]] || || 120 || [RED] 마에스트로 || LW || 룰렛 || 5 - '''5''' || || [[엄원상]] || || 119 || [RED] 라스트라인 || RW || 스텝오버 || '''5''' - 4 || || [[이강인]] || || 119 || [RED] 호크 || CM || 녹 온 드리블 || 4 - '''5''' || || [[이광연]] || || 119 || 세컨드 스트라이커 || GK || 룰렛 || 4 - '''5''' || || [[홍현석]] || || 118 || [RED] 앵커 || CM || 레인체인지 || 3 - '''5''' || || [[박진섭]] || || 118 || 홀딩 || CB || 힐투힐 || '''5''' - 3 || || [[이한범]] || || 118 || 홀딩 || CB || 레인체인지 || 3 - '''5''' || || [[황재원(2002)|황재원]] || || 118 || 홀딩 || RB || 레인체인지 || 3 - '''5''' || || [[고영준]] || || 117 || 홀딩 || CAM || 룰렛 || 4 - '''5''' || || [[송민규]] || || 117 || GK 다이빙 || CAM || 스텝오버 || '''5''' - 3 || || [[정호연]] || || 117 || 세컨드 스트라이커 || CM || 룰렛 || 5 - '''5''' || || [[설영우]] || || 117 || 세컨드 스트라이커 || LB || 룰렛 || 5 - '''5''' || || [[박규현]] || || 117 || 세컨드 스트라이커 || LB || 룰렛 || 5 - '''5''' || || [[박재용]] || || 116 || 세컨드 스트라이커 || ST || 룰렛 || 5 - '''5''' || || [[김정훈]] || || 116 || 세컨드 스트라이커 || GK || 룰렛 || 5 - '''5''' || || [[민성준]] || || 116 || 세컨드 스트라이커 || GK || 룰렛 || 5 - '''5''' || }}}}}}}}} || KH12와 KFA21의 후속 시즌. KFA18과 함께 출시되었다.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황선홍호/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대한민국 축구 대표팀]] 선수들로 구성되었다.[* 코치노트에는 라이선스 상의 이슈 때문인지 "2022년 항저우 대회"로 칭해졌다.] 라이선스 이슈로 최준, 이재익, 김태현, 안재준, 조영욱은 출시되지 않았고, 박재용, 김정훈, 민성준은 대갈 미페로 출시되었다. == Record Breaker == === Record Breaker 21 (RB21) === ||[[파일:E4A6B723-C0C4-4952-9785-12F7747FB980.jpg|width=100%]]|| || {{{#!folding [ 선수 명단 펼치기 ] [[파일:5CF982EE-8E28-435C-928E-617F6134B364.jpg|width=100%]] }}} || '''출시일 : 2021년 6월 10일''' 6월 10일 자 업데이트되었으며 Record Breaker를 뜻한다. FIFA 콘솔 시리즈에서 2015년부터 선정한 각 리그의 기록을 달성한 선수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 선수들은 이적 시장 거래를 할 수 없으며 프라임 아이콘과 맞먹거나 그 이상의 스탯을 보유하고 있었다. 오버롤은 111로 나왔으며 6월 10일 1차로 출시된 선수와 그 기록은 다음과 같다. ||[[리오넬 메시]] (RW) || 라리가 역사상 가장 많은 득점 기록|| ||[[사디오 마네]] (LW) || EPL 최단시간 해트트릭 || ||[[제이미 바디]] (ST) || EPL 역사상 최고령 득점왕 ||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ST) || UCL 최다 득점 || ||[[모하메드 살라]] (RW) || EPL 단일 시즌 최다골 || ||[[세르히오 아구에로]] (ST) || EPL 최다 해트트릭, 외국인 최다골 || ||[[제이든 산초]] (RW) || EPL 최연소 30골 || ||[[다비드 실바]] (CAM) || EPL 최단 경기 200승 || ||버질 반데이크 (CB) || EPL 최다 패스 || ||[[세스크 파브레가스]] (CM) || EPL 최단 기간 100 어시스트 || 1차가 출시되고 얼마 지나지 않아 2차가 출시되었다. ||셰인 롱 (ST) || EPL 최단 시간 득점 || ||[[곤살로 이과인]] (ST) || 세리에A 단일 시즌 최다골 || ||[[치차리토]] (ST) || 멕시코 국가대표 최다골 || ||[[킬리안 음바페]] (ST) || UCL 최연소 10골 득점 || ||[[팔카오]] (ST) || UEFA 단일 시즌 최다골 || ||카를로스 벨라 (RW) || MLS 사커 단일 시즌 최다골 || ||호드리구 (RW) ||UCL 역사상 최연소 퍼펙트 해트트릭 || ||오스카 (CAM) || CSL 단일 시즌 최다 어시스트 || ||[[제임스 밀너]] (CM) || UCL 단일 시즌 최다 어시스트 || ||[[돈나룸마]] (GK) || 이탈리아 국가대표 최연소 골키퍼 데뷔|| 출시 이후 대다수의 유저들의 의견은 사기라는 평가가 있었다. 이 선수들은 특별 스킬 부스트를 달고 나왔는데 이 중 공격수 스킬 부스트가 사기 중 사기다.[* 질속, 가속, 결정력, 슈팅력, 위치 선정 증가] 또 이런 선수들과 스킬 그와 별개로 거래 불가가 됐는데 좀 아쉽다는 의견이 있다. 팔카오, 바디, 아구에로 등 현재는 신규 클래스가 나오지 않는 선수가 다수 포함되었기 때문.[* 그나마 이후 팔카오는 FL23이 나왔고 아구에로는 은퇴로 모든 카드가 거래 불가가 되었기 때문에 아쉬움은 적기만 바디는 현역인데도 좋은카드가 없어 레스터 시티 단일팀을 하는 사람들은 눈물만 흘리는 상황이다.] === Record Breaker 24 (RB24) === ==== 1차 업데이트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B24 1차 표지.png|width=100%]]}}} || {{{#ec1412 '''출시 (1차)'''}}} || [[2023년]] [[9월 7일]] || || {{{#ec1412 '''최고 OVR 선수'''}}} || {{{+5 '''124'''}}}[br]M. 클로제 || || {{{#ec1412 '''최저 OVR 선수'''}}} || {{{+5 '''120'''}}}[br]벤 미, A. 크나우프, 다니 올모, 네그레도, 카이 카마라, 카를로스 벨라 || ||<-3> {{{#ec1412 {{{#!folding [ 선수 명단 펼치기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B24 1차 메인.png|width=100%]] }}}}}}}}} || 2년만에 업데이트된 Record Breaker 24 이 클래스도 Founders 24와 마찬가지로 2023년에 출시되었는데, '''24'''라는 타이틀을 달고 나왔다.[*FC24,RB24 그 이유는 아마 EA 스포츠에서 운영하는 시즌인 [[FC24]]를 대비하여 그렇게 지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리그, 클럽, 국가에서 의미 있는 기록을 달성한 선수들로 구성된 클래스 Record Breaker 21과 마찬가지로 이적 시장 거래가 불가한 클래스로 나왔다. 그래서 이 클래스의 선수들은 상점, 교환을 통해서만 획득할 수 있다. 선수들의 OVR은 LIVE 선수 120 ~ 123, ICON 선수 123 ~ 124로, 총 120 ~ 124로 나왔다. 스킬 부스트는 기존에 있던 '''레코드 브레이커''' 전용 스킬 부스트가 적용된다. 이 또한 상점이나 교환을 통해 획득할 수 있다. 주요 선수로는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네이마르 주니오르]], [[페트르 체흐]] 등이 있다. 이중 호날두는 '''전성기 시절 급의 사기적인 능력치를 보여주며''' FC 모바일 랭커들이 많이 이용할 만한 카드이다. ==== 2차 업데이트 ==== == 도미네이션 == [[피파모바일(넥슨)|피파모바일]] 출시 후 웹 이벤트에서 '''사전등록 100만 명 돌파 기념'''으로 출시한 클래스다. 이강인, 황희찬, 황의조, 손흥민 등이 출시되었다. 처음에는 기본으로 OVR 88 손흥민을 주었고[* 지금은 없어졌지만 출시 초기에 킥오프 이벤트를 완료하면 OVR 88 손흥민을 주었었다.] 교환 이벤트에서 OVR 102 손흥민과 바꿀 수 있었다. 지금은 단절되었다.[* 추가로 아는 사람이 별로 없겠지만 20TOTS 토큰 교환 뽑기에 93 도미네이션 손흥민이 있었다.] 2020년 하반기 로스터 업데이트 후 신규 유저들에게 도미네이션 진첸코, 티아고, 티아구 실바, 홀란 등을 보상으로 주기 시작했다.[* 이상하게도 손흥민, 이강인, 황의조, 황희찬은 도미네이션 토큰으로 훈련할 수 있었지만 새롭게 나온 선수들은 훈련 경험치로도 업그레이드를 할 수 있었다. 추가로 스킬 부스트도 도미네이션 스킬 부스트를 받지 않았다.] == FUTURE STAR == 진화재료. 처음에는 스페셜찬스 1에서 OVR 97 FUTURE STAR 홀란을 얻을 수 있었다.[* 진화 목적인 FUTURE STAR랑은 다르게 성능으로 출시된 FUTURE STAR였다. --전설의 양발 홀란-- 2021년 12월 16일자로 거래제한 되었다.] 2020년 9월 15일, 프라임 아이콘의 진화를 돕기 위한 OVR 106 ~ 111의 성능이 낮은 FUTURE STAR 선수들이 출시되었다. 상점이나 보상 팩, 선수 팩 등에서 얻을 수 있었다. 2021년 6월 15일부터 6월 30일까지 OVR '''112'''의 FUTURE STAR 선수를 교환할 수 있게 되었다. 21TOTS가 출시되고 나서는 '''113''','''114'''의 FUTURE STAR 선수도 나왔다. National ICON이 출시되고 나서는 OVR '''115'''[* 현재로 따지면 OVR 125~126인 셈]의 FUTURE STAR 선수도 출시했다. == K LEAGUE == === 21 K LEAGUE Best === '''출시일 : 2021년 9월 16일''' 출시와 동시에 나온 이벤트다. OVR 93, 95, 96 선수들이 불규칙적으로 나오는 이벤트였다. OVR 93 선수는 이벤트 리그 코인 50개, OVR 95 선수는 이벤트 리그 코인 100개로, OVR 96 선수는 슈퍼 박스에서 확률적으로 얻을 수 있었다. 낮은 능력치와 함께 게임의 변화에 따라가지 못해 사람들에게 잊혀졌으며 결국 이름이 이벤트 리그에서 '''K LEAGUE Best'''로 개편되어 출시되었다. ==== 21 K LEAGUE Best ROUND 18 ==== '''출시일 : 2021년 10월 21일''' || [[파일:51862C6C-3937-4A12-9A59-5965F00DFA04.jpg]] || || 세징야 선수 || ==== 21 K LEAGUE Best ROUND 19 & 21 Best ==== '''출시일 : 2021년 12월 16일''' || [[파일:B5A880EE-8CF0-426E-8C76-02EFC1839C32.jpg]] || || 주민규 선수 || === TEAM K LEAGUE 23 (TKL23)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KL23 표지.png|width=100%]]}}} || {{{#c8ae7f '''출시'''}}} || [[2023년]] [[7월 27일]] || || {{{#c8ae7f '''최고 OVR 선수'''}}} || {{{+5 '''118'''}}}[br]세징야, 오스마르, 주민규 || || {{{#c8ae7f '''최저 OVR 선수'''}}} || {{{+5 '''113'''}}}[br]홍철, 안병준, 이청용, 김보섭, 문선민, 김동준 || ||<-3> {{{#c8ae7f {{{#!folding [ 선수 명단 펼치기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KL23 메인.png|width=100%]] }}}}}}}}} || >'''많은 감독님들께서 기다려 주신 TEAM K LEAGUE 선수들이 출시됩니다.''' > >'''한국 프로축구연맹에서 선정한 Team K League 팬 투표 후보에 오른 선수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별도 프로그램 없이 이벤트, 상점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K리그 선수들이 출시되었으며, [[세징야]], [[백승호]] 등 성능이 우수한 선수들이 많이 출시되었다. 다만 너무 많이 뿌리는 바람에 113 ~ 115까지의 카드들은 거의 다 귀속 매물이 되버렸다. 하지만 교환 탭에서 3백만 코인을 주는 교환이 생겨 귀속 문제를 해결해 주었다. [[인천 유나이티드 FC]] 소속의 [[이명주]]선수는 라이센스 문제로 대갈미페로 출시되었다. == PS2020 == TOTS(Team Of The Season)에 들어가지 못한 선수들 중에서 가장 활약이 좋았던 선수를 뽑아냈던 이벤트다.[* TOTY의 Honorable Mention 선수와 비슷하다.] 이해가 안 되는 선수 선정, 예를 들어 '''아자르''',[* 심지어 아자르는 동일 클래스 중 가장 높은 오버롤인 99를 받았다.] 오리에, 린가드, 무스타피 등등이 들어가 논란이 있었지만, 각종 이벤트와 함께 출시하면서 시작은 좋았다. 하지만 매일 같은 스킬게임, AI 경기를 하며 유저들은 지루함을 느꼈지만 넥슨은 오히려 이벤트를 연장시켰다. 결국 안 좋은 평가를 받으며 이벤트가 끝났다. 2021년 12월 16일 자 업데이트로 거래 제한이 되었다. == FUTMAS == === FUTMAS 20 === 본가 [[FIFA 시리즈]]의 크리스마스 기념 프로모션인 FUTMAS를 그대로 가져왔으며, 클래스명의 의미는 '''fut'''bol+christ'''mas'''2021년을 카운트다운 하는 의미로 등번호 1번 ~ 30번을 가지고 있는 선수들이 출시되었다. 아시아, 아메리카 대륙 선수들로 이루어진 레드 팀 선수 60명과 유럽, 아프리카 대륙 선수로 이루어진 블루 팀 60명 그리고 플래티넘 44명으로 총 164명이 출시되었다. 이벤트 형식은 스킬 게임으로 레드 토큰과 블루 토큰을 얻은 후, 그것으로 선수 교환을 해서 블루와 레드 선수 그리고 플래티넘 토큰을 얻는다. 이후 플래티넘 토큰과 레드, 블루 선수를 사용해 플래티넘 선수와 교환할 수 있었다. 또는 플래티넘 토큰으로 FUTURE STAR 선수나 프라임 아이콘 선수들을 얻을 수 있었다. 프라임 아이콘들에 비해 터무니 없이 낮았던 스탯을 보여주던 KO 이벤트와 달리 메시, 손흥민 등 몇 상위 선수들이 프라임 아이콘급의 성능을 보여주며 그 선수들이 인기를 끌었다. 굉장히 가성비가 좋았다. 비슷한 스탯의 TOTY나 포우보다 4배 이상 쌌다. 2021년 12월 16일 자 업데이트로 거래 제한이 되었다. || [[파일:AE404418-8306-44B1-98B4-B036CBD8501D.jpg]] || || 카드 예시 || === FUTMAS 21 === '''출시일 : 2021년 12월 9일''' 대륙간의 대결이었던 FUTMAS 20과 다르게 국적 별로 나누었다. || [[파일:39711C55-FE16-424D-8F79-B37A0726556E.jpg]] || || 배경 || == Player Of The Week (POTW) == '''출시일 : 2020년 12월 22일''' Player Of The Week의 약자로 지난 2주 동안 가장 뛰어난 활약을 보여준 11명의 선수를 2주마다 한 번씩 출시했던 클래스다. POTW 클래스도 UCL21 클래스와 같이 따로 이벤트가 있는 것은 아니고, 1주마다 OVR 104 선수를 제외하고 바뀌는 스페셜 찬스 2 혹은 상점 탭의 POTW 상점에서 POTW 포인트를 사용해서 교환할 수 있었다. 특히 오버롤과 스탯이 높은 편인 104 선수 한 명, 105, 106, 107, 108, 109 선수들을 각각 두 명씩 출시한다는 점에서 프라임 아이콘과 견줄 수 있는 현역 선수들이 생겨 클럽 단일팀이나 현역 국가대표 단일팀을 만드는 유저들의 좋은 평가를 얻었다. [*개편 2022년 11월 17일 자 패치로 아이콘 선수를 제외한 모든 선수들의 거래가 불가해졌다.] || [[파일:FB85EBDB-C24C-4D40-846B-51A5FEA1294E.jpg]] || || 카드 예시 || == 탑 더비 TOP DERBY 21 (TD21) == [[파일:탑더비.png]]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KMbJ9byTyk)]}}} || 2021년 3월 18일, 해외 축구에서 유명한 더비 매치 3개를 대상으로 한 이벤트인 TOP DERBY 21 클래스가 출시되었다. 인테르 VS AC밀란, AT마드리드 VS 레알 마드리드, 첼시 VS 토트넘을 대상으로 한 이벤트다. 그 팀들의 현역 대표 선수들이 나올 예정이며 한 팀당 1~2명의 레전드가 출시되었다. [[영미터]]의 시위와 유저들의 민심이 표현된 이후 넥슨은 이번 이벤트부터는 유저들의 의견을 최대한 반영하고자 하였으며 따라서 이 이벤트에 나올 레전드 1명을 유저들에게 투표로 맡기겠다고 했다. 그러나 투표 결과는 다소 충격적이었다. 레전드의 오버롤을 112로 설정하는 의견이 제일 많았으며 이는 Final TOTY의 최대 오버롤이자 밸런스를 해치는 결과. 또한 각 팀의 레전드도 인테르는 호나우두[* 여기도 논란의 여지가 있었다. 역대 인테르 최고의 레전드인 사네티가 5위로 선정 되었기 때문. 하지만 호나우두도 인테르에서 보여주긴 했다는 평가도 있었고 아래의 굴리트의 임팩트가 너무 커서 조금 묻혔다.], AC밀란은 카카, AT마드리드는 토레스, 레알 마드리드는 지단으로 설정되었다. 여기까지는 이해할만한 소지가 있다. 그러나 여기서부터 문제. 첼시의 레전드를 [[루드 굴리트]]로 투표하였으며[* 참고로 굴리트는 첼시에서 인상 깊은 모습을 보여준 적은 FA컵을 감독으로써 들어올린 것 밖에 없다고 볼 수 있다. 단지 넥슨 피파 모바일에서 적폐라 잼민이들이 투표한 것.] 토트넘의 레전드는 [[솔 캠벨]]로 선정된것.[* 솔 캠벨은 '''토트넘 성골 유스 출신으로 주장으로 뛰다가 FA로 이적료도 없이 라이벌 팀인 아스날로 이적해 아스날의 무패우승을 이끈 전설의 멤버가 된 토트넘의 역대급 배신자로 불리우는 선수'''이다.~~[[로빈 반 페르시|반통수]]도 이적료는 받았는데~~ 누가 봐도 어그로성 투표.] 그러나 넥슨은 캠벨을 취소하고 토트넘 레전드 2위로 투표된 [[게리 리네커]][* 사실 많은 사람들이 이미 토트넘은 리네커로 확정시 하는 분위기였다.]로 선정하였고 이후에 다른 팀에서 2위인 선수들을 모두 스페셜 찬스로 내겠다는 공지를 내렸다. 한마디로 말하자면 예전에는 넥슨이 똥 싸고 유저들이 치웠지만, 이번 이벤트만큼은 유저들이 똥 싼 것을 넥슨이 치운 셈. 현역 선수의 오버롤은 101 ~ 108 정도이고, 미페는 OVR 103 선수부터 적용되었다. [*개편 2022년 11월 17일 자 패치로 아이콘 선수를 제외한 모든 선수들의 거래가 불가해졌다.] == Top Of Europe 21(TOE21) == Top Of Europe 클래스로 유로2021 본선에 진출한 국가의 선수들로 이루어진 클래스다. 현역 선수들의 오버롤은 100 ~ 109이며, 미페는 OVR 102부터 적용되었다. 주요 재화로는 스킬 게임과 보상, 미션 등으로 얻을 수 있는 TOE 토큰과 상점 혹은 챕터 2에서 스쿼드 완성 보상으로 얻을 수 있는 TOE 레전드 토큰이 있다. TOE 토큰은 챕터 1에서 현역 선수를 획득할 때 쓰이고 TOE 레전드 토큰은 챕터 3에서 OVR 110 TOE 레전드 선수들을 얻을 때 쓰였다. 챕터 2에서 스쿼드를 완성하면 TOE 레전드 토큰과 해당 나라 국기 로고를 보상으로 지급했다. 오버롤이 109가 넘지 않았던 프라임 아이콘들이 이번에 OVR 110으로 나왔다는 점에서 유저들의 호응을 얻었다. 그러나 무과금 유저들이 얻기에는 하늘의 별 따기라 조금 아쉽다는 반응도 많았다. [*개편 2022년 11월 17일 자 패치로 아이콘 선수를 제외한 모든 선수들의 거래가 불가해졌다.] == Fantastic Duo 21(FD21) == '''출시일 : 2021년 8월 12일''' 말 그대로 과거부터 현재까지 클럽 또는 국대에서 환상의 호흡을 맞추었던 선수들이 출시되었다. 과거 선수들은 레전드 선수(ICON)로, 현역 선수들은 Fantastic Duo 21 카드로 출시되었다. 환상의 듀오 한 짝을 실버 토큰으로 교환하면 오버롤에 따라 골드 토큰을 주었다. 골드 토큰 35개로 레전드 선수 5진으로 교환할 수 있었다. 스페셜 찬스에서도 일정 기간마다 특정 레전드 선수 2명을 출시했다. [*개편 2022년 11월 17일 자 패치로 아이콘 선수를 제외한 모든 선수들의 거래가 불가해졌다.] || [[파일:D4F6B362-977A-4626-B07A-B2BF27613939.jpg]] || || 카드 예시 || || [[파일:CE0AC652-6627-4BCD-85CF-6DA821D053D9.jpg]] || || 클라위베르트 10진 || == Autumm MVP == '''출시일 : 2021년 9월 9일''' 역대 유럽 5대 리그에서 9월/10월/11월에 MVP로 선정된 선수들로 구성된 클래스다. 스킬 부스트도 얻기 힘들고 성능도 좋지 않아 버림받은 클래스다. 그리고 거래도 불가능하여 더더욱 돈 주고 뽑을 이유가 없는 카드다. 그런데 가끔은 무과금 유저들이나 복귀 유저들에게 뿌려줘서 쓰고 있는 유저들도 많다. || [[파일:C7E9C708-BEAF-4104-B470-338D23536C68.jpg]] || || 카드 배경 || == 월드 투어 World Tour 21(WT21) == '''출시일 : 2021년 9월 28일''' 9월에 출시한 World Tour 21 클래스다. [[유로 2020]] 8강 및 [[코파 아메리카 2021]] 4강에 진출한 선수들이 출시되었다. 잉글랜드, 이탈리아, 브라질, 아르헨티나 순으로 BEST 11 선수가 나왔다. BEST 11 선수를 다 얻으면 WT21 아이콘 토큰과 그 나라의 레전드 선수를 얻었다. 스페셜 찬스로도 특정 레전드 선수 1명을 출시했다. [*개편 2022년 11월 17일 자 패치로 아이콘 선수를 제외한 모든 선수들의 거래가 불가해졌다.] || [[파일:2DA5EA90-987D-4F7A-95DE-6ECF41DD01E1.jpg]] || [[파일:87EFAEE7-8EAE-47A4-AC68-154A13042A25.jpg]] || || 펠레 || 해리 케인 || == New Generation 22, 23(NG22, 23) == 진화 재료. 오버롤은 110 ~ 126이다. * NG22 선수 리스트 110 : 네코 윌리엄스 111 : H. 앨리엇 112 : 키야나 후버르 113 : C. 졸리스 114 : D. 트라오레 115 : 파비오 실바 116 : S. 무뇨스 117 : 커티스 존스 118 : C. 서머빌 * NG23 선수 리스트 110 : 개빈 바주누 111 : 마이클 올리스 112 : 조지프 겔하트 113 : A. 벨라-코차프 114 : A. 브로야 115 : C. 램지 116 : C. 서머빌 117 : C. 파머 118 : E. 앤더슨 119 : F. 카르발류 120 : F. 펠리스트리 121 : H. 엘리엇 122 : M. 로저스 123 : M. 카이세도 124 : N. 페터슨 125 : 리브라멘토 126 : 추쿠에메카 FUTURE STAR 클래스와 같은 진화 재료 FUTURE STAR의 라이센스 만료로 나온 새로운 진화 재료다. FC모바일로 개편된 2023년 10월 기준, 파워 인플레이션 때문에 쿠폰에서조차 110~111 선수는 풀지 않는 수준이고, 114까지도 예전에 비해 가치가 떨어졌으며, 120짜리 펠리스트리까지도 무과금에게 이벤트를 통해 빈번하게 풀린다. 언뜻 보면 오버롤이 높아 좋아보일 수 있지만 능력치는 '''상당히 처참하다.''' 어느 수준이냐면 그냥 오버롤이 80쯤인 선수들이 '''더 좋을 정도'''다. 심지어 OVR 113 선수 기준으로 수비력이 '''39'''다.[* 이는 어느 정도냐면 거의 오버롤이 60 ~ 70정도 되는 선수들 능력치다.] 체력도 좋지 않고 앞서 말한 듯 능력치도 매우 처참해 잠시 교체로 기용되거나 초보자들이 쓰는 카드다. 그러나 애초에 진화 재료로 쓰라고 내놓은 카드이기 때문에 쓸 일은 거의 없다. ---이미 얻자마자 진화 재료로 썼기 때문--- 그런데 어떤 유저들은 오버롤이 높답시고 그냥 스타트 11에다 박아버리거나 도배까지도 해버린다. 아카데미 초급 과정에서 미션을 완료하면 OVR 113 ~ 116 사이의 선수를 랜덤으로 1명 뽑을 수 있다. == Spring MVP == '''출시일 : 2022년 3월 3일''' 아이콘과 비슷하게 출시한 클래스며 이적 시장은 거래가 불가하다. 반페르시, 칸토나, 드록바, 램파드, 프티, 체흐 등이 있으며 상점에서 FV로 구입하거나 2주년 스페셜 이벤트에서 선수 한 명을 무작위로 뽑을 수 있었다. 스탯은 좋으나 스킬 부스트를 얻으려면 FV로 교환을 해야 해서 사람들에게 잊혀진 클래스다. 이적 시장도 거래 불가여서 더더욱 뽑을 가치가 없다. --그래서 진화 재료나 특훈 재료로 쓰인다. == FUTURE STAR 22 (FS22) == 2022년을 기준으로 어린 나이에도 불구하고 뛰어난 활약을 보여준 선수들을 출시한 클래스다. 오버롤은 112 ~ 115이다. 오버롤은 높고 스탯도 준수하나 저오버롤 고진화 메타 때문에 라크루아, 다카 등을 제외하고는 기존 FUTURE STAR 클래스처럼 진화 재료가 되어버렸다. == NICE ONE SONNY 22 (NOS22) == [[파일:69F2E63C-8994-421A-80E8-16E0EE257DE6.png]] '''1차 업데이트 : 2022년 5월 6일''' '''2차 업데이트 : 2022년 6월 2일''' 21-22시즌 프리미어리그에서 득점왕을 차지한 [[손흥민]]을 위하여 출시한 클래스고 6월 22일까지 상점에서 수령을 할 수 있었다. 오버롤은 114다. 스탯이 21UTOTS 호날두와 22TOTY-N 손흥민을 압살해버리면서 개인기와 세레머니까지 좋게 나오면서 LW 매물들이 많이 나오게 되었다. 그리고 나중에는 [[토트넘 홋스퍼 FC|토트넘]]에서 좋은 활약을 보여준 선수들도 출시했다. 그리고 손흥민은 총 두 번 주게 되는데 한 번은 무료고, 다른 한 개는 쿠폰으로 주었었다. 여담으로 손흥민을 교환할 수 있는 패키지가 있었다. 2023년 4월 경 손흥민의 '''통산 100골'''[* 아시아 최초 기록]을 기념하며 한 번 더 쿠폰을 통해 지급하였다. == Retro Summer 22 (RS22)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8DB7VzDCdPg)]}}} || ||[[파일:155BC917-2914-4D8C-9BF3-1D1AEEF5FE94.jpg |width=100%]]|| || {{{#!folding [ 선수 명단 펼치기 ] [[파일:14C52078-C051-4A79-BA34-52EF179959E5.jpg|width=100%]] }}} || '''출시일 : 2022년 8월 18일''' Retro Summer 22 클래스로 116 ~ 117 ICON 선수와 111 ~ 116 LIVE 선수들이 나왔다. 하지만 성능이 별로 좋지 않은 카드가 많아서 [[호나우지뉴]], [[하키미]], [[도허티]]를 제외한 나머지 카드들은 대부분 성능이 별로다. 그러니 이 선수들 외 쓰지 않는 것을 권장한다. == LEGENDARY NUMBER 22 == ||[[파일:1E9D8963-CF05-412C-8E54-C75EBC6DDBA0.jpg |width=100%]]|| || {{{#!folding [ 선수 명단 펼치기 ] [[파일:F9F6518D-87BD-4A11-9EC3-B3BDA9EBB042.jpg|width=100%]] }}} || '''출시일 : 2022년 9월 8일''' 2022년 9월에 출시한 LEGENDARY NUMBER 22 클래스. '''115 ~ 117''' 짜리 선수가 있다. (대표적으론 [[셰우첸코]], [[히바우두]] 등등이 있다.) 특히 셰우첸코는 오버롤 117에서 가장 비싼 가격을 유지하고 있다. == REMEMBER 2002 (RE02) == ||[[파일:57CFA1C1-2E89-4F82-9371-18FBD77B1FC9.jpg |width=100%]]|| || {{{#!folding [ 선수 명단 펼치기 ] [[파일:1E9C1254-9802-4949-BEC2-E311346193FB.jpg|width=100%]] }}} || '''출시일 : 2022년 10월 6일''' REMEMBER 2002 클래스로 당시의 대한민국 선수들과 대한민국을 대적했던 나라들의 선수가 출시되었다. 한국 팀은 금색 배경이고, 그 외 국적 선수는 다이아몬드 배경이다. 참고로 2002 숫자가 90도씩 시계 반대 방향으로 돌아간다. 오버롤은 '''115 ~ 118'''로 나왔다. 여담으로 유튜버 [[돌잼]]의 오지환은 RE02 클래스 2002 한국 단일을 맞춰 쓰고 있다. ~~역시 국뽕~~ == TOP TRANSFER 22 (TT22) == ||[[파일:1D15F414-502C-45C5-883A-57A927ACB2F3.jpg|width=100%]]|| || {{{#!folding [ 선수 명단 펼치기 ] [[파일:ACD87235-735A-49F0-887E-5931ACFC0FE6.png|width=100%]] }}} || '''출시일 : 2022년 9월 29일''' 여름 이적 시장에서 [[프리미어리그|유럽]] [[라리가|5]][[분데스리가|대]][[리그1|리]][[세리에 A|그]]로 이적 간 선수들로 구성되어있다. 대표적인 출시 된 선수는 [[엘링 홀란드|홀란]], [[히샤를리송]], [[차범근|차범근]], [[김민재|김민재]], [[안토니오 뤼디거|뤼디거]], [[누녜스]]와 같은 선수들이 있다. 2023년 8월 기준 당연히 현역은 아니며, 중과금 유저들에게는 116 [[홀란]], 117 [[네마냐 비디치]]정도가 기용할 만한 선수다. [[가레스 베일]]이 은퇴하면서 피파 모바일에서 없어졌다.[* 정확히는 생성제한 및 거래제한] == 월드컵 2022 WORLD CUP 2022 (WC22) ==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를 기념해 나온 클래스다.[* 여담으로 WORLD CUP 2022 클래스가 출시한 이후로부터 FC 모바일 유입이 많아지게 되었다.] 카타르 월드컵 본선에 진출한 국가에 소속된 선수들로 되어있다. '''Star 선수, Headline 선수, Rising Star 선수, Base 선수, Best선수, WC22-NONE선수[* 월드컵 본선 진출을 하지 못한 팀의 선수를 수록한 클래스로 WC22와는 별개로 구분되어 있다.]'''로 구분이 되어 있고 Rising Star와 Base 카드는 실제 선수의 활약에 따라 추가적으로 능력치가 올라간다. 월드컵 Base 선수들은 최소 OVR 100부터 115(리오넬 메시)까지 매우 다양하지만 그 중 [[반데이크]], [[바란]], [[칸셀루]], [[테오]] 등은 실사용이 가능할 정도로 스탯이 좋다. FC 모바일 최초로 아이콘 선수들의 최고 OVR이 118을 넘어 '''120'''이다. 대표적으로 [[호나우두|호나우두]], [[가린샤|가린샤]] 등이 120, [[호나우지뉴|호나우지뉴]] 등이 119, [[박지성|박지성]] 등이 118 아이콘이다. ICON 선수들 중에는 호나우두, 지네딘 지단(이상 120),호나우지뉴, 마르셀 드사이, 잠브로타, 아우베르투, 티에리 앙리, 비에이라(이상 119), 로랑 블랑, 네마냐 비디치(이상 118) 정도가 현역 및 준현역 선수이다. 월드컵 Best는 애매한 출시 시점 때문에 기용률이 그리 높진 않지만 에밀리아노 마르티네스만은 단숨에 골키퍼 0티어 자리에 올라섰다. Star, Rising Star의 경우 음바페, 마네, 호날두, 반데이크(이상 118), 바란, 디아스, 칸셀루, 테오(이상 117) 정도가 좋다. || [[파일:E13CCFD4-DF68-41A4-A3B2-3DCEBD493250.jpg]] || [[파일:1709EF3C-28AF-4209-8E19-EB5C81B8AEBD.jpg]] || || 호나우두 || 호나우지뉴 || || [[파일:9B4DAEF8-ADB0-4D31-A233-AA167749FB31.jpg]] || [[파일:B93E8811-3036-4381-BFAA-032F7D8FC821.jpg]] || || Headline 선수 || 월드컵 BEST 11 선수 || == IF23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RwAQ-u9qRlI)]}}}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F23.png|width=100%]]}}} || {{{#f057c0 '''출'''}}}{{{#73f4a8 '''시'''}}} || [[2023년]] [[3월 30일]] || || {{{#f057c0 '''최고 O'''}}}{{{#afa7b3 '''V'''}}}{{{#73f4a8 '''R 선수'''}}} || {{{+5 '''121'''}}}[br]사뮈엘 에토, A. 셰우첸코, 데이비드 베컴, A. 피를로, J. 사네티, 파울로 말디니, F. 레이카르트 || || {{{#f057c0 '''최저 O'''}}}{{{#afa7b3 '''V'''}}}{{{#73f4a8 '''R 선수'''}}} || {{{+5 '''115'''}}}[br]김병지, 루드 굴리트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55deg, #f057c0, #73f4a8)" {{{#fff {{{#!folding [ 선수 명단 펼치기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F23 내용.png|width=100%]] }}}}}}}}}}}} || 만우절 기념으로 [[FIFA 시리즈]]와 [[FIFA 축구]]에 존재하는 Shapeshifters 프로모션에서 이름을 바꿔서 출시한 클래스이다. 무려 '''[[김병지]]가 RW가 되고, [[루드 굴리트]]가 CB이 되었다.''' 그리고 [[박항서]] 감독이 CAM으로 출시되었다. 이 외에도 다른 선수들이 포지션이 변경되어 출시되었다. 실사용이 가능한 선수는 121 [[셰우첸코]](LW), 121 [[베컴]](CAM), 120 [[에마뉘엘 프티]](LB) 정도다. == FEARLESS23 (FLS23)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earless23 표지.png|width=100%]]}}} || {{{#fff '''출시'''}}} || [[2023년]] [[5월 11일]] || || {{{#fff '''최고 OVR 선수'''}}} || {{{+5 '''121'''}}}[br]차범근, 로빈 반페르시, 파벨 네드베드 || || {{{#fff '''최저 OVR 선수'''}}} || {{{+5 '''115'''}}}[br]데이비드 베컴, 차범근 || ||<-3> {{{#fff {{{#!folding [ 프로그램 설명 펼치기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earless23 메인.png|width=100%]] }}}}}}}}} || ||<-3> {{{#fff {{{#!folding [ 선수 명단 펼치기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earless23 선수, 리스트내용.png|width=100%]] }}}}}}}}} || >'''5/11(목) 점검 시 Fearless23 클래스가 출시됩니다.[br][br]매년 5월은 유럽의 리그들이 종료되고, 다음 시즌에 새로 합류할 선수들이 기대되는 시기인데요! 팀에 새로 합류했음에도 긴장감과 두려움을 떨쳐내고 멋진 활약을 보여주었던 선수들이 출시됩니다.[br]우수한 활약을 통해 합류 시즌 소속 리그 혹은 챔피언스 리그, 유로파 리그에서 팀의 우승에 기여한 Fearless23 선수들을 만나보세요~!''' 새로운 팀에 합류해 두려움을 떨쳐내고 팀 우승에 기여한 선수들로 만들었다. [[즐라탄]]이 2023년 6월 4일 은퇴를 선언하면서 Fearless23 즐라탄은 그의 선수 시절 마지막 카드가 되었다.[* 즐라탄의 활약을 생각해볼 때 나중에 ICON으로 출시될 확률이 높은 편이다.] == Hall Of Legends 23 (HOL23)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34A1108A-32A2-4B4F-ABCF-4502E3E13FD6.jpg|width=100%]]}}} || {{{#eebf58 '''출시'''}}} || [[2023년]] [[8월 10일]] || || {{{#eebf58 '''최고 OVR 선수'''}}} || {{{+5 '''124'''}}}[br]요한 크루이프, 파올로 말디니, 게르트 뮐러|| || {{{#eebf58 '''최저 OVR 선수'''}}} || {{{+5 '''115'''}}}[br]S. 프레디헤르, F. 아르마니, 시몽 미뇰레, 애덤 랄라나, 안드레이 지로투, 와흐비 카즈리, P. 헤어만, 마우로 사라테, 다니엘 초파니, 알빈 에크달, N. 회플러 || ||<-3> {{{#eebf58 {{{#!folding [ 프로그램 설명 펼치기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HOL23 메인.png|width=100%]] }}}}}}}}} || ||<-3> {{{#eebf58 {{{#!folding [ 선수 명단 펼치기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7C3DA65-41D3-4A03-8955-E3F46B9EBF40.jpg|width=100%]] }}}}}}}}} || >'''한 클럽에 10년 이상 활약하며 클럽의 전설이 된 29명의 ICON 선수들과''' >'''현재 현역 선수로서 활약을 이어가며 리빙 레전드에 도전하는 43명의 LIVE 선수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FIFA 축구]]에 '''전설의 전당''' 이라는 이름으로 선출시했으며, 한 클럽에서 10년 이상 활약하며 클럽의 전설이 된 29명의 ICON 선수들과, 현재 현역 선수로 활약을 이어가며 리빙 레전드에 도전하는 43명의 LIVE 선수들로 구성되어 있는 클래스다. 이벤트 참여 시 '''120 아이콘 거래 불가 선수를 무료로''' 획득이 가능해 무과금이 참여할 만한 이벤트로 출시되었다. 참고로 이 클래스는 [[FIFA 축구|글로벌 피파모바일]]에 출시한 적이 있다.[* 글로벌 피파 모바일에서는 ICON [[호나우두]]와 [[드로그바]]가 출시되었지만 넥슨 피파 모바일에는 출시하지 않았다. 드로그바는 몰라도 호나우두는 벨런스를 고려한듯하다. 이미 월돈이 OP카드지만 더 좋은 성능의 호돈이 등장하면 게임이 벨붕이 될것이라는것. 하지만 MVP시즌 이후 추가 시즌이 없어 많은 사람들이 원하는 드로그바는 대체 왜 출시하지 않았는지 불명] 그리고 [[피온4|옆동네]]에는 출시했지만 피파 모바일에는 출시하지 않았던 [[레들리 킹]]이 드디어 ICON 선수로 출시되어 [[토트넘 홋스퍼|토트넘]] 단일 유저들이 많이 사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한동안 출시하지 않았던 [[레프 야신]][* 마지막 시즌이 2021년 11월 National ICON. 여담이지만 글피모에는 한국에는 출시하지 않은 '''23TOTY ICON'''으로 출시했다.]도 이번 시즌으로 나오게 된다. == Founders 24 (FC24) == === 1차 업데이트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C24 표지.png|width=100%]]}}} || {{{#0af46a '''출시 (1차)'''}}} || [[2023년]] [[8월 31일]] || || {{{#0af46a '''최고 OVR 선수'''}}} || {{{+5 '''125'''}}}[br][[스티븐 제라드]], [[하비에르 사네티|J. 사네티]] || || {{{#0af46a '''최저 OVR 선수'''}}} || {{{+5 '''114'''}}}[br] P. 음판주 외 18명[* M. 비티, C. 볼파토, G. 라파둘라, R. 드러구신, M. 나브로츠키, 딜런 레빗, 샘 서리지, M. 케이, 라티프 블레싱, 드니 부앙가, L. 아코스타, 자시 자데스, S. 아스카시바르, 루카스 얀손, L. 곤도, M. 로메로, 제이슨 커밍스, 조나탄] || ||<-3> {{{#0af46a {{{#!folding [ 프로그램 설명 펼치기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C24 메인.png|width=100%]] }}}}}}}}} || ||<-3> {{{#0af46a {{{#!folding [ 선수 명단 펼치기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ounders23선수리스트.png |width=100%]] }}}}}}}}} || >'''8/31 (목) 점검 시 Founders 24 클래스가 출시됩니다.''' > >'''Founders 24 클래스는 2번의 업데이트를 통해 출시되어''' >'''FC MOBILE로 변경되어도 각국 리그의 선수들을 계속해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현재 여러 리그에서 활약하고 있는 LIVE 선수와 각 리그에서 뛴 경험이 있는 ICON 선수로 구성된 클래스로''' >'''1차 - 8/31 (목): EPL, La Liga, Serie A, MLS 등 8개의 리그를 먼저 만나보실 수 있으며,''' >'''2차 - 9/22 (목): Bundesliga, Ligue 1, Eredivisie, K LEAGUE 등 나머지 16개의 리그 업데이트와 함께''' >'''1차 출시 리그 중 일부 선수도 새롭게 추가될 예정입니다.''' > >'''2차 업데이트는 추후 별도 코치노트를 통해 안내해 드릴 예정이며,''' >'''1차 업데이트에 대한 프로그램 상세 내용과 선수 리스트는 아래 내용을 참고해 주세요!''' 신기하게도 이번 클래스는 [[2023년]]임에도 불구하고 Founders '''24'''라는 명칭을 달고 출시되었다.[*FC24,RB24 그 이유는 아마 EA 스포츠에서 운영하는 시즌인 [[FC24]]를 대비하여 그렇게 지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왜인지는 모르지만 아마 23/'''24'''시즌이 시작되어 [[24]]를 강조하고 싶어 그런게 아닌가 싶다. 9월 7일 자로 미니 페이스온 업데이트가 되었는데, 벨링엄, 손흥민 등이 대갈미페에서 액션미페로 변경되었다. 이 클래스는 트래핑의 신 이벤트로 선수가 많이 풀렸다. 1차 업데이트에서는 ICON, [[프리미어 리그]], [[라리가]], [[세리에 A]], [[메이저 리그 사커]], [[프리메이라 리가|프리메이라 리가 (리가 포르투갈)]], [[스코티시 프리미어십]], [[리가 프로페시오날]]이 추가되었고, 2차 업데이트를 통해 [[분데스리가]], [[리그 1]], [[에레디비시]], [[K리그1]] 등의 선수들이 출시될 예정이다. === 2차 업데이트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06CF55A9-E4BC-44C4-B545-62F2C0ACC3F2.jpg|width=100%]]}}} || {{{#0af46a '''출시 (2차)'''}}} || [[2023년]] [[9월 22일]] || || {{{#0af46a '''최고 OVR 선수'''}}} || {{{+5 '''125'''}}}[br][[로타어 마테우스|L. 마테우스]], [[디디에 드록바|D. 드로그바]], [[마르코 반 바스텐|M. 반바스텐]] || || {{{#0af46a '''최저 OVR 선수'''}}} || {{{+5 '''114'''}}}[br] || ||<-3> {{{#0af46a {{{#!folding [ 프로그램 설명 펼치기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37611BE-FF5C-4ADD-87DF-8F9FD4001BEF.jpg|width=100%]] }}}}}}}}} || ||<-3> {{{#0af46a {{{#!folding [ 선수 명단 펼치기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0A7F8D80-E228-4F43-BC57-9733A79DE232.jpg|width=100%]] }}}}}}}}} || '''출시일: 2023년 9월 22일''' FC 모바일이 출시되면서 카드 디자인이 크게 바뀌었다. OVR 폰트가 변경되었고, 색감이 어두운 톤에서 밝은 톤으로, 국기와 로고가 선수 이름 밑으로 내려오게 되었다. 상당히 호불호가 갈린다. 좀더 깔끔해져서 좋다는 평과 디자인이 상당히 별로라는 평이 있다. == Rivals24 (RVS24)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VS처음.png|width=100%]]}}} || {{{#fcfbfb '''출시'''}}} || [[2023년]] [[11월 30일]] || || {{{#fcfbfb '''최고 OVR 선수'''}}} || {{{+5 '''126'''}}}[br] [[파비오 칸나바로|F. 칸나바로]], [[카카]] || || {{{#fcfbfb '''최저 OVR 선수'''}}} || {{{+5 '''117'''}}}[br] || ||<-3> {{{#fcfbfb {{{#!folding [ 프로그램 설명 펼치기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무제178_20231222005718.pn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무제178_20231222005809.png|width=100%]] }}}}}}}}}}}} || ||<-3> {{{#fcfbfb {{{#!folding [ 선수 명단 펼치기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VS메인.pn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VS메인인.png|width=100%]] }}}}}}}}}}}} || '''출시일: 2023년 11월 30일''' == Rule Breaker 24 (RK24)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무제172_20231221195503.png|width=100%]]}}} || {{{#ffffff '''출'''}}}{{{#b7f3ff '''시'''}}} || [[2023년]] [[12월 21일]] || || {{{#ffffff '''최고 OV'''}}}{{{#b7f3ff '''R 선수'''}}} || {{{+5 '''125'''}}}[br][[히바우두]] || || {{{#ffffff '''최저 O'''}}}{{{#b7f3ff '''VR 선수'''}}} || {{{+5 '''118'''}}}[br] A. 리카제트, 엑토르 베예린, 데울로페우, 디오구 레이트, 단테, 요안 위사, J. 스캘리, E. 아빌라, R. 오르솔리니 || ||<-3> {{{#ffffff {{{#!folding [ 프로그램 설명 펼치기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무제172_20231221201349.png|width=100%]] }}}}}}}}} || ||<-3> {{{#ffffff {{{#!folding [ 선수 명단 펼치기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무제174_20231221203628.png|width=100%]] }}}}}}}}} || '''출시일: 2023년 12월 21일''' 현실 축구에서 선수 능력을 기반으로 출시되었던 기존의 규칙을 벗어난 ICON 선수 3명과 LIVE 선수 45명으로 구성되어 있는 클래스다. 별 모양 카드가 오랜만에 출시되었다. 이벤트 'WORLDCLASON 월클 성장'을 통해 [RK24] [[손흥민]] 110(거래 불가)을 얻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