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현재 진행 중인 FA컵 시즌, rd1=FA컵(잉글랜드)/2023-24 시즌)] [include(틀:잉글랜드의 주요 축구 대회)] ||<-2> '''{{{+2 {{{#ffffff Emirates FA Cup}}}}}}''' || ||<-2> [br][[파일:emirates-fa-cup-2020-logo.png|width=200]] || || '''{{{#ffffff 정식 명칭}}}''' ||FA컵 || || '''{{{#ffffff 영문 명칭}}}''' ||The FA Cup || || '''{{{#ffffff 창설}}}''' ||[[1871년]] (FA컵) || || '''{{{#ffffff 참가 구단 수}}}''' ||[[축구협회(잉글랜드)|축구협회]]에 등록한 모든 구단 || || '''{{{#ffffff 최근 우승 구단}}}''' ||[[맨체스터 시티 FC|[[파일:맨체스터 시티 FC 로고.svg|width=20]]]] [[맨체스터 시티 FC]] (2022-23) || || '''{{{#ffffff 최다 우승 구단}}}''' ||[[아스날 FC|[[파일:아스날 FC 로고.svg|width=20]]]] [[아스날 FC]] (14회) || || '''{{{#ffffff 타이틀 스폰서}}}''' ||[[에미레이츠 항공|[[파일:Emirates 로고.svg|width=40]]]] || || '''{{{#ffffff 공식 웹 사이트 및 소셜 미디어}}}''' ||[[https://www.thefa.com/competitions/thefacup|[[파일:emirates-facup-horiz-red-109x81-taxi.png|width=50]]]] | [[https://m.facebook.com/EmiratesFACup/|[[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https://twitter.com/EmiratesFACup|[[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20&theme=light]][[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width=20&theme=dark]]]] | [[https://www.instagram.com/emiratesfacup/|[[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youtube.com/user/thefacup|[[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tiktok.com/@emiratesfacup|[[파일:틱톡 아이콘.svg|width=20]]]] || || '''{{{#fff 대한민국 중계}}}''' ||[[SPOTV|[[파일:SPOTV 로고.svg|width=60&theme=light]][[파일:SPOTV 로고 화이트.svg|width=60&theme=black]]]]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YSAuxV-YFf4)]}}} || || {{{#fff '''2022-23 FA컵 공식 인트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footballfigure.co.uk/FACupTrophyReplica150mm.jpg|width=300]]}}} || ---- 1871-72 시즌부터 제정된 대회로, '''현재까지 지구상에서 개최되고 있는 구기 대회 중 가장 오래된 대회이다.''' 잉글랜드 풋볼 리그 및 대부분의 잉글랜드 풋볼 클럽이 생기기 전부터 존재했기에 어지간한 전통을 자랑하는 구단들보다도 더 오래된 역사를 자랑하는 대회라 할 수 있다.[* [[아스톤 빌라 FC]]의 창단 연도가 1874년,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및 [[에버튼 FC]]는 1878년, [[선덜랜드 AFC]] 1879년, [[맨체스터 시티 FC]] 1880년, [[뉴캐슬 유나이티드 FC]] 1881년, [[토트넘 홋스퍼 FC]] 1882년, [[아스날 FC]] 1886년, [[리버풀 FC]] 1892년 정도이며, 그나마 [[스토크 시티 FC]](1863년) 같이 정말 몇 안 되는 팀이 이 대회 역사를 넘어선 수준이다.] 그래서 다른 FA컵과 달리 The FA Cup이라고 불린다. 현재 잉글랜드 축구 협회에 속한 모든 클럽팀들 즉, 최상위 리그인 프리미어 리그에서부터 아마추어 레벨인 10부 리그[* 지역 리그라 10부 리그 수준의 여러 리그들이 있다.]에 소속된 일부 팀들까지 참가하고 있으며[* 2017-18 시즌에는 338개 클럽들 중 77개 클럽만 참가.], 유럽 축구의 일반적인 시즌제인 연년제(추춘제)가 시작되는 동시에 협회가 FA컵 대진표를 발표한다.[* 9부, 10부 리그에 해당하는 팀들은 FA 베이스(FA Vase)라는 컵 대회도 따로 치르고 있다.] 발표되는 순간부터 지역 각지는 대회 열기로 들썩이며, 결승전이 열리는 [[웸블리 스타디움]]에 도달하기까지 수많은 팀들이 치열한 경쟁을 벌인다. 웸블리 스타디움이 꿈의 구장으로 불리는 이유가 이 때문. 1923년부터 2000년까지 77년간 결승전은 항상 꿈의 구장 [[웸블리 스타디움]]에서 열렸다. 2001년 웸블리 스타디움 보수 공사로 인해 6년간은 웨일스의 [[프린시팔리티 스타디움]]에서 열렸고 2006-07 시즌에 다시 웸블리로 리턴. 1926-27시즌 결승전부터는 경기 시작 15분 전 'Abide with Me'(때 저물어서 날이 어두니, 찬송가 481장)을 부르기 시작했다. 당시 잉글랜드 축구협회(The FA) 사무 총장이었던 알프레드 월 경이 킥오프 전 해당 찬송가를 부르자고 제안했고 당시 국왕 조지 5세와 메리 왕비가 이를 승인해 지금까지의 전통으로 자리 잡았다. 참고로 Abide with me는 조지 5세와 메리 왕비가 가장 즐겨 불렀던 찬송가였다. 90분 동안 승부가 나지 않을 경우 연장전이나 [[승부차기]] 없이 상대 클럽의 홈에서 재경기를 통해 승자를 가리는 고전적 대회 운영을 채택하고 있는 대회이기도 하다. 90년대 이전까지는 재재경기, 재재재경기까지도 치러졌지만 현재는 재경기에서 무승부가 났을 경우 연장전과 승부차기를 허용한다. 2017-18 시즌까지는 8강까지 재경기가 허용됐지만, 2018-19 시즌부터는 32강까지 재경기가 허용되고 16강부터는 90분간 승부가 나지 않는 경우 연장전과 승부차기로 승부가 결정나게 된다. 준결승과 결승전은 중립 구장에서 단판 승부로 펼쳐지지만 1990년대까지는 역시 승부가 안 났을 경우 재경기를 거쳐야 했다. 이러한 대회 방식 때문에 [[풀럼 FC]]는 1975년에 6라운드 동안 12경기나 뛰며 온갖 고생 끝에 결승에 진출했지만, [[웨스트 햄 유나이티드 FC|웨스트 햄 유나이티드]]에게 패배하며 준우승에 머무르는 비극을 맛보기도 했다. FA컵 우승팀은 보상으로 상금 및 [[UEFA 유로파 리그|유로파 리그]](옛 UEFA 컵) 자동 진출권을 얻게 되는데, 만약 FA컵 우승팀이 이미 [[UEFA 챔피언스 리그|챔피언스 리그]] 진출권을 따냈으면, 그 유로파 리그 진출권은 준우승팀에게 갔었다. 하지만 UEFA의 권고로 2014/15 시즌부터 준우승팀에게 유로파 리그 진출권이 양도되지 않는다.[* 이는 프리미어 리그 외에 다른 리그에도 적용된다.] 우승팀이 챔스를 진출하였으면, 리그에서 6위 혹은 7위에게 진출권이 부여된다. 다만 2009-10 시즌 FA컵 준우승팀인 [[포츠머스 FC|포츠머스]]는 재정이 열악한 나머지 UEFA 측에서 출전 금지 처분을 내려 라이센스를 못 따내면서 유로파 리그에 출전하지 못하게 된 경우가 있었다.[* 이 사례 때문에 강등당하면 유럽 대항전에 나가지 못하는 줄로 착각하는 사람들이 있었다. 하지만 [[버밍엄 시티 FC|버밍엄 시티]]와 [[위건 애슬레틱 FC|위건]]은 강등당하고도 유로파 리그에 나갔다.] 더불어 시즌 시작 직전 펼쳐지는 [[FA 커뮤니티 실드]]에서 전 시즌 프리미어 리그 우승팀과 맞붙어 자웅을 가릴 기회가 주어진다. 권위 있는 모든 축구 대회 중 가장 오래된 대회라는 점과 한동안 챔피언스 리그에 나가지 않고 본인들의 축구가 최고라고 믿었던 잉글랜드의 성향이 맞물려서 타 리그의 비슷한 느낌의 컵대회보다 위상이나 명예가 반 티어 정도 높은 편이다. 다른 빅리그들과 달리 FA컵의 완벽한 하위호환 대회인 [[EFL 컵]]이 존재하다 보니 더욱 그런 면도 있는 듯. 이는 잉글랜드만의 자부심뿐만은 아니고 대부분의 축구팬들도 FA컵을 타리그의 컵대회보다 좀 더 인정해주는 편인데, 잉글랜드 축구가 [[세리에 A]] 혹은 [[라리가]] 등에 밀려 리그 순위가 선두가 아니였을때에도 가장 흥미진진한 경쟁구도를 보였던 점도 기인하는 편이다. 즉, 올해도 저 팀이 당연히 우승하겠지리는 공식[* 분데스리가의 [[바이에른 뮌헨]], 세리에 A의 유벤투스, 리그앙의 [[파리 생제르맹 FC|파리 셍제르망]]이나 라리가의 양강구도만 보아도 타 리그는 특정 팀의 독식하는 기간이 존재했지만, PL은 퍼거슨이 집권하던 당시조차도 맨유가 당연히 우승한다고 장담할 수 있던 시즌은 없었다.]없이 매 시즌이 치열하게 흘러갔기 때문에 그만큼 더 FA컵이 빛나보이는 것이다. 선수 개인에게는 상위 리그의 스카우터들에게 자신의 이름을 알릴 수 있는 기회가 되기도 한다. 이 때문에 특히나 하부 리그 구단 및 소속 선수들에게 여러모로 중요한 대회라 할 수 있다. 그만큼 FA컵 경기에 나서는 하부 리그 선수들의 투지는 상상을 초월한다. 정말로 이 악물고 뛴다. 물론 수준이 훨씬 떨어져도 [[EFL 컵]] 경기에서도 하위리그 선수들은 여전히 필사적이다. 여기서도 활약하면 상위리그 스카웃 기회가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역사도 깊고 볼거리도 많으니 인기도가 상당했던지라 과거에는 영국 내에서 위상이 대단했던 시절도 있었다. 대외 경기인 [[UEFA 챔피언스 리그]]보다 FA컵을 훨씬 더 가치있고 높게 여기는 영국인들이 많았다. 1955년 챔피언스 리그 전신인 유러피언컵이 생길 당시 영국에서 반응은 '듣보잡 대회에 뭐하러 나가?'였다. 이는 [[축구협회(잉글랜드)|FA]]도 마찬가지라서 자국 팀에 아예 나가지 말라는 권고까지 했었다.[* 그 팀이 바로 [[첼시 FC]]였고, 이후 40여 년이 지나서야 UEFA 챔피언스 리그에 첫 진출하게 된다.] 경우는 약간 다르지만 한 예로, 잉글랜드가 [[FIFA 월드컵]]이 생긴 이후 비교적 뒤늦게 1950월드컵에 첫 진출을 했었던 이유가 그 당시 자국 FA컵보다 위상이 떨어졌기 때문이라는 일화도 있다. '프로/아마추어 최강자를 가리는 대회'라는 상당히 큰 의미를 가진 대회였지만, 근래 들어 프리미어 리그가 급성장하면서 상대적으로 중요성이 떨어져 버렸다. 특히 1998-99 시즌 [[트레블]]을 달성했던 디펜딩 챔피언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맨체스터 유나이티드]]가 1999-00 시즌에 신설되는 [[FIFA 클럽 월드컵]]에 출전하기 위해 일정이 겹친 FA컵을 기권하면서 FA컵의 권위에 깊은 상처를 남겼다.[* 정작 FA컵을 버리고 출전한 클럽 월드컵에서는 조별리그에서 광탈하면서 맨유는 영국의 모든 축구 팬들에게 쌍욕을 얻어먹어야 했다.] 그래도 자국의 FA컵이 역사 깊은 대회이고 참가하는 팀들의 규모가 현대에 들어 더욱 엄청나졌기 때문에 여전히 현지에서의 인기는 대단하다. 물론 제정 당시만 해도 축구 대회라는 것에 인식이 없어서인지 시행착오가 많았다. 초창기만 해도 [[조정(스포츠)|조정]]이나 [[럭비]] 인지도에 밀려서 무시당하기도 했는데, 교통 환경이 좋지 않아 팀이 기권하는 경우도 있었다. 덕분에 1회 대회 우승팀인 원더러스 FC는 겨우 2경기만 이기고도 부전승으로 우승했을 정도였다.[* 1회전은 해로우 팀이 기권하여 부전승, 2회전은 채프먼 로버스 팀에게 3:1 승, 3회전은 크리스탈 팰리스(현재의 프리미어 리그 소속 크리스탈 팰리스와는 이름만 똑같고 다른 팀이다.) 팀에게 0:0 무승부를 거두었으나 재경기 없이 둘 다 다음 라운드 진출, 준결승은 퀸즈 파크 FC(현재의 QPR과는 다른 팀. 이 팀은 현재 스코틀랜드 4부 리그에 속해 있다.)와 0:0 무승부를 거뒀으나, 퀸즈 파크가 '''재경기를 할 경기장으로 갈 차비가 없어서''' 기권하는 바람에 부전승. 결승에서는 로얄 엔지니어스를 1:0으로 꺾고 우승하였다.][* 현재 이 팀은 14부 리그에 소속 중인데, 중간에 해체되었다가 '''100년 넘게''' 지나고 나서야 재결성되었다.] 게다가 당시에는 전 대회 우승팀은 자동으로 다음 대회 결승에 올랐기에 원더러스는 2회 대회에선 손쉽게 결승에 올라가 2연패를 했다. 그런데, 1872년에 열린 2회 대회 결승전에선 상대팀인 옥스퍼드 대학 선수들이 당시의 최고 인기 종목이었던 조정 경기(라이벌인 케임브리지 대학과의 조정 더비 경기)를 보기 위해 경기 시간을 급하게 변경했고 조정 경기를 빨리 보고자 경기를 대충하여 원더러스가 찜찜한 우승을 거두기도 했다. 그 밖에도 여러 일이 있었는데, 선수들이 부족하면 원하는 관중을 데려와 FA컵에 선수로 출전시키는 일도 여럿 있었다. 지금이라면 어림도 없을 일이지만 리그 자체가 없던 시절엔 이런 일이 꽤 있었다고 한다. 그 시절만 해도 축구는 하류층 노동자들이 주로 하는 대회로 인식되었기에 귀족제에 대한 우대의식이 강하게 남았던 19세기 말 축구는 조정이나 다른 귀족 스포츠에 가려져서 이런 일이 많았다. FA 산하 9부 리그까지의 모든 팀[* 상위 리그의 팀일수록 늦게 첫 경기를 가진다. 모든 프리미어 리그 팀들과 챔피언십 상위 팀들은 1월에 본선 3라운드(64강)에서 첫 경기를 치르지만, 대회 예선은 전년 8월부터 시작한다.]이 격돌하는 [[토너먼트(스포츠)|토너먼트]]이다 보니 강팀이 상대적 약팀에게 덜미를 잡혀 탈락하는 등 이변이 자주 벌어지는 대회라 리그와는 다른 색다른 묘미를 제공하기도 한다. 투지와 정신력으로 무장한 약팀이 강팀을 격파하는 [[자이언트 킬링]]은 FA컵이 매년 보여 주는 미덕이다. 이러한 이변이 자주 발생하는 가장 큰 요인은 바로 '''돈'''. TV 중계권료 등의 안정적인 구단 수입을 벌어들이는 프리미어 리그 소속팀들에 비해 절대적으로 수입이 적은 하부 리그 및 아마추어 참가팀들에게는 FA컵에 참가함으로서 상금은 물론 TV 중계권료, 관중 입장료 등의 막대한 구단 수입을 얻을 수 있다. 특히 관중 입장료 수입을 홈팀이 전부 가져가는 정규 리그와는 달리 FA컵에서는 입장료 수입을 홈·어웨이 팀이 각각 일정 비율로 나눠 가진다. 따라서 하부 리그의 군소팀이 구장 총 수요인원 및 입장료가 어마어마한 빅클럽과의 원정 경기를 배정받았다면 그 팀 입장에서는 이기든 지든 함박웃음을 지을 수밖에 없다. 물론 홈 경기를 배정 받아도 빅클럽과 잡히면 당연히 홈 지역 주민들의 주목도가 올라가 더 많이 찾아오고, 또한 빅클럽과 아마추어 팀 간 경기가 잡히게 되면 당연히 주목도는 더욱더 올라가 비단 입장료 뿐만이 아니라 막대한 중계권료 역시 가져올수 있다. 실제 재정이 매우 열악한 팀이 FA컵 상위 라운드에 진출하여 극적으로 파산을 모면한 사례도 드물지 않다. 돈 1~2억에 팀의 명줄이 오가는 클럽들에게 FA컵은 그야말로 팀의 운명을 좌우할 무대가 되는 셈이다. [* 실제로 2020-21 시즌 도장깨기로 본선 64강까지 올라온 [[마린 AFC]]의 경우 토트넘과의 홈경기를 배정 받아 BBC에서 중계를 해주었으며, FA컵에서의 선전으로 무려 '''향후 10년''' 어치의 운영비를 충당하는데 성공하였다.] 2020년 기준으로 아스날이 14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 기록을 세웠다. 뒤이어 맨유가 12회 우승 기록을 가지고 있다. 아스날과 맨유는 결승에서 1979년과 2005년 2번 만났는데 아스날이 모두 승리했다. 공동 3위는 8번 우승을 한 첼시와 토트넘 핫스퍼, 리버풀이다. 아스날, 맨유, 뉴캐슬이 7번 준우승으로 최다 준우승을 했다. == [[FA컵(잉글랜드)/역대 시즌|역대 시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FA컵(잉글랜드)/역대 시즌)] == 진행 방식 == 4라운드까지는 경기가 무승부로 끝날 경우 원정팀의 홈 구장에서 재경기를 치르고, 해당 경기에서도 비길 경우 연장전과 승부차기를 통해 승자를 결정한다. 4강과 결승은 [[웸블리 스타디움]]에서 치뤄진다. [[FA컵(잉글랜드)/2020-21 시즌|2020-21 시즌]]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로 인해 재경기 없이 즉시 연장전 및 승부차기를 통해 결정하였고, [[FA컵(잉글랜드)/2021-22 시즌|2021-22 시즌]]에는 3라운드부터 재경기 없이 연장전 및 승부차기를 실시하였다. ||<-4> '''{{{+1 {{{#ffffff 일정}}}}}}''' || || '''{{{#ffffff 라운드}}}''' || '''{{{#ffffff 신규 참가팀}}}''' || '''{{{#ffffff 경기 날짜}}}''' || '''{{{#ffffff 경기 수}}}''' || || '''{{{#ffffff 추가 예비 예선 라운드}}}''' || 9부, 10부 || 8월 || 184 || || '''{{{#ffffff 예비 예선 라운드}}}''' || 8부 || 8월 || 160 || || '''{{{#ffffff 예선 1라운드}}}''' || 7부 || 9월 || 116 || || '''{{{#ffffff 예선 2라운드}}}''' || [[내셔널리그 노스|6]][[내셔널리그 사우스|부]] || 9월 || 80 || || '''{{{#ffffff 예선 3라운드}}}''' || 없음 || 10월 || 40 || || '''{{{#ffffff 예선 4라운드}}}''' || [[내셔널리그(잉글랜드)|5부]] || 10월 || 32 || || '''{{{#ffffff 1라운드}}}''' || [[EFL 리그 1|3부]], [[EFL 리그 2|4부]] || 11월 || 40 || || '''{{{#ffffff 2라운드}}}''' || 없음 || 12월 || 20 || || '''{{{#ffffff 3라운드}}}''' || [[프리미어 리그|1부]], [[EFL 챔피언십|2부]] || 1월 || 32 || || '''{{{#ffffff 4라운드}}}''' || 없음 || 1월 || 16 || || '''{{{#ffffff 5라운드}}}''' || 없음 || 2월 || 8 || || '''{{{#ffffff 8강}}}''' || 없음 || 3월 || 4 || || '''{{{#ffffff 4강}}}''' || 없음 || 4월 || 2 || || '''{{{#ffffff 결승}}}''' || 없음 || 5월 || 1 || == 상금 == 상금은 누적되며, 매 시즌 상금은 달라질 수 있다. ||<-3> '''{{{+1 {{{#ffffff 상금[* [[FA컵(잉글랜드)/2021-22 시즌|2021-22 시즌]] 기준]}}}}}}''' || || '''{{{#ffffff 라운드}}}''' || '''{{{#ffffff 승리 상금}}}''' || '''{{{#ffffff 패배 상금}}}''' || || '''{{{#ffffff 추가 예비 예선 라운드}}}''' || £1,125[* 약 183만 원] || £375[* 약 61만 원] || || '''{{{#ffffff 예비 예선 라운드}}}''' || £1,444[* 약 234만 원] || £481[* 약 78만 원] || || '''{{{#ffffff 예선 1라운드}}}''' || £2,250[* 약 366만 원] || £750[* 약 122만 원] || || '''{{{#ffffff 예선 2라운드}}}''' || £3,375[* 약 549만 원] || £1,125[* 약 183만 원] || || '''{{{#ffffff 예선 3라운드}}}''' || £5,625[* 약 915만 원] || £1,875[* 약 305만 원] || || '''{{{#ffffff 예선 4라운드}}}''' || £9,375[* 약 1,525만 원] || £3,125[* 약 508만 원] || || '''{{{#ffffff 1라운드}}}''' || £22,629[* 약 3,682만 원] || 없음 || || '''{{{#ffffff 2라운드}}}''' || £34,000[* 약 5,500만 원] || 없음 || || '''{{{#ffffff 3라운드}}}''' || £82,000[* 약 1억 3300만 원] || 없음 || || '''{{{#ffffff 4라운드}}}''' || £90,000[* 약 1억 4600만 원] || 없음 || || '''{{{#ffffff 5라운드}}}''' || £180,000[* 약 2억 9200만 원] || 없음 || || '''{{{#ffffff 8강}}}''' || £360,000[* 약 5억 8500만 원] || 없음 || || '''{{{#ffffff 4강}}}''' || £900,000[* 약 14억 6400만 원] || £450,000[* 약 7억 3200만 원] || || '''{{{#ffffff 결승}}}''' || £1,800,000[* 약 29억 2900만 원] || £900,000[* 약 14억 6400만 원] || == 트로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arsenalarsenal.files.wordpress.com/original-fa-cup-001.jpg|width=100%]]}}} || || 1871년부터 1910년까지 사용된 우승컵의 디자인[* 첫번째 원본 트로피는 1895년 도난당했으며 같은 디자인의 트로피를 만들어서 1910년까지 썼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0qjQbHfyaSI)]}}} || || 2014년 통산 5번째로 다시 만들어지는 트로피 영상 || 현재 사용되는 우승컵은 5번째로 만들어진 트로피. 현재 디자인으로는 1911년, 1992년 본에 이어 3번째 복제본이다. 트로피를 썼다가 다시 돌려받는 형식이어서 선수들이 기뻐 날뛰는 바람에 망가지기도 한다고 한다. 결승전이 시작되기 전 보수작업을 마치는데, 현재 트로피 보수 작업을 할 수 있는 장인들이 줄어들고 있는 상황. 2014년 기존 우승컵이 너무 찌그러지고 복원비용이 많이 들게되어 새로 만들었다. 크기는 24.2인치로 종전과 같지만 무게를 14파운드로 늘려 내구성을 높였다.[* 디자인은 컵 모양으로 비슷하지만, 크기 면에서 2배이상 크다.] == 역대 스폰서 == [[파일:T9VScNb.png]] * 리틀우즈 (1994/95~1997/98) 공식명칭 : The FA Cup sponsored by Littlewoods [[파일:EdxVhSf.png|width=500]] * [[AXA]] (1998/99~2001/02) 공식명칭 : The AXA-Sponsored FA Cup [[파일:JninfBz.png|width=500]] * e.on (2006/07~2009/10) 공식명칭 : The FA Cup sponsored by E.ON [[파일:The FA Cup with Budweiser 로고 (상하).svg |width=250]] * [[버드와이저]] (2011/12~2013/14) 공식명칭 : The FA Cup with Budweiser [[파일:N3PGRD7.jpg|width=350]] * [[에미레이트 항공]] (2015/16~ ) 공식명칭 : The Emirates FA Cup [[파일:The FA CUP 2020 new logo_set.png|width=600]] * 2020/21 시즌부터 리뉴얼 된 Emirates FA Cup 로고 스폰서가 대회명 앞에 붙는 [[EFL 컵]]과 달리 The FA Cup이라는 이름의 정체성을 유지해왔지만, [[에미레이트 항공]]과의 계약으로 그 전통을 깨게 됐다. 스폰서가 없던 대회(1994/95시즌 이전, 2002/03~2005/06, 2014/15시즌)은 The FA Cup이라는 이름을 사용한다. 2020-21 시즌부터 패치가 리뉴얼되어, 디팬딩 챔피언은 은색 바탕에 빨간색 무늬, 나머지 팀들은 빨간색 바탕에 은색 무늬가 그려져 있는 패치를 끼고 경기에 나서게 되며, 우승 경험이 있는 팀들은 [[https://www.footyheadlines.com/2020/08/all-new-emirates-fa-cup-logo-launched.html|상단 오른쪽 끝에 우승 횟수가 기입된다.]] [[아스날 FC]]가 FA컵 사상 처음으로 디팬딩 챔피언 패치를 달고 뛰게 되었다. == 역대 우승팀 == || '''시즌''' || '''우승''' || '''결과''' || '''준우승''' || '''경기장''' || || 2022-23 || 맨체스터 시티 FC || 2-1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2021-22 || 리버풀 FC || 0-0[br]승부차기[br](6-5) || 첼시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2020-21 || 레스터 시티 FC || 1-0 || 첼시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2019-20 || 아스날 FC || 2-1 || 첼시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2018-19 || 맨체스터 시티 FC || 6-0 || 왓포드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2017-18 || 첼시 FC || 1-0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2016-17 || 아스날 FC || 2-1 || 첼시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2015-16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 2-1 || 크리스탈 팰리스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2014-15 || 아스날 FC || 4-0 || 아스톤 빌라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2013-14 || 아스날 FC || 3-2 || 헐 시티 AFC || 웸블리 스타디움 || || 2012-13 || 위건 애슬레틱 FC[* 영국 축구 협회 창립 150주년 우승! ~~그리고 강등~~] || 1-0 || 맨체스터 시티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2011-12 || 첼시 FC || 2-1 || 리버풀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2010-11 || 맨체스터 시티 FC || 1-0 || 스토크 시티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2009-10 || 첼시 FC || 1-0 || 포츠머스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2008-09 || 첼시 FC || 2-1 || 에버튼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2007-08 || 포츠머스 FC || 1-0 || 카디프 시티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2006-07 || 첼시 FC || 1-0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2005-06 || 리버풀 FC || 3-3[br]승부차기[br](3-1) ||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FC || 밀레니엄 스타디움 || || 2004-05 || 아스날 FC || 0-0[br]승부차기[br](5-4)[* 원래 FA컵은 결승전도 무승부 시 재경기를 했는데, 이 시즌부터 전후반 90분 무승부시 재경기가 아닌 연장전-승부차기로 규칙이 바뀌었다. 그래서 이 경기는 공식적으로는 무승부다. 진짜 무승부다.]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 밀레니엄 스타디움 || || 2003-04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 3-0 || 밀월 FC || 밀레니엄 스타디움 || || 2002-03 || 아스날 FC || 1-0 || 사우스햄튼 FC || 밀레니엄 스타디움 || || 2001-02 || 아스날 FC || 2-0 || 첼시 FC || 밀레니엄 스타디움 || || 2000-01 || 리버풀 FC || 2-1 || 아스날 FC || 밀레니엄 스타디움[* 웸블리 스타디움의 공사때문에 6시즌 동안 웨일즈에 있는 밀레니움 스타디움에서 열렸다.] || || 1999-00 || 첼시 FC || 1-0 || 아스톤 빌라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1998-99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 2-0 || 뉴캐슬 유나이티드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1997-98 || 아스날 FC || 2-0 || 뉴캐슬 유나이티드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1996-97 || 첼시 FC || 2-0 || 미들즈브러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1995-96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 1-0 || 리버풀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1994-95 || 에버튼 FC || 1-0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1993-94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 4-0 || 첼시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1992-93 || 아스날 FC || 1-1 || 셰필드 웬즈데이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1992-93[br]재경기 || 아스날 FC || 2-1 || 셰필드 웬즈데이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1991-92 || 리버풀 FC || 2-0 || 선덜랜드 AFC || 웸블리 스타디움 || || 1990-91 || 토트넘 홋스퍼 FC || 2-1 || 노팅엄 포레스트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1989-90[br]재경기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 1-0 || 크리스탈 팰리스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1989-90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 3-3 || 크리스탈 팰리스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1988-89 || 리버풀 FC || 3-2 || 에버튼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1987-88 || 윔블던 FC || 1-0 || 리버풀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1986-87 || 코벤트리 시티 FC || 3-2 || 토트넘 홋스퍼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1985-86 || 리버풀 FC || 3-1 || 에버튼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1984-85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 1-0 || 에버튼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1983-84 || 에버튼 FC || 2-0 || 왓포드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1982-83[br]재경기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 4-0 || 브라이튼 & 호브 앨비언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1982-83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 2-2 || 브라이튼 & 호브 앨비언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1981-82[br]재경기 || 토트넘 홋스퍼 FC || 1-0 || 퀸즈 파크 레인저스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1981-82 || 토트넘 홋스퍼 FC || 1-1 || 퀸즈 파크 레인저스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1980-81[br]재경기 || 토트넘 홋스퍼 FC || 3-2 || 맨체스터 시티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1980-81 || 토트넘 홋스퍼 FC || 1-1 || 맨체스터 시티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1979-80 ||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FC[* 1부 리그 소속이 아닌 팀이 우승한 가장 최근 사례이다.] || 1-0 || 아스날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1978-79 || 아스날 FC[* 아스날팬인 '닉 혼비'의 저서 <피버피치>에 이 경기가 한 챕터 분량으로 실려있다.] || 3-2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1977-78 || 입스위치 타운 FC || 1-0 || 아스날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1976-77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 2-1 || 리버풀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1975-76 || 사우스햄튼 FC || 1-0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1974-75 ||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FC || 2-0 || 풀럼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1973-74 || 리버풀 FC || 3-0 || 뉴캐슬 유나이티드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1972-73 || 선덜랜드 AFC || 1-0 || 리즈 유나이티드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1971-72 || 리즈 유나이티드 FC || 1-0 || 아스날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1970-71 || 아스날 FC || 2-1 || 리버풀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1969-70[br]재경기 || 첼시 FC || 2-1 || 리즈 유나이티드 FC || 올드 트래포드 || || 1969-70 || 첼시 FC || 2-2 || 리즈 유나이티드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1968-69 || 맨체스터 시티 FC || 1-0 || 레스터 시티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1967-68 || 웨스트 브롬위치 알비온 FC || 1-0 || 에버튼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1966-67 || 토트넘 홋스퍼 FC || 2-1 || 첼시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1965-66 || 에버튼 FC || 3-2 || 셰필드 웬즈데이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1964-65 || 리버풀 FC || 2-1 || 리즈 유나이티드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1963-64 ||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FC || 3-2 || 프레스턴 노스 엔드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1962-63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 3-1 || 레스터 시티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1961-62 || 토트넘 홋스퍼 FC || 3-1 || 번리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1960-61 || 토트넘 홋스퍼 FC || 2-0 || 레스터 시티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1959-60 || 울버햄튼 원더러스 FC || 3-0 || 블랙번 로버스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1958-59 || 노팅엄 포레스트 FC || 2-1 || 루턴 타운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1957-58 || 볼튼 원더러스 FC || 2-0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1956-57 || 아스톤 빌라 FC || 2-1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1955-56 || 맨체스터 시티 FC || 3-1 || 버밍엄 시티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1954-55 || 뉴캐슬 유나이티드 FC || 3-1 || 맨체스터 시티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1953-54 || 웨스트 브롬위치 앨비언 FC || 3-2 || 프레스턴 노스 엔드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1952-53 || 블랙풀 FC || 4-3 || 볼튼 원더러스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1951-52 || 뉴캐슬 유나이티드 FC || 1-0 || 아스날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1950-51 || 뉴캐슬 유나이티드 FC || 2-0 || 블랙풀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1949-50 || 아스날 FC || 2-0 || 리버풀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1948-49 || 울버햄튼 원더러스 FC || 3-1 || 레스터 시티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1947-48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 4-2 || 블랙풀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1946-47 || 찰튼 애슬레틱 FC || 1-0 || 번리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1945-46 || 더비 카운티 FC || 4-1 || 찰튼 애슬레틱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1938-39 || 포츠머스 FC || 4-1 || 울버햄튼 원더러스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1937-38 || 프레스턴 노스 엔드 FC || 1-0 || 허더스필드 타운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1936-37 || 선덜랜드 AFC || 3-1 || 프레스턴 노스 엔드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1935-36 || 아스날 FC || 1-0 || 셰필드 유나이티드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1934-35 || 셰필드 웬즈데이 FC || 4-2 || 웨스트 브롬위치 알비온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1933-34 || 맨체스터 시티 FC || 2-1 || 포츠머스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1932-33 || 에버튼 FC || 3-0 || 맨체스터 시티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1931-32 || 뉴캐슬 유나이티드 FC || 2-1 || 아스날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1930-31 || 웨스트 브롬위치 알비온 FC || 2-1 || 버밍엄 시티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1929-30 || 아스날 FC || 2-0 || 허더스필드 타운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1928-29 || 볼튼 원더러스 FC || 2-0 || 포츠머스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1927-28 || 블랙번 로버스 FC || 3-1 || 허더스필드 타운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1926-27 || 카디프 시티 FC || 1-0 || 아스날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1925-26 || 볼튼 원더러스 FC || 1-0 || 맨체스터 시티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1924-25 || 셰필드 유나이티드 FC || 1-0 || 카디프 시티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1923-24 || 뉴캐슬 유나이티드 FC || 2-0 || 아스톤 빌라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1922-23 || 볼튼 원더러스 FC || 2-0 ||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FC || 웸블리 스타디움 || || 1921-22 || 허더스필드 타운 FC || 1-0 || 프레스턴 노스 엔드 FC || 스탬포드 브리지 || || 1920-21 || 토트넘 홋스퍼 FC || 1-0 || 울버햄튼 원더러스 FC || 스탬포드 브리지 || || 1919-20 || 아스톤 빌라 FC || 1-0 || 허더스필드 타운 FC || 스탬포드 브리지 || || 1914-15 || 셰필드 유나이티드 FC || 3-0 || 첼시 FC || 올드 트래포드 || || 1913-14 || 번리 FC || 1-0 || 리버풀 FC || 크리스털 팰리스 || || 1912-13 || 애스턴 빌라 FC || 1-0 || 선덜랜드 AFC || 크리스털 팰리스 || || 1911-12[br]재경기 || 반즐리 FC || 1-0 || 웨스트 브롬위치 앨비언 FC || 브래몰 레인 || || 1911-12 || 반즐리 FC || 0-0 || 웨스트 브롬위치 앨비언 FC || 크리스털 팰리스 || || 1910-11[br]재경기 || 브래드포드 시티 AFC || 1-0 || 뉴캐슬 유나이티드 FC || 올드 트래포드 || || 1910-11 || 브래드포드 시티 AFC || 0-0 || 뉴캐슬 유나이티드 FC || 크리스털 팰리스 || || 1909-10[br]재경기 || 뉴캐슬 유나이티드 FC || 2-0 || 반즐리 FC || 구디슨 파크 || || 1909-10 || 뉴캐슬 유나이티드 FC || 1-1 || 반즐리 FC || 크리스털 팰리스 || || 1908-09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 1-0 || 브리스톨 시티 FC || 크리스털 팰리스 || || 1907-08 || 울버햄튼 원더러스 FC || 3-1 || 뉴캐슬 유나이티드 FC || 크리스털 팰리스 || || 1906-07 || 셰필드 웬즈데이 FC || 2-1 || 에버튼 FC || 크리스털 팰리스 || || 1905-06 || 에버튼 FC || 1-0 || 뉴캐슬 유나이티드 FC || 크리스털 팰리스 || || 1904-05 || 아스톤 빌라 FC || 2-0 || 뉴캐슬 유나이티드 FC || 크리스털 팰리스 || || 1903-04 || 맨체스터 시티 FC || 1-0 || 볼튼 원더러스 FC || 크리스털 팰리스 || || 1902-03 || 베리 FC || 6-0 || 더비 카운티 FC || 크리스털 팰리스 || || 1901-02[br]재경기 || 셰필드 유나이티드 FC || 2-1 || 사우스햄튼 FC || 크리스털 팰리스 || || 1901-02 || 셰필드 유나이티드 FC || 1-1 || 사우스햄튼 FC || 크리스털 팰리스 || || 1900-01[br]재경기 || 토트넘 홋스퍼 FC || 3-1 || 셰필드 유나이티드 FC || 번던 파크 || || 1900-01 || 토트넘 홋스퍼 FC || 2-2 || 셰필드 유나이티드 FC || 크리스털 팰리스 || || 1899-00 || 베리 FC || 4-0 || 사우스햄튼 FC || 크리스털 팰리스 || || 1898-99 || 셰필드 유나이티드 FC || 4-1 || 더비 카운티 FC || 크리스털 팰리스 || || 1897-98 || 노팅엄 포레스트 FC || 3-1 || 더비 카운티 FC || 크리스털 팰리스 || || 1896-97 || 아스톤 빌라 FC || 3-2 || 에버튼 FC || 크리스털 팰리스 || || 1895-96 || 셰필드 웬즈데이 FC || 2-1 || 울버햄튼 원더러스 FC || 크리스털 팰리스 || || 1894-95 || 아스톤 빌라 FC || 1-0 || 웨스트 브롬위치 알비온 FC || 크리스털 팰리스 || || 1893-94 || 노츠 카운티 FC || 4-1 || 볼튼 원더러스 FC || 구디슨 파크 || || 1892-93 || 울버햄튼 원더러스 FC || 1-0 || 에버튼 FC || 팔로우필드 스타디움 || || 1891-92 || 웨스트 브롬위치 알비온 FC || 3-0 || 아스톤 빌라 FC || 케닝턴 오벌[* 1845년 건립된 [[크리켓]] 구장으로, 당시에는 잉글랜드 크리켓 대표팀과 축구 대표팀, 럭비 대표팀이 모두 홈으로 사용했다. 현재는 [[서리 CCC]]의 홈으로 사용되고 있다.] || || 1890-91 || 블랙번 로버스 FC || 3-1 || 노츠 카운티 FC || 케닝턴 오벌 || || 1889-90 || 블랙번 로버스 FC || 6-1 || 셰필드 웬즈데이 FC || 케닝턴 오벌 || || 1888-89 || 프레스턴 노스 엔드 FC || 3-0 || 울버햄튼 원더러스 FC || 케닝턴 오벌 || || 1887-88 || 웨스트 브롬위치 알비온 FC || 2-1 || 프레스턴 노스 엔드 FC || 케닝턴 오벌 || || 1886-87 || 아스톤 빌라 FC || 2-0 || 웨스트 브롬위치 알비온 FC || 케닝턴 오벌 || || 1885-86[br]재경기 || 블랙번 로버스 FC || 2-0 || 웨스트 브롬위치 알비온 FC || 레이스코스 그라운드 || || 1885-86 || 블랙번 로버스 FC || 0-0 || 웨스트 브롬위치 알비온 FC || 케닝턴 오벌 || || 1884-85 || 블랙번 로버스 FC || 2-0 || 퀸즈 파크 FC[* 밑의 팀과 동일. 2년 연속 준우승.] || 케닝턴 오벌 || || 1883-84 || 블랙번 로버스 FC || 2-1 || 퀸즈 파크 FC[* [[QPR]]이 아니다!! 스코틀랜드 클럽으로 현재 스코틀랜드 2부 리그에 있다.] || 케닝턴 오벌 || || 1882-83 || 블랙번 올림픽 FC || 2-1 || 올드 에토니언스 FC || 케닝턴 오벌 || || 1881-82 || 올드 에토니언스 FC || 1-0 || 블랙번 로버스 FC || 케닝턴 오벌 || || 1880-81 || 올드 캐더시언스 FC || 3-0 || 올드 에토니언스 FC || 케닝턴 오벌 || || 1879-80 || 클래펌 로버스 FC || 1-0 || 옥스퍼드 대학교 AFC || 케닝턴 오벌 || || 1878-79 || 올드 에토니언스 FC || 1-0 || 클래펌 로버스 FC || 케닝턴 오벌 || || 1877-78 || 원더러스 FC || 3-1 || 로얄 엔지니어스 AFC || 케닝턴 오벌 || || 1876-77 || 원더러스 FC || 2-1 || 옥스퍼드 대학교 AFC || 케닝턴 오벌 || || 1875-76[br]재경기 || 원더러스 FC || 3-0 || 올드 에토니언스 FC || 케닝턴 오벌 || || 1875-76 || 원더러스 FC || 1-1 || 올드 에토니언스 FC || 케닝턴 오벌 || || 1874-75[br]재경기 || 로얄 엔지니어스 AFC || 2-0 || 올드 에토니언스 FC || 케닝턴 오벌 || || 1874-75 || 로얄 엔지니어스 AFC || 1-1 || 올드 에토니언스 FC || 케닝턴 오벌 || || 1873-74 || 옥스퍼드 대학교 AFC || 2-0 || 로얄 엔지니어스 AFC || 케닝턴 오벌 || || 1872-73 || 원더러스 FC || 2-0 || 옥스퍼드 대학교 AFC || 릴리 브리지 || || 1871-72 || 원더러스 FC[* 대 첫 FA컵 우승팀.5경기 한뒤 두번 이겨서 우승하는 흔치 않은 일이 일어났다..1라운드 해로우가 경기포기로 2라운드진출, 2라운드에서 채프먼 로버스에게 3대1승, 3라운드 크리스탈팰리스(우리가 아는 팰리스가 아니다)와 비겨 두팀 모두 준결승진출,퀸즈파크(역시 QPR이 아니다)와 0대0 그러나 상대가 이후 기권하며 결승에 진출한뒤 우승을 챙겼다.] || 1-0 || 로얄 엔지니어스 AFC || 케닝턴 오벌 || == 우승 횟수 == || '''클럽명''' || '''횟수''' || '''연도''' || || [[아스날 FC]] || 14회 || 1930, 1936, 1950, 1971, 1979, 1993, 1998, 2002, 2003, 2005, [br]2014, 2015, 2017, 2020 ||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 12회 || 1909, 1948, 1963, 1977, 1983, 1985, 1990, 1994, 1996, 1999,[br]2004, 2016 || || [[토트넘 홋스퍼 FC]] || 8회 || 1901, 1921, 1961, 1962, 1967, 1981, 1982, 1991 || || [[리버풀 FC]] || 8회 || 1965, 1974, 1986, 1989, 1992, 2001, 2006, 2022 || || [[첼시 FC]] || 8회 || 1970, 1997, 2000, 2007, 2009, 2010, 2012, 2018 || || [[맨체스터 시티 FC]] || 7회 || 1904, 1934, 1956, 1969, 2011, 2019, 2023 || || [[아스톤 빌라 FC]] || 7회 || 1887, 1895, 1897, 1905, 1913, 1920, 1957 || || [[블랙번 로버스 FC]] || 6회 || 1884, 1885, 1886, 1890, 1891, 1928 || || [[뉴캐슬 유나이티드 FC]] || 6회 || 1910, 1924, 1932, 1951, 1952, 1955 || || [[원더러스 FC]][* 상술된 FA컵 수립기의 단골 우승팀. 1887년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가 2009년에 '''122년 만에 재창단'''했다! 현재 12부 리그에 해당하는 Surrey South Eastern Combination 리그에서 활동 중이다. [[유니세프]] 영국 지부를 위한 성금을 모으기 위해 122년 전 선수들의 후손들이 재창단을 결정했다고 했다.][*A 1부리그 참여 경험이 1번도 없다.] || 5회 || 1872, 1873, 1876, 1877, 1878 || || [[웨스트 브롬위치 알비온 FC]] || 5회 || 1888, 1892, 1931, 1954, 1968 || || [[에버튼 FC]] || 5회 || 1906, 1933, 1966, 1984, 1995 || || [[울버햄튼 원더러스 FC]] || 4회 || 1893, 1908, 1949, 1960 || || [[셰필드 유나이티드 FC]] || 4회 || 1899, 1902, 1915, 1925 || || [[볼턴 원더러스 FC]] || 4회 || 1923, 1926, 1929, 1958 || || [[셰필드 웬즈데이 FC]] || 3회 || 1896, 1907, 1935 || ||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FC]] || 3회 || 1964, 1975, 1980 || || [[올드 에토니언스 FC]][*A][* [[이튼 칼리지]]의 동문으로 구성된 아마추어 축구 클럽. 아서리안 리그에서 해체없이 현재까지도 활동하고 있으며, FA컵에는 1887-88 시즌을 끝으로 참여하지 않고 있다.] || 2회 || 1879, 1882 || || [[프레스턴 노스 엔드 FC]] || 2회 || 1889, 1938 || || [[노팅엄 포레스트 FC]] || 2회 || 1898, 1959 || || [[베리 FC]] || 2회 || 1900, 1903 || || [[선덜랜드 AFC]] || 2회 || 1937, 1973 || || [[포츠머스 FC]] || 2회 || 1939, 2008 || || [[옥스퍼드 대학교|옥스퍼드 대학교 AFC]][*A] || 1회 || 1874 || || [[로얄 엔지니어스 AFC]][*A] || 1회 || 1875 || || [[클래펌 로버스 FC]][*A] || 1회 || 1880 || || [[올드 캐더시언스 FC]][*A] || 1회 || 1881 || || [[블랙번 올림픽 FC]][*A] || 1회 || 1883 || || [[노츠 카운티 FC]] || 1회 || 1894 || || [[브래드포드 시티 AFC]] || 1회 || 1911 || || [[반즐리 FC]] || 1회 || 1912 || || [[번리 FC]] || 1회 || 1914 || || [[허더즈필드 타운 AFC]] || 1회 || 1922 || || [[카디프 시티 FC]] || 1회 || 1927 || || [[더비 카운티 FC]] || 1회 || 1946 || || [[찰턴 애슬레틱 FC]] || 1회 || 1947 || || [[블랙풀 FC]] || 1회 || 1953 || || [[리즈 유나이티드 FC]] || 1회 || 1972 || || [[사우스햄튼 FC]] || 1회 || 1976 || || [[입스위치 타운 FC]] || 1회 || 1978 || || [[코번트리 시티 FC]] || 1회 || 1987 || || [[윔블던 FC]] || 1회 || 1988 || || [[위건 애슬레틱 FC]] || 1회 || 2013 || || [[레스터 시티 FC]] || 1회 || 2021 || == 감독별 FA컵 우승 횟수[* 4회 이상 우승한 감독은 이 5명뿐이다.] == || '''이름''' || '''횟수''' || '''소속''' || '''연도''' || || [[아르센 벵거]][* 벵거는 2017년까지 아스날을 이끌고 FA컵 결승에 8번이나 갔는데, 리버풀에 1번 진 것(2001년) 빼고 전부 우승했다.] || 7회 || [[아스날 FC|아스날]] || 1998, 2002, 2003, 2005, 2014, 2015, 2017 || || [[조지 램지]][* 아스톤 빌라의 초대 감독. 리그 우승 6회와 FA컵 6회를 들어올린 전설적인 지도자.] || 6회 || [[아스톤 빌라]] || 1887, 1895, 1897, 1905, 1913, 1920 || || [[토마스 미첼]] || 5회 || [[블랙번 로버스]] || 1884, 1885, 1886, 1890, 1891 || || [[알렉스 퍼거슨]][* 8번의 결승을 치러 5회 우승했다.] || 5회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 1990, 1994, 1996, 1999, 2004 || || [[존 니콜슨]] || 4회 || [[셰필드 유나이티드]] || 1899, 1902, 1915, 1925 || == FA컵과 대한민국 == * 2021-22 시즌 기준. * 현역은 '''볼드체'''로 표기한다. ||<-9><:> [[FA컵(잉글랜드)|[[파일:emirates-fa-cup-2020-logo.png|height=100]]]] || ||<:> '''{{{#ffffff 순서}}}'''[* 출전일을 기준으로 한다.] ||<:> '''{{{#ffffff 이름}}}''' ||<:> '''{{{#ffffff 클럽}}}''' ||<:> '''{{{#ffffff 시즌}}}''' ||<:> '''{{{#ffffff 등번호}}}''' ||<:> '''{{{#ffffff 출전}}}''' ||<:> '''{{{#ffffff 골}}}''' ||<:> '''{{{#ffffff 팀성적}}}''' ||<:> '''{{{#ffffff 비고}}}''' || ||<:><|5> 1 ||<:><|5> [[설기현]] ||<:><|2> [[파일:울버햄튼 원더러스 FC 로고.svg|height=4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fcb917; font-size: 0.8em" [[울버햄튼 원더러스|{{{#231f20 '''울버햄튼'''}}}]]}}} ||<:> 2004-05 ||<:><|3> 19 ||<:> 1 ||<:> 0 ||<:> 4R ||<:> 최초 FA컵 출전자 || ||<:> 2005-06 ||<:> 1 ||<:> 0 ||<:> 4R ||<:> || ||<:> [[파일:레딩 FC 로고.svg|height=4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33A0; font-size: 0.8em;" [[레딩 FC|{{{#fff '''레딩'''}}}]]}}} ||<:> 2006-07 ||<:> 4 ||<:> 0 ||<:> 5R ||<:> || ||<:> [[파일:풀럼 FC 로고.svg|height=4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0; font-size: 0.8em" [[풀럼 FC|{{{#fff '''풀럼'''}}}]]}}} ||<:> 2007-08 ||<:>7 ||<:> 2 ||<:> 0 ||<:> 3R ||<:> || ||<:><-2> 4시즌 ||<:> 합계 ||<:> 8 ||<:> 0 ||<:> - ||<:> || ||<:><|9> 2 ||<:><|9> [[박지성]] ||<:><|7> [[파일: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로고.svg|height=4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DA020E; font-size: 0.8em"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ffe500 '''맨유'''}}}]]}}} ||<:> 2005-06 ||<:><|7> 13 ||<:> 2 ||<:> 0 ||<:> 5R ||<:> || ||<:> 2006-07 ||<:> 5 ||<:> 0 ||<:> 준우승 ||<:> || ||<:> 2007-08 ||<:> 2 ||<:> 0 ||<:> 6R ||<:> || ||<:> 2008-09 ||<:> 3 ||<:> 1 ||<:> 4강 ||<:> 최초 FA컵 득점자 || ||<:> 2009-10 ||<:> - ||<:> - ||<:> 3R ||<:> 명단 제외 || ||<:> 2010-11 ||<:> 1 ||<:> 0 ||<:> 4강 ||<:> || ||<:> 2011-12 ||<:> 1 ||<:> 1 ||<:> 4R ||<:> || ||<:> [[파일:퀸즈 파크 레인저스 FC 로고(2008~2016).svg|height=4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a55a4; font-size: 0.8em" [[퀸즈 파크 레인저스 FC|{{{#fff '''QPR'''}}}]]}}} ||<:> 2012-13 ||<:> 7 ||<:> 3 ||<:> 0 ||<:> 4R ||<:> || ||<:><-2> 7시즌 ||<:> 합계 ||<:> 17 ||<:> 2 ||<:> - ||<:> FA컵 최다 시즌 출전자: '''7시즌''' || ||<:><|4> 3 ||<:><|4> [[이영표]] ||<:><|3> [[파일:토트넘 홋스퍼 FC 로고.svg|height=4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1C58; font-size: 0.8em" [[토트넘 홋스퍼 FC|{{{#fff '''토트넘'''}}}]]}}} ||<:> 2005-06 ||<:> 16 ||<:> - ||<:> - ||<:> 3R ||<:> 명단 제외 || ||<:> 2006-07 ||<:><|2> 3 ||<:> 5 ||<:> 0 ||<:> 6R ||<:> || ||<:> 2007-08 ||<:> 2 ||<:> 0 ||<:> 4R ||<:> || ||<:><-2> 2시즌 ||<:> 합계 ||<:> 7 ||<:> 0 ||<:> - ||<:> || ||<:><|3> 4 ||<:><|3> [[이동국]] ||<:><|2> [[파일:미들즈브러 FC 로고.svg|height=4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F00000; font-size: 0.8em" [[미들즈브러 FC|{{{#FFF '''미들즈브러'''}}}]]}}} ||<:> 2006-07 ||<:><|2> 18 ||<:> 2 ||<:> 0 ||<:> 6R ||<:> || ||<:> 2007-08 ||<:> 2 ||<:> 1 ||<:> 6R ||<:> || ||<:><-2> 2시즌 ||<:> 합계 ||<:> 4 ||<:> 1 ||<:> - ||<:> || ||<:><|3> 5 ||<:><|3> [[김두현]] ||<:><|2> [[파일:웨스트 브롬위치 알비온 FC 로고.svg|height=4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223067; font-size: 0.8em" [[웨스트 브롬위치 알비온 FC|{{{#FFF '''WBA'''}}}]]}}} ||<:> 2007-08 ||<:> 12 ||<:> 3 ||<:> 0 ||<:> 4강 ||<:> || ||<:> 2008-09 ||<:> 14 ||<:> 3 ||<:> 1 ||<:> 4R ||<:> || ||<:><-2> 2시즌 ||<:> 합계 ||<:> 6 ||<:> 1 ||<:> - ||<:> || ||<:><|10> 6 ||<:><|10> [[이청용]] ||<:><|6> [[파일:볼턴 원더러스 FC 로고.svg|height=4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1B458F; font-size: 0.8em" [[볼턴 원더러스 FC|{{{#fff '''볼턴'''}}}]]}}} ||<:> 2009-10 ||<:><|6> 27 ||<:> 4 ||<:> 1 ||<:> 5R ||<:> || ||<:> 2010-11 ||<:> 4 ||<:> 1 ||<:> 4강 ||<:> || ||<:> 2011-12 ||<:> - ||<:> - ||<:> 6R ||<:> 명단제외 || ||<:> 2012-13 ||<:> 3 ||<:> 1 ||<:> 4R ||<:> || ||<:> 2013-14 ||<:> 2 ||<:> 0 ||<:> 4R ||<:> || ||<:> 2014-15 ||<:> - ||<:> - ||<:> 5R ||<:>명단제외(3~4R는 볼턴, 5R는 크팰 소속) || ||<:><|3> [[파일:크리스탈 팰리스 FC 로고.svg|height=4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1B458F; font-size: 0.8em" [[크리스탈 팰리스 FC|{{{#fff '''팰리스'''}}}]]}}} ||<:> 2015-16 ||<:><|3> 14 ||<:> 1 ||<:> 0 ||<:> 준우승 ||<:> 명단제외 || ||<:> 2016-17 ||<:> 3 ||<:> 0 ||<:> 4R ||<:> || ||<:> 2017-18 ||<:> - ||<:> - ||<:> 3R ||<:>교체 명단 || ||<:><-2> 6시즌 ||<:> 합계 ||<:> 17 ||<:> 3 ||<:> - ||<:> || ||<:><|3> 7 ||<:><|3> [[지동원]] ||<:><|2> [[파일:선덜랜드 AFC 로고.svg|height=4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EB172B; font-size: 0.8em" [[선덜랜드 AFC|{{{#fff '''선덜랜드'''}}}]]}}} ||<:> 2011-12 ||<:> 17 ||<:> 1 ||<:> 0 ||<:> 6R ||<:> || ||<:> 2013-14 ||<:> 27 ||<:> 1 ||<:> 0 ||<:> 6R ||<:> 3R 이후 [[FC 아우크스부르크]]로 완전 이적 || ||<:><-2> 2시즌 ||<:> 합계 ||<:> 2 ||<:> 0 ||<:> - ||<:> || ||<:><|9> 8 ||<:><|9> [[기성용]] ||<:> [[파일:스완지 시티 AFC 로고.svg|height=4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0; font-size: 0.8em" [[스완지 시티 AFC|{{{#fff '''스완지'''}}}]]}}} ||<:> 2012-13 ||<:> 24 ||<:> 2 ||<:> 0 ||<:> 3R ||<:> || ||<:> [[파일:선덜랜드 AFC 로고.svg|height=4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EB172B; font-size: 0.8em" [[선덜랜드 AFC|{{{#fff '''선덜랜드'''}}}]]}}} ||<:> 2013-14 ||<:><|7> 4 ||<:> 1 ||<:> 0 ||<:> 6R ||<:> || ||<:><|4> [[파일:스완지 시티 AFC 로고.svg|height=4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0; font-size: 0.8em" [[스완지 시티 AFC|{{{#fff '''스완지'''}}}]]}}} ||<:> 2014-15 ||<:> - ||<:> - ||<:> 4R ||<:> 명단 제외 || ||<:> 2015-16 ||<:> - ||<:> - ||<:> 3R ||<:> 명단 제외 || ||<:> 2016-17 ||<:> 1 ||<:> 0 ||<:> 3R ||<:> || ||<:> 2017-18 ||<:> 6 ||<:> 0 ||<:> 6R ||<:> || ||<:><|2> [[파일:뉴캐슬 유나이티드 FC 로고.svg|height=4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0; font-size: 0.8em" [[뉴캐슬 유나이티드 FC|{{{#fff '''뉴캐슬'''}}}]]}}} ||<:> 2018-19 ||<:> - ||<:> - ||<:> 4R ||<:> || ||<:> 2019-20 ||<:> 1 ||<:> 0 ||<:> 6R ||<:> 4R 이후 2020년 1월 31일 계약 해지 || ||<:><-2> 5시즌 ||<:> 합계 ||<:> 11 ||<:> 0 ||<:> - ||<:> || ||<:><|4> 9 ||<:><|4> [[김보경(축구선수)|김보경]] ||<:><|3> [[파일:카디프 시티 FC 로고(2012~2015).svg|height=4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df0024; font-size: 0.8em" [[카디프 시티 FC|{{{#fff '''카디프'''}}}]]}}} ||<:> 2012-13 ||<:><|3> 13 ||<:> - ||<:> - ||<:> 3R ||<:> 명단 제외 || ||<:> 2013-14 ||<:> 3 ||<:> 0 ||<:> 5R ||<:> || ||<:> 2014-15 ||<:> - ||<:> - ||<:> 4R ||<:> 3R 교체 명단 / 4R 명단 제외 || ||<:><-2> 1시즌 ||<:> 합계 ||<:> 3 ||<:> 0 ||<:> - ||<:> || ||<:><|8> '''10''' ||<:><|8> '''[[손흥민]]''' ||<:><|7> [[파일:토트넘 홋스퍼 FC 로고.svg|height=4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1C58; font-size: 0.8em" [[토트넘 홋스퍼 FC|{{{#fff '''토트넘'''}}}]]}}} ||<:> 2015-16 ||<:><|7> 7 ||<:> 4 ||<:> 1 ||<:> 5R ||<:> || ||<:> 2016-17 ||<:> 5 ||<:> 6 ||<:> 4강 ||<:> 2016-17 시즌 FA컵 최다 득점자 || ||<:> 2017-18 ||<:> 7 ||<:> 2 ||<:> 4강 ||<:> || ||<:> 2018-19 ||<:> 1 ||<:> 1 ||<:> 4R ||<:> || ||<:> 2019-20 ||<:> 4 ||<:> 2 ||<:> 5R ||<:> || ||<:> 2020-21 ||<:> 2 ||<:> 0 ||<:> 5R ||<:> || ||<:> 2021-22 ||<:> 2 ||<:> 0 ||<:> 5R ||<:> || ||<:><-2> 7시즌 ||<:> 합계 ||<:> 25 ||<:> 12 ||<:> - ||<:> FA컵 최다 시즌 출전자: '''7시즌'''[br]/ FA컵 최다 경기 출전자: '''25경기'''[br]/ FA컵 최다 득점자: '''12득점''' || 2005-06 시즌에 [[박지성]]이 [[프리미어리그]] 무대에 처음으로 입성하기 1년 전인 2004-05 시즌에 [[EFL 챔피언십]]에서 뛰고 있었던 설기현이 FA컵에 뛰었기 때문에 코리안 리거의 역사는 프리미어리그보다 더 일찍 시작되었다. 그 후, 한국 선수의 프리미어리그 진출이 활발해지자 여러 선수들이 리그를 뛰며 FA컵에도 출전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프리미어리거라고 FA컵을 무조건 뛴 것은 아니며 프리미어리거 6호 [[조원희]], 9호 [[박주영]], 11호 [[윤석영]]은 FA컵을 아예 뛰지도 못했다. 프리미어리그에서 실패하고 국내로 돌아간 [[이동국]], [[김두현]]은 비록 프리미어리그에선 득점을 올리진 못했지만 FA컵을 통해 득점을 기록하기도 했다. 프리미어리그 우승 경험이 있는 박지성은 FA컵에서 선수로 뛰면서 우승한 적이 없고,[* 다만 팀이 준우승을 한 적은 있다. [[이청용]]도 크리스탈 팰리스 시절 팀이 준우승을 한 적있다.] 지금까지 잉글랜드 무대를 밟아본 선수 중에서 FA컵 우승을 한 선수도 없다. 그러나 개인 기록 1위가 존재하는데, [[손흥민]]이 2016-17 시즌에 대회 최다 득점자가 된 적이 있지만 FA컵은 득점왕 시상을 하지 않기 때문에 개인 기록으로만 남게 됐다.[* 손흥민은 FA컵에서 해트트릭을 기록한 적이 있다.] == 관련 문서 == [include(틀:영국 관련 문서)] * [[축구/대회]] * [[EFL컵]] * [[프리미어 리그]] [[분류:FA컵(잉글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