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현대전/독일 함선)] || [[파일:German-Navy’s-MKS-180-Multi-Purpose-Combat-Ship-Program-Renamed-F126.jpg|width=100%]]|| || {{{#white '''Mehrzweckkampfschiff 180'''}}} || [목차] == 개요 == [[독일 해군]]의 차세대 [[호위함]]. == 제원 == ||<-5><:> '''{{{+1 {{{#FFFFFF F126급 호위함}}} }}} [br] {{{#FFFFFF Fregatte 126}}}''' || ||||<:><#eeeeee> '''함종''' ||<(><-3> [[호위함]] || ||||<:><#eeeeee> '''이전함급''' ||||||<(> [[브란덴부르크급 호위함|브란덴부르크급]] || ||||<:><#eeeeee> '''다음함급''' ||||||<(> 불명 || ||||<:><#eeeeee> '''만재배수량''' ||<(><-3> 10,550톤 || ||||<:><#eeeeee> '''전장''' ||<(><-3> 166m || ||||<:><#eeeeee> '''전폭''' ||<(><-3> 21m || ||||<:><#eeeeee> '''추진방식''' ||<(><-3> CODLAD || ||||<:><#eeeeee> '''최고속력''' ||<(><-3> 26kn(약 48.1km/h) || ||||<:><#eeeeee> '''항속거리''' ||<(><-3> 18kn(약 33.3km/h) 순항 시 4,000해리(약 7,408km) || ||||<:><#eeeeee> '''승무원''' ||<(><-3> 승조원 110명 || ||||<:><#eeeeee> '''레이더''' ||<(><-3> TRS-4D C-밴드 레이더 [[APAR]] Block 2 X-밴드 레이더 || ||<:><-2><#eeeeee> '''소나''' ||<(><-3> 능동/수동 저주파 가변 심도 견인 소나 × 1 (ASW 모듈이 장착된 경우) || ||<:><#eeeeee>'''대응 장비''' ||<:><#eeeeee> '''디코이''' ||<(><-3> [[라인메탈]] MASS || ||<:><|5><#eeeeee> '''무장''' ||<:><#eeeeee> '''함포''' ||<(><-3> [[오토멜라라 127mm 함포]] 1문 || ||<:><#eeeeee> '''부포''' ||<(><-3> [[MLG-27]] RWS 2문 || ||<:><#eeeeee> '''대공''' ||<(><-3> [[Mk.41 VLS]] × 16셀 [[ESSM|ESSM Block 2]][* 퀴드팩으로 탑재 시 최대 64발 탑재 가능] || ||<:><#eeeeee> '''대함''' ||<(><-3> [[NSM 대함미사일]] × 8 || ||<:><#eeeeee> '''CIWS''' ||||<(><-3> [[RIM-116 RAM|RIM-116 RAM Block 2]] × 2 || ||||<:><#eeeeee> '''탑재 항공기''' ||<(> [[NH90]] 2기 [br] 사브 Skeldar UAV 2기 || == 개발 == 독일은 구형 전투함을 대체하기 위해 차기 다목적 전투함 MKS 180[* Mehrzweckkampfschiff 180] 사업을 진행했다. 사업에는 유럽 기업의 참여가 허락되어 독일 조선업체 외에도 영국의 [[BAE 시스템스]], 네덜란드의 다멘 그룹 등이 참가했다. 수년 간의 사업 진행 끝에 네덜란드의 다멘의 설계안이 사업에서 선정되었다. 다만 군함의 건조 자체는 독일의 블룸&포스 조선소에서 이루어진다. 이후 독일 해군에서 정식으로 MKS 180을 F126급으로 명명하였다. == 특징 == 독일 해군은 장기간 해외 배치를 수행해야 하는 임무가 점점 많아짐에 따라 간단한 모듈 교체로 다양한 임무를 수행 가능한 함선을 얻기를 원했다. 이에 맞게 F126급은 내장된 다양한 모듈을 자체적으로 교체하여 여러 임무에 수행할 수 있는 다목적 전투함으로 설계되었다.[[https://www.navalnews.com/naval-news/2020/01/damen-wins-german-navys-mks-180-multi-purpose-combat-ship-tender/|#]] == 동형함 목록 == ||||||||||||||||<:><#808080> {{{#FFFFFF '''독일 연방해군'''}}} || ||<:> ||<:> '''함번''' ||<:> '''함명''' ||<:> '''기공일''' ||<:> '''진수일''' ||<:> '''취역일''' ||<:> '''상태''' || ||<:> 1 ||<:> - || ||<:> - ||<:> - ||<:> - ||<|4><:> 건조 예정 || ||<:> 2 ||<:> - || ||<:> - ||<:> - ||<:> - || ||<:> 3 ||<:> - || ||<:> - ||<:> - ||<:> - || ||<:> 4 ||<:> - || ||<:> - ||<:> - ||<:> - || ||<:> 5 ||<:> - ||<:> - ||<:> - ||<:> - ||<:> - ||<|2><:> 추가 도입 옵션 || ||<:> 6 ||<:> - ||<:> - ||<:> - ||<:> - ||<:> - || == 기타 == 현재의 안보상황에 맞지 않는다는 일부 평가가 있다. F126급은 방어용 무장으로 VLS 16셀에 ESSM 64발, RAM 2기를 탑재하는데 이정도의 무장은 러시아의 대함 미사일 공격을 방어하는데 부족하다는 것.[* RAM은 최후의 수단이고, 사실상 [[ESSM]]만으로 막아내야 하는데 ESSM의 사거리는 50km로 비교적 짧은 편이다.] 그리고 F126급은 함대 방공함이 아닌데, 정작 레이더는 함대 방공용 레이더인 APAR 시스템을 채택하여 목적이나 무장 탑재량에 비해 비싸고 고성능인 레이더를 채택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F126급은 기존의 대잠 호위함인 [[브란덴부르크급]]을 대체하기 위해 건조되는 함이라서 무장 면에서는 조금 더 나은 편이기에 독일 해군의 전력은 오히려 강화된다. F126급이 [[영국 해군]]의 [[26형 호위함]]과 같은 역할이고, [[작센급]]을 대체할 새로운 방공함 역시 별도로 개발 중이기에, 본래의 목적인 대잠전과 장거리 원정, 다목적 임무 수행 등에 있어서는 오히려 적절한 수준의 무장으로 볼 수 있다. 동시기에 개발되는 타국의 [[보니파스급 호위함]] 등 다른 중대형 호위함들도 16셀 ~ 32셀 정도의 무장을 채택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해당 함선은 다목적함으로써의 역할을 위해서 일부러 체급을 많이 키운 것이기 때문에 다양한 모듈을 탑재할 여유를 충분히 남겨놓는다는 설계 사상을 갖추고 있다. 만약 추가적인 무장이 필요하다면 사전에 공간 여유를 충분히 내놓은 만큼 추가적인 무장 탑재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사업을 수주한 Damen은 모듈화 전투함의 끝판왕인 [[시그마급]]을 설계한 회사다. 당연히 F126도 여기에 영향을 받아 확장성이 매우 뛰어난 함이 될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F126에 탑재되는 APAR은 작센에 탑재된 레이더와 동형이 아닌 [[https://www.thalesgroup.com/en/worldwide/defence/apar-active-phased-array-multifunction-radar|APAR 블록2]]로 [[AN/SPY-6]]이나 [[EL/M-2248]] 처럼 배의 사이즈에 따라 규모가 조정 가능한 레이더이다. 또한 X밴드 레이더라 개선형도 탐지거리가 [[https://www.radartutorial.eu/19.kartei/07.naval/pubs/APAR_Block_2-V04.pdf|150km]] 수준으로 짧은 레이더라 개함방공에 더 적합한 레이더이며,[* 작센은 이 APAR의 짧은 탐지거리를 극복하기 위해 따로 장거리 탐색레이더인 SMART-L을 동시에 장착해서 함대방공을 수행했으나 F-126은 방공함이 아니라서 SMART-L은 탑재되지 않고 상대적으로 컴팩트한 TRS-4D가 들어갈 예정이다.] 또한 요즘에는 이보다 더 작은 소형 호위함에도 수백km의 탐지거리를 가지는 고정형 AESA 레이더를 탑재하는게 대세라 그렇게 특이한 사항이 아니다.[* 당장 옆나라의 FDI나 F110이 300km이상의 표적도 탐색 가능한 레이더를 탑재한다는걸 감안하면 오히려 APAR은 동시기 함선들보다 탐지거리가 짧은 편이다.] == 매체에서의 등장 == [[파일:FbBmsd1UUAEIwrN.jpg|width=100%]] * 게임 [[모던 워쉽]]에 3티어 호위함으로 등장한다. 대잠로켓을 무려 4개나 장착할 수 있어서 배틀패스 대잠로켓만 장착한다면 근접전에서 깡패같은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게다가 체력도 높고 선회도 좋기 때문에 괜찮은 취급을 받는다. 다만 약한 방공이 단점이다. [[분류:호위함]][[분류:해상 병기/현대전]][[분류:독일 연방군/군함]][[분류:2027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