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유희왕/OCG/테마)] ||<:><-6> {{{#!wiki style="text-shadow: 0 0 10px #3e8691;color:#37b69d;font-size:15pt;" '''[ruby(F.A., ruby=포뮬러 애슬리트)]'''}}} || ||<-6><#ffffff,#191919><:>{{{#!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A 데드히트.png|width=100%]][br] ,,[[F.A.#F.A. 데드 히트|{{{#37b69d F.A. 데드 히트}}}]],,}}}|| || '''{{{#!html한국어판 명칭}}}''' ||<-5><#fff,#191919> '''[ruby(F.A., ruby=포뮬러 애슬리트)]''' || || '''{{{#!html일어판 명칭}}}''' ||<-5><#fff,#191919> '''[ruby(F.A., ruby=フォーミュラアスリート)]''' || || '''{{{#!html영어판 명칭}}}''' ||<-5><#fff,#191919> '''F.A.''' || ||<-2> '''{{{#!html속성}}}''' ||<-2> '''{{{#!html종족}}}''' ||<-2> '''{{{#!html관련 카테고리}}}''' || ||<-2><#fff,#191919>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바람|바람]][* 다크니스마스터는 어둠, 엑스트라 덱 몬스터는 빛 속성.] ||<-2><#fff,#191919> [[기계족]] ||<-2><#fff,#191919> 효과[br][[싱크로 소환|싱크로]][br][[링크 소환|링크]] || [목차] == 개요 == ||<-5> '''유희왕 [[월드 프리미어 카드|{{{#white 월드 프리미어}}}]] 선행 등장 테마''' || || [[더 다크 일루전]] ~ [[맥시멈 크라이시스]] || || [[코드 오브 더 듀얼리스트]] ~ [[플레임즈 오브 디스트럭션]] || || [[사이버네틱 호라이즌]] ~ [[다크 네오스톰]] || || [[SPYRAL]], [[서브테러|서브테러 / Subterror]] || → || [[벤데드|벤데드 / Vendread]], '''F.A.''' || → || [[미계역|미계역 / Danger!]] || TCG [[코드 오브 더 듀얼리스트]]에서 [[월드 프리미어 카드]]로 데뷔한 바람 속성, 기계족의 [[유희왕]] 카드군. 루비를 다는 OCG판에선 F.A.라고 쓰고 포뮬러 애슬리트(Formula Athlete)라고 읽는다. SF적인 느낌이 폴폴나는 자동차 경주를 컨셉으로 잡았다. 레이스 경주를 모티브로 하였기에, 몬스터 카드들의 레벨이 오른다 = 가속을 한다라고 추측하는 사람들이 많다. SF적인 느낌이 난다는 점, 같은 TCG 월드 프리미어라는 점, [[스포츠]]와 관련된 컨셉을 가졌다는 점에서 [[U.A.]]를 떠올리는 사람이 많으며 실제로 [[U.A.]]와 F.A.의 필드 마법의 일러스트를 비교하면 F.A. 몬스터들이 U.A. 스타디움에서 경기를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고 팬텀 레이지로 같은 세계관임이 확인되었다.[* 세계관이 같을 뿐만이 아니라 아예 [[U.A.#U.A. 판타지스타|U.A. 판타지스타]]가 소닉마이스터와 라이트닝마스터의 파일럿이다.] [[팬텀 레이지]]에서 나온 U.A. 마법 / 함정들이 룰 상 F.A. 카드로도 취급하여 양쪽 모두를 지원하는 컨셉으로 나오면서 간접적으로 지원을 받았다. == 성능 == 공통적으로 원래 공격력이 0이며, [[포츈 레이디|레벨만큼 공격력이 300 오르는 효과]]와 자신 레벨 이하의 상대방 카드와 관련된 효과, F.A. 마법 / 함정 카드를 발동 또는 효과가 발동하면 레벨을 1개 올리는 효과, 레벨이 7 이상일 경우 얻는 효과가 있다. 레벨이 오를수록 강해지기 때문에 레벨을 올릴 수 있는 카드나 F.A. 마법 카드를 많이 쓰는 것이 중요하다. 레벨 / 랭크에 대응하나 링크 몬스터에는 대응하지 않는다는 점에 주의해야 하며 원래 공격력이 0이고 레벨만큼 공격력이 300 오르는 효과의 특성상 몬스터 효과를 무효화하는 카드([[스킬 드레인]]) 등이 카운터가 된다. 현재까지 나온 F.A. 마법이 전부 효과를 2~3개씩 보유하고 있고 F.A. 몬스터는 F.A. 마법 / 함정의 효과가 발동했을 경우에 레벨을 올려 계속 효과를 발동해 준다면 레벨이 쭉쭉 올라간다. == 효과 몬스터 (튜너) == === 레벨 1 === ==== F.A. 카네비게이터 ==== [[파일:F.A.カーナビゲーター.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F.A.(포뮬러 애슬리트) 카네비게이터, 일어판명칭=F.A.(フォーミュラアスリート)カーナビゲーター, 영어판명칭=F.A. Auto Navigator, 속성=바람, 레벨=1, 공격력=0, 수비력=0, 종족=기계족, 튜너=,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패 / 묘지에 존재할 경우\, 자신 필드의 원래의 레벨보다 높은 레벨을 가지는 "F.A.(포뮬러 애슬리트)"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하고\, 대상 몬스터의 레벨을 그 원래의 레벨과의 차만큼만 내린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이 카드의 레벨은 그 차만큼의 수치와 같아진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일반 소환 /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F.A.(포뮬러 애슬리트)" 필드 마법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소환되면 F.A. 필드 마법을 서치하고, 자체적인 특수 소환과 동시에 레벨 조정이 가능한 튜너. 원래 레벨보다 높은 F.A. 몬스터의 레벨을 원래 레벨과 같도록 내리면서 그 차이만큼의 레벨을 얻는 효과로 특수 소환할 수 있으며, 이 효과로 그 몬스터를 소재 조건을 만족하는 같은 레벨의 싱크로 몬스터로 치환할 수 있다. 예시로 아래의 라이트닝마스터를 뽑으려면 레벨이 7인 F.A. 몬스터에 사용하면 OK. 사실상 필드에 F.A. 몬스터가 있다면 거의 매 턴 소생 / 특소되어 필드 마법을 서치하는 게 가능하다. F.A. 필드 마법이 F.A. 몬스터들의 레벨을 올려줌과 동시에 파괴 시 서치라는 굉장히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점을 생각하면 서치 쪽만 봐도 상당히 강력한 효과인데, 다른 효과가 자체적인 특수 소환에 레벨 조정이며 거기다 '''튜너'''라 F.A.의 핵심 카드이다. 모티브는 자동차에 부착되는 네비게이션 및 차량보조장치. F.A의 사회자 내지 선수들의 보조를 담당하는 듯 하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극한의 힘|Extreme Force]] || EXFO-EN086 || [[노멀]] || 미국 || 세계 최초수록 || || [[엑스트라 팩|EXTRA PACK 2018]] || EP18-JP025 || [[레어]] || 일본 || 일본 최초수록 || || [[엑스트라 팩|EXTRA PACK 2018]] || EP18-KR025 ||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 효과 몬스터 (非 튜너) == === 레벨 4 === ==== F.A. 행온마하 ==== [[파일:F.A.ハングオンマッハ.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F.A.(포뮬러 애슬리트) 행온마하, 일어판 명칭=F.A.(フォーミュラアスリート) ハングオンマッハ, 영어판 명칭=F.A. Hang on Mach, 레벨=4, 속성=바람, 종족=기계족, 공격력=0, 수비력=1800, 효과1=①: 이 카드의 공격력은 이 카드의 레벨 × 300 올리고\, 이 카드의 레벨보다도 원래 레벨 또는 랭크가 낮은 상대 몬스터가 발동한 효과를 받지 않는다., 효과2=②: "F.A.(포뮬러 애슬리트)" 마법 / 함정의 효과가 발동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데미지 스텝에도 발동 가능). 이 카드의 레벨을 1개 올린다., 효과3=③: 이 카드의 레벨이 7 이상일 경우\, 상대 묘지로 보내지는 카드는 묘지로는 가지 않으며 제외된다.)] 효과 내성을 지닌 F.A. 몬스터. 여기서 주의해야 할 점은 완전 효과 내성이 아니라 '''[[사이버 다크 엔드 드래곤|발동한 효과 내성]]'''이라는 점. 주목할 점은 바로 ③의 효과. 조건만 갖춘다면 레벨 또는 랭크가 최소 7 미만인 몬스터가 발동한 효과를 '''받지 않는''' 최소 공격력이 2100인 [[마스크드 히어로 다크 로우]]가 탄생한다(...). 묘지자원을 많이 쓰는 현 환경상 무시무시한 효과.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선 '레벨 증강'이라는 레벨을 증가시키는 스킬이 있어 위의 조건도 쉽게 만족할 뿐더러 4000 이상의 고타점까지 챙긴 사기 카드로 등극. 그냥 작정하고 행온마하 3장, 초고렙 몬스터와 그걸 서치할 수단, 행온마하를 마함으로부터 지킬 [[금지된 성창]] 3장과 마함 제거류 다수를 섞어 덱을 짜기만 해도 듀킹을 찍을 정도다. 그냥 레벨 증강과 행온마하만 챙겨서 용병으로 투입되기까지 한다. 레벨 증강을 쓰면 패에 최소 레벨 3 몬스터만 있어도 행온마하의 레벨을 7 이상으로 만들 수 있고 지속 효과 또한 묘지 자원을 활용하는 테마 상대로 강력한 제약을 걸기 때문. 레벨 7 또는 랭크 7 미만의 몬스터가 발동한 효과를 받지 않는 것도 여러모로 부족함이 많지만 충분히 강력한 내성이다. 약점이라면 인과절단, 달의 서 같은 범용 제거 계열 마법 / 함정 카드가 있다. 이것 중 특히 대상 몬스터의 효과를 무효화시키는 [[데먼즈 체인]]이 제일 강력한 카운터. 성창으로 행온마하를 보호한다고 해도 데먼즈 체인은 지속 함정이기 때문에 성창의 효과가 지속되는 발동 턴만 넘기면 다음 턴부터 행온마하는 공격력 0의 종잇장 몬스터가 된다. 또한 발동 계열에만 내성이 있기 때문에 지속 효과 계열 몬스터들에겐 취약하다. 이런 계열중 제거 계열은 드물긴 하지만 대표적으로 [[데스티니 히어로 블루-D]]가 있다. 이쪽은 지속형 광역 무효화라서 행온마하를 무력화하기 쉽다. 타락천사가 이 카드를 사용하여 강력한 모습을 보이자 결국 5.7.0 버전부터 레벨 증강이 라이프가 3000 이하일 때 사용가능하고 턴 종료시 원래대로 돌아오도록 변경되어 선턴부터 나와 상대를 억제하는 플레이가 불가능하게 되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코드 오브 더 듀얼리스트|Code of the Duelist]] || COTD-EN087 || [[노멀]] || 미국 || 세계 최초수록 || || [[엑스트라 팩|EXTRA PACK 2017]] || EP17-JP041 || [[레어(유희왕)|레어]] || 일본 || 일본 최초수록 || || [[엑스트라 팩|EXTRA PACK 2017]] || EP17-KR041 || [[레어(유희왕)|레어]]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 [[엑스트라 팩|EXTRA PACK 2018]] || EP18-JP022 || [[노멀]] || 일본 || || || [[엑스트라 팩|EXTRA PACK 2018]] || EP18-KR022 || [[노멀]] || 한국 ||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F.A. 행온마하, version=22)] ==== F.A. 소닉마이스터 ==== [[파일:F.A.ソニックマイスター.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F.A.(포뮬러 애슬리트) 소닉마이스터, 일어판명칭=F.A.(フォーミュラアスリート)ソニックマイスター, 영어판명칭=F.A. Sonic Meister, 속성=바람, 레벨=4, 공격력=0, 수비력=1000, 종족=기계족, 효과1=①: 이 카드의 공격력은 이 카드의 레벨 × 300 올리고\, 이 카드의 레벨보다도 원래의 레벨 또는 랭크가 낮은 상대 몬스터와의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효과2=②: "F.A.(포뮬러 애슬리트)" 마법 / 함정 카드의 효과가 발동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데미지 스텝에도 발동 가능). 이 카드의 레벨을 1개 올린다., 효과3=③: 이 카드의 레벨이 7 이상일 경우\, 이 카드는 1번의 배틀 페이즈 중에 2회까지 몬스터에 공격할 수 있다.)] 전투 내성을 지닌 F.A.의 하급 몬스터. 효과 내성이 없기 때문에 필드에 남는 것 자체도 힘들고, 7레벨 효과도 단순한 더블어택 하나뿐이라 다른 F.A. 하급 몬스터들에 비해 경쟁력이 떨어진다. 그래도 F.A. 하급 몬스터들이 워낙 적어서 어느 정도는 채용되는 편. 레벨업 하지 않은 4레벨 상태에서의 공격력 / 수비력 수치는 1200 / 1000으로, [[U.A.#s-4.1.1|판타지스타]]와 동일하다. 앞서 설명한 동일한 세계관에 동일인물이라는 설정의 일환.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코드 오브 더 듀얼리스트|Code of the Duelist]] || COTD-EN086 || [[노멀]] || 미국 || 세계 최초수록 || || [[엑스트라 팩|EXTRA PACK 2017]] || EP17-JP040 || [[노멀]] || 일본 || 일본 최초수록 || || [[엑스트라 팩|EXTRA PACK 2017]] || EP17-KR040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 [[엑스트라 팩|EXTRA PACK 2018]] || EP18-JP021 || [[노멀]] || 일본 || || || [[엑스트라 팩|EXTRA PACK 2018]] || EP18-KR021 || [[노멀]] || 한국 || || ==== F.A. 윕크로서 ==== [[파일:F.A.ウィップクロッサー.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F.A.(포뮬러 애슬리트) 윕크로서, 일어판명칭=F.A.(フォーミュラアスリート)ウィップクロッサー, 영어판명칭=F.A. Whip Crosser, 속성=바람, 레벨=4, 공격력=0, 수비력=1000, 종족=기계족, 효과1=①: 이 카드의 공격력은 이 카드의 레벨 × 300 올리고\, 상대는 300 LP를 지불하지 않으면\, 이 카드의 레벨보다도 원래의 레벨 또는 랭크가 낮은 몬스터의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 효과2=②: "F.A.(포뮬러 애슬리트)" 마법 / 함정 카드의 효과가 발동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데미지 스텝에도 발동 가능). 이 카드의 레벨을 1개 올린다., 효과3=③: 이 카드의 레벨이 7 이상일 경우\, 상대는 패를 버리고 발동하는 효과 및 패를 묘지로 보내고 발동하는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 자신보다 레벨 / 랭크가 낮은 몬스터가 효과를 발동할 경우 300 [[오드아이즈 그라비티 드래곤|LP를 지불하게 만들고]], 레벨 7 이상이면 카드 효과를 발동하기 위해 패를 버리거나 묘지로 보낼 수 없게 만드는 카드. 그냥 나와도 패트랩 카드의 대부분은 300LP를 지불하고 사용하게 만들고, 7레벨 이상부터는 보통의 패트랩은 아예 봉쇄할 수 있기 때문에 채용률은 높다. ③의 효과의 경우 발동시 패를 버리는 것은 막으나 효과 처리로 패를 버리는 것은 막지 못하니 주의해야 한다. 또한, 발동시 패를 버려야 발동 가능한 카드여도 [[금지된 일적]]처럼 필드에서 묘지로 보내는 등의 발동 수단이 있는 카드라면 패를 버리지 않고 발동 가능하니 조심해야 한다. 관련 재정[* [[https://www.db.yugioh-card.com/yugiohdb/faq_search.action?ope=5&fid=7469&keyword=&tag=-1|#]] ]은 아래를 참조.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서킷 브레이크|Circuit Break]] || CIBR-EN086 || [[노멀]] || 미국 || 세계 최초수록 || || [[엑스트라 팩|EXTRA PACK 2018]] || EP18-JP023 || [[노멀]] || 일본 || 일본 최초수록 || || [[엑스트라 팩|EXTRA PACK 2018]] || EP18-KR023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 레벨 6 === ==== F.A. 터보차저 ==== [[파일:F.A.ターボチャージャー.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F.A.(포뮬러 애슬리트) 터보차저, 일어판명칭=F.A.(フォーミュラアスリート)ターボチャージャー, 영어판명칭=F.A. Turbo Charger, 속성=바람, 레벨=6, 공격력=0, 수비력=1500, 종족=기계족, 효과1=①: 이 카드의 공격력은 이 카드의 레벨 × 300 올리고\, 이 카드의 레벨보다도 원래의 레벨 또는 랭크가 낮은 상대 몬스터는\, 이 카드밖에 공격 대상으로 할 수 없으며\, 이 카드밖에 효과의 대상으로 할 수 없다., 효과2=②: "F.A.(포뮬러 애슬리트)" 마법 / 함정 카드의 효과가 발동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데미지 스텝에도 발동 가능). 이 카드의 레벨을 1개 올린다., 효과3=③: 이 카드의 레벨이 7 이상으로\, 자신의 "F.A.(포뮬러 애슬리트)" 몬스터가 전투를 실행할 경우\, 데미지 스텝 종료시까지 상대는 몬스터의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 자신보다 레벨 / 랭크가 낮은 몬스터가 다른 몬스터를 공격 / 효과의 대상으로 할 수 없게 하고, 레벨 7 이상이면 자신의 F.A. 몬스터가 전투할 때 상대 몬스터의 효과 발동을 막아주는 카드. 링크 몬스터와 이 카드보다 레벨이 낮은 몬스터를 제외한 몬스터의 효과 대상을 이 카드에 집중시킨다는 점은 쓸만하나, 이 카드의 레벨이 6이라 통상 소환이 힘든데 특소 옵션까지 없어 쓰이지 않는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서킷 브레이크|Circuit Break]] || CIBR-EN087 || [[노멀]] || 미국 || 세계 최초수록 || || [[엑스트라 팩|EXTRA PACK 2018]] || EP18-JP024 || [[노멀]] || 일본 || 일본 최초수록 || || [[엑스트라 팩|EXTRA PACK 2018]] || EP18-KR024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 레벨 7 === ==== F.A. 다크니스마스터 ==== [[파일:F.A.ダークネスマスター.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F.A.(포뮬러 애슬리트) 다크니스마스터, 일어판명칭=F.A.(フォーミュラアスリート)ダークネスマスター, 영어판명칭=F.A. Dark Dragster, 속성=어둠, 레벨=7, 공격력=0, 수비력=2000, 종족=기계족, 특수소환=, 효과외1=이 카드는 통상 소환할 수 없다. 필드에 레벨 7 이상의 "F.A.(포뮬러 애슬리트)" 몬스터가 존재하고\, 자신 몬스터 존에 "F.A.(포뮬러 애슬리트) 다크니스마스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1=①: 이 카드의 공격력은 이 카드의 레벨 × 300 올린다., 효과2=②: "F.A.(포뮬러 애슬리트)" 마법 / 함정 카드의 효과가 발동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데미지 스텝에도 발동 가능). 이 카드의 레벨을 1개 올린다., 효과3=③: 1턴에 1번\, 필드의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의 레벨을 3개 내리고\, 그 카드를 파괴한다.)] F.A. 유일의 어둠 속성 몬스터이자, 통상 소환 / 특수 소환[* 상술했듯 레벨 7의 F.A. 몬스터가 존재해야'''만''' 소환이 가능해서 조건이 만족되지 않은 상태에선 소환하는게 불가능하다.]이 불가능한 특수 소환 몬스터. 레벨 7 이상의 다른 F.A. 몬스터가 있으면 바로 나올 수 있다. 사용할 경우 주로 F.A.의 레벨 7 싱크로 몬스터인 라이트닝마스터를 소환하거나 F.A.의 4레벨 몬스터 + 오프로드 GP 또는 시티 GP를 사용한 후 효과로 레벨을 1개 올려 7레벨로 만든 후 소환하게 된다. 원래부터 레벨 7이라 그런지 레벨 7 이상에서 얻는 지속 효과가 없다. 대신 1턴에 1번 레벨을 3개 내리고 필드의 카드 1장을 파괴하는 기동 효과를 가지고 있다. 보다 능동적으로 필드를 제압할 수 있기에 효과 자체는 좋지만 은근히 쉽지 않은 소환 난이도와 효과를 발동하면 타점이 900이나 깎이는 점은 아쉬운 점. 그래도 귀중한 자체 특소 요원에 은근히 나오기 까다로울 뿐이지 여유가 있으면 나오기 쉽고 파괴 요원이라 타점은 딱 에이 아쉽다 정도다. 드래그스터는 [[드래그 레이스]]에 맞춰진 경주용 자동차를 말한다. 싱크로 몬스터인 라이트닝마스터와 비교하면 같은 레벨과 수비력, 대조적인 속성과 일러 구도, 이름을 지니고 있기에 에이스 몬스터인 라이트닝마스터의 라이벌격 존재로 보인다. 실제로 라이트닝마스터를 싱크로 소환하면 바로 나올 수 있기도 하고.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플레임즈 오브 디스트럭션|Flames of Destruction]] || FLOD-EN087 || [[레어]] || 미국 || 세계 최초수록 || || [[엑스트라 팩|EXTRA PACK 2018]] || EP18-JP026 || [[슈퍼 레어]] || 일본 || 일본 최초수록 || || [[엑스트라 팩|EXTRA PACK 2018]] || EP18-KR026 || [[슈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 싱크로 몬스터 == === 레벨 7 === ==== F.A. 라이트닝마스터 ==== [[파일:F.A.ライトニングマスター.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싱크로=, 한글판명칭=F.A.(포뮬러 애슬리트) 라이트닝마스터, 일어판명칭=F.A.(フォーミュラアスリート)ライトニングマスター, 영어판명칭=F.A. Dawn Dragster, 속성=빛, 레벨=7, 공격력=0, 수비력=2000, 종족=기계족, 소재=튜너 + 튜너 이외의 몬스터 1장 이상, 효과1=①: 이 카드의 공격력은 이 카드의 레벨 × 300 올린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수비 표시 몬스터를 공격했을 경우\, 그 수비력을 공격력이 넘은 만큼만 전투 데미지를 준다., 효과3=③: "F.A.(포뮬러 애슬리트)" 마법 / 함정 카드의 효과가 발동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데미지 스텝에도 발동 가능). 이 카드의 레벨을 1개 올린다., 효과4=④: 1턴에 1번\, 상대가 마법 / 함정 카드의 효과를 발동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의 레벨을 2개 내리고\, 그 발동을 무효로 하여 파괴한다.)] [[플레임즈 오브 디스트럭션]]에서 추가된 싱크로 몬스터로, 다크니스마스터와 마찬가지로 드래그 레이스 전용 자동차 형태의 몬스터다. 원래부터 레벨이 7이어서인지, 레벨에 관계 없이 관통 대미지를 주는 지속 효과가 붙어 있다. 2100의 타점은 아쉽지만 F.A.에선 마법의 보조를 받아 2100은 가볍게 넘는다. 그보다는 레벨을 2개 내리고 상대의 마법 / 함정을 무효로 하는 효과가 핵심이다. 효과의 발동을 무효로 하기 때문에 이미 발동된 상태의 지속 마법이나 필드 마법, 묘지에서 발동하는 효과 등도 싹 다 무효화 범위에 들어온다. 소재 제한도 딱히 없고, [[망룡의 전율-데스트루도]] 등으로 꺼내기도 쉬운 레벨 7 싱크로 몬스터라 범용성도 뛰어난 편. 덕분에 다른 덱에서 용병으로 뛰는 경우가 많다. 여담으로 소닉마이스터, 다크니스마스터와 함께 셋 뿐인 포뮬러 차량으로 다크니스마스터가 라이벌 측이라는 설정을 생각하면 소닉 마이스터의 후속기인 모양이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플레임즈 오브 디스트럭션|Flames of Destruction]] || FLOD-EN088 || [[레어]] || 미국 || 세계 최초수록 || || [[엑스트라 팩|EXTRA PACK 2018]] || EP18-JP028 || [[울트라 레어]] || 일본 || 일본 최초수록 || || [[엑스트라 팩|EXTRA PACK 2018]] || EP18-KR028 || [[울트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 레벨 9 === ==== F.A. 홈트랜스포터 ==== [[파일:F.A.ホームトランスポーター.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싱크로=, 한글판명칭=F.A.(포뮬러 애슬리트) 홈트랜스포터, 일어판명칭=F.A.(フォーミュラアスリート)ホームトランスポーター, 영어판명칭=F.A. Motorhome Transport, 속성=빛, 레벨=9, 공격력=0, 수비력=3000, 종족=기계족, 소재=튜너 + 튜너 이외의 몬스터 1장 이상, 효과1=①: 이 카드의 공격력은 이 카드의 레벨 × 300 올린다., 효과2=②: "F.A.(포뮬러 애슬리트)" 마법 / 함정 카드의 효과가 발동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데미지 스텝에도 발동 가능). 이 카드의 레벨을 1개 올린다., 효과3=③: 이 카드는\, 이 카드의 레벨에 따라 이하의 효과를 얻는다., 효과4=●레벨 11 이상: 이 카드는 전투 / 효과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효과5=●레벨 13 이상: 1턴에 1번\, 자신 묘지의 "F.A.(포뮬러 애슬리트)"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레벨 11 이상이면 파괴 내성을 얻고 13 이상이면 1턴에 1번 자신 묘지의 F.A. 몬스터를 소생시키는 강력한 효과를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 자체에는 소환 제약과 효과 명칭 제한이 없어서 같은 이름의 카드를 소생시키고 13레벨 이상으로 만들어 다시 소생시키는 효과를 발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개는 힘들 것 같은데 이 카드를 11레벨 이상으로 올릴 수 있을 것 같을 때는 파괴 내성을 가진 벽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13레벨 이상으로 올릴 수 있을 때는 소생을 통한 추가 전개로 타점을 늘려 피니셔로서 사용된다. 여담으로 효과 텍스트에서 그 [[NO(유희왕)|NO]]의 랭크 13인 에테릭 아멘조차 지정하지 않았던 "레벨 '''13'''"을 언급하고 있는 최초의 카드이기도 하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극한의 힘|Extreme Force]] || EXFO-EN087 || [[노멀]] || 미국 || 세계 최초수록 || || [[엑스트라 팩|EXTRA PACK 2018]] || EP18-JP027 || [[레어]] || 일본 || 일본 최초수록 || || [[엑스트라 팩|EXTRA PACK 2018]] || EP18-KR027 ||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 링크 몬스터 == === 링크 2 === ==== F.A. 샤이닝스타 GT ==== [[파일:F.A.シャイニングスターGT.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링크=, 한글판명칭=F.A.(포뮬러 애슬리트) 샤이닝스타 GT, 일어판명칭=F.A.(フォーミュラアスリート)シャイニングスターGT(ジーティ), 영어판명칭=F.A. Shining Star GT, 속성=빛, 레벨=2, link1=, link3=, 공격력=0, 종족=기계족, 소재=기계족 몬스터 2장,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④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의 공격력은\, 이 카드의 링크 앞의 "F.A.(포뮬러 애슬리트)" 몬스터의 레벨의 합계 × 300 올린다., 효과2=②: 이 카드의 전투로 발생하는 서로의 전투 데미지는 0 이 된다., 효과3=③: "F.A.(포뮬러 애슬리트)" 마법 / 함정 카드의 효과가 발동했을 경우에 발동한다. 이 카드에 애슬리트 카운터를 1개 놓는다., 효과4=④: 상대가 몬스터의 효과를 발동했을 때\, 이 카드의 애슬리트 카운터를 1개 제거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발동을 무효로 하고 파괴한다.)] 레벨 관련 효과가 메인인 F.A. 유일의 링크 몬스터로, 레벨이 없어 공통 효과는 비슷하지만 다른 형태로 되어 있다. 레벨만큼 공격력을 올리는 효과는 링크 앞의 F.A. 몬스터의 레벨의 합계 × 300으로, F.A. 마법 / 함정의 효과를 발동하면 레벨을 1개 올리는 효과는 애슬리트 카운터를 1개 놓는 효과로 되었으며 강제 효과가 되었다. 링크 앞의 F.A. 몬스터의 타점을 합산하는 효과와 애슬리트 카운터를 1개 제거하고 발동하는 효과가 핵심. 다만 이 카드로는 전투 대미지를 줄 수 없어 피니셔로 사용하진 못한다. 또한 이 카드를 제대로 사용하기 위해선 링크 소환을 위한 기계족 몬스터 2장, 링크 마커 앞에 있을 F.A. 몬스터 1장 이상, 카운터를 쌓기 위한 F.A. 마법 / 함정 1장 이상인 최소 4장 이상의 자원이 요구된다. 때문에 어느정도 진행된 판에서 자원이 충분한데 싱크로 소환은 곤란할 경우 높은 타점과 몬스터 효과 무효를 살려 몬스터 위주의 상대 빌드 돌파로 사용하게 된다. GT는 [[그랜드 투어러]]의 약자로 차량의 등급의 일종. 그 유명한 [[그란 투리스모]]와 같다. 그렇지만 일반적인 GT 사양의 차량이 추구하는 바와 달리 포뮬러 애슬리트라는 이름에 어울리게 포뮬러 디자인으로 등장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라이징 램페이지|Rising Rampage]] || RIRA-EN097 || [[노멀]] || 미국 || 세계 최초수록 || || [[엑스트라 팩|EXTRA PACK 2018]] || EP18-JP020 || [[시크릿 레어]] || 일본 || 일본 최초수록 || || [[엑스트라 팩|EXTRA PACK 2018]] || EP18-KR020 || [[시크릿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 마법 카드 == === F.A. 서킷 GP === [[파일:F.A.サーキットGP.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필드=, 한글판 명칭=F.A.(포뮬러 애슬리트) 서킷 GP(그랑프리), 일어판 명칭=F.A.(フォーミュラアスリート)サーキットGP(グランプリ), 영어판 명칭=F.A. Circuit Grand Prix,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③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필드 존에 존재하는 한\, 필드의 "F.A.(포뮬러 애슬리트)" 몬스터의 레벨은 배틀 페이즈 동안에만 2개 올라간다., 효과2=②: 1턴에 1번\, 자신의 "F.A.(포뮬러 애슬리트)" 몬스터가 전투로 상대 몬스터를 파괴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은 덱에서 1장 드로우한다., 효과3=③: 필드의 앞면 표시의 이 카드가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F.A.(포뮬러 애슬리트) 서킷 GP(그랑프리)" 이외의 "F.A.(포뮬러 애슬리트)"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①의 효과는 배틀 페이즈 한정으로 레벨을 2개 올리는 지속 효과. 레벨에 따라 타점은 물론 지속 효과까지 따라붙을 수 있기 때문에 아래의 ②의 효과와 같이 꽤 유용하다. ②의 효과는 드로우 보조. 이 효과의 발동도 F.A. 마법 효과의 발동이라 전투로 몬스터를 파괴하면 드로우하며 필드의 F.A. 몬스터들도 강화되는 진풍경을 볼 수 있다. ③의 효과는 필드로서는 다소 드문 유언계 서치 효과. F.A. 필드 마법이라면 공통적으로 가진 효과이기도 하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코드 오브 더 듀얼리스트|Code of the Duelist]] || COTD-EN088 || [[노멀]] || 미국 || 세계 최초수록 || || [[엑스트라 팩|EXTRA PACK 2017]] || EP17-JP042 || [[노멀]] || 일본 || 일본 최초수록 || || [[엑스트라 팩|EXTRA PACK 2017]] || EP17-KR042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 [[엑스트라 팩|EXTRA PACK 2018]] || EP18-JP029 || [[노멀]] || 일본 || || || [[엑스트라 팩|EXTRA PACK 2018]] || EP18-KR029 || [[노멀]] || 한국 || || === F.A. 다운포스 === [[파일:F.A.ダウンフォース.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속공=, 한글판 명칭=F.A.(포뮬러 애슬리트) 다운포스, 일어판 명칭=F.A.(フォーミュラアスリート)ダウンフォース, 영어판 명칭=F.A. Downforce,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의 "F.A.(포뮬러 애슬리트)"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레벨을 턴 종료시까지 2개 올린다., 효과2=②: 자신 메인 페이즈에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자신 필드의 "F.A.(포뮬러 애슬리트)"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레벨을 턴 종료시까지 2개 올린다. 이 효과는 이 카드가 묘지로 보내진 턴에는 발동할 수 없다.)] ①의 효과는 일시적인 레벨 상승 효과. F.A. 몬스터들의 공통효과인 레벨 상승 효과를 생각하면 실질적으로 레벨이 3개 오르는 셈이다. ②의 효과는 묘지에서 발동하는 레벨 상승 효과. 자신 메인 페이즈에만 발동할 수 있다는 점이 아쉽다. [[다운포스]]는 양력의 반대로, 고속으로 달리는 차체가 공기저항으로 인한 유압으로 인해 아래로 눌리는 힘을 받는 것을 말한다. 너무 약하면 차체가 떠서 미끄러지거나 뒤집어질 수 있기에 꽤나 중요한 요소 중 하나. 일러스트에서는 다운포스를 극강으로 활용한 소닉 마이스터가 벽을 주행해(...) 다른 차를 추월하고 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코드 오브 더 듀얼리스트|Code of the Duelist]] || COTD-EN089 || [[노멀]] || 미국 || 세계 최초수록 || || [[엑스트라 팩|EXTRA PACK 2017]] || EP17-JP043 || [[노멀]] || 일본 || 일본 최초수록 || || [[엑스트라 팩|EXTRA PACK 2017]] || EP17-KR043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 [[엑스트라 팩|EXTRA PACK 2018]] || EP18-JP032 || [[노멀]] || 일본 || || || [[엑스트라 팩|EXTRA PACK 2018]] || EP18-KR032 || [[노멀]] || 한국 || || === F.A. 오프로드 GP === [[파일:F.A.オフロードGP.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필드=, 한글판 명칭=F.A.(포뮬러 애슬리트) 오프로드 GP(그랑프리), 일어판 명칭=F.A.(フォーミュラアスリート)オフロードGP(グランプリ), 영어판 명칭=F.A. Off-Road Grand Prix,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②③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필드 존에 존재하는 한\, 필드의 "F.A.(포뮬러 애슬리트)" 몬스터의 레벨은 메인 페이즈 동안에만 2개 올라간다., 효과2=②: 자신의 "F.A.(포뮬러 애슬리트)" 몬스터가 전투로 파괴되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상대의 패를 무작위로 1장 골라 버린다., 효과3=③: 필드의 앞면 표시의 이 카드가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F.A.(포뮬러 애슬리트) 오프로드 GP(그랑프리)" 이외의 "F.A.(포뮬러 애슬리트)"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①의 효과는 메인 페이즈 한정으로 레벨을 2개 올리는 지속 효과. 배틀 페이즈에서의 타점 증가는 노릴 수 없지만 행온마하나 라이트닝마스터 등 상대의 움직임을 봉쇄하는 효과를 지닌 카드와 함께 있다면 ②의 효과로 상대에게 양자택일을 강요할 수 있다. ②의 효과는 전투로 파괴되면 상대의 패를 1장 무작위로 버리는 효과. 상대의 패를 건드는 효과라 그런지 필드 마법의 ②의 효과로서 유일하게 명칭 제약으로 1턴에 1번만 발동할 수 있으며 무작위 1장이므로 운에 기대는 면도 있다. ③의 효과는 F.A. 필드 마법 공통의 서치 효과. 일러스트에서는 오프로드를 달리는 트랙의 특성에 맞춰 윕크로서와 터보차저가 선두를 달리고 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서킷 브레이크|Circuit Break]] || CIBR-EN088 || [[노멀]] || 미국 || 세계 최초수록 || || [[엑스트라 팩|EXTRA PACK 2018]] || EP18-JP030 || [[노멀]] || 일본 || 일본 최초수록 || || [[엑스트라 팩|EXTRA PACK 2018]] || EP18-KR030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 F.A. 피트스톱 === [[파일:F.A.ピットストップ.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속공=, 한글판 명칭=F.A.(포뮬러 애슬리트) 피트스톱, 일어판 명칭=F.A.(フォーミュラアスリート)ピットストップ, 영어판 명칭=F.A. Pit Stop,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의 "F.A.(포뮬러 애슬리트)"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레벨을 2개 내리고\, 자신은 자신 묘지의 "F.A.(포뮬러 애슬리트) 피트스톱"의 수 + 1장을 덱에서 드로우한다., 효과2=②: 자신 메인 페이즈에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자신 묘지의 "F.A.(포뮬러 애슬리트)"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는 이 카드가 묘지로 보내진 턴에는 발동할 수 없다.)] ①의 효과는 F.A. 몬스터의 레벨을 2개 낮추고 묘지의 같은 이름의 카드 수 +1장을 드로우하는 효과. F.A. 몬스터의 공통효과를 고려하면 실질적으로는 1개만 낮추는 셈. 발동 메커니즘은 [[고블린의 운영 실력]]과 같기 때문에 관련된 콤보는 해당 문서 참조. 발동 조건이 비교적 간단하고 후반으로 갈수록 다수의 카드를 드로우 가능한 기대값이 있지만 필드에 F.A. 몬스터의 레벨이 줄어든다는 건 곧 타점이 줄어드는 것과 같아 활용하기 힘들 때도 있다. ②의 효과는 이 카드를 묘지에서 제외하고 묘지의 F.A. 몬스터를 소생시키는 효과. 그냥 사용해도 좋은 효과이지만 싱크로 몬스터인 홈트랜스포터가 나와 포텐셜이 훌쩍 뛰었다. 다만 이 효과를 사용하면 다음에 사용할 피트스톱의 드로우 매수가 줄어드는 점이 아쉽다. 속공 마법이라는 점을 살려서 세크리파이스 이스케이프 비슷하게 사용할 수도 있다. 상대가 파괴하기 위해 지정한 F.A. 몬스터의 레벨을 낮추고 드로우만 하는 식으로. 모티브는 [[포뮬러 1]]의 피트. 피트에서 이루어지는 정비를 드로우와 소생 효과로 표현한 듯 하며, 일러스트에서는 소닉 마이스터가 정비를 받고 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서킷 브레이크|Circuit Break]] || CIBR-EN089 || [[노멀]] || 미국 || 세계 최초수록 || || [[엑스트라 팩|EXTRA PACK 2018]] || EP18-JP033 || [[레어]] || 일본 || 일본 최초수록 || || [[엑스트라 팩|EXTRA PACK 2018]] || EP18-KR033 ||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 F.A. 시티 GP === [[파일:F.A.シティGP.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필드=, 한글판 명칭=F.A.(포뮬러 애슬리트) 시티 GP(그랑프리), 일어판 명칭=F.A.(フォーミュラアスリート)シティGP(グランプリ), 영어판 명칭=F.A. City Grand Prix,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③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필드 존에 존재하는 한\, 필드의 "F.A.(포뮬러 애슬리트)" 몬스터의 레벨은 메인 페이즈 및 배틀 페이즈 동안에만 2개 올라간다., 효과2=②: 자신 필드의 "F.A.(포뮬러 애슬리트)" 몬스터는 상대 효과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 효과3=③: 필드의 앞면 표시의 이 카드가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F.A.(포뮬러 애슬리트) 시티 GP(그랑프리)" 이외의 "F.A.(포뮬러 애슬리트)"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F.A.의 3번째 필드 마법이자 마지막 필드 마법. 마지막 무대여서인지 다른 필드 마법 이상으로 화끈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①의 효과는 공통적인 레벨을 2개 올리는 효과지만, 메인 페이즈와 배틀 페이즈 모두 적용된다. 서킷 GP와 오프로드 GP의 상위 호환 효과인 셈. ②의 효과는 자신의 F.A. 한정으로 효과 대상 내성을 부여하는 것. 다른 두 필드 마법과 비교하면 필드에서 효과를 발동해 레벨을 올리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필드의 안정성을 높여준다는 장점이 존재한다. ③의 효과는 다른 필드 마법과 같은 공통적인 유언계 서치 효과. 일러스트에서는 소닉마이스터가 경기중 사고가 났는지 대파되어있다. 이후 홈트랜스포터로 회수되고, 수리와 개조를 받거나 혹은 아예 새로운 머신을 개발하여 라이트닝마스터로 출전하는 것으로 보인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극한의 힘|Extreme Force]] || EXFO-EN088 || [[노멀]] || 미국 || 세계 최초수록 || || [[엑스트라 팩|EXTRA PACK 2018]] || EP18-JP031 || [[노멀]] || 일본 || 일본 최초수록 || || [[엑스트라 팩|EXTRA PACK 2018]] || EP18-KR031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 F.A. 셰이크다운 === [[파일:F.A.シェイクダウ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속공=, 한글판 명칭=F.A.(포뮬러 애슬리트) 셰이크다운, 일어판 명칭=F.A.(フォーミュラアスリート)シェイクダウン, 영어판 명칭=F.A. Test Run,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의 "F.A.(포뮬러 애슬리트)"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표시 형식을 변경한다. 그 후\, 필드의 카드 1장을 고르고 파괴한다., 효과2=②: 자신 메인 페이즈에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의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파괴하고\, 덱에서 "F.A.(포뮬러 애슬리트)"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는 이 카드가 묘지로 보내진 턴에는 발동할 수 없다.)] ①의 효과는 자신 필드의 F.A. 몬스터의 표시 형식을 변경하고 필드의 카드 1장을 골라 파괴하는 효과. 공격력이 낮은 F.A. 몬스터를 수비 표시로 돌려 전투 피해를 최소화 하는 것은 물론, 비대상 파괴 효과도 있어 위기 대처 능력을 상당히 높여준다. ②의 효과는 자신 필드의 카드를 파괴하고 '''덱'''에서 F.A.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는 효과. 주로 자신의 필드 마법을 파괴하여 서치 효과를 활용하게 된다. 비대상 파괴를 통한 견제와 덱 특소라는, F.A.에 필요한 옵션들로만 꽉꽉 채운 훌륭한 카드. F.A.를 운용할 때 정말 중요한 카드이다. 일러스트에서는 카네비게이터와 함께 라이트닝마스터의 주행 시뮬레이션이 이루어지고 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극한의 힘|Extreme Force]] || EXFO-EN089 || [[노멀]] || 미국 || 세계 최초수록 || || [[엑스트라 팩|EXTRA PACK 2018]] || EP18-JP034 || [[레어]] || 일본 || 일본 최초수록 || || [[엑스트라 팩|EXTRA PACK 2018]] || EP18-KR034 ||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 F.A. 위너즈 === [include(틀:유희왕/OCG/전투 외 승리)] [[파일:F.A.ウィナーズ.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지속=, 한글판 명칭=F.A.(포뮬러 애슬리트) 위너즈, 일어판 명칭=F.A.(フォーミュラアスリート)ウィナーズ, 영어판 명칭=F.A. Winners,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에 "F.A.(포뮬러 애슬리트)"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이 카드는 상대 효과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효과2=②: 원래의 레벨보다 5 이상 높은 레벨을 가지는 자신의 "F.A.(포뮬러 애슬리트)" 몬스터가 상대 몬스터와의 전투로 상대에게 전투 데미지를 주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패 / 필드 / 묘지의 카드 1장을 고르고 제외한다. "F.A.(포뮬러 애슬리트) 위너즈"의 효과로 제외된 자신의 "F.A.(포뮬러 애슬리트)" 필드 마법이 3종류 모였을 때\, 자신은 듀얼에서 승리한다.)] 뜬금없이 추가된 특수 승리 효과 카드. 일러스트에선 라이트닝마스터의 파일럿이 우승 트로피를 들어올리고 있고, [[U.A.]] 선수들과 다른 파일럿 등 동료들이 축하하고 있다. 효과를 생각하면 전용 경기장 경기(서킷 GP), 비포장 도로 경기(오프로드 GP), 도시 내 도로 경기(시티 GP)를 전부 제패한 3관왕을 나타내는 것 같은... 아니, '''그 3관왕을 표현하기 위한 효과로만 이루어진''' 극한의 컨셉 카드다. F.A. 몬스터가 존재하면 파괴 내성이 생기는 걸 제외하면, 사실상 자신의 카드를 제외하기 위한 효과밖에 없는 카드. 오로지 특수 승리 효과를 위해 자신의 카드를 제외하는 효과'''만''' 탑재된 것도 비효율인데, 그 효과의 발동 조건마저 원래 레벨보다 5 이상 높은 레벨의 F.A. 몬스터로 상대 몬스터와 전투해 전투 대미지를 주는 것으로 꽤 어렵다. 전투 능력이 아예 없는 카네비게이터를 제외하면 4레벨의 몬스터로 따져도 9, 다크니스마스터나 라이트닝마스터라면 12레벨에서 상대 몬스터와의 전투로만 3번이나 전투 대미지를 줘야 한다는 건데, 그 정도 레벨이 오른 상태면 전투로 상대 라이프를 0으로 만드는 게 더 빠르다. 그리고 단순히 3종류를 제외하면 되는 것도 아니고, 이 카드의 효과로 필드 마법 3종류를 제외해야 해서 다른 방법으로 제외하면 조건이 충족되지 않는다. 거기다 이 제외 효과는 명칭 제약으로 1턴에 1번 제한이 걸려 있어 아무리 잘 풀려봤자 3턴이나 걸리며, 한술 더 떠 그 필드 마법이 제외된 상태에서 벗어나면 다시 제외해야 한다! 스스로 가지는 내성도 파괴 내성 뿐이라 파괴 이외의 방법에는 제거되어 정말로 3턴밖에 안 걸리긴 쉽지 않다. 결론은 100% 로망을 위한 설정놀음 전용 카드. 조금이라도 실전적인 방향으로 F.A. 덱을 짠다면 투입될 이유가 전혀 없고 카드 간의 설정 때문에 효용성이 낮게 나온 카드들이 아무리 많았더라도 이 카드 앞에선 한 수 접고 들어갈 수밖에 없는 수준이다. 일러스트에서는 3관왕을 차지한 U.A. 판타지스타가 트로피를 치켜들고 기뻐하고 있으며, 주변에서는 다른 U.A.의 동료들도 찾아와 함께 승리를 축하해주고 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플레임즈 오브 디스트럭션|Flames of Destruction]] || FLOD-EN089 || [[레어]] || 미국 || 세계 최초수록 || || [[엑스트라 팩|EXTRA PACK 2018]] || EP18-JP035 || [[노멀]] || 일본 || 일본 최초수록 || || [[엑스트라 팩|EXTRA PACK 2018]] || EP18-KR035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 [[U.A.#U.A. 하이퍼 스타디움|U.A. 하이퍼 스타디움]] === === [[U.A.#U.A. 락커 룸|U.A. 락커 룸]] === == 함정 카드 == === F.A. 데드 히트 === [[파일:F.A.デッド・ヒート.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지속=, 한글판 명칭=F.A.(포뮬러 애슬리트) 데드 히트, 일어판 명칭=F.A.(フォーミュラアスリート)デッド・ヒート, 영어판 명칭=F.A. Dead Heat,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상대 몬스터의 직접 공격 선언시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F.A.(포뮬러 애슬리트)"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자신의 "F.A.(포뮬러 애슬리트)" 몬스터가 상대 몬스터와 전투를 실행하는 데미지 계산 전에 1번\, 발동할 수 있다. 서로 주사위를 1회씩 던진다. 자신의 나온 눈이 상대보다도 클 경우\, 그 전투를 실행하는 자신 몬스터의 레벨을 턴 종료시까지 4개 올린다. 자신의 나온 눈이 상대보다 작을 경우\, 그 자신 몬스터를 파괴한다. 나온 눈이 같을 경우\, 주사위를 다시 던진다.)] 상대의 직접 공격에 반응해 F.A. 몬스터를 덱에서 꺼내고 운에 따라 F.A. 몬스터를 강화시키는 카드. 덱에서 특수 소환하는 효과 자체는 나쁘지 않지만 발동 조건이 상대 몬스터의 직접 공격 선언시라는 점이 문제다. 함정인 것을 감안해도 발동 조건이 제한적이라 잘 풀린 판이면 쓸 수가 없다. ②의 효과는 데미지 계산 전에 발동 가능하며 주사위를 던져 상대보다 높은 눈이 나오면 그 자신 몬스터의 레벨을 턴 종료시까지 4개 올리는 효과. F.A. 몬스터의 공통 효과를 생각하면 사실상 공격력이 1200 + 300 올라간다. 다만 낮은 눈이 나오면 파괴시킨다. 다행인 점은 ②의 효과 시점이 데미지 계산 전이라 파괴되어도 리플레이는 발생하지 않아서 상대 몬스터의 공격권은 소모된다. 상황에 따라 운을 시험한다 생각하면 되는 효과인 셈. 데드 히트는 막상막하의 상황이라는 뜻으로 일러스트에서도 라이트닝마스터가 다크니스마스터를 바싹 따라붙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플레임즈 오브 디스트럭션|Flames of Destruction]] || FLOD-EN090 || [[노멀]] || 미국 || 세계 최초수록 || || [[엑스트라 팩|EXTRA PACK 2018]] || EP18-JP036 || [[노멀]] || 일본 || 일본 최초수록 || || [[엑스트라 팩|EXTRA PACK 2018]] || EP18-KR036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 F.A. 오버 히트 === [[파일:F.A.オーバー・ヒート.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한글판 명칭=F.A.(포뮬러 애슬리트) 오버 히트, 일어판 명칭=F.A.(フォーミュラアスリート)オーバー・ヒート, 영어판 명칭=F.A. Overheat,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상대 필드에만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패에서 "F.A.(포뮬러 애슬리트)"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의 레벨은 턴 종료시까지 3개 올라간다., 효과2=②: 자신의 필드 존에 카드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패 / 묘지에서 "F.A.(포뮬러 애슬리트)" 필드 마법 카드 1장을 고르고 발동한다.)] 상대 필드에만 몬스터가 있어야 패에서 꺼낼 수 있고 함정이라는 특성상 기본적으로 세트한 후 다음 턴부터 발동 가능해 발동 조건이 제한적이다. ②의 효과가 핵심으로 자신의 필드 마법이 없을 경우 패 / 묘지에서 F.A. 필드 마법을 발동시킨다. 필드 마법을 여러번 플레이하는 F.A.에선 재활용 효과가 운용에 충분히 도움을 준다. ②의 효과는 좋지만 ①의 효과 발동 조건이 제한적이라 채용에는 호불호가 갈린다. 일러스트에서는 라이트닝마스터가 간발의 차로 다크니스마스터를 제치고 먼저 골인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정황상 데드 히트의 다음 장면이며 이 다음 장면이 위너스인 듯 하다. 오버히트는 과열이라는 뜻으로, 일러스트는 엔진을 오버히트 시켜 아슬아슬하게 결승선을 앞지른 상황을 표현하고 있다. [[신세기 GPX 사이버 포뮬러]] SIN 최종 레이스의 오마쥬인 듯.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플레임즈 오브 디스트럭션|Flames of Destruction]] || FLOD-EN091 || [[레어]] || 미국 || 세계 최초수록 || || [[엑스트라 팩|EXTRA PACK 2018]] || EP18-JP037 || [[노멀]] || 일본 || 일본 최초수록 || || [[엑스트라 팩|EXTRA PACK 2018]] || EP18-KR037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 [[U.A.#U.A. 맨 오브 더 매치|U.A. 맨 오브 더 매치]] === == 참조 카드 == * [[메탈포제]] 메탈포제 카드들이 자신의 카드를 파괴하면서 벌어오는 어드밴티지와 F.A 필드 마법이 파괴되면 서치해오는 효과와 궁합이 좋다. * [[원 포 원]], [[테라포밍]] F.A. 필드마법을 쉽게 가져올 수 있는 카드. 원 포 원은 카네비게이터를 특수 소환하여 효과를 발동하면 된다. * [[피리 레이스의 지도(유희왕)|피리 레이스의 지도]] F.A. 몬스터들은 기본적으로 공격력이 모두 0이며 효과로 공격력이 정해지기 때문에 F.A. 몬스터면 전부 덱에서 가져올 수 있다. * [[고대 요정 드래곤]] 에라타를 통해 가석방된 카드. 파괴한 카드와 같은 카드는 서치할 수 없게 됐지만 필드 마법을 여러장 쓰는 이 테마에선 그리 문제되진 않는다. * [[가든 로즈 플로라]] 필드의 필드 마법을 파괴하고 2레벨 토큰 1장을 특수 소환해 7레벨 싱크로로 이을 수 있는 5레벨 싱크로 튜너 몬스터. 카네비게이터와 4레벨 F.A. 몬스터를 통해 쉽게 소환할 수 있으며 F.A. 필드 마법은 파괴되면 자신 이외의 F.A. 카드 1장을 서치하는 효과를 지녀 궁합이 좋다. * [[링크리보]], [[새크리파이스 아니마]], [[샐러맨그레이트 알미라지]] 카네비게이터를 소재로 하여 묘지로 보내고 레벨이 오른 F.A. 몬스터를 대상으로 소생하여 추가적인 전개를 하거나 각각의 효과가 필요한 경우 소환하게 된다. * [[마셔링 필드]] 자신 필드의 기계족 몬스터의 레벨을 최대 9까지 한꺼번에 올릴 수 있는 함정 카드. 단숨에 공격력을 2700으로 올리며 부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대신 기계족 몬스터만 특수 소환이 가능하지만 모든 F.A. 몬스터들은 기계족이라 덱 구성에 신경쓴다면 크게 문제되지 않는다. 레벨을 통일하는 효과라 사용한다면 싱크로 위주의 F.A.에서 고랭크 기계족 엑시즈 몬스터를 꺼낼 수도 있다. [[분류:유희왕/OCG/카드군]][[분류:유희왕/OCG/기계족]][[분류:유희왕/OCG/싱크로 소환]][[분류:유희왕/OCG/링크 소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