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카일리 미노그/음반 목록)] ---- ||<-5> [[카일리 미노그#s-4.1|{{{#000000 '''카일리 미노그의 정규 앨범 (발매일순)'''}}}]] || || {{{#000000 '''정규 1집'''}}}[br][[Kylie|{{{#!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000000; font-size: 0.865em; color: #FFFFFF; letter-spacing: -0.2px" '''Kylie'''}}}]][br]{{{-2 {{{#000000 (1988)}}}}}} || {{{+1 →}}} || {{{#FFFFFF '''정규 2집'''}}}[br][[Enjoy Yourself|{{{#!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00BFFF; font-size: 0.865em; color: #FFFFFF; letter-spacing: -0.2px" '''Enjoy Yourself'''}}}]][br]{{{-2 {{{#FFFFFF (1989)}}}}}} || {{{+1 →}}} || {{{#B8860B '''정규 3집'''}}}[br][[Rhythm of Love|{{{#!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B8860B; font-size: 0.865em; color: #FFFFFF; letter-spacing: -0.2px" '''Rhythm of Love'''}}}]][br]{{{-2 {{{#B8860B (1990)}}}}}} || ||||
[[카일리 미노그|[[파일:imageedit_6_7210200091.png|width=100]]]] || |||| [[Enjoy Yourself|[[파일:imageedit_2_4248141587.png|width=130]]]] || |||| {{{#!wiki style="margin:-6px -10px" [[파일:KylieMinogue_EnjoyYourself_Album.jpg|width=100%]]}}} || ||<:><#fff>'''{{{#000000 발매일}}}'''||<#ffffff>'''1989년 10월 9일'''|| ||<:><#fff>'''{{{#000000 장르}}}'''||<#ffffff>[[댄스 팝]]|| ||<:><#fff>'''{{{#000000 레이블}}}'''||<#ffffff>PWL|| ||<:><#fff>'''{{{#000000 프로듀서}}}'''||<#ffffff>[[스톡 에이트켄 워터맨|Stock Aitken Waterman]]|| [목차] == 개요 == [[카일리 미노그]]의 2번째 정규 앨범. 데뷔 앨범 <[[Kylie]]>에 이어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카일리의 마지막 [[틴 팝]] 앨범. == 제작 및 발매 과정 == 카일리는 1988년 데뷔 앨범 [[Kylie]]가 영국에서 연간 1위를 기록하며 큰 인기를 얻자 1989년 봄부터 새 앨범을 제작하기 시작하였다. 앨범 제작 방식은 매우 비슷하게 [[스톡 에이트켄 워터맨]]이 전 곡을 작사 작곡하였으며 첫 싱글곡의 뮤직비디오 역시 호주에서 촬영되었다. 이 시기는 카일리가 드라마 'Neighbours' 에서 하차한 시기이기도 하다. 카일리는 가수 활동을 진행하며 드라마 속 배역 '샬린' 이 아닌 [[카일리 미노그]]라는 사람을 대중들에게 인지 시키기 위해 노력해왔는데, 그렇다고 드라마에 대한 애정이 식은 것은 전혀 아니였다. 그러나 앨범이 성공하고 편도로만 24시간 이상이 걸리는 [[호주]]와 [[영국]]을 오가는 고된 스케줄에 지친 카일리는 약 6개월 간 고민한 끝에 드라마에서 하차한다.[* 너무나도 인기있는 드라마였기에 주변 사람들 모두가 말렸었다고 한다.] 이때부터 카일리는 호주를 떠나 활동 거점을 영국으로 아예 옮기게 되었으며, [[배우]]보다 [[가수]] 활동을 본업으로 지금까지 활동하고 있다. 앨범은 비평가들로 부터는 좋은 평을 듣지 못했는데, 전작을 그대로 답습하였다는 사실을 그 누구도 부정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와 별개로 전 작 못지 않은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으며 수 많은 히트 싱글을 배출했다. 안타깝게도 미국에서는 인기를 끌지 못해 이후 카일리가 지금까지도 적극적으로 미국 활동을 진행하지 않는 시발점이 된 앨범이다. == 트랙리스트 == ||||||<:>
{{{#FFFFFF '''Enjoy Yourself'''}}}|| ||<:>{{{#FFFFFF 트랙}}}||<:>{{{#FFFFFF 제목}}}[* 굵은 글씨는 정식 싱글 컷 한 곡.]||<:>{{{#FFFFFF 길이}}}|| ||<:>1||<#fff>'''Hands on Your Heart'''||<:>3:51|| ||<:>2||<#fff>'''Wouldn't Change a Thing'''||<:>3:14|| ||<:>3||<#fff>'''Never Too Late'''||<:>3:22|| ||<:>4||<#fff>Nothing to Lose||<:>3:21|| ||<:>5||<#fff>Tell Tale Signs||<:>2:26|| ||<:>6||<#fff>My Secret Heart||<:>2:41|| ||<:>7||<#fff>I'm Over Dreaming (Over You)||<:>3:23|| ||<:>8||<#fff>'''Tears on My Pillow'''||<:>2:30|| ||<:>9||<#fff>Heaven and Earth||<:>3:44|| ||<:>10||<#fff>Enjoy Yourself||<:>3:45|| ||<:>총길이||<#fff>'''10곡''' ||<:>'''32:56'''|| 미국과 캐나다반에는 제이슨 도노반과 듀엣으로 불러 1위를 기록한 곡 'Especially For You' 가 실려있다. 그 이외의 지역에서는 제이슨 도노반의 'Ten Good Reasons' 앨범에 수록되었다. == 성적 == ||
<:>{{{#white 차트명}}}||{{{#white 피크 순위 (피크 유지 기간/차트 인 기간) }}}|| ||<:><#fff> [[Official Charts|UK Albums]] || '''1위(1주 / 33주 차트 인)''' || ||<:><#fff> [[Australia]] AR1A Albums || '''9위''' || * 영국에서는 선주문만으로 더블 플래티넘에 해당하는 60만장이 팔려나갔다. 당연히 첫 주 1위로 진입했으며, 총 33주간 120만장을 팔아 [[1989년]] 연간 차트 6위를 기록하며 대박 행진을 이어갔다. * 영국으로 활동 거점을 아예 옮긴 탓에 호주에서의 홍보 활동이 거의 진행되지 않았고 결국 호주에서는 최고 순위 9위를 기록하는데 그쳤다. 결론적으로 플래티넘 인증을 받는데는 성공하였다. == 싱글 == === Hands on Your Heart [[https://youtu.be/ASeXesFm3MI|#]] === 1989년 4월 24일 발매된 리드 싱글. 노래 제목과 마찬가지로 '가슴에 손을 얹고 나를 진정 사랑하는지 말해달라' 는 메시지를 담은 곡이다. 'I Should Be So Lucky'에 이어 두번째 영국 1위곡이 되었다. 영국 연간 차트 10위에 오르며 큰 인기를 얻었지만 [[Kylie|1집]] 싱글들이 전부 다 너무 아이코닉하다보니 초기 히트곡들 중 상대적으로 인지도는 떨어진다.[* 사실 2집 자체가 당시 히트 한 정도에 비해 오늘날 크게 존재감이 없다. 컨셉이 비슷한 [[Kylie|1집]]은 성적과 상징성이 2집보다 훨씬 크고, [[Rhythm of Love|3집]]은 히트곡들이 모두 오늘날 카일리의 이미지와 맞는 섹시 컨셉의 곡들이라 오늘날까지 자주 불려지는데 이 앨범의 경우 이도저도 아닌 편이기 때문. 어떻게 보면 비운의 작품이다.] === Wouldn't Change a Thing [[https://youtu.be/Or_rCFLQJcQ|#]] === 1989년 7월 24일 앨범의 두번째 싱글로 발매되었다. 이전 싱글들 만큼 히트하지는 못했으나 결과적으로 영국에서 2위를 차지하는 괜찮은 성적을 냈다. 카일리가 처음으로 뮤직비디오를 영국에서 촬영한 싱글이다. === Never Too Late [[https://youtu.be/jWDNMmzvNB4|#]] === 1989년 10월 23일에 발매된 세번째 싱글. 여태까지 나온 모든 싱글들이 모두 영국에서 1위 혹은 2위만 했던 것과는 대조적으로 4위를 하는데 그쳤다. 당시 음반 배급망에 문제가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있다. === Tears on My Pillow [[https://youtu.be/4wn0Iah33Fs|#]] === 1990년 1월 8일에 발매된 네번째 싱글. 카일리가 주연을 맡은 영화 'The Delinquents[* 영국과 호주에서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했다.]' 의 [[사운드트랙]]에 포함되어 있다가 정식으로 싱글컷 되었다. 'Little Anthony and the Imperials' 가 1958년 발매한 곡의 커버곡이며 영화의 인기에 힘입어 영국에서 1위를 차지하였다. 카일리의 90년대 처음이자 마지막 영국 1위곡. [[분류:카일리 미노그]][[분류:카일리 미노그/음반]][[분류:1989년 음반]][[분류:오스트레일리아의 팝 음반]][[분류:댄스 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