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EZ2AC 7th Trax CLASS R : CODENAME VIOLET II)] [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SilkyFranticIgnorantAppliance, 합의사항1=2.21 문단명 하이퍼링크를 제거하고 틀:관련 문서를 사용하며 모든 수록곡 문단명에 번호를 기입하지 않기)] [목차] == 개요 == [[EZ2AC 7th Trax CLASS R : CODENAME VIOLET II]]에 수록된 패턴을 서술한 문서. == 목록 ==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eadX4vixiFFrVVmw5JtDPLi0IdzDDQB4sH0lJcEcMwg/edit#gid=2000781085|(구)CV2 통상패턴 리스트 정리]]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GwV6eV_IQbTsWOpfCbOwr-vK5thfVgP4h7YP7YEWBsE/edit#gid=1024852383|(구)CV2 히든패턴 리스트 정리]] [[https://www.youtube.com/watch?v=_fHbZ25Cu3g|CV2.5 패턴 목록 영상(TT 1.81)]] FNEX 1.50 기준으로 수록 패턴의 수는 99개. 곡에 대한 정보는 게임 내 리스트의 표기 순서대로 배치하였다. 디스크 표기는 색상에 따라 속성이 다르고, 개수가 반드시 난이도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https://twitter.com/FOXB_/status/1123895423566065664|#]] === [[For The Top]] === ||<(><-2>{{{+5 {{{#gray '''◎'''}}}}}}|| ||<|2><:>{{{#9370DB 5ONLY}}}[br]{{{+2 '''EZ'''}}}||{{{+1 곡의 힘}}}|| ||,,PATTERN DESIGNER,,[br]Lightonix|| [[https://youtu.be/o6JgXOnk4Y0|영상 보기]] 첫 곡 답게 가장 무난한 패턴으로 나왔다. 체감 4~5 정도의 정직한 패턴이 나오므로 별다른 특징은 없다. ~~그냥 곡 자체가 엄청난 특징인가보다.~~ === [[Y-Gate]] === ||<(><-2>
{{{+5 {{{#green '''◎'''}}}}}}|| ||<|2><:>{{{#9370DB 5STD}}}[br]{{{+2 '''HD'''}}}||{{{+1 "님 와게하드 몇 점?"}}}|| ||,,PATTERN DESIGNER [ARRANGED],,[br]FOX-B|| [[https://youtu.be/eD1fL38n47k|영상 보기]] 곡의 주제는 "[[마의 기록|님 와게하드 몇점?]]"(...) 업데이트로 아이캐치에도 해당 문구가 추가됐다. 본격적으로 약의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한다. 시작부터 16비트 후 24비트 연타로 체력을 깎고 이후 나오는 정박 동시치기에선 스크롤 속도를 조정해서 울렁거리는 듯 보인다. 이는 중반부에서도 몇번 더 나타난다. “Party~~~”하는 샘플링이 끝나고 난 후 나오는 살 붙은 연타가 가장 난해한 패턴. 마무리에선 롱노트를 누르는 순간 스크롤이 엄청난 속도로 빨라진다. 변속과 연타를 고려하면 체감 난이도는 13 정도. === [[Step in the Dayz]] === ||<(><-2>
{{{+5 {{{#gray '''◎'''}}}}}}|| ||<|2><:>{{{#9370DB 5ONLY}}}[br]{{{+2 '''HD'''}}}||{{{+1 Acting Like a Pianist}}}|| ||,,PATTERN DESIGNER,,[br]Lightonix Piano Recital|| [[https://youtu.be/jlLr_M8FZ-M|영상 보기]] 전체적으로 연타가 많다. 일자 연타, 3중 연타, 3중 변형 연타, 트릴 등의 패턴이 있다. 셋잇단의 연타라서 굉장히 찰지다. 체감 레벨은 13~14정도이다. === [[if I couldn't see you again]] === ||<(><-2>
{{{+5 {{{#gray '''◎'''}}}}}}|| ||<|2><:>{{{#9370DB 5ONLY}}}[br]{{{+2 '''HD'''}}}||{{{+1 [[자유선언|{{{#fff 자유를 선언}}}]]하다}}}|| ||,,PATTERN DESIGNER,,[br]Lightonix is FREE!|| [[https://youtu.be/H2boGbEVSV0|영상 보기]] >'''난 자유를 원해...''' BGA는 [[EZ2DJ AE]]의 로케 테스트 당시 나왔던 BGA를 편집하고 싱크를 맞춰놓았다. 참고로 이 BGA는 NT 1.46 기준 [[https://youtu.be/6JXoyu0UZh8?t=1h2m50s|14키 HD 패턴]]에서도 등장한 바 있으며 이는 버그가 아니라고 한다(...) --그러고선 패치로 수정됐다-- BGA를 제외하면 딱히 특징이 없는 쉬운 롱잡 위주의 패턴이다. 체감 난이도는 5~6 정도. === [[Blood Castle (Remix)|Blood Castle -Remix-]] === ||<(><-2>
{{{+5 {{{#green '''◎'''}}}}}}|| ||<|2><:>{{{#9370DB 5STD}}}[br]{{{+2 '''HD'''}}}||{{{+1 피바람 휘날리며}}}|| ||,,PATTERN DESIGNER [ARRANGED],,[br]FOX-B|| [[https://youtu.be/ZGiDmT4vcnU|영상 보기]] 노래에 맞춰 변속이 계속 등장한다. 아직까지는 그래도 규칙이 있는 편이고 처음 하더라도 노래만 알면 어느 정도 대처가 되는 정도이다. 최후반 변속은 그냥 16비트 계단 패턴이니 당황하지 말고 잘 보면서 쳐 주자. 마지막 롱노트는 엄청난 속도로 떨어지니 타이밍을 계산해서 누르자. 보고 판단하면 늦는다. 변속을 알고 한다고 가정할 때 체감 난이도는 12 정도이다. === [[유령의 축제]] === ||<(><-2>
{{{+5 {{{#blue '''◎'''}}}{{{#yellow '''◎'''}}}{{{#green '''◎◎'''}}}}}}|| ||<|2><:>{{{#9370DB 7K}}}[br]{{{+2 '''HD'''}}}||{{{+1 당신은 이미 답을 알고 있다}}}|| ||,,PATTERN DESIGNER [ARRANGED],,[br]FOX-B|| [[https://youtu.be/F7sV1NJA9zU|영상 보기]] [[https://youtu.be/uMEVjzPPD5s|박자 참고용 영상 보기]] 오투잼의 변속을 강화해서 도무지 종잡을 수 없는 변속이 등장한다. 처음부터 끝까지 변속으로 도배된 곡들로, 곡도 모르고 패턴도 모르는 상태에서 한다면 클리어는 하늘의 별따기일 것이다. ~~마지막 노트 이후 내려오는 스크롤의 속도가 매우 아름답다.~~ 팁이라면 원작의 하드 패턴과 같다.[[https://www.youtube.com/watch?v=Hy8UY3wgb5Y|오투잼영상]] 판정이나 게이지 역보정도 심하니 변속에 자신 있다고 방심하지 말자. 특히 게이지 증감량은 1st 라디오판 [[Confete]]를 연상시키는 끔찍한 수준. === [[Dragon Hunter?]] === ||<(><-2>
{{{+5 {{{#gray '''◎◎◎'''}}}}}}|| ||<|2><:>{{{#9370DB 5ONLY}}}[br]{{{+2 '''SHD'''}}}||{{{+1 체력 유지는 필수}}}|| ||,,PATTERN DESIGNER,,[br]파티장 : Lightonix [1/n]|| [[https://youtu.be/_m1NFwCdGAw|영상 보기]] 곡 처음부터 끝까지 3연타가 플레이어를 괴롭힌다. 3연타 후 롱노트를 반복하며 체력을 갉아먹는게 이 곡의 특징. 특히 최후반 트릴과 3연타의 조화는 가히 15~16의 난이도를 상회한다. 체감 난이도는 개인차에 따라 14~15 정도로 보인다. === [[Akasha]] === ||<(><-2>
{{{+5 {{{#gray '''◎◎'''}}}}}}|| ||<|2><:>{{{#9370DB 14K}}}[br]{{{+2 '''SHD'''}}}||애증과 미련 연구 (Akasha를 중심으로)|| ||,,PATTERN DESIGNER [ARRANGED],,[br]geodesic|| [[https://youtu.be/q9yqPJJwUbY|영상 보기]] 체감 16 수준의 고난이도 패턴이니 주의하자. === [[For The Top]] === ||<(><-2>
{{{+5 {{{#gray '''◎◎'''}}}}}}|| ||<|2><:>{{{#9370DB 5STD}}}[br]{{{+2 '''HD'''}}}||{{{+1 Joke}}}|| ||,,PATTERN DESIGNER,,[br]XEED BONUS EDITION|| [[https://youtu.be/P1YVj1wJYQg|영상 보기]] 초반부터 3번 라인에 일자 연타가 나온다. 이후 중후반에도 1번 라인에 주구장창 연타가 나오는데 이 부분만 조심하면 다른 구간은 전부 무난하다. 그 외엔 별다른 특징이 없다. ~~역시 곡 자체를 특징으로 잡는 것이 맞다.~~ 체감 난이도는 12~13 정도. === [[Le Grand Bleu]] === ||<(><-2>
{{{+5 {{{#yellow '''◎'''}}}{{{#gray '''◎◎'''}}}}}}|| ||<|2><:>{{{#9370DB 10K}}}[br]{{{+2 '''HD'''}}}||{{{+1 2 Different Hands}}}|| ||,,PATTERN DESIGNER [ARRANGED],,[br]Lightonix xinothgiL|| [[https://youtu.be/yi0IDstRq-w|영상 보기]] 5키 SHD를 기반으로 좌/우를 나누어 배치한 투핸드 패턴. === [[LOKI]] === ||<(><-2>
{{{+5 {{{#red '''◎'''}}}}}}|| ||<|2><:>{{{#9370DB 5STD}}}[br]{{{+2 '''SHD'''}}}||"연타 그거 번갈아 치면 되는 거 아닐까요?"|| ||,,PATTERN DESIGNER,,[br]PatternGACHA|| [[https://youtu.be/Kod8FDcdwE0|영상 보기]] 시작부터 일자 연타가 쏟아진다. 이후 롱잡, 짧은 롱스크 등의 패턴이 나오다가 후반에 5연타 구간 전 4소절 동안 1자연타가 주구장창 쏟아지는데, 이 연타를 왔다갔다하는 단노트들과 스크 페달도 있어서 매우 까다롭다. 그리고 후반부 5연타까지 등장하는 등 매우 까다로운 패턴. 체감 레벨은 1자연타와 후반부 때문에 14에서 15 정도. 개인차에 따라 16까지 보는 경우도 간혹 있다. NT 1.6 업데이트 이후 [[패턴가챠]] 코스에서도 일정 확률로 즐겨볼 수 있다. === [[Zeroize]] === ||<(><-2>
{{{+5 {{{#yellow '''◎◎'''}}}}}}|| ||<|2><:>{{{#9370DB 14K}}}[br]{{{+2 '''?'''}}}||{{{+1 無化}}}|| ||,,PATTERN DESIGNER,,[br]dimcynical|| [[https://youtu.be/oRbgT8t8q6k|영상 보기]] 곡 처음부터 끝까지 스크래치만 나오고 그 이외의 노트는 일절 나오지 않는다. 때문에 사실 10K여도 되는 패턴. 굳이 14키로 짠 이유는 [[Revelation]] 14키 EX의 오마쥬일 것이다. 양쪽 스크래치에서 정신없이 플레이어의 팔을 괴롭힌다. --플레이어의 팔을 無化시키겠다는 표현이다-- === [[LOKI]] === ||<(><-2>
{{{+5 {{{#green '''◎'''}}}{{{#red '''◎'''}}}}}}|| ||<|2><:>{{{#9370DB 14K}}}[br]{{{+2 '''SHD'''}}}||{{{+1 마지막 주의}}}|| ||,,PATTERN DESIGNER,,[br]Chneko|| [[https://youtu.be/GjGon88jWDM|영상 보기]] 초살이 상당히 강력하지만 대강 뭉개도 넘어갈수 있는 정도이고 나머지 최후반 직전까지는 14~15레벨 수준의 패턴으로 구성되어있다. 최후반에는 '''[[빅장|1+2+3+4+5+E1+E2+E3+E4+6+7+8+9+0]]'''[* 스크래치 제외 전체] 5연타가 등장한다. 게이지가 반 이상 남아있다면 이펙터는 버리고 치는게 낫다. 혹은 그냥 팔까지 전부 사용해서 큰절을 올려도 된다. [[https://youtu.be/sVh_XRnbyYA|#]] === [[유령의 축제]] === ||<(><-2>
{{{+5 {{{#green '''◎◎'''}}}}}}|| ||<|2><:>{{{#9370DB 14K}}}[br]{{{+2 '''HD'''}}}||[[#s-2.6|{{{#fff 6번}}}]] 유형 응용문제로 복습하기|| ||,,PATTERN DESIGNER [ARRANGED],,[br]dimcynical|| [[https://youtu.be/p0iCqXTzGxA|영상 보기]] 7키를 편 것이다. 역시 정신 없는 변속~~과 끝나고 스크롤 장난~~이 패턴의 특징. 다만 판정과 게이지 역보정은 없다. === [[For The Top]] === ||<(><-2>
{{{+5 {{{#gray '''◎'''}}}}}}|| ||<|2><:>{{{#9370DB 10K}}}[br]{{{+2 '''NM'''}}}||{{{+1 For the Top(퐙).WAV}}}|| ||,,PATTERN DESIGNER,,[br]water-flame|| [[https://youtu.be/bRLBLxsa8PY|영상 보기]] 체감 난이도는 13 정도. 배속이 상당히 느리고 의도를 알 수 없는 후반부 4동치 2번을 주의해야 한다. === [[1950(EZ2AC)|1950]] === ||<(><-2>
{{{+5 {{{#yellow '''◎◎◎◎'''}}}}}}|| ||<|2><:>{{{-3 {{{#9370DB ANDROMEDA}}}}}}[br]{{{+2 '''HD'''}}}||{{{+1 [[olleh|{{{#fff 기가팍팍기가기가}}}]]}}}|| ||,,PATTERN DESIGNER,,[br]dimcynical|| [[https://youtu.be/9oYXHUF8WTg|영상 보기]] 모티브는 아마 [[GITADORA 시리즈|GITADORA]] [[드럼매니아]]와 [[KT]]에서 진행했던 '기가북' 이벤트. 양페달이 마치 드럼매니아 좌, 우 페달처럼 나오는데, 심지어 중간중간 투베이스 난타도 여과없이 나온다. 원활한 플레이를 위해선 앉아서 해야 하지만, BPM이 느리다보니 한 발로 뭉개도 된다. 1950의 느린 스크롤 속도와 CV2의 배속 제한 때문에 답답할 수도 있다. [[https://youtu.be/xd3UdWF4K1A|FEFEMZ*가 --무봉-- 서서 플레이하는 영상 보기]] === [[Weep Irish : RE|weep Irish : RE -잔혹하게 아름다운 눈물-]] === ||<(><-2>
{{{+5 {{{#green '''◎◎'''}}}}}}|| ||<|2><:>{{{#9370DB 10K}}}[br]{{{+2 '''HD'''}}}||벼는 낱알이 많아서 고개를 숙인다|| ||,,PATTERN DESIGNER,,[br]dimcynical x FOX-B|| [[https://youtu.be/fD4C9PTh_ZY|영상 보기]] 스크래치가 특이하게 나오는데 버리면서 치는게 쉽다. === [[N.P.T.W]] === ||<(><-2>
{{{+5 {{{#gray '''◎◎◎◎'''}}}}}}|| ||<|2><:>{{{#9370DB 7K}}}[br]{{{+2 '''SHD'''}}}||{{{+1 NOT PLAY THIS WAV}}}|| ||,,PATTERN DESIGNER,,[br]saipastel|| [[https://youtu.be/j3zF_7hvzCk|영상 보기]] 중반에 난이도가 몰려있는 패턴이다. 체감은 14~15 정도. === [[N.P.T.W]] === ||<(><-2>
{{{+5 {{{#red '''◎'''}}}}}}|| ||<|2><:>{{{#9370DB 10K}}}[br]{{{+2 '''HD'''}}}||{{{+1 [[S+1234567|{{{#fff S12345P67890S}}}]]}}}|| ||,,PATTERN DESIGNER,,[br][[XEED|{{{#fff Machine Breaker}}}]]|| [[https://youtu.be/ROtdt-sOdXA|영상 보기]] 최후반의 스크래치를 포함한 모든 키를 누르는 패턴이 특징. 이 패턴은 [[beatmania IIDX]]의 [[The Dirty of Loudness]]을 오마주 한 것이다. 박자도 완벽하게 똑같고, water-flame이 タピオカウメェス[* 'The Dirty of Loudness'의 몬데그린이다.] 드립을 친 걸 보면 확정이다. === [[N.P.T.W]] === ||<(><-2>
{{{+5 {{{#yellow '''◎'''}}}{{{#gray '''◎◎'''}}}}}}|| ||<|2><:>{{{-3 {{{#9370DB ANDROMEDA}}}}}}[br]{{{+2 '''NM'''}}}||저는 시키는 대로 짰을 뿐입니다 선생님|| ||,,PATTERN DESIGNER,,[br]dimcynical|| [[https://youtu.be/z-tl4z07aVE|영상 보기]] 서서 시도해 볼 만할 정도로 페달은 약화되었다. 하지만 그만큼 키와 스크래치가 어렵다. 쌍페달은 발목을 비틀어서 동시에 밟는 방법도 있고, 두 페달 사이의 틈을 밟는 방법도 있다. 맨발이 아닌 이상 틈보다 신발이 더 넓기 때문에 충분히 인식이 된다. 단, 기기에 따라 인식이 불량하여 롱노트가 끊길 수도 있고 세게 밟을수록 페달이 기울어지거나 휘어 다른 모드 플레이어들에게 민폐가 될 수 있으니 주의하자. === Harpe를 외워봐 === [include(틀:관련 문서, top1=Harpe for GAIA, top2=주문을 외워봐)] ||<(><-2>
{{{+5 {{{#red '''◎◎◎'''}}}}}}|| ||<|2><:>{{{#9370DB 5STD}}}[br]{{{+2 '''EX'''}}}||{{{+1 하르페를 외워봐}}}|| ||,,PATTERN DESIGNER [ARRANGED],,[br]D. x FOX-B|| [[https://youtu.be/waIOSbF8Wxs|영상 보기]] > 뭐냐 이게... > 리듬게이를 떠난지 꽤 됐다고 생각했는데 > 끔찍한 혼종이 태어나고 말았다... > > 부들부들...... > 간만에 약 좀 빨아볼까... > ---- > - [[Applesoda]]의 반응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ez2ac&no=359093|링크]] [[Harpe for GAIA]]에 [[주문을 외워봐]] BGA를 편집해서 갖다 붙인 것인데, 이는 [[EZ2AC 갤러리]]의 한 유저가 만든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ez2ac&no=95919|영상]]을 모티브로 제작된 것이다. 중반과 마지막에 등장하는 ‘주문을 외워봐’를 ‘하르페를 외워봐’로 편집하는 제작진들의 정성(?)을 볼 수 있다. 1.5 패치로 리절트창에서 곡명이 Harpe를 외워봐 로 출력되기 시작했고, 1.8 패치에서 아이캐치가 추가되었다. 오메가 코스의 전용 패턴을 약간 열화시킨 형태의 패턴인데, 초중반에 규칙적인 변속이 있다. 게이지가 후한 편이라 위의 영상에서도 MISS+FAIL 합쳐서 200개 가까이 났지만 상당히 안정적으로 클리어가 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래도 채보 자체의 난이도가 높기 때문에 체감 난이도가 19 정도는 된다. 유저 플레이 성향과 개인차에 따라서는 22번의 [[神威]]과 난이도 편차가 갈리기도 한다. 비교적 후한 게이지를 잘 이용하여 체감 18레벨의 채보들을 첫클리어하는 정도의 유저가 이 곡을 클리어할 수는 있겠지만 채보 자체의 난이도와 체력 소모 수준이 18렙 수준을 훨씬 상회한다. 즉 자신의 처리력보다 높은 수준의 노트를 적당히 잘 비벼서[* 물론 롱잡곡이라서 뭉개기가 먹히지 않는다.] 게이지 감소를 최소화하는 능력 및 체력이 떨어진다면 체감난이도는 더 올라가게 된다. [[https://www.youtube.com/watch?v=j8gFdRL0Brs|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Ne_WJiagcLs|같은 유저의 어드민 카무이 영상]] NT 1.45에서는 선택시 스킵되어 플레이할 수 없는 버그가 있었다. === [[神威]] === ||<(><-2>
{{{+5 {{{#red '''◎◎◎'''}}}}}}|| ||<|2><:>{{{#9370DB 5STD}}}[br]{{{+2 '''EX'''}}}||{{{+1 NEW EX PATTERN}}}|| ||,,PATTERN DESIGNER [ARRANGED],,[br]dimcynical vs. LunaticSounds|| [[https://youtu.be/3BNVcdxSmEs|영상 보기]] 스탠다드 EX 패턴과 Nervous Breakdown 패턴을 조합한 느낌이다. 페달은 EX패턴이 아닌 Nervous Breakdown의 박자로 페달이 나온다. 초반은 살이 더 붙었지만 스탠 EX를 할 정도의 실력이면 무난하게 넘어갈 수 있다. 문제는 시작에서도 나왔던 샘플링이 중반에 나오는 때. 그 이후 디하매를 능가하는 일자연타와 폭타가 쏟아진다. 심지어 이후 스탠 EX에서 트릴과 단노트, 16비트 스크래치가 나오던 부분에선 트릴, 스크래치와 함께 멜로디 롱노트가 나온다. 최후반 롱잡 구간에서도 정박 페달 또는 정박스크가 계속 등장하여 난이도를 더욱 상승시킨다. 체감 난이도는 19~20 정도. 다만 개인차 요소가 많은 패턴이라서 유저에 따라서는 [[하르페를 외워봐]]보다 할만할 수도 있다. EZ2AC FNEX에서 기존 EX가 Violet 코스의 부활로 이식됨에 따라 이 패턴이 약간 수정되어 현 EX로 승격되었다.--진짜 신 EX 패턴이 되버렸잖어?-- === [[N.P.T.W]] === ||<(><-2>
{{{+5 {{{#gray '''◎◎'''}}}}}}|| ||<|2><:>{{{#9370DB 5ONLY}}}[br]{{{+2 '''NM'''}}}||{{{+1 ROSSINI.WAV}}}|| ||,,PATTERN DESIGNER,,[br]L.x Orchestra|| [[https://youtu.be/uj6pFNhum5c|영상 보기]] 엑스트라 당시 출현 조건은 합계 레벨 1~3이었다. 별 다른 특징이 없는 매우 무난한 5키 온리 채보. === [[Unforgettable(EZ2AC)|Unforgettable]] === ||<(><-2>
{{{+5 {{{#gray '''◎◎'''}}}}}}|| ||<|2><:>{{{#9370DB 5STD}}}[br]{{{+2 '''HD'''}}}||{{{+1 Dreamlike Memories}}}|| ||,,PATTERN DESIGNER,,[br]KIEN|| [[https://youtu.be/hLJG2FrbD-E|영상 보기]] 엑스트라 당시 출현 조건은 합계 레벨 4~6이었다. 체감 난이도는 10 수준으로 평가된다. 곡명은 [[Unforgettable]]. [[KIEN]]이 작곡했으며, 퀄리티가 낮다고 생각해 정식 버전에 수록하지 않고 내버려뒀다는 언급이 있었다. EZ2AC NT OST DISC 1 21번 트랙에 수록되었고 이후 [[EZ2AC FNEX]]에서 정식으로 수록되었다. === [[Doll's Garden]] === ||<(><-2>
{{{+5 {{{#green '''◎◎◎'''}}}}}}|| ||<|2><:>{{{#9370DB 10K}}}[br]{{{+2 '''NM'''}}}||{{{+1 인형극 -tempo rubato-}}}|| ||,,PATTERN DESIGNER,,[br]Chneko Weissberg|| [[https://youtu.be/pEMUR5oIP4I|영상 보기]] 엑스트라 당시 출현 조건은 합계 레벨 7~9였다. 변속이 들어가 있다. CV 당시의 BGA로 나오는 것이 특징. === [[Happiness]] === ||<(><-2>
{{{+5 {{{#yellow '''◎◎◎'''}}}}}}|| ||<|2><:>{{{-3 {{{#9370DB ANDROMEDA}}}}}}[br]{{{+2 '''HD'''}}}||{{{+1 Original}}}|| ||,,PATTERN DESIGNER,,[br]EFFECTED BY ▶ ohcodus vs water-flame|| [[https://youtu.be/m2ojJMNLLtY|영상 보기]] 기존 14K HD 패턴에 FX노트에 대응되는 페달이 추가되면서, 좀 더 사볼 패턴처럼 되었다. 패터너 명도 이를 의식한 듯한 [[사운드 볼텍스/이펙터|EFFECTED BY]]. === [[LOKI]] === ||<(><-2>
{{{+5 {{{#green '''◎◎◎'''}}}}}}|| ||<|2><:>{{{#9370DB 7K}}}[br]{{{+2 '''HD'''}}}||{{{+1 [[물 같은 걸 끼얹나|{{{#fff 변속 같은 걸 끼얹나}}}]]}}}|| ||,,PATTERN DESIGNER,,[br]Chneko|| [[https://youtu.be/Hk3uIPqIhg0|영상 보기]] 엑스트라 당시 출현 조건은 합계 레벨 11~12였다. 변속이 들어가 있다. === [[N.P.T.W]] === ||<(><-2>
{{{+5 {{{#yellow '''◎'''}}}{{{#gray '''◎◎◎'''}}}}}}|| ||<|2><:>{{{-3 {{{#9370DB ANDROMEDA}}}}}}[br]{{{+2 '''HD'''}}}||하드를 만들래서 만들었을 뿐입니다|| ||,,PATTERN DESIGNER,,[br]dimcynical|| [[https://youtu.be/AulJj13QtGA|영상 보기]] 엑스트라 당시 출현 조건은 합계 레벨 13~14였다. 20번 타겟을 강화한 패턴이다. 다른 CV2 패턴에 비해서는 정상 같아 보이지만 페달 때문에 어려운 축에 속한다. === [[MxMxM Star]] === ||<(><-2>
{{{+5 {{{#yellow '''◎◎'''}}}}}}|| ||<|2><:>{{{#9370DB 5STD}}}[br]{{{+2 '''?'''}}}||{{{+1 Absolute Play}}}|| ||,,PATTERN DESIGNER,,[br]World Training Festival|| [[https://youtu.be/Y5uo0hCLfPU|영상 보기]] 엑스트라 당시 출현 조건은 합계 레벨 15였다. BErA의 미수록 채널 World Traveling Festival(약칭 WTF) 의 패턴이다. 페달과 스크래치만 나오는것이 특징. === [[Cross Time]] === ||<(><-2>
{{{+5 {{{#blue '''◎◎'''}}}{{{#yellow '''◎'''}}}{{{#green '''◎'''}}}}}}|| ||<|2><:>{{{#9370DB 5STD}}}[br]{{{+2 '''HD'''}}}||{{{+1 엇갈린 다른 세상}}}|| ||,,PATTERN DESIGNER [ARRANGED],,[br]tustenik|| [[https://youtu.be/aKXVgWMR4Es|영상 보기]] 엑스트라 당시 출현 조건은 합계 레벨 16~17이었다. 오투잼과 팝스테이지 시절 7키 채보를 그대로 이식해 놓았다. 직접 플레이해보면 M랜덤을 걸어놓은 듯한 배치, 스크+1번 롱잡, 정신없는 16비트 페달을 보면 기존의 크로스타임 하드 패턴을 훨씬 더 상회하는 패턴이라는 것을 느끼게 된다. ~~컨셉에 맞는 병맛을 선사하는 CV2~~ 배속이 느려질 때 집중해서 치지 않으면 폭사당하기 쉽고 7키 채보를 그대로 가져와서 그런지 페달이 정박이 아니라 엇박이라서 키파트와 혼동하여 손발이 꼬이기가 쉽다. 스크와 페달의 독립적인 플레이가 가능한 유저라면 13이라고 느낄 수도 있고, 그렇지 않다면 14 보스곡이라 느낄 것이다. 이 패턴은 훗날 PC 게임 버전인 [[EZ2ON REBOOT : R]]의 오투잼 DLC 스페셜 코스 'Brain Stretch'의 2번 트랙 Cross Time에도 그대로 등장하게 된다. === [[Unknown H2]] === ||<(><-2>
{{{+5 {{{#blue '''◎'''}}}{{{#yellow '''◎'''}}}}}}|| ||<|2><:>{{{#9370DB 10K}}}[br]{{{+2 '''HD'''}}}||{{{+1 Restoration}}}|| ||,,PATTERN DESIGNER,,[br]water-flame vs ovERAst|| [[https://youtu.be/QZaT6VGHwwo|영상 보기]] 엑스트라 당시 출현 조건은 합계 레벨 18~19였다. 쌍스크래치에 대륙횡단을 하는것만 같은 패턴이다. === [[Minus 2]] === ||<(><-2>
{{{+5 {{{#green '''◎◎◎◎'''}}}{{{#yellow '''◎◎'''}}}}}}|| ||<|2><:>{{{#9370DB 5STD}}}[br]{{{+2 '''??'''}}}||{{{+1 CHAOS}}}|| ||,,PATTERN DESIGNER,,[br]Chneko supported by geodesic|| [[https://youtu.be/1DP1aGnK434|영상 보기]] 엑스트라 당시 출현 조건은 합계 레벨 20~21이었다. 스크래치만 돌리면 되는 패턴이다. COOL 판정은 뜨지 않지만 굿이 뜨면 게이지 감소가 되니 유의할 것. 거의 모든 노트에 변속 트리거를 잔뜩 박아놓았다! Trick & Trap 코스를 보면서 박자를 익히도록 하자. 패턴이 완전히 같지는 않지만 도움은 될 것이다. === [[Minus 2]] === ||<(><-2>
{{{+5 {{{#red '''◎'''}}}}}}|| ||<|2><:>{{{#9370DB 5STD}}}[br]{{{+2 '''SHD'''}}}||{{{+1 Invitation}}}|| ||,,PATTERN DESIGNER,,[br]Allotrope|| [[https://youtu.be/VAsh64xkBDc|영상 보기]] 엑스트라 당시 출현 조건은 합계 레벨 22~23이었다. 미수록 채널 Allotrope의 패턴이다. 게이지 회복은 극소량으로 연타에 주의하자. === [[Sparrow]] === ||<(><-2>
{{{+5 {{{#gray '''◎◎'''}}}}}}|| ||<|2><:>{{{#9370DB 5ONLY}}}[br]{{{+2 '''SHD'''}}}||{{{+1 E4}}}|| ||,,PATTERN DESIGNER,,[br]L4|| [[https://youtu.be/2N_TFutZfxA|영상 보기]] 엑스트라 당시 출현 조건은 합계 레벨 24~25였다. 무난한 중렙의 계단 폭타를 가지고 있는 패턴이다. === [[Keep On!]] === ||<(><-2>
{{{+5 {{{#yellow '''◎◎◎'''}}}}}}|| ||<|2><:>{{{-3 {{{#9370DB ANDROMEDA}}}}}}[br]{{{+2 '''HD'''}}}||{{{+1 {{{#!html 한국말로 하지 마시고}}}}}}[* 굴림체로 출력된다. 하기 방언영상 네타 원본에서 캡션이 굴림체로 되어있기 때문]|| ||,,PATTERN DESIGNER,,[br]FOX-B|| [[https://youtu.be/fhc4cZiQQeI|영상 보기]] 엑스트라 당시 출현 조건은 합계 레벨 26~27이었다. 부제의 뜻은 모 유저가 [[방언(기독교)]] 관련 [[https://www.youtube.com/watch?v=3oMlZmJIZ6c|영상]] [* 리듬게임 바깥에서는 [[요일바]]의 [[장로님 에쿠스 타신다]]에 일부 샘플링된 원본으로도 알려져있다.] [* [[https://youtu.be/3FPjxLQXsuo|영상]] 링크의 영상을 기반하여 제작된 듯 하다.] 에 Keep On!의 싱크에 맞춰 FOX-B에게 보낸 MAD영상(...)[* 해당 영상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FOX-B가 개인방송을 할때 한번씩은 틀어준다.(...)] 게이지가 매우 빨리 차서 사실상 무한게이지이다. 안드로메다 연습용으로 좋다. 쌍페달 때문에 발이 아파오고 크로스오버 채널처럼 버튼 건너뛰기도 나온다. === [[Akasha]] === ||<(><-2>
{{{+5 {{{#gray '''◎'''}}}}}}|| ||<|2><:>{{{#9370DB 5ONLY}}}[br]{{{+2 '''NM'''}}}||Akasha(브람스 헝가리무곡).WAV|| ||,,PATTERN DESIGNER,,[br]L.x Orchestra|| [[https://youtu.be/7C6G16w8QWM|영상 보기]] 엑스트라 당시 출현 조건은 합계 레벨 28이었다. 무난한 패턴이며 9레벨 정도로 측정되고 있다. === [[Latino(Sabin Sound Star)|Latino]] === ||<(><-2>
{{{+5 {{{#red '''◎◎◎◎◎'''}}}}}}|| ||<|2><:>{{{#9370DB 7K}}}[br]{{{+2 '''X'''}}}||{{{+1 '그' 라티노}}}|| ||,,PATTERN DESIGNER,,[br]geXRAXD|| [[https://youtu.be/AXgVyQf5jdw|영상 보기]] 엑스트라 당시 출현 조건은 합계 레벨 29였다. BE 당시 배틀 플레이를 하면 2P 쪽에 등장했던 버그 패턴이다. 노트 겹침 버그만 수정하고 그대로 가져다 놓았다. === [[속삭여줘]] === ||<(><-2>
{{{+5 {{{#gray '''◎◎'''}}}}}}|| ||<|2><:>{{{#9370DB 5STD}}}[br]{{{+2 '''HD'''}}}||{{{+1 First-Release}}}|| ||,,PATTERN DESIGNER,,[br]FOX-B|| [[https://youtu.be/g3zJYeAMq8Q|영상 보기]] 엑스트라 당시 출현 조건은 합계 레벨 30이었다. NT 1.5 당시 엑스트라 스테이지가 등장했을 때 최초로 공개된 선공개 신곡. NT 1.60때 HD MIX로 편입되었다. === [[Cross Time]] === ||<(><-2>
{{{+5 {{{#blue '''◎◎'''}}}{{{#yellow '''◎'''}}}{{{#green '''◎'''}}}}}}|| ||<|2><:>{{{#9370DB 7K}}}[br]{{{+2 '''HD'''}}}||지나간 시간 속에 날 버리고 돌아가 줘|| ||,,PATTERN DESIGNER [ARRANGED],,[br]FOX-B x tustenik|| [[https://youtu.be/FB-YxTMWweo|영상 보기]] 엑스트라 당시 출현 조건은 합계 레벨 31~32였다. 스크래치와 페달이 전혀 나오지 않는다. 채보가 오투잼과 유사하다. === [[Le Grand Bleu]] === ||<(><-2>
{{{+5 {{{#blue '''◎'''}}}{{{#gray '''◎◎◎◎◎'''}}}}}}|| ||<|2><:>{{{#9370DB 10K}}}[br]{{{+2 '''SHD'''}}}||{{{+1 Qnpf-ing Road}}}|| ||,,PATTERN DESIGNER,,[br]10키 연구소 인턴|| [[https://youtu.be/1Tr2SC2Hchs|영상 보기]] 엑스트라 당시 출현 조건은 합계 레벨 33~34였다. 14키 매니악 하드를 10키로 옮겨놓은듯 한 패턴이다. 스크롤 속도가 매우 빠르니 조심할것. 후살의 알약노트의 개수는 264개이다. === [[Rosen Vampir]] === ||<(><-2>
{{{+5 {{{#red '''◎◎'''}}}}}}|| ||<|2><:>{{{#9370DB 5STD}}}[br]{{{+2 '''SHD'''}}}||{{{+1 GateCrasher}}}|| ||,,PATTERN DESIGNER,,[br]World Training Festival|| [[https://youtu.be/Y4cstPp8HoE|영상 보기]] 엑스트라 당시 출현 조건은 합계 레벨 35였다. 미수록 채널 WTF의 패턴이다. 빅장이 주로 나오고 중간에 뜬금없이 EZ2AC 라는 글자 패턴이 나온다. === [[Wars of the Roses, 1455]] === ||<(><-2>
{{{+5 {{{#red '''◎'''}}}}}}|| ||<|2><:>{{{#9370DB 5STD}}}[br]{{{+2 '''SHD'''}}}||{{{+1 IIIII}}}|| ||,,PATTERN DESIGNER,,[br]Allotrope|| [[https://youtu.be/zyRqWDSVCtY|영상 보기]] 엑스트라 당시 출현 조건은 합계 레벨 36~37이었다. 미수록 채널 Allotrope의 패턴이다. === [[Wars of the Roses, 1455]] === ||<(><-2>
{{{+5 {{{#red '''◎'''}}}}}}|| ||<|2><:>{{{-3 {{{#9370DB ANDROMEDA}}}}}}[br]{{{+2 '''SHD'''}}}||안드로메다를 위한 연습곡 Op.2 No.1|| ||,,PATTERN DESIGNER,,[br]dimcynical|| [[https://youtu.be/N3ISh6XUu5I|영상 보기]] 엑스트라 당시 출현 조건은 합계 레벨 38~39였다. 후반에 멜로디페달이 등장하니 주의. === [[Morgenglut 2012]] === ||<(><-2>
{{{+5 {{{#red '''◎'''}}}}}}|| ||<|2><:>{{{#9370DB 5ONLY}}}[br]{{{+2 '''SHD'''}}}||{{{+1 NOT EZ2Turntable}}}|| ||,,PATTERN DESIGNER,,[br]aqua-fire|| [[https://youtu.be/NDw37txkSAI|영상 보기]] 엑스트라 당시 출현 조건은 합계 레벨 40이었다. 구 턴테이블 하드 패턴에서 정상적으로 칠 수 없는 연타 부분만 계단으로 고쳐서 넣었다. --못깨글렀어 2012-- === [[Fire Storm]] === ||<(><-2>
{{{+5 {{{#red '''◎◎◎'''}}}}}}|| ||<|2><:>{{{#9370DB 7K}}}[br]{{{+2 '''EX'''}}}||{{{+1 HELL Storm}}}|| ||,,PATTERN DESIGNER,,[br]XEED from HELL|| [[https://youtu.be/TamiSsVu6R0|영상 보기]] 엑스트라 당시 출현 조건은 합계 레벨 41이었다. BE 당시의 HELL 채널의 패턴을 가져왔다. --7키 유저들에게 애도를-- === [[Messier 333]] === ||<(><-2>
{{{+5 {{{#red '''◎◎◎'''}}}}}}|| ||<|2><:>{{{#9370DB 7K}}}[br]{{{+2 '''EX'''}}}||{{{+1 HELL 333}}}|| ||,,PATTERN DESIGNER,,[br]XEED from HELL|| [[https://youtu.be/yIHgd5NnpaQ|영상 보기]] 엑스트라 당시 출현 조건은 합계 레벨 42였다. BE 당시의 HELL 채널의 패턴을 가져왔다. --또 다시 7키 유저들에게 애도를-- === [[神威]] === ||<(><-2>
{{{+5 {{{#red '''◎◎◎◎◎'''}}}}}}|| ||<|2><:>{{{#9370DB 5STD}}}[br]{{{+2 '''X'''}}}||{{{+1 알바널퀧무이}}}|| ||,,PATTERN DESIGNER [ARRANGED],,[br]Dr.Qnpfg|| [[https://youtu.be/uk5zXWZ_jMM|3인 합동 플레이 영상 보기]] 담당 파트는 각각 스크래치, 키파트, 1자연타. 엑스트라 당시 출현 조건은 합계 레벨 43이었다. CV 당시의 디렉터 znpfg(kebuka) 의 유튜브에서 유출된 '''Al'''lotrope 의 패턴을 기반으로 '''Vi'''olet, '''Ner'''vous Breakdown, '''[[znpfg]]'''을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ez2ac&no=242497|섞은 패턴이다.]] znpfg와 [[https://twitter.com/foxb_/status/765830069432430592|FOX-B]]는 이를 알바널퀧무이(...)로 명명했으며 CV2.5에서 이 명칭을 패턴 설명에 사용하면서 공식화되었다. 등장 10일만인 2016년 8월 27일, 3인 합동플레이로 첫 클리어가 나왔다. 하지만 여전히 1인 클리어자는 전혀 나오지 않고 있으며 앞으로도 영원히 나오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 神威 === ||<(><-2>
{{{+5 {{{#red '''◎◎◎◎◎'''}}}}}}|| ||<|2><:>{{{-3 {{{#9370DB ANDROMEDA}}}}}}[br]{{{+2 '''X'''}}}||{{{+1 안드로무이}}}|| ||,,PATTERN DESIGNER,,[br]EZ2AC CV2 ALL STARS|| [[https://youtu.be/NtuXK1uyQh8|3인 합동 플레이 영상 보기]] 엑스트라 당시 출현 조건은 합계 레벨 44였다. 2016년 12월 13일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ez2ac&no=492973|1인 클리어]]가 나왔다. [[https://youtu.be/Ilu_VptId5I|1인 클리어 영상]] === [[神威]] === ||<(><-2>
{{{+5 {{{#red '''◎◎◎◎'''}}}}}}|| ||<|2><:>{{{#9370DB 14K}}}[br]{{{+2 '''SHD'''}}}||{{{+1 Reincarnation}}}|| ||,,PATTERN DESIGNER,,[br][CODENAME : VIOLET]|| AEIC까지 수록된 14K 17짜리 패턴의 복각판이다. 판정은 베무이보다는 에무이에 가깝다. === [[GEHENNA]] === ||<(><-2>
{{{+5 {{{#red '''◎◎'''}}}}}}|| ||<|2><:>{{{#9370DB 5STD}}}[br]{{{+2 '''EX'''}}}||{{{+1 EX DEMO}}}|| ||,,PATTERN DESIGNER,,[br]water-flame demo version|| [[https://youtu.be/65GEYCMyGkc|영상 보기]]. 50~52 및 57번 타겟은 NT의 최종 보스곡 GEHENNA이며 TT 1.81에서 CV2가 부활하면서 선공개되었다. === [[GEHENNA]] === ||<(><-2>
{{{+5 {{{#red '''◎◎◎◎'''}}}}}}|| ||<|2><:>{{{#9370DB 7K}}}[br]{{{+2 '''?'''}}}||{{{+1 2P SIDE}}}|| ||,,PATTERN DESIGNER,,[br]water-flame demo version|| [[https://youtu.be/P7Tgo-1Cotg|영상 보기]] pilgrimage 2P SIDE의 전용 채보이며 2P에서 플레이하는 것을 전제로 제작되었다고 한다. === [[GEHENNA]] === ||<(><-2>
{{{+5 {{{#red '''◎◎◎◎'''}}}}}}|| ||<|2><:>{{{#9370DB 14K}}}[br]{{{+2 '''?'''}}}||{{{+1 {{{#red 부상주의 :}}} '다 칠' 수 있음}}}|| ||,,PATTERN DESIGNER,,[br]geodesic|| [[https://youtu.be/xkvRS-7z38I|영상 보기]] 설명은 '전부 처리할 수 있음'과 '부상을 당할 수 있음'의 중의적 표현이다. 현 14키 슈하의 데모판이며 중반부터 지속적인 고속 이펙터 쓸기가 나와서 설명대로 여차하면 부상을 입을 수 있다. 실제로 테스트 과정에서 부상 사례가 있었기 때문에 안전을 위해 반려된 패턴이라고 한다. [[https://twitter.com/chirrrrrrr/status/1123747873647157249|제작자가 따로 주의를 줄 정도.]] === [[Blood Castle (Remix)|Blood Castle -Remix-]] === ||<(><-2>
{{{+5 {{{#blue '''◎◎◎'''}}}}}}|| ||<|2><:>{{{#9370DB 14K}}}[br]{{{+2 '''?'''}}}||{{{+1 PERCUSSION}}}|| ||,,PATTERN DESIGNER,,[br]geodesic respect ovERAst|| [[https://youtu.be/v8fHTTcpfAE|영상 보기]] [[Sabin Sound Star]]의 퍼쿠션 모드 컨셉으로 1 - 4 - E1 - E4 - 7 - 10번키가 각각의 퍼쿠션에 대응된다. 스킨은 무조건 3S 기어와 3S 노트로 고정된다. === [[Stargazer(EZ2AC)|Stargazer]] === ||<(><-2>
{{{+5 {{{#red '''◎'''}}}{{{#yellow '''◎'''}}}{{{#blue '''◎'''}}}{{{#gray '''◎'''}}}}}}|| ||<|2><:>{{{#9370DB 14K}}}[br]{{{+2 '''?'''}}}||{{{+1 Crossover}}}|| ||,,PATTERN DESIGNER,,[br]dimcynical|| [[https://youtu.be/KcXFk50SohI|영상 보기]] 1.45~1.52까지 14번에 있었던 패턴이다. 롱노트를 가운데에 두고 단노트가 양쪽을 왔다갔다 하는 패턴이며 NT 1.60 패치로 추가된 14키 코스 crossover에 이 패턴이 정식 수록되었다. TT 1.81에서 CV 2가 부활했을 때 54번으로 이동했다. === [[BlitzKrieg]] === ||<(><-2>
{{{+5 {{{#red '''◎◎◎◎◎'''}}}}}}|| ||<|2><:>{{{#9370DB 14K}}}[br]{{{+2 '''EX'''}}}||"24까지는 아닌 것 같은데.."|| ||,,PATTERN DESIGNER,,[br]PatternGACHA|| [[https://youtu.be/koavipJLKgo|영상 보기]] EV 2.0 당시에 수록이 계획되었다가 취소된 14키 EX 패턴이다. 이 때문에 선곡창에서 보이는 아이캐치도 EX 아이캐치이다. 그러나 곡을 선택하고 나오는 아이캐치는 NM 아이캐치이다. === [[Thrust Out]] === ||<(><-2>
{{{+5 {{{#green '''◎◎◎◎'''}}}}}}|| ||<|2><:>{{{#9370DB 5STD}}}[br]{{{+2 '''?'''}}}||{{{+1 止}}}|| ||,,PATTERN DESIGNER,,[br]Chneko tomeru[* 일본어로 쓰면 止める이다.]|| [[https://youtu.be/vmG-DoLL3SU|영상 보기]] 프리징 기믹이 중간중간에 계속 나온다. 위의 32번처럼 곡의 박자를 기억해서 플레이해야 한다. COOL 판정이 없다는 특징도 있다. 채보 제작자 Chneko는 이 채보를 기억해달라며 [[자전차왕 엄복동]]을 패러디한 트윗을 남겼다. [[https://twitter.com/chirrrrrrr/status/1123773670252584960|#]] === [[GEHENNA]] === ||<(><-2>
{{{+5 {{{#red '''◎◎◎'''}}}}}}|| ||<|2><:>{{{-3 {{{#9370DB EZ2CATCH}}}}}}[br]{{{+2 '''HD'''}}}||{{{+1 HD DEMO}}}|| ||,,PATTERN DESIGNER,,[br]water-flame demo version|| [[https://www.youtube.com/watch?v=WoBWtPBNdfI|영상 보기]] 캐치 하드의 데모판이다. 정식판과 비교해보면 가속 구간에서 롱노트 대신 왕복 계단이 나온다. === [[잘가라(O2JAM)|잘가라 ~Go Hell~]] === ||<(><-2>
{{{+5 {{{#blue '''◎'''}}}{{{#yellow '''◎'''}}}{{{#green '''◎'''}}}{{{#gray '''◎◎'''}}}}}}|| ||<|2><:>{{{#9370DB 7K}}}[br]{{{+2 '''HD'''}}}||{{{+1 {{{#white 나를 잊어라}}}}}}|| ||,,PATTERN DESIGNER [ARRANGED],,[br]FOX-B x tustenik|| [[https://www.youtube.com/watch?v=-e7fZbUGmHo|영상보기]] 옛날 온라인 오투잼의 패턴을 그대로 가져왔으며 이 때문에 스크래치 노트와 페달 노트가 등장하지 않는다. [[https://youtu.be/I7fsN2oBqUw|영상]] === [[크리스마스의 기억]] === ||<(><-2>
{{{+5 {{{#blue '''◎'''}}}{{{#yellow '''◎'''}}}{{{#green '''◎'''}}}}}}|| ||<|2><:>{{{#9370DB 7K}}}[br]{{{+2 '''HD'''}}}||{{{+1 아싸 가오리!}}}|| ||,,PATTERN DESIGNER [ARRANGED],,[br]FOX-B x tustenik|| [[https://www.youtube.com/watch?v=9zTc7RXx8o8|영상보기]] TT 1.81에는 선곡 시 스킵 버그가 존재했다. 이 패턴 또한 온라인 오투잼의 패턴을 가져온 것이다.[[https://youtu.be/r-sbreS-_CQ|영상]] === [[Tempus Praeterita]] === ||<(><-2>
{{{+5 {{{#red '''◎'''}}}{{{#yellow '''◎'''}}}}}}|| ||<|2><:>{{{#9370DB 5ONLY}}}[br]{{{+2 '''HD'''}}}||{{{+1 {{{#!html Blank Space}}}}}}|| ||,,PATTERN DESIGNER,,[br]ⓛⓘⓖⓗⓣⓞⓝⓘⓧ|| [[https://www.youtube.com/watch?v=NGAwg3M1zak|영상 보기]] 마치 정상적인 패턴에서 노트를 빼고 나머지 빈 공간을 노트로 채운듯한 패턴으로, 이로 인해 채보가 전부 동시치기로만 가득 채워져있다. 설명도 글자에 색상 반전이 들어가있는등 그 점을 반영하여 표기하였다. 게이지 회복량이 매우 낮고 감소량이 매우 커서 노트가 많아도 게이지 관리가 쉽지 않다. === [[Stay(EZ2DJ)|Stay -TAK Remix-]] === ||<(><-2>
{{{+5 {{{#gray '''◎◎'''}}}}}}|| ||<|2><:>{{{#9370DB 5ONLY}}}[br]{{{+2 '''HD'''}}}||{{{+1 Hyper Terminal}}}|| ||,,PATTERN DESIGNER,,[br]라이토닉스 명인|| [[https://www.youtube.com/watch?v=sauHmWQp9d0&t|영상보기]] 드물게 32비트 1자연타가 나온다. 패턴 디자이너 명의를 봤을때 모티브는 [[타카하시 명인]]으로 보인다. === 1950 === ||<(><-2>
{{{+5 {{{#yellow '''◎◎◎'''}}}{{{#red '''◎'''}}}}}}|| ||<|2><:>{{{-3 {{{#9370DB ANDROMEDA}}}}}}[br]{{{+2 '''HD'''}}}||{{{+1 ''One-Man-Band MIX''}}}|| ||,,PATTERN DESIGNER,,[br]dimcynical|| [[https://www.youtube.com/watch?v=WxUZm_mnIrY|영상보기]] 16번 타겟의 강화 버전으로 추정된다. 16번과 마찬가지로 그냥 뭉개면서 해도 쉽게 깰 수 있다. === [[Eraser Rain for GAIA]] === ||<(><-2>
{{{+5 {{{#red '''◎◎'''}}}}}}|| ||<|2><:>{{{#9370DB 14K}}}[br]{{{+2 '''HD'''}}}||{{{+1 Ride on Cloud}}}|| ||,,PATTERN DESIGNER,,[br]geodesic|| [[https://www.youtube.com/watch?v=Y24agEFK-Bo|영상보기]] === Eraser Rain for GAIA === ||<(><-2>
{{{+5 {{{#red '''◎◎'''}}}}}}|| ||<|2><:>{{{#9370DB 5ONLY}}}[br]{{{+2 '''SHD'''}}}||{{{+1 빗방울이 떨어져요!}}}|| ||,,PATTERN DESIGNER,,[br]dimcynical|| [[https://www.youtube.com/watch?v=xYbHqhqFfzg|영상보기]] 패턴 자체도 고난도일뿐만 아니라 빗방울마냥 따닥이가 중반부부터 마구 떨어지기 시작한다. 그것도 단순 따닥이가 아니라 동시치기와 겹폭타를 동반하며 [[Minus 2]]처럼 리듬이 불규칙한 따닥이라 Miss나 Fail이 매우 잘 뜨고 판정까지 나쁘다. 체감 난이도는 따닥이 처리 능력에 따라 16~18 정도로 개인차가 크다. === [[Your Mind]] === ||<(><-2>
{{{+5 {{{#red '''◎◎'''}}}}}}|| ||<|2><:>{{{#9370DB 10K}}}[br]{{{+2 '''HD'''}}}||{{{+1 HD Prototype}}}|| ||,,PATTERN DESIGNER,,[br]dimcynical|| [[https://youtu.be/XK9-TQUhjkw|영상 보기]] 10키 하드의 프로토타입 버전이며 전체적으론 10키 하드와 10키 슈하 사이의 난이도이나 슈하에 더 가깝다. === [[Eraser Rain for GAIA]] === ||<(><-2>
{{{+5 {{{#gray '''◎◎'''}}}{{{#red '''◎◎◎'''}}}}}}|| ||<|2><:>{{{#9370DB 10K}}}[br]{{{+2 '''SHD'''}}}||{{{+1 막판 뒤집기}}}|| ||,,PATTERN DESIGNER,,[br]10키 연구실 직원|| [[https://youtu.be/7kt9zaPQ4Kk0|영상 보기]] 중후반까지 평범하나, 막판에 양손 빅장패턴이 쏟아진다. 빅장 시작 부분에 롱페달이 있지만 롱페달이 끝나면 포션도 끝나기 때문에 엄청나게 어려워진다. === [[SINUS]] === ||<(><-2>
{{{+5 {{{#red '''◎◎'''}}}}}}|| ||<|2><:>{{{#9370DB 10K}}}[br]{{{+2 '''SHD'''}}}||{{{+1 Remember 만우절 특집}}}|| ||,,PATTERN DESIGNER,,[br]10키 연구실 직원|| [[https://youtu.be/MttqV6swmco|영상 보기]] 기존 SHD에 노트를 엄청 추가한 형태이며 연구소에서 보여줬던 짧은 페달이 있다. 곡이 진행될수록 어려워지는 18 ~ 19 급에 육박하는 고난이도 패턴이다. === [[Le Grand Bleu]] === ||<(><-2>
{{{+5 {{{#red '''◎◎◎◎◎'''}}}}}}|| ||<|2><:>{{{#9370DB 10K}}}[br]{{{+2 '''X'''}}}||{{{+1 Remember NT v1.0?}}}|| ||,,PATTERN DESIGNER,,[br]10키 연구실 직원|| [[https://youtu.be/MjqyB4TfUvo|영상 보기]] NT 1.0 초기에 등장했으나 누락되었던 SHD 패턴이 있었는데 그것을 가져온 것으로 추정된다. 후반부도 충분히 어렵지만 마지막 발광부분이 답이 없다. === Out of Blue The === ||<(><-2>
{{{+5 {{{#gray '''◎◎'''}}}}}}|| ||<|2><:>{{{#9370DB 5STD}}}[br]{{{+2 '''HD'''}}}||{{{+1 OUT OF BLUE ザ}}}|| ||,,PATTERN DESIGNER,,[br]Dr. Qnpfg|| [[https://www.youtube.com/watch?v=AoZp6Ot-6dE|영상보기]] WGC에서 가동되었던 CV 개조판 5키 HD 채보를 패달만 일부 수정해서 가져온 버전이다. === Out of Blue The === ||<(><-2>
{{{+5 {{{#red '''◎◎◎◎'''}}}}}}|| ||<|2><:>{{{-3 {{{#9370DB EZ2CATCH}}}}}}[br]{{{+2 '''HD'''}}}||[[제로부터 시작하는 이세계 생활|{{{#fff C KARA HAJIMARU CATCH}}}]]|| ||,,PATTERN DESIGNER,,[br]WGC|| [[https://www.youtube.com/watch?v=wqUb-3kYLzg|영상보기]] 자세한 설명은 [[Out of Blue the]] 참고. 설명의 해석은 'C부터 시작되는 캐치'이며, 패턴은 일본의 특이 오락실로 유명한 [[오락실/일본#s-2.1.1|World Game Circus]]에서 제작되었다. [* iMp와 znpfg가 이 오락실에 어느정도 관여하고있다고 한다.] === [[Freedom(EZ2AC)|Freedom]] -Remaster- === ||<(><-2>
{{{+5 {{{#gray '''◎'''}}}}}}|| ||<|2><:>{{{#9370DB 5ONLY}}}[br]{{{+2 '''NM'''}}}||"...that CHANGE is coming..."|| ||,,PATTERN DESIGNER,,[br]Radio Free Lightonix|| [[https://www.youtube.com/watch?v=PqrVlEKt2oQ|영상보기]] 이 71번부터 84번까지 연달아 수록된 Freedom과 Look Out은 리마스터 부제가 달려있다. 즉 멀티트랙부터 건드려야하므로 [[Lovely Day]]처럼 리마스터 과정에서 [[키음]]을 새로 만들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 때문에 1st 수록곡이라고는 상상도 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키음이 할당된 채보가 존재한다. 이것을 선택하게 되면 옵션에 관계 없이 무조건 1st 스킨과 디폴트 노트 스킨으로 설정되며[* 단 5K ONLY, 5K STANDARD 한정이다.], CV2 기본 크레딧 대신에 1st 시절의 크레딧 폰트로 1 PLAYER ONLY라는 글자까지 나와서 [[EZ2DJ 6th TRAX ~Self Evolution~#s-3.2|EZ2DJ 1st처럼 화면이 위장된다.]] 이펙터도 1st 때의 것으로 나오기 때문에 시작하기 전에 배속을 잘 설정해야 한다. 또한 1st 때처럼 KOOL 판정이 없다. === Freedom -Remaster- === ||<(><-2>
{{{+5 {{{#yellow '''◎'''}}}{{{#gray '''◎◎'''}}}}}}|| ||<|2><:>{{{#9370DB 5STD}}}[br]{{{+2 '''HD'''}}}||Freedom vs. Restriction|| ||,,PATTERN DESIGNER,,[br]Slicker_PPU|| [[https://www.youtube.com/watch?v=Rf8jAbXsTXY|영상보기]] === Freedom -Remaster- === ||<(><-2>
{{{+5 {{{#gray '''◎◎◎◎'''}}}}}}|| ||<|2><:>{{{#9370DB 5STD}}}[br]{{{+2 '''SHD'''}}}||Restriction vs. Freedom|| ||,,PATTERN DESIGNER,,[br]Slicker_PPU|| [[https://www.youtube.com/watch?v=-ZbgOxeduDU|영상보기]] === Freedom -Remaster- === ||<(><-2>
{{{+5 {{{#gray '''◎◎◎◎'''}}}}}}|| ||<|2><:>{{{#9370DB 7K}}}[br]{{{+2 '''SHD'''}}}|| || ||,,PATTERN DESIGNER,,[br]EZ2AC TEAM "Anonymous"|| [[https://www.youtube.com/watch?v=5ofjHSubS-E|영상보기]] === Freedom -Remaster- === ||<(><-2>
{{{+5 {{{#yellow '''◎'''}}}}}}|| ||<|2><:>{{{#9370DB 10K}}}[br]{{{+2 '''HD'''}}}||EZ2AC CV2 Club Mix 1st Stage|| ||,,PATTERN DESIGNER,,[br]Radio Free Lightonix|| [[https://www.youtube.com/watch?v=QReS9VofOVQ|영상보기]] === Freedom -Remaster- === ||<(><-2>
{{{+5 {{{#red '''◎'''}}}}}}|| ||<|2><:>{{{#9370DB 10K}}}[br]{{{+2 '''SHD'''}}}||지금까지의 프리덤은 잊어라!|| ||,,PATTERN DESIGNER,,[br]dimcynical|| [[https://youtu.be/8aPp5vlc4hI|영상 보기]] 있는 키음을 모조리 가져와 만든 듯한 패턴이다. 실질적 난이도는 13 정도에 해당된다. === Freedom -Remaster- === ||<(><-2>
{{{+5 {{{#red '''◎'''}}}}}}|| ||<|2><:>{{{#9370DB 14K}}}[br]{{{+2 '''SHD'''}}}||[[동년배 드립|{{{#fff 나 10대 청년인데 동년배들 후리덤 좋아한다}}}]]|| ||,,PATTERN DESIGNER,,[br]dimcynical|| [[https://www.youtube.com/watch?v=xS9kRNhM2Z8|영상보기]] === [[Look Out]] -Remaster- === ||<(><-2>
{{{+5 {{{#gray '''◎◎'''}}}}}}|| ||<|2><:>{{{#9370DB 5ONLY}}}[br]{{{+2 '''HD'''}}}||조심! 전방에 연타 다발 구간입니다.|| ||,,PATTERN DESIGNER,,[br]Here comes Lightonix|| [[https://www.youtube.com/watch?v=rViMItkmqsc|영상보기]] 1st 모드로 진행이 되며, 중간에 배속조정이 되지 않으니 시작 전에 배속 조정해줘야한다. 노트스킨은 변경이 불가능하며 KOOL 판정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펙트도 1st때 했던 이펙트 그대로 차용. === Look Out -Remaster- === ||<(><-2>
{{{+5 {{{#yellow '''◎'''}}}{{{#gray '''◎◎◎◎◎'''}}}}}}|| ||<|2><:>{{{#9370DB 5STD}}}[br]{{{+2 '''EX'''}}}||{{{+1 WATCH OUT}}}|| ||,,PATTERN DESIGNER,,[br]Slicker_PPU|| [[https://www.youtube.com/watch?v=mgkJwjdslxI|영상보기]] 78번이랑 동일 === Look Out -Remaster- === ||<(><-2>
{{{+5 {{{#gray '''◎◎◎◎'''}}}}}}|| ||<|2><:>{{{#9370DB 7K}}}[br]{{{+2 '''SHD'''}}}|| || ||,,PATTERN DESIGNER,,[br]EZ2AC TEAM "Anonymous"|| [[https://www.youtube.com/watch?v=NEMlbXirBLI|영상보기]] 패턴 제작자 명의는 [[BEMANI Sound Team]]의 패러디로 보인다. === Look Out -Remaster- === ||<(><-2>
{{{+5 {{{#yellow '''◎'''}}}}}}|| ||<|2><:>{{{#9370DB 10K}}}[br]{{{+2 '''HD'''}}}||EZ2AC CV2 Club Mix 2nd Stage|| ||,,PATTERN DESIGNER,,[br]Here comes Lightonix|| [[https://youtu.be/asb_VcvJsvc|영상 보기]] 클럽믹스 컨셉이라는 이름에 맞게 2P 스크래치가 나오지 않는다. === Look Out -Remaster- === ||<(><-2>
{{{+5 {{{#red '''◎'''}}}}}}|| ||<|2><:>{{{#9370DB 14K}}}[br]{{{+2 '''SHD'''}}}||지금까지의 룩아웃은 잊어라!|| ||,,PATTERN DESIGNER,,[br]dimcynical|| [[https://www.youtube.com/watch?v=UAdsP4w4M2s|영상 보기]] === Look Out -Remaster- === ||<(><-2>
{{{+5 {{{#gray '''◎◎◎◎'''}}}}}}|| ||<|2><:>{{{#9370DB 14K}}}[br]{{{+2 '''HD'''}}}||HERE COMES MY CHART|| ||,,PATTERN DESIGNER,,[br]geodesic|| [[https://www.youtube.com/watch?v=ZyNMq_4IK98|영상보기]] === Look Out -Remaster- === ||<(><-2>
{{{+5 {{{#yellow '''◎'''}}}{{{#red '''◎◎'''}}}}}}|| ||<|2><:>{{{-3 {{{#9370DB ANDROMEDA}}}}}}[br]{{{+2 '''HD'''}}}||저레벨을 담당중입니다 {{{#red (제작자 멘트임)}}}|| ||,,PATTERN DESIGNER,,[br]dimcynical|| [[https://www.youtube.com/watch?v=0FX5hQDXREg|영상보기]] === [[LOKI]] === ||<(><-2>
{{{+5 {{{#green '''◎◎◎◎'''}}}}}}|| ||<|2><:>{{{-3 {{{#9370DB EZ2CATCH}}}}}}[br]{{{+2 '''SHD'''}}}||LOKI: God of Mischief|| ||,,PATTERN DESIGNER,,[br]Chneko|| [[https://www.youtube.com/watch?v=PzLITIUkjIM|영상보기]] 동일 곡의 펌프 잇 업 채보와 비슷한 프리징 기믹이 나온다. 또한 [[Engine]]의 EXPLODE 차분처럼 노트가 곡의 비트에 맞춰 나타나는 기믹까지 등장한다. === [[The Rhythm]] -CV2.5 MIX- === ||<(><-2>
{{{+5 {{{#yellow '''◎◎◎'''}}}}}}|| ||<|2><:>{{{-3 {{{#9370DB EZ2RACING}}}}}}[br]{{{+2 '''EZ'''}}}||R U READY 2 GO INSIDA "DRIVER'S SEAT"?|| ||,,PATTERN DESIGNER,,[br]LightonΣΧ|| [[https://www.youtube.com/watch?v=LgXOfQsh6ww|영상보기]] EZ2CATCH 모드로 노트를 놓쳐야 CATCH가 나오는 패턴이다. 노트를 받으면 MISS가 나면서 피가 깎이고 게이지회복이 되지 않는다. 일명 똥피하기. 그래서인지 패턴이 레이싱 트랙처럼 나온다. TT 1.83에서 모드명과 패턴 디자이너 표기가 변경되었다. === [[시간여행(팝스테이지)|시간여행]] === ||<(><-2>
{{{+5 {{{#blue '''◎◎'''}}}{{{#green '''◎'''}}}{{{#gray '''◎◎'''}}}}}}|| ||<|2><:>{{{#9370DB 5STD}}}[br]{{{+2 '''HD'''}}}||{{{+1 [TIME:TRAVEL]}}}|| ||,,PATTERN DESIGNER [ARRANGED],,[br]FOX-B|| [[https://www.youtube.com/watch?v=1vqKIXZ3Dns|영상보기]] [[오투잼 시리즈]] 콜라보레이션 이식곡으로 CV2.5에서 선행 공개되었다. [[팝스테이지]]에 존재했던 변속을 재현한 것이 특징이다. === [[Soul Destructor]] === ||<(><-2>
{{{+5 {{{#red '''◎◎◎◎◎'''}}}}}}|| ||<|2><:>{{{#9370DB 5STD}}}[br]{{{+2 '''X'''}}}||,,To. 폭스비,,[br]"당신 뭘 믿고 이런 짓 하는 거야?"|| ||,,PATTERN DESIGNER,,[br]RYUminus|| [[https://youtu.be/ma0TB796GiY|영상 보기]] TT 1.83 핫픽스에서 추가된 패턴. '''7th TraX 인컴테스트 시절 5K HD로 알려졌던 그 패턴'''이다. 다만 멜로디 페달 등의 무리배치가 빠졌으며 MR 싱크 오류도 수정되었다. === [[SND]] === ||<(><-2>
{{{+5 {{{#yellow '''◎◎◎'''}}}{{{#gray '''◎◎◎◎'''}}}}}}|| ||<|2><:>{{{#9370DB 10K}}}[br]{{{+2 '''HD'''}}}||페달 스위칭#1|| ||,,PATTERN DESIGNER,,[br]BKANOTHER|| [[https://www.youtube.com/watch?v=6B59quCuHWQ|영상 보기]] 10번 라그랑 패턴과 똑같은 좌/우 투핸드 패턴인데 페달이 지나갈 때마다 손 위치가 바뀐다. 90, 91번 패턴도 같은 방식. === [[BEDLAM]] === ||<(><-2>
{{{+5 {{{#yellow '''◎◎◎'''}}}{{{#gray '''◎◎◎◎'''}}}}}}|| ||<|2><:>{{{#9370DB 10K}}}[br]{{{+2 '''HD'''}}}||페달 스위칭#2|| ||,,PATTERN DESIGNER,,[br]BKANOTHER|| [[https://www.youtube.com/watch?v=8KR3iugpEIY|영상 보기]] === [[Keep On!]] === ||<(><-2>
{{{+5 {{{#yellow '''◎◎◎'''}}}{{{#gray '''◎◎◎◎'''}}}}}}|| ||<|2><:>{{{#9370DB 10K}}}[br]{{{+2 '''HD'''}}}||페달 스위칭#3|| ||,,PATTERN DESIGNER,,[br]BKANOTHER|| [[https://www.youtube.com/watch?v=uf6cMdKDRpI|영상 보기]] === [[ambit]] === ||<(><-2>
{{{+5 {{{#green '''◎◎◎◎'''}}}{{{#red '''◎'''}}}}}}|| ||<|2><:>{{{#9370DB 5ONLY}}}[br]{{{+2 '''X'''}}}||[ ACCESS----- ]|| ||,,PATTERN DESIGNER,,[br]c_ _-_ _L[EXPUNGED]|| 92~97번 패턴은 NT에 수록될 예정인 [[ambit]]의 선행수록판. 패턴의 처음부터 끝까지 변속이 깔려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이후 FN 1.70, TT 1.93, NT 2.01에 변속 등을 제거하고 이식되었다. === [[ambit]] === ||<(><-2>
{{{+5 {{{#green '''◎◎◎◎'''}}}{{{#red '''◎'''}}}}}}|| ||<|2><:>{{{#9370DB 5STD}}}[br]{{{+2 '''X'''}}}||[ -ACCESS---- ]|| ||,,PATTERN DESIGNER,,[br]c_ _ _-_|| === [[ambit]] === ||<(><-2>
{{{+5 {{{#green '''◎◎◎◎'''}}}{{{#red '''◎'''}}}}}}|| ||<|2><:>{{{#9370DB 7K}}}[br]{{{+2 '''X'''}}}||[ -\-ACCESS-\-- ]|| ||,,PATTERN DESIGNER,,[br]c_ - _ _ _ _wf|| === [[ambit]] === ||<(><-2>
{{{+5 {{{#green '''◎◎◎◎'''}}}{{{#red '''◎'''}}}}}}|| ||<|2><:>{{{#9370DB 10K}}}[br]{{{+2 '''X'''}}}||[ --\-ACCESS\-- ]|| ||,,PATTERN DESIGNER,,[br]c_ _ _-_|| === [[ambit]] === ||<(><-2>
{{{+5 {{{#green '''◎◎◎◎'''}}}{{{#red '''◎'''}}}}}}|| ||<|2><:>{{{#9370DB 14K}}}[br]{{{+2 '''X'''}}}||[ ----ACCESS- ]|| ||,,PATTERN DESIGNER,,[br]c_ _ _-_|| === [[ambit]] === ||<(><-2>
{{{+5 {{{#green '''◎◎◎◎'''}}}{{{#red '''◎'''}}}}}}|| ||<|2><:>{{{#9370DB EZ2CATCH}}}[br]{{{+2 '''X'''}}}||[ -----ACCESS ]|| ||,,PATTERN DESIGNER,,[br]c_ - _ _ _ _wf|| === [[The Ashtray]] === ||<(><-2>
{{{+5 {{{#green '''◎◎◎'''}}}{{{#yellow '''◎◎◎'''}}}}}}|| ||<|2><:>{{{#9370DB EZ2RACING}}}[br]{{{+2 '''HD'''}}}||Drive on the signal.|| ||,,PATTERN DESIGNER,,[br]geodesic spoiled by chneko|| [[https://www.youtube.com/watch?v=G-ik22VzUFg|영상 보기]] 난이도로 보나 패턴 구성으로 보나 [[#s-2.86|86번]]의 강화판. 마찬가지로 피해야 되지만[* 물량은 9000개], 방향을 알려주고, 잠시뒤 갈림길에서 해당 방향으로 가야하는 패턴은 주의. 캐쳐가 자동차로, 노트(벽)은 타이어로, 콤보 표기는 SPEED로, 판정은 PASS로 표시된다. === [[The Prince of Darkness(EZ2AC)|The Prince of Darkness]] === ||<(><-2>
{{{+5 {{{#red '''◎◎◎◎'''}}}}}}|| ||<|2><:>{{{#9370DB EZ2CATCH}}}[br]{{{+2 '''X'''}}}||znpfg : "캐치 그거 그냥 클럽 때려박아"|| ||,,PATTERN DESIGNER [ARRANGED],,[br]D.|| [[EZ2DJ 7th 1.5]] 당시 캐치 패턴으로 자세한 것은 [[EZ2CATCH 4대 천왕]] 문서 참고. FNEX 1.20에서 곡이 부활하면서 정식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EZ2AC 7th Trax CLASS R : CODENAME VIOLET II, version=198)] [[분류:EZ2A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