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EUD/오프셋)] * 이 문서는 사용할 수 있는 EUD 오프셋중, Units.dat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다루고 있습니다. [Include(틀:EUD 오프셋 모음)] [목차] == 유닛 목록 == 이 문단은 스타크래프트의 Unit.dat 파일에 저장된 유닛의 ID를 정렬하였다. || '''16진수''' || '''10진수''' || '''유닛 이름''' || || 00 || 000 ||<(> Terran Marine || || 01 || 001 ||<(> Terran Ghost || || 02 || 002 ||<(> Terran Vulture || || 03 || 003 ||<(> Terran Goliath || || 04 || 004 ||<(> Goliath Turret || || 05 || 005 ||<(> Terran Siege Tank (Tank Mode) || || 06 || 006 ||<(> Siege Tank Turret (Tank Mode) || || 07 || 007 ||<(> Terran SCV || || 08 || 008 ||<(> Terran Wraith || || 09 || 009 ||<(> Terran Science Vessel || || 0A || 010 ||<(> Gui Montag (Firebat) || || 0B || 011 ||<(> Terran Dropship || || 0C || 012 ||<(> Terran Battlecruiser || || 0D || 013 ||<(> Spider Mine || || 0E || 014 ||<(> Nuclear Missile || || 0F || 015 ||<(> Terran Civilian || || 10 || 016 ||<(> Sarah kerrigan (Ghost) || || 11 || 017 ||<(> Alan Schezar (Goliath) || || 12 || 018 ||<(> Alan Schezar Turret || || 13 || 019 ||<(> Jim Raynor (Vulture) || || 14 || 020 ||<(> Jim Raynor (Marine) || || 15 || 021 ||<(> Tom Kazansky (Wraith) || || 16 || 022 ||<(> Magellan (Science Vessel) || || 17 || 023 ||<(> Edmund Duke (Tank Mode) || || 18 || 024 ||<(> Edmund Duke Turret (Tank Mode) || || 19 || 025 ||<(> Edmund Duke (Siege Mode) || || 1A || 026 ||<(> Edmund Duke Turret (Siege Mode) || || 1B || 027 ||<(> Arcturus Mengsk (Battlecruiser) || || 1C || 028 ||<(> Hyperion (Battlecruiser) || || 1D || 029 ||<(> Norad II (Battlecruiser) || || 1E || 030 ||<(> Terran Siege Tank (Siege Mode) || || 1F || 031 ||<(> Siege Tank Turret (Siege Mode) || || 20 || 032 ||<(> Terran Firebat || || 21 || 033 ||<(> Scanner Sweep || || 22 || 034 ||<(> Terran Medic || || 23 || 035 ||<(> Zerg Larva || || 24 || 036 ||<(> Zerg Egg || || 25 || 037 ||<(> Zerg Zergling || || 26 || 038 ||<(> Zerg Hydralisk || || 27 || 039 ||<(> Zerg Ultralisk || || 28 || 040 ||<(> Zerg Broodling || || 29 || 041 ||<(> Zerg Drone || || 2A || 042 ||<(> Zerg Overlord || || 2B || 043 ||<(> Zerg Mutalisk || || 2C || 044 ||<(> Zerg Guardian || || 2D || 045 ||<(> Zerg Queen || || 2E || 046 ||<(> Zerg Defiler || || 2F || 047 ||<(> Zerg Scouurge || || 30 || 048 ||<(> Torrasque (Ultralisk) || || 31 || 049 ||<(> Matriarch (Queen) || || 32 || 050 ||<(> Infested Terran || || 33 || 051 ||<(> Infested Kerrigan (Infested Terran) || || 34 || 052 ||<(> Unclean One (Defiler) || || 35 || 053 ||<(> Hunter Killer (Hydralisk) || || 36 || 054 ||<(> Devouring One (Zergling) || || 37 || 055 ||<(> Kukulza (Mutalisk) || || 38 || 056 ||<(> Kukulza (Guardian) || || 39 || 057 ||<(> Yggdrasill (Overlord) || || 3A || 058 ||<(> Terran Valkyrie || || 3B || 059 ||<(> Mutalisk Cocoon || || 3C || 060 ||<(> Protoss Corsair || || 3D || 061 ||<(> Protoss Dark Templar (Unit) || || 3E || 062 ||<(> Zerg Devourer || || 3F || 063 ||<(> Protoss Dark Archon || || 40 || 064 ||<(> Protoss Probe || || 41 || 065 ||<(> Protoss Zealot || || 42 || 066 ||<(> Protoss Dragoon || || 43 || 067 ||<(> Protoss High Templar || || 44 || 068 ||<(> Protoss Archon || == 기본 정보 == === 최대 체력 값 === ||<-3> {{{+1 '''{{{#black 00662350}}}'''}}} || ||<-2> '''공유''' || 공유함 || ||<-2> '''크기''' || 4 || ||<-2> '''길이''' || 228 || ||<|2> '''EUD''' || '''Player[br]Number''' || P8 || || '''Unit ID''' || 18431 || ||<-2> '''EPD''' || 221179 || 유닛당 4byte이므로 하나의 유닛당 최대 4294967295의 체력을 표현할 수 있지만, 스타크래프트에서는 체력값을 256씩 나누므로, 게임 내 정수값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256만큼 곱해야 한다. 즉 최대 값으로 넣으면 유닛 하나의 체력이 16777215.99609375 (소수점 제외하고 일천 육백 칠십 칠만 칠천 이백 십 오)나 된다. 하지만 체력이 4byte 2의 보수로 저장되기 때문에 과도하게 높은 체력을 대입하면 오히려 음수가 될 수 있다. [* 4byte를 저장하는 dword의 경우는 7FFFFFFF (10진수 2147483647)까지는 양수로 표현되지만, 80000000부터는 10진수로 표현시 -2147483648이 되며 음수의 특성상 수가 높을수록 절대값으로는 줄어들어 가장 높은 FFFFFFFF은 10진수로 -1이 된다.] 양수로 가장 높은 값인 2147483647을 256으로 나누면 8388607.99609375, 즉 대충 800만이 된다. === 실드 보유 === ||<-3> {{{+1 '''{{{#black 006647B0}}}'''}}} || ||<-2> '''공유''' || 공유함 || ||<-2> '''크기''' || 1 || ||<-2> '''길이''' || 228 || ||<|2> '''EUD''' || '''Player[br]Number''' || P8 || || '''Unit ID''' || 18625 || ||<-2> '''EPD''' || 223507 || 유닛의 실드 여부를 결정한다. 값이 00인 경우 실드가 없으며, 01일 경우 실드를 가지게 된다. === 최대 실드 값 === ||<-3> {{{+1 '''{{{#black 00660E00}}}'''}}} || ||<-2> '''공유''' || 공유함 || ||<-2> '''크기''' || 2 || ||<-2> '''길이''' || 228 || ||<|2> '''EUD''' || '''Player[br]Number''' || P12 || || '''Unit ID''' || 18317 || ||<-2> '''EPD''' || 219815 || 유닛당 2byte이므로 65535밖에 저장하지 못하지만 대신 최대 체력 값과 다르게 데이터 상의 1은 게임 내에서도 1의 실드를 가진다. 물론 구조 오프셋 내에서 현재 실드량이 256으로 나눠진다. === 방어력 === ||<-3> {{{+1 '''{{{#black 0065FEC8}}}'''}}} || ||<-2> '''공유''' || 공유함 || ||<-2> '''크기''' || 1 || ||<-2> '''길이''' || 228 || ||<|2> '''EUD''' || '''Player[br]Number''' || P10 || || '''Unit ID''' || 18236 || ||<-2> '''EPD''' || 218841 || 유닛의 기초 방어력을 설정한다. 유닛당 1byte이므로 하나의 유닛은 최대 기본 방어력 255를 가질 수 있다. === 방어구 업그레이드 === ||<-3> {{{+1 '''{{{#black 006635D0}}}'''}}} || ||<-2> '''공유''' || 공유함 || ||<-2> '''크기''' || 1 || ||<-2> '''길이''' || 228 || ||<|2> '''EUD''' || '''Player[br]Number''' || P4 || || '''Unit ID''' || 18530 || ||<-2> '''EPD''' || 222363 || 유닛의 방어구를 설정한다. 방어구 목록은 Upgrades.dat에서 색인. 참고로 None은 61 (0x3D)에 해당되지만, 61로 하면 사라지지 않고 None이라는 이름의 방어구를 가지게 된다. 물론 ID 61 방어구 업그레이드는 존재하지 않지만 아이콘이 생기는 것이 거슬려서 완전히 사라지게 하고 싶다면 60 (0x3C)로 해야 완벽하게 사라진다. 참고로 ID 60 업그레이드는 많은 건물의 방어구와 업그레이드를 받지 않는 무기들[* 일꾼들의 무기와 [[사이오닉 폭풍]]도 ID 60 업그레이드를 사용한다. 때문에 한때 스톰의 공격력을 높이는 방법인 "Unknown의 업그레이드 횟수를 올리면 스톰 공격력이 올라간다"는 설도 None이 아닌 60번째 업그레이드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추가로 사이오닉 폭풍의 공격력 증가량은 틱당 +1이며 사이오닉 폭풍의 매커니즘이 4초 동안 8회 공격이라 풀히트에 성공만 한다면 +1로 +8만큼의 효과를 볼 수 있다.]이 ID 60 업그레이드를 사용한다. === 요구 미네랄 값 === ||<-3> {{{+1 '''{{{#black 00663888}}}'''}}} || ||<-2> '''공유''' || 공유함 || ||<-2> '''크기''' || 2 || ||<-2> '''길이''' || 228 || ||<|2> '''EUD''' || '''Player[br]Number''' || P10 || || '''Unit ID''' || 18544 || ||<-2> '''EPD''' || 222537 || 유닛을 생산/건물을 건축시 필요한 미네랄의 값을 결정한다. 유닛당 2byte이므로 최대 65535까지 설정할 수 있다. === 요구 가스 값 === ||<-3> {{{+1 '''{{{#black 0065FD00}}}'''}}} || ||<-2> '''공유''' || 공유함 || ||<-2> '''크기''' || 2 || ||<-2> '''길이''' || 228 || ||<|2> '''EUD''' || '''Player[br]Number''' || P4 || || '''Unit ID''' || 18227 || ||<-2> '''EPD''' || 218727 || 유닛을 생산/건물을 건축시 필요한 가스의 값을 결정한다. 유닛당 2byte이므로 최대 65535까지 설정할 수 있다. === 생산 시간 === ||<-3> {{{+1 '''{{{#black 00660428}}}'''}}} || ||<-2> '''공유''' || 공유함 || ||<-2> '''크기''' || 2 || ||<-2> '''길이''' || 228 || ||<|2> '''EUD''' || '''Player[br]Number''' || P6 || || '''Unit ID''' || 18265 || ||<-2> '''EPD''' || 219185 || 유닛을 생산/건물을 건축까지 요구되는 시간의 값을 결정한다. 유닛당 2byte이므로 최대 65535까지 설정할 수 있다. 유닛 생산 시간 값이 0인 경우, 생산하는 순간 충돌이 일어나므로 적어도 값 1이라도 두어야 한다. === 지상 무기 === ||<-3> {{{+1 '''{{{#black 006636B8}}}'''}}} || ||<-2> '''공유''' || 공유함 || ||<-2> '''크기''' || 1 || ||<-2> '''길이''' || 228 || ||<|2> '''EUD''' || '''Player[br]Number''' || P2 || || '''Unit ID''' || 18535 || ||<-2> '''EPD''' || 222421 || 유닛이 상대 지상 유닛을 상대하기 위한 무기를 설정한다. 무기 목록은 Upgrades.dat에서 색인. 값을 130으로 지정하면 지상 무기를 사용하지 않게 되어 지상 유닛에 대해 공격을 가할 수 없다. 많은 초보자들이 간혹 실수하는 경우가 있는데, [[민간인(스타크래프트 시리즈)|테란 시민]], [[수송선(스타크래프트 시리즈)|드랍십]]처럼 원래 공격 자체가 불가능한 유닛에게 무기를 줘서 공격하는 순간 충돌이 일어나게 된다. 이는 다음 상기한 유닛들은 '''공격 스크립트'''라는 명령어가 없고, 그에 따른 이미지 또한 없기 때문이다. 물론 외형을 공격이 가능한 유닛의 외형으로 바꾸면 해결될 것이며, 다른 방법으로 드랍쉽의 경우는 드랍쉽의 이미지 스크립트를 레이스처럼 비슷하지만 공격 스크립트가 "있는" 이미지 스크립트로 바꾸면 된다.[* 스크립트 운운하는 부분은 1.16.1까지만 가능하다. 스타크래프트 리마스터 출시 이후 버전에 탑재되는 EUD에뮬레이터에는 블리자드가 악용 가능성을 우려해 Iscript와 GRP(외부 이미지 삽입기술)을 막아버렸기 때문.] === 지상 무기 최대 타격값 === ||<-3> {{{+1 '''{{{#black 006645E0}}}'''}}} || ||<-2> '''공유''' || 공유함 || ||<-2> '''크기''' || 1 || ||<-2> '''길이''' || 228 || ||<|2> '''EUD''' || '''Player[br]Number''' || P12 || || '''Unit ID''' || 18615 || ||<-2> '''EPD''' || 223391 || 유닛이 가지는 지상무기 공격 횟수. 변경 불가하다. === 공중 무기 === ||<-3> {{{+1 '''{{{#black 006616E0}}}'''}}} || ||<-2> '''공유''' || 공유함 || ||<-2> '''크기''' || 1 || ||<-2> '''길이''' || 228 || ||<|2> '''EUD''' || '''Player[br]Number''' || P4 || || '''Unit ID''' || 18365 || ||<-2> '''EPD''' || 220383 || 유닛이 상대 공중 유닛을 상대하기 위한 무기를 설정한다. 무기 목록은 Upgrades.dat에서 색인. 값을 130으로 지정하면 공중 무기를 사용하지 않게 되어 공중 유닛에 대해 공격을 가할 수 없다. 지상 무기와 같은 맥락. 지상 무기와 공중 무기가 서로 같은 무기인 경우, 게임 내에서는 __하나의 무기만 보여진다__. === 공중 무기 최대 타격값 === ||<-3> {{{+1 '''{{{#black 0065FC18}}}'''}}} || ||<-2> '''공유''' || ? || ||<-2> '''크기''' || 1 || ||<-2> '''길이''' || 228 || ||<|2> '''EUD''' || '''Player[br]Number''' || P6 || || '''Unit ID''' || 18222 || ||<-2> '''EPD''' || 218669 || 유닛이 가지는 공중무기 공격 횟수. 변경 불가하다. === 사용 공급량 === ||<-3> {{{+1 '''{{{#black 00663CE8}}}'''}}} || ||<-2> '''공유''' || 공유함 || ||<-2> '''크기''' || 1 || ||<-2> '''길이''' || 228 || ||<|2> '''EUD''' || '''Player[br]Number''' || P2 || || '''Unit ID''' || 18568 || ||<-2> '''EPD''' || 222817 || 유닛 생산시 사용될 공급량을 결정한다. 사용 공급량은 값 1당 0.5의 공급량을 사용한다. 즉 게임 내 사용 공급량 1은 데이터상으로 2가 된다. 저글링, 스커지처럼 두마리가 공급량 1인 경우 데이터상으로 1이 된다. === 제공 공급량 === ||<-3> {{{+1 '''{{{#black 006646C8}}}'''}}} || ||<-2> '''공유''' || 공유함 || ||<-2> '''크기''' || 1 || ||<-2> '''길이''' || 228 || ||<|2> '''EUD''' || '''Player[br]Number''' || P10 || || '''Unit ID''' || 18620 || ||<-2> '''EPD''' || 223449 || 유닛 생산시 확보될 공급량을 결정한다. 제공 공급량은 값 1당 0.5의 공급량을 제공한다. 즉 게임 내 제공 공급량 1은 데이터상으로 2가 된다. 커맨드 센터의 제공 공급량은 10이며, 데이터상으로 20이 된다. === 그룹 플래그 === ||<-3> {{{+1 '''{{{#black 006637A0}}}'''}}} || ||<-2> '''공유''' || 공유함 || ||<-2> '''크기''' || 1 || ||<-2> '''길이''' || 228 || ||<|2> '''EUD''' || '''Player[br]Number''' || P12 || || '''Unit ID''' || 18539 || ||<-2> '''EPD''' || 222479 || 유닛의 그룹 플래그를 결정한다. 다음 테이블은 그룹 플래그 값이다. || 값 || 종족 || 비고 || || 0x01 || 저그 || 부하종 사용, 건물은 크립 위에서만 가능 || || 0x02 || 테란 || 공급 사용, 체력이 일정량 이하일 경우 지속적으로 피해를 받는다 || || 0x04 || 프로토스 || 사이오닉 사용 || || 0x08 || 유닛 || - || || 0x10 || 건물 || - || || 0x20 || 생산 가능 || - || || 0x40 || 독립 || - || || 0x80 || 중립 || - || DatEdit 기준으로 0x01, 0x02, 0x04는 유닛 기본 정보 탭에서 발견할 수 있으며, 나머지 5가지는 에디터 정보 부분에 존재한다. === 수송 공간 요구량 === ||<-3> {{{+1 '''{{{#black 00664410}}}'''}}} || ||<-2> '''공유''' || 공유함 || ||<-2> '''크기''' || 1 || ||<-2> '''길이''' || 228 || ||<|2> '''EUD''' || '''Player[br]Number''' || P4 || || '''Unit ID''' || 18606 || ||<-2> '''EPD''' || 223275 || 유닛이 수송선 유닛에 탑승시 차지하는 공간을 결정한다. 값은 1부터 8까지 사용하며, 값을 255 (0xFF)로 설정할 경우 해당 유닛은 탑승할 수 없다. === 수송 공간 크기 === ||<-3> {{{+1 '''{{{#black 00660988}}}'''}}} || ||<-2> '''공유''' || 공유함 || ||<-2> '''크기''' || 1 || ||<-2> '''길이''' || 228 || ||<|2> '''EUD''' || '''Player[br]Number''' || P2 || || '''Unit ID''' || 18294 || ||<-2> '''EPD''' || 219529 || 유닛이 제공하는 수송선 내부 공간을 결정한다. 값은 1부터 8까지 사용하며, 값을 0으로 설정할 경우 해당 유닛은 다른 유닛을 탑승시킬 수 없다. 8보다 높은 값을 설정하면 그 나머지 공간에 탑승한 유닛은 소멸된다. 그리고 너무 높은값을 주고 그 공간에 전부 태우면 고장나는(내려지지도 태우지도 못하는)수가 있다 === 생산 점수 === ||<-3> {{{+1 '''{{{#black 00663408}}}'''}}} || ||<-2> '''공유''' || 공유함 || ||<-2> '''크기''' || 2 || ||<-2> '''길이''' || 228 || ||<|2> '''EUD''' || '''Player[br]Number''' || P10 || || '''Unit ID''' || 18520 || ||<-2> '''EPD''' || 222249 || 유닛이 가지는 생산시 점수를 결정한다. 점수는 게임을 진행하는 동안 누적되며, 게임이 종료된 직후 점수판에서 적용된다. 생산 점수의 변경은 이전에 생산된 유닛에 적용되지 않는다. === 파괴 점수 === ||<-3> {{{+1 '''{{{#black 00663EB8}}}'''}}} || ||<-2> '''공유''' || 공유함 || ||<-2> '''크기''' || 2 || ||<-2> '''길이''' || 228 || ||<|2> '''EUD''' || '''Player[br]Number''' || P10 || || '''Unit ID''' || 18577 || ||<-2> '''EPD''' || 222933 || 유닛이 가지는 파괴시 점수를 결정한다. 점수는 게임을 진행하는 동안 누적되며, 게임이 종료된 직후 점수판에서 적용된다. 파괴 점수의 변경은 이전에 파괴된 유닛에 적용되지 않는다. === 크기 유형 === ||<-3> {{{+1 '''{{{#black 00662180}}}'''}}} || ||<-2> '''공유''' || 공유함 || ||<-2> '''크기''' || 1 || ||<-2> '''길이''' || 228 || ||<|2> '''EUD''' || '''Player[br]Number''' || P12 || || '''Unit ID''' || 18421 || ||<-2> '''EPD''' || 221063 || 유닛의 크기 (방어 유형)를 결정한다. 다음 테이블은 유닛 크기 유형 값이다. ||<|2> 값 ||<|2> 크기 ||<-3> 피해량 || || 일반형 || 진동형 || 폭발형 || || 0 || 독립 ||<-3> 모든 공격에 0.5 || || 1 || 소형 || 100% || 100% || 50% || || 2 || 중형 || 100% || 50% || 75% || || 3 || 대형 || 100% || 25% || 100% || === 시야 범위 === ||<-3> {{{+1 '''{{{#black 00663238}}}'''}}} || ||<-2> '''공유''' || 공유함 || ||<-2> '''크기''' || 1 || ||<-2> '''길이''' || 228 || ||<|2> '''EUD''' || '''Player[br]Number''' || P2 || || '''Unit ID''' || 18511 || ||<-2> '''EPD''' || 222133 || 유닛이 가지는 맵을 밝힐 범위를 결정한다. 값은 0~11까지 허용되며, 11보다 높을 경우 크래시 현상이 일어난다. === 적 유닛 탐색 및 인식 범위 === ||<-3> {{{+1 '''{{{#black 00662DB8}}}'''}}} || ||<-2> '''공유''' || 공유함 || ||<-2> '''크기''' || 1 || ||<-2> '''길이''' || 228 || ||<|2> '''EUD''' || '''Player[br]Number''' || P2 || || '''Unit ID''' || 18487 || ||<-2> '''EPD''' || 221845 || 유닛이 가지는 적 유닛 탐색 범위를 결정한다. 값이 클수록 지도가 보여지는 한에서 적을 포착하는 인식 범위가 넓어지며, 유닛이 가진 무기의 최대 사거리에 도달할 때 까지 이동한다. 값이 0인 경우, 유닛이 가진 무기의 최대 사거리가 인식 범위의 절반 가량이 된다. == 고급 정보 == === 어드밴스드 플래그[* '''스페셜어빌리티플래그''' 라고도 불린다.] === |||| {{{+3 '''{{{#black 00664080}}}'''}}} || ||<(> '''Size''' ||<(> 4 || ||<(> '''Length''' ||<(> 228 || ||<(> '''Player Number''' ||<(> P4 || ||<(> '''Unit ID''' ||<(> 18587 || ||<(> '''Extended Player Number''' ||<(> 223047 || 유닛의 어드밴스드 플래그를 결정한다. 어드밴스드 플래그는 데이터상으로 값을 "모두" 더한 값이 된다. 그러므로 Add와 Subtract로 해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원하는 어드밴스드 플래그의 값을 합친 뒤 그것을 SetTo로 넣으면 된다. 기본적으로 여러가지 값이 있는 경우, 가장 높은 값에 해당하는 플래그를 우선적으로 적용하며, 이 후 나머지 값들을 동일한 방식으로 플래그를 적용한다. 하지만 같은 플래그 값이 두번 이상 추가되면 오히려 전혀 다른 플래그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적에 해당하는 값 0x20000000을 두번 넣으면 최종 값이 0x40000000이 되므로 해당 유닛은 트리거로도 해제할 수 없는 완전 무적체 유닛이 아닌, 락다운에 걸릴 수 있는 기계체 유닛이 될 수 있다. 다음 테이블은 어드밴스드 플래그 값이다. || 값 || 플래그 || 값 || 플래그 || || '''0x00000001''' || 건물 || '''0x00010000''' || 생체 유닛 || || '''0x00000002''' || 애드온 || '''0x00020000''' || 크립 필요 || || '''0x00000004''' || 공중 유닛 || '''0x00040000''' || 미사용 || || '''0x00000008''' || 일꾼 || '''0x00080000''' || 사이오닉 필드 필요 || || '''0x00000010''' || 부가유닛 || '''0x00100000''' || 버로우 가능 || || '''0x00000020''' || 이륙 가능 건물 || '''0x00200000''' || 마법 사용 가능 || || '''0x00000040''' || 영웅 || '''0x00400000''' || 영구 은폐 상태 || || '''0x00000080''' || 체력 자연 회복 || '''0x00800000''' || 아이템 습득 가능[* 일꾼과 중복되나, 일꾼은 '자원을 캘 수 있음'을 의미하고, 아이템 습득 가능은 플래그, 카다린 수정 등을 '들 수 있음'을 의미한다.] || || '''0x00000100''' || 대기시 애니메이션 있음[* 마린처럼 대기시 조금씩 움직이는 애니메이션이 있는 유닛들에게 적용된다.] || '''0x01000000''' || 공급량 확인 무시 || || '''0x00000200''' || 은폐 가능 || '''0x02000000''' || 중형 크기 오버레이 사용 || || '''0x00000400''' || 알 하나에 두 유닛 || '''0x04000000''' || 대형 크기 오버레이 사용 || || '''0x00000800''' || 단일 개체 || '''0x08000000''' || 전투에 반응 || || '''0x00001000''' || 자원 창고 || '''0x10000000''' || 타겟방향 자동 공격 || || '''0x00002000''' || 자원 유닛 || '''0x20000000''' || 무적 || || '''0x00004000''' || 로보틱 유닛 || '''0x40000000''' || 기계체 유닛 || || '''0x00008000''' || 디텍터 || '''0x80000000''' || 유닛 생산[* 라바를 뜻한다. 리버나 캐리어는 제외] || === 감염 유닛 === |||| {{{+3 '''{{{#black 00664980}}}'''}}} || ||<(> '''Size''' ||<(> 2 || ||<(> '''Length''' ||<(> 96 || ||<(> '''Player Number''' ||<(> P4 || ||<(> '''Unit ID''' ||<(> 18635 || ||<(> '''Extended Player Number''' ||<(> 223623 || 오로직 건물 유닛에게만 적용된다. 퀸이 해당 유닛을 감염시킬 때 바뀌어지는 유닛을 결정한다. '106 커맨드 센터'를 0으로 두며, 최대 96개 '201 오버마인드 코쿤'까지 적용된다. DatEdit으로 보는 경우라면 유닛 ID에 106만큼 빼면 된다. === 부가 유닛 1 === |||| {{{+3 '''{{{#black 006607C0}}}'''}}} || ||<(> '''Size''' ||<(> 2 || ||<(> '''Length''' ||<(> 228 || ||<(> '''Player Number''' ||<(> P8 || ||<(> '''Unit ID''' ||<(> 18284 || ||<(> '''Extended Player Number''' ||<(> 219415 || 기본적으로 골리앗, 시즈탱크에 있으며, 본체 외의 따로 적용되는 추가적인 무기를 부착한다. === 부가 유닛 2 === |||| {{{+3 '''{{{#black 00660C38}}}'''}}} || ||<(> '''Size''' ||<(> 2 || ||<(> '''Length''' ||<(> 228 || ||<(> '''Player Number''' ||<(> P6 || ||<(> '''Unit ID''' ||<(> 18308 || ||<(> '''Extended Player Number''' ||<(> 219701 || 두번째 부가 유닛. 현재 사용되지 않는다. == 사운드 == === 사운드 "Ready" === |||| {{{+3 '''{{{#black 00661FC0}}}'''}}} || ||<(> '''Size''' ||<(> 2 || ||<(> '''Length''' ||<(> 106 || ||<(> '''Player Number''' ||<(> P8 || ||<(> '''Unit ID''' ||<(> 18412 || ||<(> '''Extended Player Number''' ||<(> 220951 || 유닛 생산 완료시 재생되는 사운드를 결정한다. 0 테란 마린에서 105 디스럽터 웹까지 존재한다. === 사운드 "Yes" 시작 === |||| {{{+3 '''{{{#black 00661FC0}}}'''}}} || ||<(> '''Size''' ||<(> 2 || ||<(> '''Length''' ||<(> 106 || ||<(> '''Player Number''' ||<(> P8 || ||<(> '''Unit ID''' ||<(> 18563 || ||<(> '''Extended Player Number''' ||<(> 222763 || 유닛에게 명령시 재생되는 사운드의 시작점을 결정한다. 0 테란 마린에서 105 디스럽터 웹까지 존재한다. === 사운드 "Yes" 끝 === |||| {{{+3 '''{{{#black 00661440}}}'''}}} || ||<(> '''Size''' ||<(> 2 || ||<(> '''Length''' ||<(> 106 || ||<(> '''Player Number''' ||<(> P2 || ||<(> '''Unit ID''' ||<(> 18351 || ||<(> '''Extended Player Number''' ||<(> 220215 || 유닛에게 명령시 재생되는 사운드의 끝점을 결정한다. 0 테란 마린에서 105 디스럽터 웹까지 존재한다. === 사운드 "What" 시작 === |||| {{{+3 '''{{{#black 0065FFB0}}}'''}}} || ||<(> '''Size''' ||<(> 2 || ||<(> '''Length''' ||<(> 228 || ||<(> '''Player Number''' ||<(> P8 || ||<(> '''Unit ID''' ||<(> 18241 || ||<(> '''Extended Player Number''' ||<(> 218899 || 유닛을 선택시 재생되는 사운드의 끝점을 결정한다. 228개의 모든 유닛에 존재한다. === 사운드 "What" 끝 === |||| {{{+3 '''{{{#black 00662BF0}}}'''}}} || ||<(> '''Size''' ||<(> 2 || ||<(> '''Length''' ||<(> 228 || ||<(> '''Player Number''' ||<(> P8 || ||<(> '''Unit ID''' ||<(> 18477 || ||<(> '''Extended Player Number''' ||<(> 221731 || 유닛을 선택시 재생되는 사운드의 끝점을 결정한다. 228개의 모든 유닛에 존재한다. === 사운드 "Pissed" 시작 === |||| {{{+3 '''{{{#black 00663B38}}}'''}}} || ||<(> '''Size''' ||<(> 2 || ||<(> '''Length''' ||<(> 106 || ||<(> '''Player Number''' ||<(> P2 || ||<(> '''Unit ID''' ||<(> 18559 || ||<(> '''Extended Player Number''' ||<(> 222709 || 유닛을 5번 이상 클릭시 재생되는 사운드 "Pissed"의 시작점을 결정한다. 0 테란 마린에서 105 디스럽터 웹까지 존재한다. === 사운드 "Pissed" 끝 === |||| {{{+3 '''{{{#black 00661EE8}}}'''}}} || ||<(> '''Size''' ||<(> 2 || ||<(> '''Length''' ||<(> 106 || ||<(> '''Player Number''' ||<(> P2 || ||<(> '''Unit ID''' ||<(> 18408 || ||<(> '''Extended Player Number''' ||<(> 220897 || 유닛을 5번 이상 클릭시 재생되는 사운드 "Pissed"의 끝점을 결정한다. 0 테란 마린에서 105 디스럽터 웹까지 존재한다. == 그래픽 == === 외형 === |||| {{{+3 '''{{{#black 006644F8}}}'''}}} || ||<(> '''Size''' ||<(> 1 || ||<(> '''Length''' ||<(> 228 || ||<(> '''Player Number''' ||<(> P2 || ||<(> '''Unit ID''' ||<(> 18611 || ||<(> '''Extended Player Number''' ||<(> 223333 || 유닛의 외형을 결정한다. 단, 기존에 생성된 유닛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 생산 외형 === |||| {{{+3 '''{{{#black 006610B0}}}'''}}} || ||<(> '''Size''' ||<(> 4 || ||<(> '''Length''' ||<(> 228 || ||<(> '''Player Number''' ||<(> P4 || ||<(> '''Unit ID''' ||<(> 18332 || ||<(> '''Extended Player Number''' ||<(> 219987 || 유닛이 생산되는 모습을 결정한다. 값을 0으로 할 경우 아무런 그래픽 없이 생산된다. === 포트레이트 === |||| {{{+3 '''{{{#black 00662F88}}}'''}}} || ||<(> '''Size''' ||<(> 2 || ||<(> '''Length''' ||<(> 228 || ||<(> '''Player Number''' ||<(> P10 || ||<(> '''Unit ID''' ||<(> 18496 || ||<(> '''Extended Player Number''' ||<(> 221961 || 유닛이 가지는 포트레이트 (얼굴 화면)를 결정한다. 아예 없는 검은 화면은 0xFFFF (65535)로 해야 하며, Talking Portrait나 220 None으로 할 경우 크래시 현상이 일어난다. === 높이 === |||| {{{+3 '''{{{#black 00663150}}}'''}}} || ||<(> '''Size''' ||<(> 1 || ||<(> '''Length''' ||<(> 228 || ||<(> '''Player Number''' ||<(> P4 || ||<(> '''Unit ID''' ||<(> 18506 || ||<(> '''Extended Player Number''' ||<(> 222075 || 유닛의 높이를 결정한다. 0~1까지 지하, 2~11까지 지상, 12~19까지 공중으로 나눠진다. 높이를 12 이상으로 할 경우 이동시 부드럽게 이동한다. === 생성 방향 === |||| {{{+3 '''{{{#black 006605F0}}}'''}}} || ||<(> '''Size''' ||<(> 1 || ||<(> '''Length''' ||<(> 228 || ||<(> '''Player Number''' ||<(> P12 || ||<(> '''Unit ID''' ||<(> 18274 || ||<(> '''Extended Player Number''' ||<(> 219299 || 유닛이 생성될 때 유닛의 방향을 결정한다. 값은 0부터 32까지 사용된다. 0은 위를 바라보며, 16은 아래롤 바라보며 생성된다. 32는 생성할 때 마다 방향이 랜덤으로 결정된다. === 크기 === |||| {{{+3 '''{{{#black 006617C8}}}'''}}} || ||<(> '''Size''' ||<(> 8 || ||<(> '''Length''' ||<(> 228 || ||<(> '''Player Number''' ||<(> P2 || ||<(> '''Unit ID''' ||<(> 18370 || ||<(> '''Extended Player Number''' ||<(> 220441 || 유닛의 크기를 결정한다. 가로와 세로로 결정하는 방식이 아닌, 좌 상 우 하 네개의 크기를 결정하는 방식이다. 모든 크기는 유닛의 중심으로부터 넓어진다. 기본적으로 한 유닛이 포함하는 어드레스는 총 8개이며, 4개씩 나눠져 2개마다 방향별 크기가 나눠진다. 2개씩 구별되므로 하나의 크기에 최대 0xFFFF까지 결정된다. 다음 테이블은 유닛 크기를 구별한다. || 어드레스 || 크기 || || +0 ||<|2> 좌측 크기 || || +1 || || +2 ||<|2> 상측 크기 || || +3 || || +4 ||<|2> 우측 크기 || || +5 || || +6 ||<|2> 하측 크기 || || +7 || === 애드온 배치 위치 === |||| {{{+3 '''{{{#black 006617C8}}}'''}}} || ||<(> '''Size''' ||<(> 4 || ||<(> '''Length''' ||<(> 96 || ||<(> '''Player Number''' ||<(> P8 || ||<(> '''Unit ID''' ||<(> 18450 || ||<(> '''Extended Player Number''' ||<(> 221407 || 배치되는 애드온의 위치를 결정한다. 배치될 애드온 유닛에 적용되며, 각 애드온이 배치될 X좌표 값은 0부터 0xFFFF까지, Y좌표 값은 0x10000부터 0xFFFFFFFF까지 사용된다. '106 커맨드 센터'를 0으로 두며, 최대 96개 '201 오버마인드 코쿤'까지 적용된다. DatEdit으로 보는 경우라면 유닛 ID에 106만큼 빼면 된다. == 에디터 정보 == === 스타에디트 어빌리티 플래그 === |||| {{{+3 '''{{{#black 00661518}}}'''}}} || ||<(> '''Size''' ||<(> 2 || ||<(> '''Length''' ||<(> 228 || ||<(> '''Player Number''' ||<(> P10 || ||<(> '''Unit ID''' ||<(> 18355 || ||<(> '''Extended Player Number''' ||<(> 220269 || 유닛의 스타에디트 어빌리티 플래그를 결정한다. 다음 테이블은 스타에디트 어빌리티 플래그의 값이다. || 값 || 플래그 || || 0x0001 || 비 자연물 || || 0x0002 || 유닛기제 & 팔레트[* 트리거 소환 가능 여부 설정. 이 옵션으로 트리거 소환이 불가능한 유닛들인 [[아크튜러스 멩스크]], [[알다리스]], [[라자갈]], [[제라드 듀갈]]을 소환 가능하게 할 수 있다.] || || 0x0004 || 미션 브리핑 || || 0x0008 || 플레이어 세팅 || || 0x0010 || 모든 종족 || || 0x0020 || 장식물 설정 상태 || || 0x0040 || 비 로케이션 트리거 || || 0x0080 || 유닛 & 영웅 설정 || || 0x0100 || 로케이션 트리거 || || 0x0200 || 브루드워 전용 || === 계급 === |||| {{{+3 '''{{{#black 00663DD0}}}'''}}} || ||<(> '''Size''' ||<(> 1 || ||<(> '''Length''' ||<(> 228 || ||<(> '''Player Number''' ||<(> P12 || ||<(> '''Unit ID''' ||<(> 18572 || ||<(> '''Extended Player Number''' ||<(> 222875 || 유닛의 계급을 결정한다. 표기는 오로직 테란 유닛에만 해당된다. === 건물 건설 크기 === |||| {{{+3 '''{{{#black 00662860}}}'''}}} || ||<(> '''Size''' ||<(> 4 || ||<(> '''Length''' ||<(> 228 || ||<(> '''Player Number''' ||<(> P8 || ||<(> '''Unit ID''' ||<(> 18458 || ||<(> '''Extended Player Number''' ||<(> 221503 || 건물을 건설시, 건물이 차지하는 공간을 결정한다. 기본적으로 건물은 1칸 단위로 결정되며, 그 1칸은 16x16픽셀 크기이다. 이것은 순전히 건물 배치시 필요한 지형 공간을 의미하며, 실질적인 크기는 유닛 상하좌우 크기에 따른다.[* 즉, 건물 건설 크기가 매우 넓어도, 실질적인 유닛 크기가 작다면 건설하려는 공간 내부에 유닛이 있더라도 문제없이 배치가 가능하다.] 하나의 유닛당 4개를 가지며, 크기는 각 2개씩 나눠진다. 0x00000000부터 0x0000FFFF까지는 가로 크기에 해당되며, 0x00000000부터 0xFFFF0000까지 세로 크기에 해당된다. == 인공지능 행동 == === 컴퓨터 대기 === |||| {{{+3 '''{{{#black 00662EA0}}}'''}}} || ||<(> '''Size''' ||<(> 1 || ||<(> '''Length''' ||<(> 228 || ||<(> '''Player Number''' ||<(> P12 || ||<(> '''Unit ID''' ||<(> 18491 || ||<(> '''Extended Player Number''' ||<(> 221903 || 컴퓨터 소유의 유닛일 경우, 해당 유닛이 대기상태일 때 어떠한 행동을 할 지를 결정한다. === 사람 대기 === |||| {{{+3 '''{{{#black 00662268}}}'''}}} || ||<(> '''Size''' ||<(> 1 || ||<(> '''Length''' ||<(> 228 || ||<(> '''Player Number''' ||<(> P10 || ||<(> '''Unit ID''' ||<(> 18426 || ||<(> '''Extended Player Number''' ||<(> 221121 || 사람 소유의 유닛일 경우, 해당 유닛이 대기상태일 때 어떠한 행동을 할 지를 결정한다. === 대기로 돌아옴 === |||| {{{+3 '''{{{#black 00664898}}}'''}}} || ||<(> '''Size''' ||<(> 1 || ||<(> '''Length''' ||<(> 228 || ||<(> '''Player Number''' ||<(> P6 || ||<(> '''Unit ID''' ||<(> 18630 || ||<(> '''Extended Player Number''' ||<(> 223565 || 해당 유닛이 다시 대기 상태가 될 경우 어떠한 행동을 할 지 결정한다. === 공격 === |||| {{{+3 '''{{{#black 00663320}}}'''}}} || ||<(> '''Size''' ||<(> 1 || ||<(> '''Length''' ||<(> 228 || ||<(> '''Player Number''' ||<(> P12 || ||<(> '''Unit ID''' ||<(> 18515 || ||<(> '''Extended Player Number''' ||<(> 222191 || 해당 유닛이 어떠한 유닛을 대상으로 공격할 경우 어떠한 행동을 할 지 결정한다. === 공격과 이동 === |||| {{{+3 '''{{{#black 00663A50}}}'''}}} || ||<(> '''Size''' ||<(> 1 || ||<(> '''Length''' ||<(> 228 || ||<(> '''Player Number''' ||<(> P4 || ||<(> '''Unit ID''' ||<(> 18554 || ||<(> '''Extended Player Number''' ||<(> 222651 || 해당 유닛이 이동 공격[* 땅에 공격 명령, 즉 어택땅.]할 경우 어떠한 행동을 할 지 결정한다. === 우클릭 행동 === |||| {{{+3 '''{{{#black 00662098}}}'''}}} || ||<(> '''Size''' ||<(> 1 || ||<(> '''Length''' ||<(> 228 || ||<(> '''Player Number''' ||<(> P2 || ||<(> '''Unit ID''' ||<(> 18417 || ||<(> '''Extended Player Number''' ||<(> 221005 || 해당 유닛에게 우클릭으로 명령을 내릴 경우 어떠한 행동을 할 지 결정한다. 다음 테이블은 우클릭 행동의 값을 보여준다. || 값 || 행동 || || 0 || 명령 없음 / 자동 공격 || || 1 || 기본 이동 / 기본 공격 || || 2 || 기본 공격 / 공격 없음 || || 3 || 이동 없음 / 기본 공격 || || 4 || 자원 채취 || || 5 || 자원 채취 / 수리 || || 6 || 없음 || === 내부 인공지능 === |||| {{{+3 '''{{{#black 00660178}}}'''}}} || ||<(> '''Size''' ||<(> 1 || ||<(> '''Length''' ||<(> 228 || ||<(> '''Player Number''' ||<(> P2 || ||<(> '''Unit ID''' ||<(> 18251 || ||<(> '''Extended Player Number''' ||<(> 219013 || 컴퓨터 소유의 유닛일 경우, 해당 유닛이 어떻게 행동하게 될 지를 결정한다. 수가 높을수록 더욱 지능적인 행동을 한다. [[분류:EU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