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2 '''주식회사 ENGI'''}}}[br]'''株式会社ENGI'''[br]'''ENGI Inc.''' || ||<-2> [[파일:ENGI 로고.png|width=60%]] || || '''국가''' ||[[일본]]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2]]]] || || '''업종명''' ||[[애니메이션]] 제작 사업 전반 || || '''설립일''' ||[[2018년]] [[4월 4일]] || || '''대표자''' ||요시오카 코키(吉岡宏起)^^(대표이사 사장)^^ || || '''직원수''' ||90명 ^^(2021)^^ || || '''자본금''' ||1억 [[일본 엔|엔]]^^(2021.03.31)^^ || ||<|2> '''본사 [br]소재지''' ||[[도쿄도]] [[나카노구]] 주오 1가 13번 8호 오하시 센트럴 빌딩 3층 || ||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株式会社ENGI, 너비=100%, 높이=100%)]}}} || || '''{{{#ffffff 웹사이트}}}''' ||[[https://engi-st.jp/|[[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2> {{{#!wiki style="margin: 0 -10px; color: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color: #ddd" || '''{{{#ffffff 순이익}}}''' ||2876만 7000[[일본 엔|엔]]^^(2021.03)^^ || || '''{{{#ffffff 총자산}}}''' ||9억 9527만 9000[[일본 엔|엔]]^^(2021.03.31)^^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최신 기술을 구사한 새로운 영상 표현에 의한 콘텐츠 만들기에 도전해 갑니다. > >ENGI는 세계의 애니메이션 시장에 "혁신"을 가져오기 위해 설립한 일본발의 애니메이션 제작회사입니다. >당사는 일본 유수의 IP 홀더인 주식회사 KADOKAWA, >애니메이션 만화 원작의 참신한 게임기를 만들어 온 사미 주식회사, >수많은 애니메이션 제작 스튜디오를 산하에 가지는 주식회사 울트라 슈퍼 픽처스로부터, >백업을 받아 있습니다. >앞으로도 상기 3사와의 협력 체제를 축으로, 국내외 여러 기업과의 파트너십을 모색해 나가면서, >「세계의 사람들의 마음에 울리는 영상」을 창작해 나갈 것입니다. 일본의 [[애니메이션 제작사]]. 회사명의 유래는 「'''EN'''tertainment '''G'''raphic '''I'''nnovation」이다. == 역사 == [[KADOKAWA|KADOKAWA]]와 사미 주식회사([[세가 사미 홀딩스]]), 울트라 슈퍼 픽쳐스([[굿스마일 컴퍼니]], [[부시로드]]의 공동출자)의 공동출자로 세워졌다. 사실상 [[KADOKAWA]] 쪽 회사로[* 주식 지분을 KADOKAWA가 53% 갖고 있다.] KADOKAWA가 출판, 기획한 작품의 애니메이션을 주로 제작한다. == 특징 == ENGI에서 제작하는 작품엔 한국인 스태프가 많이 투입된다. 다만 회사에서 한국인을 많이 고용하는 게 아니고 한국의 애니메이션 제작사에 하청을 넣어서 그런 것이다. == 관련 인물 == * [[미우라 카즈야]] - 디지털 작화부 디렉터. 감독 겸임. * 안도 케이이치(安藤圭一) - 프로듀서. * 쿠리하라 마나부(栗原 学) - 감독/애니메이터. * 하시모토 류키(橋本隆希) - 이 회사의 에이스 애니메이터. == 비판 == 2020년대 이후, 특히 2021년부터는 지뢰 제작사로 찍혀버린 상황에 이르렀다. [[궁극 진화한 풀다이브RPG가 현실보다도 망겜이라면/애니메이션|궁극 진화한 풀다이브 RPG가 현실보다도 망겜이라면]], [[탐정은 이미 죽었다(애니메이션 1기)|탐정은 이미 죽었다 1기]], [[여성향 게임 세계는 모브에게 가혹한 세계입니다(애니메이션 1기)|여성향 게임 세계는 모브에게 가혹한 세계입니다 1기]] 모두 좋은 평을 듣지 못했다. 이는 본 제작사가 실력이 떨어지는 신인급 애니메이터들이 다수 소속되어 있는 영향이 크다. 작화감독 일으로는 베테랑이지만 감독으로써의 능력은 떨어지는 [[미우라 카즈야]] 감독이 주로 감독을 맡고 있고, [[탐정은 이미 죽었다]]를 맡았던 감독은 콘티 연출 경력도 많이 없는 쿠라하라 마나부(栗原 学)가 감독을 맡는 등 스태프들 다수가 실력이 떨어진다. 하지만 탐정은 이미 죽었다의 경우 1화 만은 콘티 연출과 작화 퀄리티가 모두 뛰어나서 대호평을 받았지만[* 특히 박쥐와 [[시에스타(탐정은 이미 죽었다)|시에스타]]의 전투씬이 주목을 받았다.] 1화 이후 계속 떨어지는 작화 및 연출 퀄리티와 스토리 쪽에서도 좋은 평을 받지 못해서 "1화는 어떻게 좋은 퀄리티를 뽑았지?"라는 반응과 의문을 가지는 시청자들도 많이 있었다. 그건 1화에 하시모토 류키(橋本隆希)라는 실력있는 애니메이터를 기용해서 그런 것이다. [* 이 회사 소속 인물 중 실력으로 유명한 유일한 인물이다.] 탐정은 이미 죽었다 때문에 1화만 잘 만드는 제작사라는 이미지도 생겼는데 사실 잘 따져보면 탐정은 이미 죽었다만 그런 거고 1화도 그냥 그런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냥 하시모토 류키가 작화를 많이 한 편만 작화가 좋다. 사실상 작화 쪽은 하시모토 류키 원맨 회사이다. [[여성향 게임 세계는 모브에게 가혹한 세계입니다(애니메이션 1기)|여성향 게임 세계는 모브에게 가혹한 세계입니다]]는 아예 캐릭터 디자인부터 저퀄리티로 뽑혀 나와 벌써부터 혹평이 쏟아지고 있다. 이후 공개된 PV에서는 여전히 저퀄리티인 캐릭터 디자인과 캐릭터들의 딱딱한 움직임 등으로 인해서 전보다 더 혹평이 나오고 있다. [[경험 많은 너와 경험 없는 내가 사귀게 된 이야기/애니메이션|경험 많은 너와 경험 없는 내가 사귀게 된 이야기]] 또한 원작과 이질감이 심한 다른 캐릭터 디자인으로 비판을 받고 있다. 결국 이러한 비판에 작품들의 흥행도 시원치 않았는지, 2023년 3월 결산에서 최종 손실이 1억9600만엔으로 집계되면서 채무초과 상태가 되었다. [[https://gamebiz.jp/news/370770|#]] == 작품 목록 == ||<-5>
[[파일:ENGI 로고 가로형.svg|width=20%&theme=light]][[파일:ENGI 로고 가로형 화이트.svg|width=20%&theme=dark]] || ||<-5> '''{{{#ffffff,#ffffff ENGI 제작 작품}}}''' || ||
<#291600> '''{{{#ffffff 년도}}}''' ||<#291600> '''{{{#ffffff 분기}}}''' ||<#291600> '''{{{#ffffff 제목}}}''' ||<#291600> '''{{{#ffffff 종류}}}''' ||<#291600> '''{{{#ffffff 감독}}}''' || ||<-5> '''2010년대''' || ||<#291600> '''{{{#ffffff 2019년}}}''' || [[애니메이션/2019년 10월|4분기]] || [[창단! 짐승의 길]] ||<#ffffff,#2d2f34> {{{#010101,#ffffff TVA}}} || [[미우라 카즈야]] || ||<-5> '''2020년대''' || ||<#291600> '''{{{#ffffff 2020년}}}''' || [[애니메이션/2020년 7월|3분기]] || [[우자키 양은 놀고 싶어!(애니메이션 1기)|우자키 양은 놀고 싶어!]] ||<#ffffff,#2d2f34> {{{#010101,#ffffff TVA}}} || [[미우라 카즈야]] || ||<-5> || ||<|2><#291600> '''{{{#ffffff 2021년}}}''' || [[애니메이션/2021년 4월|2분기]] || [[궁극 진화한 풀다이브RPG가 현실보다도 망겜이라면/애니메이션|궁극 진화한 풀다이브RPG가 현실보다도 망겜이라면]] ||<#ffffff,#2d2f34> {{{#010101,#ffffff TVA}}} || [[미우라 카즈야]] || || [[애니메이션/2021년 7월|3분기]] || [[탐정은 이미 죽었다(애니메이션 1기)|탐정은 이미 죽었다]] ||<#ffffff,#2d2f34> {{{#010101,#ffffff TVA}}} || 쿠리하라 마나부 || ||<-5> || ||<|4><#291600> '''{{{#ffffff 2022년}}}''' || [[애니메이션/2022년 4월|2분기]] || [[여성향 게임 세계는 모브에게 가혹한 세계입니다(애니메이션 1기)|여성향 게임 세계는 모브에게 가혹한 세계입니다]] ||<#ffffff,#2d2f34> {{{#010101,#ffffff TVA}}} || [[미우라 카즈야]][br]후쿠모토 신이치 || || [[애니메이션/2022년 10월|4분기]] || [[초보 연금술사의 점포경영/애니메이션|초보 연금술사의 점포경영]] ||<#ffffff,#2d2f34> {{{#010101,#ffffff TVA}}} || [[히로시 이케하타]] || || [[애니메이션/2022년 10월|4분기]] || [[우자키 양은 놀고 싶어! 더블]] ||<#ffffff,#2d2f34> {{{#010101,#ffffff TVA}}} || [[미우라 카즈야]] || || [[애니메이션/2022년 10월|4분기]] || [[칸코레: 언젠가 그 바다에서]] ||<#ffffff,#2d2f34> {{{#010101,#ffffff TVA}}} || [[미우라 카즈야]] || ||<-5> || ||<|3><#291600> '''{{{#ffffff 2023년}}}''' || [[애니메이션/2023년 7월|3분기]] || [[외출하는 아기 상어#애니메이션|외출하는 아기 상어]] ||<#ffffff,#2d2f34> {{{#010101,#ffffff WEB}}} || 마키 마리나 || || [[애니메이션/2023년 7월|3분기]] || [[가메라: 부활]] ||<#ffffff,#2d2f34> {{{#010101,#ffffff WEB}}} || [[세시타 히로유키]] || || [[애니메이션/2023년 10월|4분기]] || [[경험 많은 너와 경험 없는 내가 사귀게 된 이야기/애니메이션|경험 많은 너와 경험 없는 내가 사귀게 된 이야기]] ||<#ffffff,#2d2f34> {{{#010101,#ffffff TVA}}} || [[오오바 히데아키]] || ||<-5> || ||<#291600> '''{{{#ffffff 2024년}}}''' || - || [[언네임드 메모리/애니메이션|언네임드 메모리]] ||<#ffffff,#2d2f34> {{{#010101,#ffffff TVA}}} || [[미우라 카즈야]] || ||<-5> '''예정작''' || || - || - || [[메달리스트/애니메이션|메달리스트]] ||<#ffffff,#2d2f34> {{{#010101,#ffffff TVA}}} || [[야마모토 야스타카]] || ||<-5> || == 기타 == [[분류:일본의 애니메이션 제작사]][[분류:2018년 설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