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성우극회)] ||<-2>
{{{#ffffff '''{{{+1 EBS 성우극회}}}'''}}} || || '''극회장''' ||[[하성용]]|| || '''운영위원''' ||[[한만중]], [[장은숙(성우)|장은숙]], [[정영웅]], [[한미리(성우)|한미리]], [[전해리]], [[채아신]], [[천지선]]|| || '''총무''' ||[[이기호(성우)|이기호]]|| || '''감사''' ||[[이소영(성우)|이소영]]|| || '''웹사이트''' ||[[https://sites.google.com/site/voiceofebs|[[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현 홈페이지^^[* 다른 성우극회 홈페이지보다는 성우들의 보이스 모음 정리가 잘 되어있는 편이다.][* 2018년 10월 이후로 기존 홈페이지가 사라지고 홈페이지가 바뀌었는데 [[목춘수]], [[조경모]], [[김미자(성우)|김미자]], [[최윤태]], [[김창열(성우)|김창열]], [[오병조]] 등 성우들이 [[https://sites.google.com/site/voiceofebs/ebs-%EC%84%B1%EC%9A%B0%EA%B7%B9%ED%9A%8C/%EA%B7%B9%ED%9A%8C%EC%9B%90-%EB%AA%A9%EB%A1%9D|명단]]에서 사라졌다. 다만 명단에 없는 4명을 제외한[* 목춘수, 최윤태는 은퇴. 조경모는 나루토의 무우 이후로 활동이 없고 김미자는 아예 성우협회를 탈퇴하였다.] 2명뿐인 김창열, 오병조 성우들도 거의 활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볼 때 단순히 누락된 것으로 보이고[* 문의 결과 극회 기준이라 극회원 명단을 수정하기 어렵다고 한다.] 바뀐 사이트에 현재 성우들 프로필(한마디, 사진, 생일 등), 자유게시판, 포토갤러리 복구까지는 아직까지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여담으로 현재 사이트는 2018년 2월 20일에 만들어졌는데 예전 사이트는 2018년 10월쯤에 폐쇄됐다. 2018년 2월 20일부터 2018년 10월까지는 유일하게 성우극회 사이트가 2개인 극회였는데 문의 결과 관리비 및 유지보수 문제로 인해 예전 사이트가 폐쇄되었다고 한다.] [[https://web.archive.org/web/20160304220043/http://voice.ebs.co.kr/index.php|[[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이전 홈페이지^^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04 교육방송 성우극회 송년회.jpg|width=100%]]}}} || || '''{{{#ffffff 2004년 EBS 성우극회 송년회 사진}}}'''[* 위측부터 [[장미경]], [[유승화]], [[기연호]], [[이성미(성우)|이성미]], [[이명호(EBS 성우)|이명호]], [[김수자]], [[김호정(성우)|김호정]], [[장은숙(성우)|장은숙]], [[이의선]], [[이채진]], [[이소영(성우)|이소영]], [[하성용]]. 아래측부터 [[최향윤]], [[남경표]], [[이주희(성우)|이주희]], [[홍희숙]], [[이영아(성우)|이영아]], [[정영웅]], [[전태열]]이다.] || [[한국교육방송공사|EBS]] [[성우]] 공채시험에 합격한 성우들로 구성된 극회. 상위기관은 한국교육방송공사이다. 1961년부터 채용을 시작했으며, 역사는 길지만 극회원 수는 적은 편으로 신규 성우의 유입도 매우 적은 편이다. EBS는 2년에 한번 정도 성우 공채 시험을 통해 남녀 총 4명 정도를 뽑고 있다. 2014년 기준 극회원이 총 70명 정도이다. 과거 EBS가 [[KBS 3TV]]에 속했던 시절부터 [[한국교육개발원]]에서 독자적으로 성우를 선발하여 왔으며, 1990년 EBS가 [[KBS]]에서 분리독립하면서 [[KBS 성우극회]]와는 독립법인의 성우극회로 출범하게 되었다. 공영방송이라는 메리트가 상당히 강력하고 EBS 자체적으로 아동용 콘텐츠나 [[더빙]], [[라디오 드라마]]는 꾸준하게 이뤄지고 있기 때문에 많은 성우지망생들이 선호하는 방송사.[* 특히 2012년 이후 '책 읽어주는 라디오'를 슬로건으로 하여 라디오 드라마 비중이 굉장히 높아졌기 때문에 성우들이 꽤 많은 활약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최지환]] 성우(14기, 1995년 입사)는 책읽어주는 라디오를 통해 다수의 베스트 소설을 재미있고 실감나게 읽어서 많은 팬들도 있다.] 2014년에는 23기 [[유보라]] 성우가 [[세미(EBS MATH)|세미]]([[EBS MATH]])로 유명해지게 되었고, 2014년 제41회 한국방송대상에서 전속 성우 최초, EBS 성우 최초 한국방송대상 성우상을 수상하였다. == 공채 == 예전에는 EBS 채용시 성우라는 말을 쓰지 않고 연기를 하는 자원을 뽑는다는 식으로 뽑았기 때문에 비교적 젊은 성우들은 단순히 더빙이 아니라 방송 리포터, 어린이 방송에서의 MC 역할이나 연기자 등 다양한 역할을 맡았던 적도 있다. [[엄상현]], [[전태열]], [[장은숙(성우)|장은숙]]의 증언으로는 카메라 테스트도 했었다고 한다. 그러나 현재는 전문 성우를 뽑는다. 과거에도 남녀 합쳐 많아봐야 4~5명 정도였던 것이 2010년대 들어서면서 아예 남자 1명 - 여자 2명이 기본이 되었다.[* 22기 남자 전속 두 명중 [[한신(성우)|한 명]]이 [[투니버스 성우극회|타 극회]]로 이적했는데, 남은 [[진정일|한 명]]으로도 성우실이 굴러가는 것을 보고 남자 성우 티오가 줄었다는 카더라가 전해진다.] 하지만 적게 뽑는 대신 EBS 내 자사 성우의 의무 기용 비중을 보장한다는 점 덕분에 수입을 어느 정도 보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타 방송사 성우 공채 시험과 다른 점이 있다면, 애니 방송국인 [[투니버스]]나 [[대원방송]]도 남자들의 시험 유형에서는 아역을 보지 않는 반면[* 제일 나이가 적은 것이 거의 10대 초반부터 중학생 정도다.], EBS는 남자들도 아역 연기를 본다는 것이다. 무려 5살 연기까지 본다! EBS에서 성우는 타 방송사들이 부러워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에 많이 출연할 수 있으며 외화 더빙[* 원래는 가족영화이나 외화 드라마에서 일부 더빙 하기도 했으며, [[미국 드라마]] [[튜더스]] 방영부터는 아예 더빙을 하지 않고 있다.][* 다만 외화 편성은 세계의 명화라는 프로그램으로 꾸준히 명맥을 이어서 내려오고 있다. 이게 [[자막]] 방영을 해서 그렇지 더빙 작업도 했으면 지상파 유일의 더빙 외화가 방영되는 채널이 되었을 것이다.]을 제외한 [[라디오 드라마]], 애니 더빙, 다큐 나레이션, 어린이극 등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게 되었다. EBS가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강력한 영향력을 가지게 되면서 [[모의고사]]나 관련 교재에서도 EBS의 성우들이 캐스팅 되는 경우도 많아졌다. 2013년, 2015년, 2017년으로 공채를 뽑은 걸 보면 23기 때부터는 사실상 공채시험 주기가 2년으로 조절된 모양이다.[* 비정규직보호법으로 인해 전속 기간이 2년으로 고정된 것이 영향을 끼친 듯 하다.] == 여담 == 1980년대 극장 애니 더빙을 주도했다. 극회 내에 [[유튜브 크리에이터|유튜버]]가 두 명[* [[김보민(성우)|김보민]], [[김수영(성우)|김수영]].]이나 있다.[* 물론 그냥 음성 샘플 포트폴리오용 유튜브 계정이 있는 몇몇 EBS 성우들은 있다.] 타 극회에도 [[유튜브]]를 시작한 성우들이 많지만 대부분 기존의 성우팬들을 타깃으로 삼았거나 추억의 애니메이션에 출연했던 것을 토대로 구독자를 모았던 것에 반해 그냥 평범한 대중들을 타겟으로 삼아 구독자를 모으고 인지도를 쌓았다는 것이 특기할 점이다. 여담이지만, 26기까지는 신기할 정도로 예명같은 거 전혀 없이 유일무이하게 오직 본명만 쓰는 극회'''였었'''으나, 27기에서 [[류지아|최초로 예명을 쓰는 성우]]가 나옴으로서 그 전통이 깨져버렸으며, 심지어 28기는 모두 예명을 사용한다. 그리고 [[네이버 블로그]]하는 극회 성우들 중 제일 적은 극회이기도 하다.[* 무려 10명 조차도 안 된다...] == 극회원 목록 == [include(틀:EBS의 성우)] ||기수 및 년도||남자||여자|| ||특1기(1961)||~~[[한현배]]~~, ~~[[오영수]]~~[* 1967년 극단 광장 단원에 입단해 현재는 배우로 활동 중이다.], ~~[[최병학]]~~[* 1963년 [[CBS 성우극회]]로 이적 후 1965년 [[MBC 성우극회]]로 이적.]||[[김수자]]|| ||특2기(1968)||~~[[배창식]]~~[* 모종의 사유로 제명되었다.], ~~[[이종오]]~~[* 1976년 [[MBC 성우극회]] 7기로 이적.]||~~[[목춘수]]~~, ~~[[홍여진(성우)|홍여진]]~~|| ||1기(1976)||'''[[기영도]]''', ~~이기택~~, ~~전두진~~, ~~하대경~~, ~~한우정~~||~~[[김민선(성우)|김민선]]~~[*A 극회원 명단에서는 사라졌다.], ~~박은숙~~[* [[박은숙|이 분]]이 아니다.], [[안소연(EBS 성우)|안소연]], [[유재옥]], [[이나미]], [[이은영(성우)|이은영]], [[장영주(성우)|장영주]]|| ||2기(1979)||'''[[기연호]]'''||[[김민정(EBS 성우)|김민정]], [[이성미(성우)|이성미]]|| ||3기(1981)||'''[[김무규]]''', [[조경모]]||-|| ||4기(1982.3)||-||~~[[김미자(성우)|김미자]]~~|| ||5기(1982.8)||~~[[강필순]]~~[* 1980~90년대 드라마, 영화 배우로 활동했던 성우.][*A], [[이명호(EBS 성우)|이명호]], [[이의선]][* 주로 재연배우로 활동하는 성우. [[KBS 대하드라마]] [[무인시대]]에서 동진 장수 완안자연 역할로 출연했다.]||-|| ||6기(1983)||[[김창기(성우)|김창기]]||-|| ||7기(1985)||'''[[홍성룡]]'''||~~[[문제원]]~~[*A], [[장미경]]|| ||8기(1986)||-||[[박은주(성우)|박은주]]|| ||9기(1987)||'''[[이채진]]'''||[[정현숙]]|| ||10기(1988)||~~'''[[최윤태]]'''~~[*A]||[[이서윤(성우)|이서윤]]|| ||11기(1989)||'''[[박경찬]]''', ~~[[이진홍]]~~[* 현재는 [[MBC 성우극회|MBC]] 12기이다.]||[[김미정(성우)|김미정]], [[김윤미(성우)|김윤미]], [[최향윤]]|| ||12기(1991)||'''[[이원상]]'''||[[강경아]], [[박인선]], [[이혜영(성우)|이혜영]], ~~[[안정희]]~~[* 모종의 사유로 제명되었다.]|| ||13기(1993)||[[김호정(성우)|김호정]], [[남경표]]||[[김미현(성우)|김미현]], [[차경희]]|| ||14기(1995)||~~[[신경택]]~~[*A], '''[[최지환]]'''||--[[박소라(성우)|박소라]]--[* 현재는 [[MBC 성우극회|MBC]] 13기.], [[장경희(성우)|장경희]]|| ||15기(1996)||-||'''[[이소영(성우)|이소영]]''', [[홍소영]]|| ||16기(1997)||-||[[정윤정]]|| ||17기(1998)||'''[[엄상현]]''', [[전태열]]||[[국승연]], [[이은정(성우)|이은정]]|| ||18기(2000)||-||[[장은숙(성우)|장은숙]]|| ||19기(2001)||'''[[박웅선]]''', --신종훈--, [[하성용]]||[[이영아(성우)|이영아]], [[이주희(성우)|이주희]], [[홍희숙]]|| ||20기(2004)||'''[[김창열(성우)|김창열]]''', [[정영웅]]||'''[[김은아(EBS 성우)|김은아]]''', --[[박희은]]--[* 현재는 [[KBS 성우극회|KBS]] 32기.], [[유승화]], --[[이승주(여성 성우)|이승주]]--[* 현재는 [[KBS 성우극회|KBS]] 31기.]|| ||21기(2007)||[[오병조]], [[이기호(성우)|이기호]]||[[전해리]], [[정미라]]|| ||22기(2010)||--[[한신(성우)|김한신]]--[* 현재는 [[CJ ENM 성우극회|CJ ENM]] 8기.], '''[[진정일]]'''||[[한미리(성우)|한미리]], [[한혜원]]|| ||23기(2013)||[[이민규(성우)|이민규]]||[[김수영(성우)|김수영]], [[유보라]], [[천지선]]|| ||24기(2015)||[[오민혁(성우)|오민혁]], [[채아신]][* 본명은 채정우, 2023년에 채아신으로 개명]||[[권영지]], [[권지애]]|| ||25기(2017)||[[한만중]]||[[김보민(성우)|김보민]], [[이한솔(성우)|이한솔]]|| ||26기(2019)||[[이상준(성우)|이상준]]||[[김아롱]], [[이보용]]|| ||27기(2021)||[[김단(성우)|김단]]||[[김예령(성우)|김예령]], [[류지아]][* 본명은 류지영으로 [[KBS 성우극회]]의 [[유지영]]과 혼동을 피하기 위해 류지아로 개명.]|| ||28기(2023)[* 28기 전원이 예명으로 활동한다.]||[[송준]]||[[강해나]], [[장희라]]|| == 외부없이 전원 EBS 출신인 작품 == * [[초수기신 단쿠가]] (동양) * [[전국마신 고쇼군]] (동양) * [[백수왕 고라이온]] (동양) * [[광속전신 알베가스]] (동양) * [[신조인간 캐산]] (삼부) * [[허리케인 포리마]] (삼부) * [[토비카게]] (비드콤) 대부분 [[삼부프로덕숀|삼부]], [[동양비디오|동양프로덕션]] 작품들이다. 삼화는 초반에는 [[MBC 성우극회|MBC]]를 거쳐 [[KBS 성우극회|KBS 성우]]들이 맡다가 EBS 출신들로 변경되었다. == 관련 문서 == * [[한국성우협회]] [[분류:한국교육방송공사]][[분류:성우극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