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2차 세계대전/일본 항공병기)] [Include(틀:항공병기 둘러보기)]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Aichi_E16A.jpg]] [[파일:external/s-media-cache-ak0.pinimg.com/7933a04d86b6f023b215069b65832bc4.jpg]] Japanese Imperial Navy Reconnaissance and Bombing Seaplane Aichi E16A "Paul" ZuiUn 水上偵察機 愛知 E16A 瑞雲 [목차] === 개요 === 아이치 항공기가 생산한 [[일본군 해군]]의 수상[[정찰기]] 겸 [[급강하폭격기]]. 기체약호는 E16A. [[연합국 코드명]]은 "[[폴]](Paul)". === 개발경위 및 설계이념 === [[일본군 해군]]은 12식 2좌수상정찰기로서 수상정찰기와 폭격기의 통합을 꾀해 250kg 폭탄을 탑재하고 급강하폭격이 가능한 정도의 능력을 원했다[* 계획요구심의의 장에서는 수상관측기(전투기겸 정찰기)와 수상정찰기(폭격기겸 정찰기)의 기종통합의 가능성이 논의되었다.]. 항공병력이 열세인 일본해군이 순양함에 탑재되는 수상급강하폭격기로 열세를 만회하려는 구상에 의해 기대된 기종이었지만 개발에 난행을 겪어 즈이운에 이르러서 겨우 통합된 것이다. 1940년 2월 아이치 항공기에 시작지시가 내려졌는데, 최대속도 463km/h 이상, 최대항속력 2,500km 이상, 근접전 성능이 양호하고 급강하폭격이 가능해야 하는 꽤 어려운 요구였다. 아이치는 이에 기초해 14식2좌수상정찰기(1941년에 16식수상정찰기로 개칭)의 개발을 개시해 1942년 3월에 시작 1호기를 완성시켰다. 성능시험의 결과 같은 해 11월에 채용이 결정되어 그 후 실용시험을 거쳐 1943년 8월 즈이운 11형으로서 제식채용되었다. === 기체 구조 === 속도 측면을 중심으로 한 고성능을 실현하기 위해 동체와 주익이 날렵하게 되어 있다. 플로트 지주 부분에 급강하폭격용 다이브 브레이크를 갖추고 있었는데, 수상기로서는 세계 최초의 장비였다. 다이브 브레이크는 지주 양쪽에 설치되어 있어 사용시 좌우로 여는 형태의 것이었다. 주익은 공중전 [[플랩]]을 장비하고 있어 단순히 수상 폭격기뿐만 아니라 급강하 폭격기로서도 이례적인 것이다. 물론 급강하 폭격기는 전투기를 어느 정도 겸해 공중전을 한 경우도 많지만, 공중전 플랩까지 채용하는 경우는 즈이운 말고는 없었고, 이 기체가 어떻게 다용도 성능을 추구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것이다. 양산형에서는 엔진이나 무장의 강화 외에 기체 구조의 강화가 이루어졌다. 또한 급강하 때 공중분해 사고가 발생함에 따라 다이브 브레이크에 슬릿 모양의 구멍을 뚫는 개수도 행해졌다. 위의 제원을 보면 알겠지만 이 기체는 SBD 돈틀리스에 준하는 성능을 지녀 수상기 중에선 이례적으로 전력으로써의 가치가 높았다. 게다가 당시 수요에 비해 항모가 부족했던 일본해군으로서는 비행갑판 없는 함정에서도 발진가능한 수상기에 폭격기능이 있다는 것만해도 큰 메리트였으며 적 수상기는 물론 적 함재기와도 어느정도 공중전까지 수행할 수 있었던 이상적인 물건이었다. 따라서 전투 항공 초계(CAP)에 매우 적합했다. 그러나 생산량이 적다는 점과, 해상 초계용 항공 레이더의 부재로 실전투입과 성능을 더 끌어올릴 기회가 소멸되어 가치를 증명할 수 없었다. 특히 ASV Mk.II와 같은 초경량 초계용 항공 레이더의 부재는 필리핀해 해전에서 E13A와 F1M 수상기의 야간 색적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졌음에도 육안 색적에 의존하여 적의 주력함대를 포착하지 못한 경우가 잦았으므로 모처럼 다목적 플랫폼으로 설계된 즈이운에게 가장 아쉬운 점이라 할 수 있다. 항공전함 이세와 휴가에 [[D4Y 스이세이]]와 함께 배치가 예정되었으나 양산기가 이미 대만항공전에 투입되어버린 상황이어서 이세와 휴우가는 함재기 없는 항공전함이 되어버렸다. === 활약 === 1944년 봄부터 부대배치가 이루어져 [[필리핀]] 방면의 야간폭격등에 사용되었으며, 특히 어뢰정 공격에서는 나름대로의 전과를 보였다. 그 후 오키나와전에서도 폭격이나 초계 등에 이용되었지만 이때부터는 전황의 악화가 뒤따라 즈이운과 같은 [[수상기]]가 활약할 만한 곳은 거의 없어졌다. 결국 [[항공전함]] [[이세]]/[[휴가]]에 탑재할 계획도 이루어지지 못하고 이렇다 할 전과도 세우지 못한 채 종전을 맞았다. === 제원 === ||수상정찰기 서운 E16A 'Paul' 전장 : 10.84 m 전폭 : 12.80 m 전고 : 4.74 m 주익면적 : 28.00m² 전장비중량 : 3,800 kg 최고속도 : 448 km/h 승무원 : 2명 엔진 : 미쓰비시 킨세이 54형(공랭성형, 1,300마력) 항속거리 : 2,535 km 실용상승한도 : 10,280 m 무장 : 20mm 기관포 x 2, [[루이스 경기관총|7.7mm 선회기총]] x 1(초기형)[br]13mm 선회기총(양산형), 60kg 폭탄 2개 또는 250kg 폭탄 1개|| === 미디어 등장 === * [[함대 컬렉션]]에서 기본적인 수상폭격기로 등장했으며, 시간이 지나면서 여러가지 즈이운 파생기가 등장했다. 현재 즈이운 및 파생기체는 8종에 달하며 게임내 단 4개밖에 존재하지않는 '''7성급 SS홀로++ 레어도''' 중 하나를 즈이운이 차지하고 있다.[* 나머지 셋은 [[대잠헬기]] S-51J 改, [[렛푸]] 改2 戊형(1항전/숙련), [[F4U 콜세어]]F4U-7이다.] 게임에서 [[이세(함대 컬렉션)|이세]]와 [[휴가(함대 컬렉션)|휴가]]가 대사마다 즈이운을 언급하며 애니메이션 2기에서는 즈이운은 매우 좋은 기체라고 대사까지 등장한다. 더 나아가 오프라인 행사에서 1:1사이즈 즈이운을 만들고 정기적으로 '''즈이운 축제'''를 개최할 정도로 토테미즘화 시키고 있다. 칸코레 운영진은 거의 집착에 가까운 수준으로 즈이운을 좋아한다. * [[전함소녀]]에도 3성급 수상폭격기로 등장한다. 대공/대잠/폭격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유일한 수상기이지만 성능이 그리 좋지는 않다. 2018년 겨울이벤트 보상으로 즈이운 12형이 등장한다. * [[벽람항로]]에서도 항공전함이 장착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수상폭격기로 등장하지만, 항공전함 자체가 전함과 항모 사이에서 너무나도 어중간한 성능을 보이는데다 즈이운마저 꽤나 처참한 성능을 자랑하는지라 항공전함으로의 개조 자체가 추천되지 않으며 설령 사용해도 더 등급이 높은 세이란, 스이세이12형 등이 추천된다. 이 탓에 디시 등지에서는 '''[[반어법|가장 완벽한 함재기]]'''라는 조롱을 듣고 있다. * [[Naval Creed:Warships]]에서 고티어 일본 함선 대다수의 수상기로 쓰인다, 주로 전투기로써 성능을 보여주지만 그중 토네, 아가노, 이부키는 특이하게도 폭탄을 장착하고 임무를 수행한다, 데미지는 썩 좋지는 않다. [[분류:수상 군용기]][[분류:정찰기]][[분류:폭격기]][[분류:항공 병기/세계 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