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other1=게임쇼,rd1=E3)]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3A Airborne over Italy-2.jpg|width=100%]]}}}|| ||<-2> {{{#white '''Boeing E-3 Sentry'''}}} || [목차] == 개요 == 보잉이 자사의 협동체 여객기인 [[보잉 707]]을 기반으로 제작한 [[조기경보통제기]]이다. == 상세 == 정식 명칭은 "보잉 E-3 센트리(Boeing E-3 Sentry)". [[AWACS]](Airborne Warning And Control System. 공중 조기경보 및 통제/관제 체계)는 본래는 이 항공기에 탑재된 시스템의 이름으로서 쓰이는 고유명사였지만, 현재는 사실상 [[조기경보통제기]]를 뜻하는 보통명사가 되었다. [[상표의 보통명사화|본래는 고유의 명칭이지만 보통명사처럼 쓰이게 된 사례]]라 할 수 있다. 미 공군, 사우디, NATO 및 영국, 프랑스가 운용 중인 [[조기경보통제기]]이다. E-3는 수백 km 밖에 있는 항공기의 움직임 뿐만 아니라 제한적으로나마 지상 및 수상을 이동하는 전차·차량·함정 등의 움직임도 탐지가 가능하며, 지휘통제기능도 가지고 있어서 레이다로 입수된 정보를 토대로 작전지휘도 가능하다. 냉전 종식 후 미 공군이 보여주었던 사기적인 공중전투능력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 {{{#!wiki style="margin:-5px -10px" [youtube(RFbN6maDBbM)]}}} || || E-3 센트리의 내부 공개 동영상 || E-3에는 [[조종사]] 2명 외에 항법사와 [[항공기관사]]까지 총 4명이 탑승하여 조종을 담당하며[* 보잉 707이 취항하던 시대에는 이렇게 4명 구성이었다. 서구권 기체는 요즘은 기장과 부기장 2인체제고, 러시아산을 운용하는 국가에는 아직까지 4인 또는 항공기관사가 빠진 3인 체제로 운항하는 기체가 남아 있다.] 그 외에 13~18명의 항공관제사가 레이다를 조작하고 아군 항공기 및 지상, 해상 방공체계에 정보를 전달하며, 이들을 지휘/통제한다. 기체 자체는 구형 중고 [[보잉 707]] [[여객기]]를 기반으로하여 엔진을 프랫 휘트니 사의 TF-33-PW- 100/100A엔진 4기로 바꾸는 등 여기 저기 손을 본 물건이며, 자체 비행거리는 대략 1만km, 시간상으로는 11시간동안 비행하면서 관제 임무를 수행하며 공중급유장치 또한 가지고있기에 더 오랫동안 공중에 머무는 것이 가능하다. [[파일:external/u0v052dm9wl3gxo0y3lx0u44wz.wpengine.netdna-cdn.com/e3d-rotodome.jpg|width=700]] E-3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레이더]]는 [[웨스팅하우스]]社[* 일본 [[도시바]]에 합병된 후 해당 레이더의 생산 및 정비 권한은 [[노스롭 그루먼]]으로 넘어 갔다.]의 AN/APY-1, 혹은 AN/APY-2로 레이더로 유압의 힘에 의해 분당 4회 회전하며 작동 중지 시에도 윤활유의 유지를 위해 4분당 1회 회전한다. 이 레이다는 블록 35 기준으로 저고도에서 비행 중인 목표물에 대해서는 360km 밖 거리에서도 탐지가 가능하며, 고도가 높은 물체는 470km 밖에서 600개의 목표를 탐지할 수 있다. 레이다가 회전을 하다보니 은근히 전통방식의 레이다로 오해받는 경우가 있으나, 사실은 수동형 전자 주사식 안테나(PESA)를 사용한다. 초기형인 APY-1에 비하여 APY-2는 해상 저고도 비행 표적에 대한 탐지 능력도 크게 올랐고, [[UAV|80노트 이하로 날아가는 표적]]을 추적할 수 있게 되었다. 이후 수집된 데이터는 [[IBM]] 4PiCC-1 중앙 [[컴퓨터]]를 통해서 고속 처리된다. 레이다는 이착륙시나 대기중일때처럼 사용하지 않을때는 정면으로 약 6도 가량 기울어져서 공기저항을 줄인다.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external/www.fletcherforum.org/nato-plane-1024x682.jpg|width=100%]]}}} || || NATO 소속으로 운용 중인 E-3 || [[사우디아라비아]]가 5대[* 사우디아라비아 공군은 KE-3 공중급유기 8대를 운영하고 있었으나 [[A330 MRTT]]로 교체 결정], [[프랑스]]가 4대, [[영국]]이 4대를 사용하며 [[미국]]은 무려 '''32대'''를 운용중이다.[* 도입 대수 중 2대가 손실되었다.] [[NATO]]소속으로 따로 17대가 있다. 가격은 약 3억 달러이다. 이미 단종된 [[보잉 707]]이 베이스이다. 프랑스가 E-3를 마지막으로 구입한 이후 보잉 707의 단종으로 인해 E-3도 자연스럽게 단종되었다. 그래서 [[일본]]이 E-3를 도입하려고 했으나 불발되었고, 대신 같은 AWACS 시스템을 B-767에 탑재한 [[E-767]]을 4대를 운용하고 있다. 가격은 5억 달러이다. 한국도 E-3을 도입하려 했지만 일본과 같은 이유로 불발되었다. 그 대안으로 [[E-767]]을 도입하려 했지만 비용이 2배 가까이 되어 차일피일 미뤄지다가 마침내 [[E-737]]을 도입했다. 이란도 과거 [[팔라비 왕조]] 시절 군비확장을 하면서 E-3의 도입을 추진했었지만 왕정이 붕괴되면서 무산되었다. 오래된 기종이다 보니 최근에는 아예 글래스 콕핏으로 교체하는 대대적인 개조를 한바 있다.[[https://media.defense.gov/2017/Jan/12/2001686682/-1/-1/0/170109-F-RI777-245.JPG|#]] 2021년 9월 21일 미 공군 찰스 브라운 참모총장은 미 공군이 2023년 예산을 염두에 두고 노후된 보잉 E-3 센트리 AWACS 항공기를 대체하기 위해 [[E-7]] 웨지테일 구매를 진지하게 검토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https://breakingdefense.com/2021/09/brown-air-force-serious-about-e-7-wedgetail/|#]]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E8qvTrZXMBAb9cM.jpg|width=100%]]}}} || 2021년 9월 28일 영국은 30년동안 운용한 보잉 E-3D 센트리 AEW1을 공식적으로 퇴역시켰으며, 퇴역식은 링컨셔의 영국 공군 와딩턴에 있는 기지의 주요 작전 기지에서 열렸다. [[https://milidom.net/news/1323419?page=3|#]] 2022년 1월 영국은 퇴역한 E-3D 3대를 칠레에 매각하였다.[[http://www.defensetoday.kr/news/articleView.html?idxno=3518|#]] 2022년 2월 8일, 미 공군은 E-3G를 교체하기 위한 프로그램에 대하여 정보제공요청서 (RFI; Request for Information) 을 발행하였다. [[https://sam.gov/opp/b47eca2a3f05491e86044f73bc490ccc/view#general|#]] 2022년 4월 26일, 미 공군은 노후화된 E-3 일부를 [[E-7]]로 교체하는 것을 확정했다고 발표했다.[[https://www.af.mil/News/Article-Display/Article/3011056/air-force-identifies-boeing-e-7-as-solution-to-replace-the-e-3-capability/|#]] == 바리에이션 == * '''E-3A''' - 센트리 초기형. CC-1 컴퓨터를 장착하고 있고 레이다는 AN/APY-1이다. 미공군에 24기, [[NATO]]에 18기, 사우디 아라비아에 5기가 납품되었다. 사양은 Block 10/15. * '''KE-3''' - E-3 사양의 항공기를 공중급유기로 변환한 것. 급유기로서 제작된 것으로 조기경보통제 기능은 없다. 사우디아라비아가 8기를 운영한다. * '''E-3B''' - E-3A를 약간 개량한 것. 사양은 Block 20/25 * '''E-3C''' - AN/APY-2 레이다와 IBM CC-2E 컴퓨터, ESM 시스템을 장착한 사양으로 Block 30/35로 분류된다. * '''E-3D''' - 영국 공군 보유[* 플라잉 붐 타입이 아닌 프로브&드로그 호스 방식을 택한 공중급유 장치를 갖추고 있다.] * '''E-3F''' - 프랑스 공군 보유 * '''E-3G''' - AN/APY-2 레이다를 개량하고 CC-2E 컴퓨터를 새로운 고성능 컴퓨터로 환장하는 동시에 소프트웨어, 콘솔기기, ESM 시스템 및 각종 서브 시스템 전반을 대규모 교체하거나 개량한 버전. Block 40/45로 분류되며 현재 가장 최신이다. 미공군 이외에 NATO, 프랑스 역시 동일 사양으로 개수를 진행하고 있거나 진행했다. == 사고 == 1995년 9월 22일, 알래스카 엘멘도르프 리차드슨 기지에서 24명을 태운 코드명 '유클라 27(Yukla 27)'[* E-3A, 테일넘버 77-0354]이 이륙 직후 2분 만에 추락했다. 사고 원인은 [[버드 스트라이크]] 였는데, 유클라 27기가 이륙하기 2분전 먼저 이륙한 [[C-130]]의 소음에 놀란 [[캐나다기러기]] '''떼'''가 날아 올라 하늘에서 떠다니고 있었으나, 관제사들이 유클라 27기에 '''버드 스트라이크를 경고하지 않았다'''. 그 직후 캐나다 구스떼가 풀 스로틀로 이륙 중이던 기체 왼편에 그대로 충돌했고 사고기의 1, 2번 엔진에 흡입되어 2번 엔진은 작동불능, 1번 엔진은 기존 출력의 30% 밖에 내지 못하게 되었다. 해당 기체는 각종 지휘 장비들과 공중 조기 경보기라는 임무에 따른 막대한 연료량으로 인해 기체 무게가 무려 '''140톤'''에 이르는 물건이라 남은 2개의 엔진가지고는 정상적으로 이륙할 수 있는 추력을 유지하기 힘들어 엔진 정지 불과 몇 초 뒤 스틱 쉐이커가 작동하여 [[실속]] 경고를 송출함으로서 부기장이 이를 기장에게 알리고, 기장은 기체의 무게를 줄이기 위해 연료 방출을 실시하는등 갖은 노력을 했으나, 사고 발생 2분 만에 곧장 지면에 충돌한 후 그대로 지면 위를 200m나 밀려가다가 폭발하여 24명 전원 사망했다. 물론 사고의 직접적인 이유는 상술했듯 버드 스트라이크였으나, 사실상 캐나다 구스 서식지가 주변에 위치함에도 불구하고 엘멘도르프 공군 기지에서 공군 경비 병력을 선두로 한 조류 퇴치에 너무 소홀했던 점에서 그 근본적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여담으로 이 유클라 27은 이전의 경력도 좀 기구하다. 1994년 4월 14일 미국 공군의 F-15가 UN 직원들과 쿠르드 지도자 일행이 탄 [[UH-60 블랙 호크]] 헬리콥터를 이라크군의 [[Mi-8]] 군용 헬기로 착각하고 격추해버려서 26명의 민간인이 사망한 적이 있다. 이때 해당 F-15를 관제하고 격추 명령을 내린 조기경보기가 이 유클라 27이었다. == 각종 매체에서의 등장 == * [[소설]] [[레인보우 식스]] 끝무렵에, 테러가 무산된 [[드루이즘]] 광신도들이 미 본토의 은신처에서 소형 [[여객기]]를 타고 이륙, [[남아메리카]]의 [[아마존강]] 근처 [[정글]]로 도주할 때, 미 공군 E-3가 이들이 이륙하는 순간부터 착륙지까지 정확히 추적해 레인보우 팀원들에게 알려줘 잔당을 전부 소탕하는 대활약을 한다. * [[미국 영화]] [[인디펜던스 데이]]에서 초반에 등장한다. [[대서양]]의 미 본토 인근에 나타난 외계인 자선을 추적하며 비행하던 중, 자선이 뿜어대는 화염에 휩싸여 승무원 전원과 함께 공중에서 폭발, 불타 버렸다. == 같이보기 == * [[보잉 707]] * [[C-135]][* 민간용이자 E-3의 베이스 기종인 B707과 군용인 C-135 모두 실험기인 367-80기를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이 C-135의 파생형이 그 유명한 [[KC-135]] 공중급유기이다.] * [[E-767]] * [[737 AEW&C|E-737]] * [[E-2]] * [[E-10]] == 둘러보기 == [include(틀:냉전/미합중국 공군 항공기)] [include(틀:현대전/미합중국 공군 항공기)] [include(틀:현대전/프랑스 항공병기)] [include(틀:현대전/영국 항공병기)] [include(틀:현대전/룩셈부르크 항공병기)] [Include(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항공병기)] [include(틀:현대전/칠레 항공병기)] [include(틀:항공병기 둘러보기)] [[분류:공중조기경보기]][[분류:항공 병기/현대전]][[분류:보잉]][[분류:1977년 출시]][[분류:미군/항공기]][[분류:프랑스군/항공기]][[분류:영국군/항공기]][[분류:사우디아라비아군/장비]][[분류:칠레군/장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