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스타워즈 캐넌|[[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Eras-canon.png|width=150]]]]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E11_dice_image.png|width=100%]]}}} || ||<-2> '''{{{+1 {{{#white,#ffffff E-11 블라스터 소총[br]E-11 blaster rifle}}}}}}''' || || '''{{{#fff 운용}}}''' ||[[은하제국(스타워즈)|은하 제국]] || || '''{{{#fff 제작}}}''' ||블라스테크 공업 || || '''{{{#fff 사거리}}}''' ||300m || || '''{{{#fff 장탄수}}}''' ||100발,,,(표준 파워 셀),,,[br]500발,,,(플라즈마 카트리지),,, || [목차] [clearfix] == 개요 == {{{+1 '''E-11 Blaster Rifle''' }}} [[스타워즈]] 시리즈에 등장하는 [[블라스터(스타워즈)|블라스터 소총]]이다. 촬영용 모델은 [[스털링 기관단총]]을 개조한 프롭건이다. == 특징 == [[파일:external/img1.wikia.nocookie.net/Stormtrooper_Corps.png|width=500]] >'''강력하고 정확한 블라스터 소총으로, E-11은 어떠한 환경에서도 이상적입니다. 이 무기는 [[은하 제국(스타워즈)|제국군]]의 [[제식 소총|표준 무기]]로 채용되었습니다.''' >-------- > - [[스타워즈: 배틀프론트(2015)/장비#s-2.5|스타워즈 배틀 프론트]] "E-11 블라스터 라이플" 소개글 >"잘 조정된 블라스터 소총은 [[만달로어인|만달로리안]] 갑옷도 뚫을 수 있다는거 알고 있어?" >"그런 짓을 하면 만달로리안이 널 반으로 쪼개버릴걸." >"그거 재밌네, 나한테 그 말을 해준 녀석이 그렇게 죽었거든." >------ >-[[스타워즈 제다이: 오더의 몰락]]에서 스톰트루퍼들의 잡담 중 하나 [[은하 제국(스타워즈)|은하제국]]이 등장하는 각종 스타워즈 매체에서 --주로 잡몹을 담당하는-- [[스톰트루퍼]] 군단의 제식 무기로, [[클론전쟁]] 당시 [[클론 트루퍼]]가 사용했던 단축형 라이플인 DC-15S 블라스터 라이플을 모티브로 하여 제작되었다. 전후 상대해야할 적이 [[드로이드]] 대신 살아있는 유기체로 바뀌게 되자 스톰 트루퍼들을 포함한 무장 조직이 채용하는 블라스터 또한 개변을 겪게 되는데, 드로이드에 좀 더 효과적이었던 플라즈마 기반의 블라스터를 버리고 고에너지 입자 빔 기반의 블라스터로 갈아탔던 것이다. 플라즈마 기반의 블라스터와는 정반대로 E-11을 포함한 입자 기반의 블라스터는 생명체나 유기체에 특히 효과적인 무기였으며, 그렇다고 드로이드 같은 적들에게 치명적이지 않은 것도 아니었고, 무엇보다도 플라즈마 기반의 블라스터보다 가성비가 뛰어났다. 그중 E-11 블라스터는 [[은하 내전]] 초기에 개발된 소총으로, 제국 군수성은 이 무기의 검증을 통해 제식 소총으로 선정하였고, 제국군 외에도 범죄조직이나 [[바운티 헌터]], 심지어 [[IG-88]] 같은 드로이드들도 이 소총을 애용하기도 했다. 아래에 단점이 서술되있긴하나 이를 압도하고도 남을정도로 성능이 좋다는 것이다. 무기로써 중요한 것 중 하나가 유지보수란 점도 있다. E-11이 압도적인 물량으로 뿌려졌을거라는 점도 고려하면 이런 장점도 있을 것이다. E-11의 장점 중 하나는 바로 소총치고 크기가 작다는 점이다. 스타워즈 세계관에 나오는 헤비 블라스터 권총[* 소총의 살상력을 가졌으나 사거리와 장약량이적은 권총. 한 솔로의 권총이 이에 해당한다.]과 비슷하거나 아주 약간 큰 수준이다. 스톰트루퍼 허리띠에 보면 알겠지만 아예 권총처럼 이 총을 꽂기위한 홀스터가 달려있다. 스타워즈 에피소드4에서도 루크와 한 솔로가 스톰트루퍼 분장을 하면서 이 총을 사용하는데 이 둘이 사격하는 내내 아예 권총 사격 자세로 잡고 사격한다. 배우들도 어쩌면 홀스터도 주는데다 무게도 적당해서 좀 큰 우주권총 정도로 착각했는지도?[* 소품 자체가 영국 스털링 기관단총 베이스이긴 하나 배우 입장에선 딱히 그런건지 알길이 없기 때문.~~밀덕이었다면 알겠다만~~] 실제 소품도 가장 보편적인 권총탄인 [[9mm 파라벨럼]] 권총탄을 쓰는 기관단총을 베이스로했다. [[파일:external/s-media-cache-ak0.pinimg.com/ca2c32d0ccf660af637b3efb4ce5bd85.jpg|width=500]] E-11 블라스터는 전자동 발사 모드와 반자동 발사 모드, 그리고 스턴 블라스트 발사 모드[* 스턴 블라스트 모드에선 붉은색의 빔대신 푸른색 링모양의 광선이 발사된다.][* [[스타워즈(영화)|새로운 희망]] 초반에 [[레아 오르가나]]가 이것에 맞아 기절했다.]와 훈련용 발사 모드로 나뉜다. 또한 --장식품처럼 보이지만-- 총에 기본적으로 장착된 스코프는 컴퓨터가 내장되어 있어 암흑 속이나 수중, 그리고 연기가 심한 곳에서도 상대방을 투사해서 보여준다. ~~[[스톰트루퍼 효과|물론 사용자들은 이런 고스펙의 총을 들고도 절대 주인공을 맞추는 일은 없다.]]~~ ~~사실 조준도 안하고 쏜다.~~이외에도 블라스테크 공업은 소로서브 코퍼레이션과 메르-손 코퍼레이션에 E-11 라이플의 설계도를 제공하여 이 무기의 제작 권한을 주었고, 이렇게 3개 회사는 각자의 경쟁을 통해 제국군에게 좀더 우수한 성능과 충분한 물량을 납품했다. 덕분에 스톰트루퍼들은 대다수가 E-11을 들고 다녔다. 특이하게도 [[레아 오르가나]]가 자주 쓰는 무기이기도 하다. 레아는 평상시엔 디펜더 블라스터 권총을 휴대하고 다녔지만, [[죽음의 별]]과 [[클라우드 시티]]에서 두 번 E-11을 노획해 사용하였고, 이 때문에 '디펜더는 자위용, E-11은 전면전용'으로 쓴다는 인식이 강해졌고 이는 캐논 게임인 [[배틀프론트]]에서 공식 설정이 되어버렸다. 뿐만아니라 루크 스카이워커가 스타워즈 시리즈 중 개인화기로서 누군가를 사살한 것은 이 E-11 블라스터가 유일하다. 제국의 역습에서 개인 피스톨을 가지고있긴했지만 누군가를 향해 사격한적은 없으며 제다이의 귀환에서도 자바 일당 부하의 권총을 뺏어서 한발 쏜 적이 있지만 빗나가서 아무도 사살하지 못했다. 가끔 코믹스에서도 이 E-11을 사용한 적도 있다. 따지고보면 악역 잡졸들의 기본무기임에도 루크나 레아 등 핵심 주연에게 자주 사용되는 특이한 무기라고 볼 수 있겠다. [[핸드가드]] 아래의 그립처럼 보이는 물건은 접이식 [[개머리판]]이다. 베이스가 된 [[스털링 기관단총]] 문서의 이미지를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는데, 권총손잡이 바로 뒤에 있는 경첩을 중심으로 개머리판을 회전시켜 후방으로 고정할 수 있는 구조다. 레전드 당시 가격은 1,000 크레딧이었다. == 배리에이션 == === E-11D 블라스터 카빈 === ||<-2> [[스타워즈 캐넌|[[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Eras-canon.png|width=150]]]]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E-11D.png|width=100%]]}}} || ||<-2> '''{{{+1 {{{#white,#ffffff E-11D 블라스터 카빈[br]E-11D blaster carbine}}}}}}''' || || '''{{{#fff 운용}}}''' ||[[은하제국(스타워즈)|은하 제국]],,,([[데스 트루퍼]]),,, || || '''{{{#fff 제작}}}''' ||블라스테크 공업 || || '''{{{#fff 가격}}}''' ||1,400 크레딧 || [clearfix] [[로그 원]]의 데스트루퍼는 첫 등장시엔 대부분 DLT-19를 들고 등장하나, [[스카리프 전투]]에선 대부분 E-11을 개조한 '''E-11D 블라스터 소총'''을 주무기로 사용한다. 각종 택티컬 옵션이 붙었으며, 총열이 큼지막하게 개조된 것이 가장 큰 특징으로, 보다 정밀하였으며 화력도 더 높다. 또한, 상술한 접이식 개머리판은 놔두고 신축식 개머리판을 부착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 F-11D 블라스터 소총 === ||<-2> [[스타워즈 캐넌|[[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Eras-canon.png|width=150]]]]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Sonn-Blas_F-11D_blaster_rifle.png|width=100%]]}}} || ||<-2> '''{{{+1 {{{#white,#ffffff F-11D 블라스터 소총[br]F-11D blaster rifle}}}}}}''' || || '''{{{#fff 운용}}}''' ||[[퍼스트 오더]] || || '''{{{#fff 제작}}}''' ||손-블라스 코퍼레이션 || [clearfix] [[스타워즈 캐넌]]에 해당되는 [[깨어난 포스]]에서는 [[퍼스트 오더]] 스톰트루퍼 군단이 E-11의 후계형인 '''F-11D 블라스터 소총'''을 들고 나온다. 예전 스톰트루퍼들이 E-11을 권총처럼 홀스터에 찰 수 있었듯이 이번에는 홀스터가 없이 아예 스톰트루퍼들의 오른쪽 허벅지에 달린 홈에 부착하고 다닐 수 있게 되었다.[* F-11D 블라스터 또는 SE-44C 권총을 달 수 있다.] 또, 배터리 셀의 방향이 바뀌었다. 기존 E-11과 개량형인 E-11D의 경우 배터리 셀이 총기 왼쪽에 장착되었지만 F-11D의 경우 총기 왼쪽에 장착된다. [[파일:f11dblaster.jpg|width=640]] 참고로 E-11의 접이식 개머리판은 접이식 전방손잡이로 자주 오해를 받았는데,[* 원본인 [[스털링 기관단총]]에서는 접이식 개머리판이 맞으며, 후술할 개량형인 E-11D에서는 신축식 개머리판을 따로 부착하였기에 접은 상태에서는 전방 핸드가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스털링 기관단총도 전방 핸드가드가 없어서 파지법이 불편했던 것을 고증한 듯.] F-11D의 경우 진짜 접이식 전방손잡이가 맞다. F-11D는 탈부착형 개머리판을 쓴다. [[파일:star.mp4_20180715_173326-horz.png]] 일부 모델은 방열판 옆에 피카티니 레일 같은 게 달려 있어 전술조명 등의 장비를 장착할 수 있다.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Phasma_blaster_rifle.png|width=500]] 파스마의 F-11D 블라스터 소총의 경우 --본체와 마찬가지로-- 크롬으로 도금되어 있다. --사진이 왠지 때 낀 것 같다.-- == 문제점 == [[파일:attachment/stormtroopers2.jpg|width=500]] 몇몇 스톰트루퍼들은 이 라이플의 과열 시간이 오래 걸려서 다시 냉각시킬때까지 시간이 너무 걸린다고 하기도 했고, 일부는 총의 반동이 높아서 잘 맞지 않는다고 하면서 [[스톰트루퍼 효과|정확성 문제]]를 말하기도 했다. 그리고 이 총의 가장 큰 단점은 이 총의 탄창은 옆에 달려있기 때문에 바리케이드 같은 곳에 엄폐하여 싸울때는 이게 걸리기 일쑤여서 불편하기도 했고, 탄창에 들어가는 500발의 장탄 수는 그리 많은 편이 아니라서 마지막 100발이 남았을 때는 말 그대로 '''잔탄을 세어 가면서''' 발사해야 했다. 때문에 개량형 E-11A1과 E-11B가 등장하였지만 제작 비용이 비싼 관계로 완전히 대체하진 못했고, 이후 등장한 E-11C는 몆몆 부분이 수정되었지만 오작동이 심해서 이것 역시 보류, 그 뒤로 여러가지 개량형이 등장하지만 아무도 E-11을 대체하진 못했다. 레전드에선 이후 로안 펠의 신 은하 제국 시대에는 "ARC-9965 블라스터 라이플"이 E-11의 단점을 모두 고치는데 성공했지만, 문제는 이 총의 장탄수는 30~40발 정도 밖에 안됐다고 한다. == 에어소프트건 == S&T사에서 자회사의 스털링 전동건을 베이스로 해서 제품화했다. 그래서인지 탄창은 기존의 스털링 제품에 있는 탄창이 아닌 숏탄창이다.[* 상자를 열면 탄창이 들어있는 공간은 롱탄창이 수납 가능한 크기로 파여있다.][* 물론 자회사 제품을 베이스로 했기에 당연히 롱탄창도 호환이 된다.] == 자료 출처 == * [[https://starwars.fandom.com/wiki/E-11_blaster_rifle|우키피디아 E-11 블라스터 소총]] * [[https://starwars.fandom.com/wiki/E-11D_blaster_carbine|우키피디아 E-11D 블라스터 카빈]] * [[https://starwars.fandom.com/wiki/F-11D_blaster_rifle|우키피디아 F-11D 블라스터 소총]] [[분류:스타워즈 병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