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드림캐쳐)] [include(틀:드림캐쳐(아이돌)/타이틀곡)] ||<-2>
{{{+1 '''Dystopia: Road to Utopia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TU.jpg|width=100%]]}}} || ||<-2> {{{#fefefe 6th Mini Album }}} || || '''발매일''' ||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5px; border: 1px solid rgba(45, 47, 52, .2); vertical-align: middl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100%]]}}}]] 2021년 1월 26일 || || '''기획사''' || [[드림캐쳐 컴퍼니]] || || '''유통사''' || [[지니뮤직(기업)|지니뮤직]] || || '''타이틀곡'''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373737; font-size: .8em" {{{#fefefe '''Odd Eye''' }}} }}} || || '''재생 시간''' || 21분 36초 || [목차] [clearfix] == 개요 == 2021년 1월 26일에 발매된 [[드림캐쳐(아이돌)|드림캐쳐]]의 6번째 미니 앨범이다. == 6th Mini Album 《Dystopia: Road to Utopia》 == ||
{{{#fefefe '''트랙'''}}} || {{{#fefefe '''곡명'''}}} || {{{#fefefe '''작사'''}}} || {{{#fefefe '''작곡'''}}} || {{{#fefefe '''편곡'''}}} || ||<|2> '''01''' ||<|2> Intro ||<|2> ||<-2> Ollounder || ||<-2> LEEZ || ||<#f2f2f2,#383838><|3> '''02''' ||<|3><#f2f2f2,#383838> '''Odd Eye''' ||<-3><#f2f2f2,#383838> Ollounder || ||<-3><#f2f2f2,#383838> LEEZ || ||<#f2f2f2,#383838> 1월 8일 ||<#f2f2f2,#383838><-2>|| ||<|2> '''03''' ||<|2> 바람아 (Wind Blows) ||<-3> Ollounder || ||<-3> LEEZ || ||<|3> '''04''' ||<|3> Poison Love ||<-3> Ollounder || ||<|2> LEEZ || LEEZ ||<|2> 엄태원 || || 엄태원 || ||<|3> '''05''' ||<|3> 4 Memory ||<-3> Ollounder || ||<-2> LEEZ ||<|2> LEEZ || ||<-2> [[지유(드림캐쳐)|지유]] || ||<|6> '''06''' ||<|6> 시간의 틈 (New days) ||<-3> Ollounder || ||<-3> LEEZ || ||<|4> [[다미(드림캐쳐)|다미]] || [[다미(드림캐쳐)|다미]] ||<|4> ZENUR || || ZENUR || || [[초현(작곡가)|HAKU]][* 본명 박초현. 믹스나인 당시 다미와 같은조였다.] || || GIANNIS || ||<|2> '''07''' ||<|2> Odd Eye (inst.) ||<|2> ||<-2> Ollounder || ||<-2> LEEZ || === Intro === ||
<#373737><:>'''{{{#fefefe Dystopia 앨범의 스토리를 이어 유토피아를 찾아가는 과정이 압축되어 있다. Hard Dance 장르의 곡이다.}}}'''|| === Odd Eye === ||
<#373737><:>'''{{{#fefefe 강렬한 락 사운드와 힙합의 요소가 더해진 드림캐쳐만의 영 메탈 (Young Metal) 또는 뉴 메탈 (Nu Metal) 장르의 곡으로,[br]락 특유의 거친 사운드와 힙합의 리듬감이 더해져 새로운 사운드를 구현한다.[br]성스러움을 표현하기 위해 피아노의 낮은 음역과 넓은 공간감의 배킹 보컬을 활용하였고,[br]후렴구에서 보컬 멜로디와 디스토션 기타의 멜로디가 오버랩되어 듣는이의 귀를 더욱 사로잡는다.}}}'''|| [youtube(LTTfzK-ADzQ)] ||<#f2f2f2> {{{#373737 '''〈Odd Eye〉'''}}} || ||<#FFFFFF><:> ^^''' ALL {{{#94C7FF 지유}}} {{{#EA5D03 수아}}} {{{#7C5DEA 시연}}} {{{#306EEC 한동}}} {{{#10D5D6 유현}}} {{{#EA1DB1 다미}}} {{{#10C5FF 가현}}}'''^^ {{{#10D5D6 두 눈을 떠 모두가 바란 찬란한 이곳 셀 수 없이 슬픔을 흘린 후}}} {{{#306EEC 조금씩 보이는 New world}}} {{{#10C5FF 경계선을 넘어선 그 공간 더 아름다운 풍경을 In my eyes}}} {{{#EA5D03 긴 방황 끝에 찾은 듯했지만 또 마주쳐 버린 희망 속의 Lie}}} {{{#94C7FF 더욱더 교묘해져 My mistake Oh 빛으로 가려지는 So So Sorrow}}} {{{#7C5DEA 미소에 속아 방심하는 그 순간}}} {{{#10D5D6 숨은 비밀을 봐 Odd Eye 더 깊이 빠져들어 봐 봐 다 그럴듯한 거짓말 달콤함에 가려져 Woo}}} {{{#7C5DEA 경계를 허무는 눈과 끝까지 맞서려는 절망 끝이 있지 않을까}}} {{{#94C7FF Back and forth 여긴 찾던 곳이 아닌걸 No more Utopia}}} {{{#EA1DB1 Yah Live it up Uh 무의미에 발버둥 치네 같은 곳에 머문 듯해 다시 끝없는 갈증을 안은 채 신기룰 쫓아도 거기엔 없는데}}} {{{#306EEC 황홀한 찰나 완벽한 환상 현실을 가린 채 Ooh Uh}}} {{{#EA5D03 달라진 눈에 보이는 결말 마주쳐 버린 희망 속의 Lie}}} {{{#10C5FF 더욱더 교묘해져 My mistake Oh 빛으로 가려지는 So So Sorrow}}} {{{#10D5D6 미소에 속아 방심하는 그 순간}}} {{{#94C7FF 숨은 비밀을 봐 Odd Eye 더 깊이 빠져들어 봐 봐}}} {{{#306EEC 다 그럴듯한 거짓말 달콤함에 가려져 Woo}}} {{{#7C5DEA 경계를 허무는 눈과 끝까지 맞서려는 절망 끝이 있지 않을까}}} {{{#EA5D03 Back and forth 여긴 찾던 곳이 아닌걸 No more Utopia}}} {{{#EA1DB1 조급히 조급히 변하길 바랐던 나}}} ({{{#94C7FF 이상적인 꿈}}}) {{{#EA1DB1 조금씩 조금씩 사라져 가는 갈망}}} ({{{#94C7FF Ah}}}) {{{#306EEC 나를 따라만 오는 줄 알았던 그림자를 따라가는 듯이 Oh}}} {{{#10C5FF 바꾸지 못하는 운명 속에 희망은 더 사라져 가}}} {{{#10D5D6 끝}}}{{{#1AC9D8 내}}} {{{#24BDDA 눈}}}{{{#2EB1DC 을}}} {{{#38A5DE 가}}}{{{#4299E0 려}}} {{{#4C8DE2 O}}}{{{#5681E4 d}}}{{{#6075E6 d}}} {{{#6A69E8 E}}}{{{#7460E9 y}}}{{{#7C5DEA e}}} {{{#10D5D6 더 깊이 빠져들어 So dark}}} ({{{#7C5DEA Oh}}}) {{{#EA5D03 다 그럴듯한 거짓말 {{{#7C5DEA (거짓말)}}} 달콤함에 가려져 Woo}}} {{{#7C5DEA 경계 속 허무한 나와 {{{#10D5D6 (나와)}}} 끝까지 맞서려는 절망 {{{#10D5D6 (Whoa)}}} 끝이 없을 것 같아}}} ({{{#10D5D6 없을 것 같아}}}) {{{#94C7FF Back and forth 여긴 찾던 곳이 아닌걸 No more Utopia}}} || === 바람아 (Wind Blows) === ||
<#373737><:>'''{{{#fefefe 시공간이 일그러져 다른 차원에 흩어진 “너”. 바람의 힘을 빌어 찾으려는 소망을 담았다.[br]사이버펑크와 락을 혼합한 장르로, 곡의 구성이 바뀔 때 장르의 특성이 확연하게 변하는 것이 특징이다.}}}'''|| Odd Eye 활동 이후 후속 활동곡으로 확정되었다. [youtube(-5QnPKlsXsE)] ||<#f2f2f2> {{{#373737 '''〈바람아 (Wind Blows)〉'''}}} || ||<#FFFFFF><:> ^^''' ALL {{{#94C7FF 지유}}} {{{#EA5D03 수아}}} {{{#7C5DEA 시연}}} {{{#306EEC 한동}}} {{{#10D5D6 유현}}} {{{#EA1DB1 다미}}} {{{#10C5FF 가현}}}'''^^ {{{#EA5D03 쉴 틈 없이 들려와 혼란스런 소리가 미친 듯이 귀를 울린다}}} {{{#94C7FF 도시의 불빛 보이지 않는 별 너를 찾을 수 있을까}}} {{{#EA1DB1 Oh 모든 뒷모습이 다 왠지 너일 것만 같아}}} {{{#306EEC 바람아 불어라 너에게 닿을 수 있게}}} {{{#10D5D6 Always be on your side}}} {{{#7C5DEA 그래 난 매일 모든 시공간 속 수많은 밤에 너를 찾아 헤매다 흐린 별을 보며 찾아가}}} {{{#10D5D6 매일 밤 꿈꿔 왔던 너니까 지나쳐 가도}}} {{{#10C5FF 찰나의 그 순간 널 꼭 알아볼 수 있어}}} {{{#EA5D03 Wind blows Wind blows Wind blows}}} {{{#306EEC Blows Wind blows Wind blows}}} {{{#EA1DB1 혼란 틈에 빨려 들어 들어 Black hole 끝에 선 다른 차원 미지의 Neon color Attention 집중해야 돼 색다른 Gesture We let it go 소리쳐 네 이름 뿌연 먼지처럼 뿌려 uh}}} {{{#94C7FF 지금 여긴 Panic in the city 벗어나야 해 이곳에서}}} {{{#10C5FF Murky galaxy 같은 내 맘이 간절히 널 부르고 있어}}} {{{#306EEC 바람아 불어라 너에게 닿을 수 있게}}} {{{#EA5D03 Always be}}} {{{#7C5DEA on}}} {{{#EA5D03 your}}} {{{#7C5DEA side}}} {{{#94C7FF 그래 난 매일 모든 시공간 속 수많은 밤에 너를 찾아 헤매다 흐린 별을 보며 찾아가}}} {{{#10D5D6 매일 밤 꿈꿔 왔던 너니까 지나쳐 가도}}} {{{#10C5FF 찰나의 그 순간 널 꼭 알아볼 수 있어}}} {{{#10D5D6 벼랑 끝의 너와 나 기억 조각을 타고 내게 와}}} {{{#7C5DEA Always be with you Like gravity Yeah}}} {{{#94C7FF 너는 나의 모든 시공간 저 달빛을 닮은 너를 찾을 테니까 흐린 별을 보며 따라가}}} {{{#EA5D03 매일 밤 꿈꿔 온 너이기에 놓치지 않아}}} {{{#306EEC 찰나의 그 순간 널 꼭 알아볼 수 있어}}} {{{#10C5FF Wind blows Wind blows Wind blows}}} {{{#EA1DB1 Blows Wind blows Wind blows}}} || === Poison Love === ||
<#373737><:>'''{{{#fefefe 사랑에 중독되어 가고, 점점 의존하게 되는 모습을 담은 이야기.}}}'''|| [youtube(birF2goL-k8)] ||<#f2f2f2> {{{#373737 '''〈Poison Love〉'''}}} || ||<#FFFFFF><:> ^^''' ALL {{{#94C7FF 지유}}} {{{#EA5D03 수아}}} {{{#7C5DEA 시연}}} {{{#306EEC 한동}}} {{{#10D5D6 유현}}} {{{#EA1DB1 다미}}} {{{#10C5FF 가현}}}'''^^ {{{#EA1DB1 Why do you Why do you}}} {{{#EA5D03 This is crazy 널 알게 된 순간 이미 잘못된 일 눈빛 하나로 모든 경계심 다 무너뜨리는 너}}} {{{#94C7FF 손쉽게 파고드는 능숙함 내겐 너무 새로운 It feels like}}} {{{#10C5FF 그 누구라도 빠져들 거야 나만 알고 싶어 네 존재}}} {{{#7C5DEA Oh I 중독돼 가고 있어 지금 난 이미 Fall in love}}} {{{#10D5D6 두 귀를 막은 채 Eumm}}} {{{#306EEC Why do you you you you make me cry Why do you you you you break me down}}} {{{#10D5D6 매일 더 더 더 더 흐려져 원해 널 더 원해 널}}} {{{#EA1DB1 Why do you you you you make me cry Why do you you you you break me down}}} {{{#7C5DEA 너와 입술을 맞닿으면 내 아픔 다 사라져 Oh}}} {{{#EA1DB1 Everyday everyday I feel low 무기력해지지 또 밥을 먹다가도 모두 다 남기고 난 다시 잠에 들어}}} {{{#10C5FF 이젠 어느샌가 기계적인 생각 You're the only way out}}} {{{#EA5D03 힘겹게 떨쳐내려 해 봐도 내겐 너무 익숙한 It feels like}}} {{{#306EEC 너 때문에 더 많이 아파도}}} {{{#94C7FF 멈춰 버린 생각이 발걸음을 돌려놔 너에게로}}} {{{#10D5D6 Oh I 중독돼 가고 있어 지금 난 이미 Fall in love}}} {{{#7C5DEA 두 눈을 가린 채 Again}}} {{{#306EEC Why do you you you you make me cry Why do you you you you break me down}}} {{{#10D5D6 매일 더 더 더 더 흐려져 원해 널 더 원해 널}}} {{{#94C7FF Why do you you you you make me cry Why do you you you you break me down}}} {{{#7C5DEA 너와 입술을 맞닿으면 내 아픔 다 사라져 Oh}}} {{{#306EEC Yeah you've never lied Lied Lied Lied Lied Lied Lied Sure I know Sure I know}}} {{{#10D5D6 You've never been mine Mine Mine Mine Mine Mine Mine 단 한 번도 단 한 번도}}} {{{#EA5D03 처음부터 먼저 날 바라본 적이 없었던}}} {{{#10C5FF 처음부터 먼저 날 바라본 적이 없었던}}} {{{#EA5D03 처음부터 먼저 날 바라본 적이 없었던}}} {{{#7C5DEA 널 오늘도 찾아가}}} Hey Hey Hey Hey {{{#EA1DB1 Why do you you you you make me cry Why do you you you you break me down}}} {{{#7C5DEA 너와 입술을 맞닿으면 내 아픔 다 사라져 Oh}}} || === 4 Memory === ||
<#373737><:>'''{{{#fefefe 퓨처 팝 장르의 곡으로, 사계절 동안 함께 해 온 추억을 회상하며, 어떠한 상황이 와도 모든 순간들을 잊지 않겠다는 마음을 담았다.}}}'''|| [youtube(MDEt3qs5lNc)] ||<#f2f2f2> {{{#373737 '''〈4 Memory〉'''}}} || ||<#FFFFFF><:> ^^''' ALL {{{#94C7FF 지유}}} {{{#EA5D03 수아}}} {{{#7C5DEA 시연}}} {{{#306EEC 한동}}} {{{#10D5D6 유현}}} {{{#EA1DB1 다미}}} {{{#10C5FF 가현}}}'''^^ {{{#10C5FF 함께 보낸 여름이 가고 봄 가을 겨울 시간이 흘러}}} {{{#94C7FF 잡힐 듯 말 듯 한 계절 눈 떠 보니 다 환상뿐인걸}}} {{{#10D5D6 높은 바람 타고 날아 Fly Oh I`m not fine 모든 힘을 다해 너에게 가고 있어}}} ({{{#306EEC 달려가고 있어}}}) {{{#7C5DEA 저기 구름 너머 보이는 커다란 무지개를 넘어 There’s something waiting there that I want I want}}} {{{#EA5D03 따뜻했던 봄이 가고 소나기 같은 한여름 밤의 기억}}} {{{#10D5D6 가을이 오면 모닥불 옆의 우리 얼어붙은 네 손 잡던 겨울까지 모두 기억해}}} {{{#306EEC 모두 기억해 I want with you I want with you now}}} {{{#EA1DB1 머릿속을 가득 채워 너란 깊은 바닷속을 헤맸어 난 파도치기 전 모래 위의 그림처럼 눈 감으면 다 사라질 것만 같아}}} {{{#94C7FF 지금까지 아껴왔던 말을 모두 전하고 싶어}}} {{{#7C5DEA 널 닮은 이 계절이 가기 전에}}} {{{#EA1DB1 따뜻했던 봄이 가고 소나기 같은 한여름 밤의 기억}}} {{{#10C5FF 가을이 오면 모닥불 옆의 우리}}} ({{{#10D5D6 가을이 오면 ah}}}) {{{#10C5FF 얼어붙은 네 손 잡던 겨울까지}}} ({{{#10D5D6 얼어붙은 겨울까지}}}) {{{#10C5FF 모}}}{{{#10D5D6 두}}} {{{#10C5FF 기}}}{{{#10D5D6 억}}}{{{#10C5FF 해}}} {{{#7C5DEA 모두 기억해 I want with you I want with you now}}} {{{#306EEC 함께하고 싶어 모든 계절의 너와 눈부신 기억들로 가득 채우던}}} {{{#94C7FF 가끔 두렵다 해도 손잡아 줄 네가 있고 내가 있던 모든 순간을 잊지 마}}} {{{#EA5D03 따뜻했던 봄이 가고}}} ({{{#7C5DEA Whoa 봄이 가고}}}) {{{#EA5D03 소나기 같은 한여름 밤의 기억}}} ({{{#7C5DEA Ooh 밤의 기억 Whoa}}}) {{{#10D5D6 가을이 오면 모닥불 옆의 우리}}} ({{{#7C5DEA 모닥불 옆의 우리}}}) {{{#10D5D6 얼어붙은 네 손 잡던 겨울까지 모두 기억해}}} || === 시간의 틈 (New days) === ||
<#373737><:>'''{{{#fefefe 아련함과 강인함을 모두 담아낸 락 사운드의 곡.[br]시간이 약이라는 말처럼, “수없이 넘어지고 흔들려도 모두 지나가고, 새로운 출발을 할 시간이다.” 라는 희망적인 메시지가 담겨 있다.}}}'''|| [youtube(dhbiIYS08lI)] ||<#f2f2f2> {{{#373737 '''〈시간의 틈 (New days)〉'''}}} || ||<#FFFFFF><:> ^^''' ALL {{{#94C7FF 지유}}} {{{#EA5D03 수아}}} {{{#7C5DEA 시연}}} {{{#306EEC 한동}}} {{{#10D5D6 유현}}} {{{#EA1DB1 다미}}} {{{#10C5FF 가현}}}'''^^ {{{#EA5D03 너와 내 사이 수없이 쌓인 모든 걸 지워내고 깊은 밤이 삼키기 전에 빛을 따라 너에게로}}} {{{#94C7FF 사라진 나의 또 다른 아이 널 찾아 일분일초}}} {{{#10D5D6 원한다면 시간의 끝까지 숨어 있는 널 찾아가}}} {{{#10C5FF 기다리면 볼 수 있어}}} {{{#94C7FF 시린 바람에 흔들린 마음도}}} {{{#10C5FF 눈 떠 보면 우리 사이가 더 가까이}}} {{{#7C5DEA 시간이 멈추고 나면 함께 할 테니}}} {{{#EA1DB1 얼마 남지 않아 시작된 카운트다운}}} {{{#306EEC 나와 어디에도 없는 그곳으로}}} {{{#94C7FF 데리러 갈게}}} ({{{#EA5D03 어둠 속에서}}}) {{{#94C7FF 기다려 줄래}}} ({{{#EA5D03 널 찾아 헤매다}}}) {{{#94C7FF 난 사라진 시간 틈 속에서 Find you}}} (Find you) {{{#10D5D6 쓰러진대도}}} ({{{#10C5FF 다시 피어나}}}) {{{#10D5D6 지쳐가도 네 목소리 닿으면 다시 새로운 날이 내게로 와}}} {{{#EA1DB1 시간이 서둘러 지나길 빛나지 우리의 만남이 돌아보면 비슷해 감았던 눈을 뜰 때 그 순간 눈앞에 펼쳐져 끝까지}}} {{{#EA1DB1 잠깐 잠에 들어 지워져 버린 기억 기지갤 켜고 다시 돌이켜 보면}}} {{{#306EEC 지나쳐 사라지고 또 새로운 시간이 흘러가}}} {{{#EA5D03 기다리면 볼 수 있어}}} {{{#10C5FF 이젠 사라져 흔들린 마음도}}} {{{#EA5D03 눈 떠 보면 우리 마음속에 더 피어나}}} {{{#7C5DEA 시간이 멈추고 나면 함께 할 테니}}} {{{#EA1DB1 얼마 남지 않아 시작된 카운트다운}}} {{{#306EEC 나와 어디에도 없는 그곳으로}}} {{{#94C7FF 데리러 갈게}}} ({{{#306EEC 어둠 속에서}}}) {{{#94C7FF 기다려 줄래}}} ({{{#306EEC 널 찾아 헤매다}}}) {{{#94C7FF 난 사라진 시간 틈 속에서 Find you}}} (Find you) {{{#7C5DEA 쓰러진대도}}} ({{{#10C5FF 다시 피어나}}}) {{{#7C5DEA 지쳐가도 네 목소리 닿으면 다시 새로운 날이 내게로}}} {{{#10C5FF 오지 않을 것 같던 우리 영원한 시간}}} {{{#EA5D03 마주 보고 웃으며 나의 손을 잡아}}} {{{#10D5D6 지난날은 달콤한 추억이었어 꿈에서도 널 기다려 왔어}}} {{{#94C7FF 데리러 갈게}}} (어둠 속에서) {{{#94C7FF 기다려 줄래}}} (널 찾아 헤매다) {{{#7C5DEA 난 사라진 시간 틈 속에서 Found you}}} {{{#10D5D6 쓰러진대도}}} ({{{#10C5FF 다시 피어나}}}) {{{#10D5D6 지쳐가도 네 목소리 닿으면 다시 새로운 날이 내게로 와}}} || === Odd Eye (inst.) === == 뮤직 비디오 == ||
<:>{{{#373737 {{{+1 '''Odd Eye'''}}}[br]The 6th Mini Album Title Song}}}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1QD0FeZyDtQ)]}}}|| * 공개 4일차를 넘긴 1월 31일 자정에 공식 채널 뮤직비디오의 조회수가 1천만 뷰를 돌파했다. * 공개 6일차인 2월 2일 오전에 1,500만 뷰를 돌파했다. * 2월 23일(공개 28일차)에 2천만 뷰를 돌파했다. 이로써 Dystopia 시리즈의 세 타이틀곡 뮤비가 모두 2천만 뷰를 돌파하게 되었다. * 그동안 유튜브 조회수 집계 도중에 프리징이 걸렸던 건지, 2천만 뷰를 돌파한 지 단 3일만인 2월 26일(공개 31일차) 새벽에 3천만 뷰를 넘어섰다! * 공개 72일차인 4월 8일에 3,500만 뷰를 돌파했다. * 7월 22일, 공개 177일만에 4천만 뷰를 돌파했다. 드림캐쳐의 뮤직비디오가 4천만 뷰를 넘어선 것은 [[BOCA]]에 이어 이번이 두 번째다. 공개부터 4천만 뷰 도달까지의 소요 기간은 BOCA 때보다 94일이 단축되었다. === 해석 === 드림캐쳐의 뮤비가 늘 그렇듯 다소 심오하고 난해하기에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 해석1 [[https://youtu.be/LWpvUKbchgw|영상]] 영화 매트릭스처럼 뮤비에서 빨간색은 진실, 파란색은 거짓을 뜻하는 소재이다. 드림캐쳐 멤버들은 바라던 유토피아에 드디어 도착했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유현이 빨간색 물을 마시고 보게 된 진실은 달랐다. 나쁜 말을 일삼던 사람들을 막아 언어의 나무를 지켜내겠다고 생각했지만 어느샌가 멤버들도 그 사람들과 같이 상처주는 말을 일삼고 있던 것이다. 지유가 휴대폰에 글자를 입력하고 이후 슬퍼하는 장면, 뮤비에서 한동이 깨진 거울에 비친 자신의 목을 조르며 홀로그램 글자들이 뜨는 장면, 시연이 TV 리모컨을 내려놓자 그제야 시연을 가두던 철창이 보이기 시작하는 장면, 그리고 브릿지 부분의 가사 '나를 따라만 오는 줄 알았던 그림자를 따라가는 듯이' 등은 뮤비 속 드림캐쳐 멤버들이 인터넷 매체에 의한 가해자인 동시에 피해자가 되었음을 뜻한다. 빨간 물을 마신 후 멤버들 자신들의 정의였던 언어의 나무에는 불[* Scream에서 불은 부정적인 소재였고 화자를 상처 주는 수단이었다. Scream의 화자는 대중에 의한 일방적인 마녀사냥의 피해자였지만 Odd Eye의 화자는 그들처럼 또다른 사람에게 가해자였던 것이다.]이 붙어 버린다. 결국 이런 진실을 깨닫게 된 멤버들은 눈을 가리고 현실을 외면해 버려 끝내 유토피아를 찾지 못했다는 해석이다. * 해석2 유토피아가 다른 곳에 있을 거라는 생각은 모두 허상이었고 진짜 유토피아는 자신의 내면에 있었다는 해석이다. 오피셜로 밝혀진 내용이다. 어쩌면 해석1과 엮어 자신이 매체 속 정보를 비판적으로 수용하고 좋은 말을 하며 언어의 나무를 가꿀 때, 내면의 진정한 유토피아가 보인다는 내용일 수도 있다. == 안무 == === Odd Eye === ||
<:>{{{#373737 {{{+1 '''Odd Eye'''}}}[br]Dance Video (MV ver.)}}}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Um7NM5Dblfo)]}}}|| ||
<:>{{{#373737 {{{+1 '''Odd Eye'''}}}[br]Dance Video (연습실 ver.)}}}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_IXVez10dU8)]}}}|| ||
<:>{{{#373737 {{{+1 '''Odd Eye'''}}}[br]Dance Video (Random Box ver.)}}}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quk_EJ0-8PU)]}}}|| ||
<:>{{{#373737 {{{+1 '''Odd Eye'''}}}[br]Dance Video (Dystopia ver.)}}}[* 공식 MV 2천만 뷰 기념 이벤트 영상. 이번 앨범 재킷 사진에서 선보인 수트와 Scream과 BOCA에서의 의상이 교차하는 연출로 디스토피아 3부작의 대단원을 장식한 영상이다. 마지막에 Scream 활동 의상을 입은 한동이 검은색 가면을 벗는 연출이 킬링포인트.]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F-yIA_pwxI)]}}}|| ||
<:>{{{#373737 {{{+1 '''Odd Eye'''}}}[br]Comeback Showcase}}}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uSvVMcawHJU)]}}}|| ||
<:>{{{#373737 {{{+1 '''Odd Eye'''}}}[br]Relay Dance}}}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35XIso-DViE)]}}}|| ||
<:>{{{#373737 {{{+1 '''Odd Eye'''}}}[br]주간아 미방}}}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f7VXaskeujc)]}}}|| ||
<:>{{{#373737 {{{+1 '''Odd Eye'''}}}[br]고장난 노래방}}}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njhhiKXEo0Y)]}}}|| ||
<:>{{{#373737 {{{+1 '''Odd Eye'''}}}[br]잇츠라이브(it’s Live) Band ver.}}}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I4b1GkQdmzc, start=144)]}}}|| === 바람아 (Wind Blows) === ||
<:>{{{#373737 {{{+1 '''바람아 (Wind Blows)'''}}}[br] Dance Video(연습실 ver.)}}}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kWN1rdEbzJE)]}}}|| ||
<:>{{{#373737 {{{+1 '''바람아 (Wind Blows)'''}}}[br] genie PLAY COLOR}}}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t6FnECoSlrQ)]}}}|| ||
<:>{{{#373737 {{{+1 '''바람아 (Wind Blows)'''}}}[br] Relay Dance}}}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r4Mhcap8Z40)]}}}|| ||
<:>{{{#373737 {{{+1 '''바람아 (Wind Blows)'''}}}[br] 잇츠라이브(it’s Live) Band ver.}}}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rkh1yJw_U5c, start=13)]}}}|| == [[드림캐쳐(아이돌)/응원법|응원법]] == [[드림캐쳐(아이돌)/응원법#s-2.12.1|해당 문서]] 참고. == 티저 == === 영상 === ||
<:>{{{#373737 {{{+1 '''Odd Eye'''}}}[br]Lyric Spoiler}}}||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T71AGNPFL3A)]}}}|| ||
<:>{{{#373737 {{{+1 '''Dystopia: Road to Utopia'''}}}[br]Highlight Medley}}}||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yrHxpdrxio8)]}}}|| ||
<:>{{{#373737 {{{+1 '''Odd Eye'''}}}[br]Dance Preview}}}||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OxjDT2diGkU)]}}}|| ||
<:>{{{#373737 {{{+1 '''Odd Eye'''}}}[br]MV Teaser #01}}}||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hhfU-qnX2vo)]}}}|| ||
<:>{{{#373737 {{{+1 '''Odd Eye'''}}}[br]MV Teaser #02}}}||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2KcVwq-Wz9E)]}}}|| === 이미지 === ||
<:>{{{#373737 Scheduler}}}||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TU스케줄러.jpg|width=100%]]}}} || ||
<:>{{{#373737 Track List}}}||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TU트랙 리스트.jpg|width=100%]]}}} || ||<-4>
<:>{{{#373737 Teaser Image #01 Cyberpunk}}}||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TU단체_1.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TU지유_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TU유현_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TU시연_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TU한동_1.jpg|width=100%]]}}} || ||<#373737> '''[[지유(드림캐쳐)|{{{#fefefe 지유}}}]]''' ||<#373737> '''[[유현(드림캐쳐)|{{{#fefefe 유현}}}]]''' ||<#373737> '''[[시연(드림캐쳐)|{{{#fefefe 시연}}}]]''' ||<#373737> '''[[한동|{{{#fefefe 한동}}}]]'''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TU수아_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TU다미_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TU가현_1.jpg|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드림캐쳐(아이돌) 로고.svg|width=80%]]}}} || ||<#373737> '''[[수아(드림캐쳐)|{{{#fefefe 수아}}}]]''' ||<#373737> '''[[다미(드림캐쳐)|{{{#fefefe 다미}}}]]''' ||<#373737> '''[[가현|{{{#fefefe 가현}}}]]''' || ||<-4>
<:>{{{#373737 Teaser Image #02 Utopia}}}||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TU단체_2.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TU지유_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TU수아_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TU시연_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TU한동_2.jpg|width=100%]]}}} || ||<#373737> '''[[지유(드림캐쳐)|{{{#fefefe 지유}}}]]''' ||<#373737> '''[[수아(드림캐쳐)|{{{#fefefe 수아}}}]]''' ||<#373737> '''[[시연(드림캐쳐)|{{{#fefefe 시연}}}]]''' ||<#373737> '''[[한동|{{{#fefefe 한동}}}]]'''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TU유현_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TU다미_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TU가현_2.jpg|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드림캐쳐(아이돌) 로고.svg|width=80%]]}}} || ||<#373737> '''[[유현(드림캐쳐)|{{{#fefefe 유현}}}]]''' ||<#373737> '''[[다미(드림캐쳐)|{{{#fefefe 다미}}}]]''' ||<#373737> '''[[가현|{{{#fefefe 가현}}}]]''' || ||<-4>
<:>{{{#373737 Teaser Image #03 The_End}}}||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TU단체_3.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TU지유_3.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TU수아_3.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TU한동_3.jpg|width=100%]]}}}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TU시연_3.jpg|width=100%]]}}} || ||<#373737> '''[[지유(드림캐쳐)|{{{#fefefe 지유}}}]]''' ||<#373737> '''[[수아(드림캐쳐)|{{{#fefefe 수아}}}]]''' ||<#373737> '''[[한동|{{{#fefefe 한동}}}]]'''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TU유현_3.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TU다미_3.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TU가현_3.jpg|width=100%]]}}} || ||<#373737> '''[[유현(드림캐쳐)|{{{#fefefe 유현}}}]]''' ||<#373737> '''[[다미(드림캐쳐)|{{{#fefefe 다미}}}]]''' ||<#373737> '''[[가현|{{{#fefefe 가현}}}]]''' ||<#373737> '''[[시연(드림캐쳐)|{{{#fefefe 시연}}}]]''' || == Making Film == ||
<:>{{{#373737 {{{+1 '''Dystopia: Road to Utopia'''}}}[br]Album Jacket Making Film #01}}}||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21ABfuAZ4QE)]}}}|| ||
<:>{{{#373737 {{{+1 '''Dystopia: Road to Utopia'''}}}[br]Album Jacket Making Film #02}}}||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dE8mkTeY35U)]}}}|| ||
<:>{{{#373737 {{{+1 '''Odd Eye'''}}}[br]MV Making Film #01}}}||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z38UxTuIzhM)]}}}|| ||
<:>{{{#373737 {{{+1 '''Odd Eye'''}}}[br]MV Making Film #02}}}||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7BSCs5rchTs)]}}}|| == 음반 구성 == ||
'''{{{#373737 음반 구성}}}'''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TU 음반 구성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TU 음반 구성.jpg|width=100%]]}}} || }}}}}} || == 음반 판매량 == === [[역대 걸그룹 음반 초동 기록|초동 판매량]] === ||<-4><#fefefe><:>{{{#373737 '''〈Dystopia: Road to Utopia〉 한터 차트 초동 판매량'''}}} || || {{{#fefefe '''날짜'''}}} || {{{#fefefe '''일일 판매량'''}}} || {{{#fefefe '''누적 판매량'''}}} || {{{#fefefe '''비고'''}}} || || 1월 26일 ^^(1일차)^^ || '''45,5**''' || '''45,5**''' || 커리어 하이 || || 1월 27일 ^^(2일차)^^ || '''5,1**''' || '''50,6**''' || || || 1월 28일 ^^(3일차)^^ || '''8,0**''' || '''58,7**''' || || || 1월 29일 ^^(4일차)^^ || '''3,2**''' || '''61,9**''' || || || 1월 30일 ^^(5일차)^^ || '''6**''' || '''62,5**''' || || || 1월 31일 ^^(6일차)^^ || '''3**''' || '''62,8**''' || || || 2월 1일 ^^(7일차)^^ || '''1,7**''' || '''64,5**''' || || || {{{#373737 '''초동 판매량'''}}} ||<-3> '''{{{#ff0000 64,5**}}}''' || * 1일차부터 기존 [[Dystopia: Lose Myself]]가 가지고 있던 초동 기록을 크게 넘어섰다. * 한국음악콘텐츠협회에 따르면 [[가온차트]] 5주차(2021.01.24~2021.01.30) 주간 리테일 앨범차트에서 1위를 차지했다. [[https://n.news.naver.com/entertain/article/108/0002929120|#]] * [[가온차트]] 5주차 주간 앨범 차트에서도 1위를 기록했다. [[http://mobile.gaonchart.co.kr/musicAlbum.gaon?nationGbn=T&serviceGbn=&targetTime=05&hitYear=2021&termGbn=week|#]] === 월간 판매량 === ||<-3>
<#fefefe><:> {{{#373737 '''Dystopia: Road to Utopia 월간 판매량 (가온차트)[* [[http://gaonchart.co.kr/main/section/chart/album.gaon?nationGbn=T&serviceGbn=&termGbn=month]]]'''}}}|| ||<#373737><:>{{{#fefefe '''날짜'''}}}||<#373737><:> {{{#fefefe '''판매량'''}}}||<#373737><:> {{{#fefefe '''비고'''}}}|| || 1월 || 91,469 || 월간 7위 || || 2월 || 28,781 || 월간 19위 || || 3월 || 6,364 || 월간 92위 || || '''합계''' || '''126,614''' || || == 여담 == * [[한동]]이 중국 활동[* [[청춘유니 2]]]을 마치고 1년 3개월만에 참여하는 앨범이다. 사실 [[Dystopia: Lose Myself]] 활동 전에 청춘유니2 참여를 끝냈지만 코로나19 때문에 비자가 나오지 않아 Scream, Red Sun, Black or White, BOCA, Dear 네 곡의 음악방송 활동을 참여하지 못하였고 콜라보 앨범인 R.o.S.E. BLUE와 일본 앨범들에도 참여하지 못하였다. * [[네이버 나우]] [[6시 5분전]]에서 밝히기를, 원래는 [[BOCA]]와 이 곡을 같이 받았으나 당시 계절 등의 특성상 [[BOCA]]가 더 어울린다고 생각하여 [[BOCA]]로 나왔다고 한다. [[Odd Eye]]는 많은 편곡을 거친 채 드림캐쳐에게 전달됐다고 한다. * 타이틀곡인 Odd Eye 못지않게 수록곡인 ‘바람아(Wind Blows)’와 ‘시간의 틈’ 역시 많은 인기를 얻고 있다. 유튜브에 커버 연주 영상도 다수 올라올 정도. 이 인기에 힘입어 ‘바람아(Wind Blows)’로도 1주간 무대 활동을 했다. * 4주년 기념 라이브 도중 유현이 무심코 Odd Eye 제목을 스포하는 해프닝이 있었다(...) == 평가 == >'''나의 악몽은 스스로 종식시킨다.''' > 평점: ★★★☆ (별 세 개 반) > > > <[[Raid of Dream]]>(2019) 이후 새로운 방향 설정이 유효했음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흥미로운 스토리텔링과 록/메탈 장르 간의 과감한 결합. 이들은 현 시류 간 타협거부에 대한 대가를 콘텐츠의 완성도로 메워 놀라운 성과를 일구어 냈다. (...) 타이틀 ‘Odd eye’는 그간의 노하우를 통한 수준급의 융합을 보여준다. 전체적인 구성은 EDM을 따르되, 트랩 비트의 버스(verse)와 디스토션 기타 중심의 후렴이 무리 없이 조화되고 있다는 점. 공격적인 사운드를 무리 없이 맞받아치는 멤버들의 가창까지 더해지면 어디서도 비교 불가한 드림캐쳐 음악이 완성되는 셈이다. > > > (중략) > > > 이 작품은 그들의 성과를 가시화함과 동시에, ‘마니악함’에서 벗어나 ‘새로운 유형의 케이팝 그룹’을 정의하는 데에 있어 명확한 근거로 활용될 여지가 다분하다. 성과를 위해 장기적인 안목을 포기해야 하는 요즘. 치밀한 설계도면을 기반으로 유지해 온 고집과 꾸준함은 그 시대상에 반기를 든다. 자신들의 꼬리를 따라다니던 악몽을, 결국 스스로의 손으로 종식시킨 셈이다. 남은 것은 유토피아로 향하는 것뿐. > > > by 황선업 >---- >[[이즘|izm]] [[http://izm.co.kr/contentRead.asp?idx=30515&bigcateidx=1&subcateidx=3&view_tp=1|#]] == 정보 == === 소개문 === 유토피아를 꿈꾸는 드림캐쳐의 행보는 어느새 그들이 원하는 곳에 데려간다. 하지만 드림캐쳐가 마주한 유토피아의 실체는 생각보다 그리 행복만 가득한 것은 아니었다. 새로운 변화로 인해 얻은 능력으로 바라본 유토피아는 겉으로의 행복과 내면의 행복을 함께해주지 못했고, 이것이 바로 지금 우리가 있는 현재의 모습과 꼭 닮아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드림캐쳐는 이에 포기하지 않고 내면의 행복을 위한 발걸음을 앞으로도 계속 내딛게 될 것이다. === 크레딧 === '''Intro''' 작곡 : Ollounder, LEEZ 편곡 : Ollounder, LEEZ '''Odd Eye''' 작사 : Ollounder, LEEZ, 1월 8일 작곡 : Ollounder, LEEZ 편곡 : Ollounder, LEEZ '''바람아 (Wind Blows)''' 작사 : Ollounder, LEEZ 작곡 : Ollounder, LEEZ 편곡 : Ollounder, LEEZ '''Poison Love''' 작사 : LEEZ, Ollounder 작곡 : LEEZ, Ollounder, 엄태원 편곡 : LEEZ, Ollounder, 엄태원 '''4 Memory''' 작사 : 지유, Ollounder, LEEZ 작곡 : Ollounder, LEEZ, 지유 편곡 : Ollounder, LEEZ '''시간의 틈 (New Days)''' 작사 : 다미, LEEZ, Ollounder 작곡 : LEEZ, Ollounder, Zenur (Vendors), HAKU, 다미, GIANNIS 편곡 : Zenur (Vendors), LEEZ, Ollounder '''Odd Eye (Inst.)''' 작곡 : Ollounder, LEEZ 편곡 : Ollounder, LEEZ [[분류:드림캐쳐(아이돌)/음반]][[분류:2021년 음반]][[분류:한국의 음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