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2>
[[DJMAX 시리즈|[[파일:DJMAX 로고(블랙).svg|width=100&theme=light]][[파일:DJMAX 로고(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2>{{{#!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EnPmf28H4_I)]}}} || || {{{-1 '''수록 정보'''}}} ||{{{-1 [[DJMAX 온라인|DJMAX Online]]}}} {{{-3 (2005)}}} || || {{{-1 '''장르'''}}} ||{{{-1 Sweet Jazz}}} || || {{{-1 '''BPM'''}}} ||{{{-1 192}}} || || {{{-1 '''작곡'''}}} ||{{{-1 [[Makou]]}}} || || {{{-1 '''BGA'''}}} ||{{{-1 [[Eyehead]]}}} || == 개요 == > * '''작곡가 코멘트''' [[https://www.makou.com/my-music-information/|#]] > * 장르: Sweet Jazz > * 곡명: 처음에는 Thinking Of You라는 제목이었으나, 꿈꾸는 듯한 황홀한 선율로 완성되었기에 변경. > * 경위: Jazz곡을 투입해보고 싶었다. 정말 비슷한 곡이 있다는 듯한데, 당연히 그 곡에 대해서는 언급되기 전까지 모르고 있었다. 멜로디는 Chromatic Harmonica의 음색이지만, Steve Tavaglione 느낌의 EWI로 연주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다. makou가 초창기에 공급한 재즈곡이다. 약칭은 '''드오유'''. 애니메이션 효과 없이 스틸컷 이미지를 보여주는 단순한 BGA지만, 도시의 야경을 배경으로 한 그림들이 재즈풍의 느낌과 잘 어울린다. 실제 템포는 64이지만 세밀한 박자 구현을 위해서인지 게임 내에서는 3배인 192로 설정되어 있어 스크롤 속도가 매우 빠르다. 게다가 처음부터 끝까지 무시무시한 엇박자의 향연으로, 높은 정확도를 내기가 매우 까다롭기로 유명하여 DJMAX 플레이어들에게 '''재즈=개박'''이라는 고정관념을 확산시킨 주범이기도 하다. == [[DJMAX Portable 2]] == ||
<-4> [[DJMAX Portable 2|{{{#white '''DJMAX Portable 2'''}}}]] || || '''모드''' || '''{{{#green NM}}}''' || '''{{{#red HD}}}''' || '''{{{#990099 MX}}}''' || || '''4B''' || 7 || || || || {{{#white '''5B'''}}} || 5 || || || || {{{#white '''6B'''}}} || 6 || '''11''' || || || {{{#white '''8B'''}}} || 6 || || || [youtube(twlxy2BqOD4)] 6B HD패턴 영상 DMP2에서는 중간정도 난이도로 등장하지만 6버튼 하드 난이도가 까다로운 판정과 패턴 배치로 악명높다. == [[DJMAX Trilogy]] == [youtube(KeXGaoZdfVA)] 6Key HD패턴 영상 [[DJMAX Trilogy]]에도 이식되었다. 다만 3번째 미션인 Daydream에 4키 노말패턴이 나오는데 더러운 박자와 고BPM 특유의 짠 판정 때문에 초보가 좌절하는 첫번째 걸림돌로 악명 높다. == [[DJMAX RESPECT]] & [[DJMAX RESPECT V|V]] == [include(틀:DJMAX RESPECT/PORTABLE 2)]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ream of You_1.png|width=100%]]}}} ||<-4>{{{#!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3366 25%, #ff3333 75%)" '''{{{#730731 PORTABLE 2}}}'''}}} || ||<-4>'''{{{+5 Dream of You}}}''' || || 모드 || NM || HD || MX || '''SC''' || || 4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4 [br] {{{-5 357}}}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7[* 1.22 패치에서 6 → 7로 상향.] [br] {{{-5 587}}}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1 [br] {{{-5 859}}} || - || || 5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391}}}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10 [br] {{{-5 900}}} || - || [[파일:djmaxsc10.png|width=16]] {{{#purple,#f21cc7 '''10'''}}} [br] {{{-5 970}}} || || 6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5 [br] {{{-5 406}}}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9 [br] {{{-5 614}}}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1 [br] {{{-5 908}}} || [[파일:djmaxsc10.png|width=16]] {{{#purple,#f21cc7 '''9'''}}} [br] {{{-5 972}}} || || 8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599}}}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2[* 1.22 패치에서 11 → 12로 상향.] [br] {{{-5 902}}} || - || -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9eb6, #ff9c9c)" {{{-3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 재즈곡의 특성상 박자가 상당히 난해해 유저들에겐 개박곡으로 상당히 악명 높다. 다만 BPM이 높아질수록 판정이 까다로워지는 시리즈 특유의 보정은 들어가있지 않아 그나마 다행인 편. === 4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xABzB3NhvUM)]}}}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MZ9cA6dY4C8)]}}} || || {{{#white MX}}}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rR99EbbVYD4)]}}} || || === 5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9WwSvzf2A1g)]}}}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uNFXNTNqgvw)]}}} || || {{{#white '''SC'''}}}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TchEH2r_TuY)]}}} || || === 6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lF8HEsoLJV0)]}}}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l9MXlEtq2Rk)]}}} || || {{{#white MX}}} || {{{#white '''SC'''}}}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Hu_jf00JE4Y)]}}}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x_mzlA_DkP0)]}}} || 6버튼 SC는 퍼펙트 플레이 유저가 50명이 채 안 되며, 현존하는 모든 14레벨 중 2번째로 적을 만큼 까다롭다.[* 첫 번째는 동 작곡가의 곡인 [[Smoky Quartz]]. 시즌 4에 추가된 [[The One(DJMAX)|The One]]의 경우 Smoky Quartz보다 퍼펙트 플레이 유저 수가 더 적지만 업데이트된지 얼마 되지 않아 논외.] 박자도 난해해 맞추기 힘든데 사이사이에 끼는 발광이 상당히 매섭다. === 8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jGxV_8FyxaQ)]}}}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0d10fGN6G40)]}}} || == [[TAPSONIC WORLD CHAMPION]] == [[분류:DJMAX의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