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other1=본 문서는 BEMANI 시리즈의 수록곡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드래곤 퀘스트/드래곤 퀘스트 다이의 대모험의 가공의 무기,rd1=드래곤 킬러)] [[파일:attachment/DRAGON KILLER/dragonkiller.png|width=400]] [목차] == 개요 == [[BEMANI|BEMANI 시리즈]]의 수록곡. 작곡은 [[쿠로사와 다이스케|96]] vs. [[이즈미 무츠히코|Mutsuhiko Izumi]]. [[GIGA BREAK]]와 [[KAISER PHOENIX]]에 이은 쿠로사와 다이스케의 [[드래곤 퀘스트 다이의 대모험]]빠 성격이 드러난 곡으로, 제목의 기원은 [[드래곤 킬러]]일 것이라고 추측하고 있다. 그리고 리플렉 비트 라임라이트에서 글래스 5의 모양도 검[* 글래스 5부터는 글래스가 해당 곡과 관련된 모양이 된다.]인걸 보니 거의 기정사실인 듯. 후속곡으로는 [[GITADORA Tri-Boost]]의 수록곡 [[DEMON SLAYER]]가 있다. == [[리플렉 비트 시리즈]] == ||||||<:>'''[[리플렉 비트 라임라이트/해금요소#s-3.1|LIME UP 시스템]]'''|| ||||||<#E7FFEA><:>'''limelight 5'''|| ||||||<:>5 글래스|| ||||||<:>'''DRAGON KILLER''' (210)|| ||||||<:>▼|| ||||||<#E7FFEA><:>'''limelight 6'''|| ||||||<:>6 글래스|| ||||||<:>[[HAPPY limelight]](180)|| |||||||||||||| [[리플렉 비트 시리즈|리플렉 비트]] 난이도 체계 || || [[BPM]] |||||||||||| 난이도 || ||<|2><:> 210 || {{{#green BASIC}}} || {{{#orange MEDIUM}}} || {{{#red HARD}}} || {{{#Magenta White Hard}}} || || {{{#green 7}}} || {{{#orange 10}}} || {{{#red 13}}} || {{{#Magenta 14}}} || || 스킬 레이트 || {{{#green 28}}} || {{{#orange 46}}} || {{{#red 72}}} || {{{#Magenta 76}}} || || 오브젝트 || {{{#green 218}}} || {{{#orange 374}}} || {{{#red 543}}} || {{{#Magenta 701}}} || || MAX COMBO || {{{#green 288}}} || {{{#orange 509}}} || {{{#red 737}}} || {{{#Magenta 871}}} || || JUST REFLEC || {{{#green 8}}} || {{{#orange 14}}} || {{{#red 15}}} || {{{#Magenta 20}}} || || 수록버전 ||||||||<#82eb5a> [[리플렉 비트 라임라이트]] || || [[리플렉 비트 플러스|Rb+]] 수록 팩 |||||||| MUSIC PACK 21 || ||||||||||<#ffffff>{{{#green BASIC}}} : 오브젝트 1 감소 (리플레시아)[br]{{{#orange MEDIUM}}} : 오브젝트 4 증가 (리플레시아)[br]{{{#red HARD}}} : 오브젝트 14 증가 (리플레시아)[br]{{{#Magenta White Hard}}} : 보면 추가 (리플레시아)|| [youtube(S0BvloiUg60)] 양사이드 하드 패턴 영상. [youtube(OW_7pWHH4Iw)] White Hard EXC+AJR 영상 [[리플렉 비트 라임라이트]] 출시 시점 신곡중 유일한 10+ 난이도를 보유한 곡. 그 덕분에 해금도 당시 [[리플렉 비트 라임라이트/해금요소|라임 업 해금]]의 마지막인 limelight 5에서 해금이 이루어진다. HARD 난이도는 10+ 난이도 패턴 중에서는 오브젝트 수가 많은 편은 아니지만[* 정확히 말하자면 10+중에서 오브젝트 수가 가장 적은 곡 이'''었'''다. 후에 업데이트로 밀려 지금은 [[CODE:1]]이 10+중 가장 적은 오브젝트 수를 가지고 있다.], 3TOP이 계단으로 나오는 패턴과 210의 상당히 빠른 BPM에 [[롱잡]] 구간의 특유의 까다로운 배치, 일반 오브젝트와 3TOP을 가로지르는 트릴의 향연으로 인해 '''오브젝트 수와 반비례하는 엄청난 난이도를 보여주고 있다.''' [* 순수 클리어 난이도'''만''' 보면 10+ 입문급이지만, 스코어링이나 풀콤보 난이도는 10+에서도 중상위권에 위치해 있다.] 또한 이 패턴의 가장 특이한 점으로는 초반 롱+잡 구간과 마지막 트릴발광을 제외하면 RED와 BLUE의 오브젝트 배치가 거의 '''불일치''' 한다는 것. 레벨 9 이상부터는 잘 안쓰이는 형태의 패턴인데, 10과 10+를 통틀어서 이런식으로 내려오는 곡은 이게 유일하다.[* [[GLITTER(BEMANI 시리즈)|하나 더]] 있긴 한데 이 곡은 쉬어가는 부분이 다르기 때문에 클리어나 스코어링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는 곡의 구성과도 관련이 있는데, 폭타가 나오는 기타속주 부분에서 '''[[쿠로사와 다이스케]]의 연주와 [[이즈미 무츠히코]]의 연주가 번갈아 가며 나오기 때문이다.''' 전 난이도 공통으로 BLUE 보면의 폭타가 먼저 나온 후 RED 보면의 폭타가 이어지는데, 이 폭타구간의 음원을 들어보면 R채널의 기타속주에 뒤이어 L채널의 기타속주가 재생된다. 따라서 쿠로사와 다이스케의 OST 코멘트를 참고하면 L채널에 해당하는 RED 보면은 이즈미의 기타를 중심으로, R채널에 해당하는 BLUE 보면은 쿠로사와 다이스케의 기타를 중심으로 패턴이 짜여져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래서 9렙 이하의 불일치 패턴들이 타이밍만 다르고 사실상 거의 같은 패턴인 것과 달리 이 곡은 '''타이밍을 조절해도 패턴이 일치하지 않는다'''. 또한 후반부의 공통 발광은 모든 12비트 기타음이 '''끊임없이 오브젝트로 할당된 것이 아니라 살짝 이빨이 빠진 구성'''이므로 오브젝트 파악을 하지 못하면 헛미스나 헛굿이 나기 쉬우므로 주의. MEDIUM은 하드 채보의 약화판. 트릴과 3TOP 오브젝트의 물량은 대폭 줄었지만 빠른 BPM으로 인해 폭타 구간의 처리는 여전히 까다롭고 초반의 롱+잡 구간도 부분적으로 남아있기 때문에 초중급자에게는 상당히 어려운 레벨 8에 속한다. [[리플렉 비트 콜레트]]에 들어서는 하드 채보가 [[리플렉 비트 콜레트/오더샵|오더샵]] 솜씨자랑편 라임라이트 중급 FINAL의 과제곡으로 등장했다. === 아티스트 코멘트 === ||리플렉 첫 참가곡으로 3박자, 네오 클래시컬, [[기타]] 배틀이라는 과제를 받아, [[이즈미 무츠히코|이즈미]] 씨와 함께 연주하게 되었습니다. 왼쪽 채널의 솔로가 이즈미 씨의 기타랍니다! - < [[쿠로사와 다이스케|96]] > 96쨩과의 기타 배틀! 게임 악곡으로서는 최초가 아닐까요? 곡이 참 멋져서, 기합을 불어넣어 연주했답니다. "드래곤 킬러", 리플렉과 함께 부디 잘 부탁드립니다~아. - < [[이즈미 무츠히코]] > - 리플렉 비트 라임라이트 OST 코멘트|| == [[기타프릭스&드럼매니아]] == |||||||||||| [[GITADORA 시리즈]] 난이도 체계 || ||<#ddd> BPM ||<#e9e9e9> 난이도 || {{{#00f BASIC}}} || {{{#ff8c00 ADVANCED}}} || {{{#red EXTREME}}} || ||<|3> 210 || {{{#red 기타 표준}}} || 4.00 || 6.20 || 9.20 || || {{{#00f 기타 베이스}}} || 4.05 || 6.55 || 9.05 || || {{{#green 드럼매니아}}} || 2.30 || 4.75 || 7.30 || ||||<#e9e9e9> 최초 수록 버전 ||<-3><#fff> [[GITADORA|'''{{{#fc0 GITADORA}}}''']] || [youtube(PMw-dUv2_Gg)] 드럼 플레이 유저들의 호응에 힘입어 [[기타도라]]에 이식 예정이었으나, 선행수록이란 이름으로 GITADORA 로케테스트에서 해금한 유저 한정으로 XG3에 업데이트 되었다. 드럼에선 중간중간 나오는 필인과 후반에 트윈베이스로 난이도를 먹은 모양이다. 기타에서는 [[MODEL FT2]] 이후 오래간만에 트윈 기타 구성으로 기타 배틀을 재현. 기타가 쿠로사와 다이스케, 베이스(의 탈을 쓴 기타)가 이즈미 무츠히코이다. 다만 GITADORA용 기타 기체와 인터페이스는 1인용 구성이기 때문에 GITADORA 발매 이후에는 기타가 2대인 XG용 기타 기체를 사용하더라도 인터페이스의 문제로 인해 기타 배틀은 안타깝게도 불가능할 것으로 보였으나 다행히도 기존 XG기체는 신 기체와 시스템을 다르게 했으므로 기타배틀이 건재하다. GITADORA 로케테스트 당시에는 EXTREME 기준으로 기타 표준 7.0, 기타 베이스 6.8의 의외로 낮은 난이도로 등장했으나 속주가 많아서 불렙이라 판단했는지 XG3으로 이식될 때에는 각각 7.6과 7.2로 난이도가 상향되었다. 그리고 익스체인 현재 기타와 베이스는 9.05와 8.95다. XG의 난이도 체계가 얼마나 개판인지 알려주는 예. == [[유비트 시리즈]] == ||<-3><:>'''[[파스텔군과 스미스씨의 RUNRUN 마라톤!|{{{#E166C6 파스텔군}}}{{{#534C42 과}}} {{{#64B0D2 스미스씨}}}{{{#534C42 의}}} {{{#C583A4 R}}}{{{#A8BF54 U}}}{{{#5D8751 N}}}{{{#608CB9 R}}}{{{#DFB949 U}}}{{{#CD8735 N}}} {{{#534C42 마라톤}}}{{{#E166C6 !}}}]] 제3회 대회[br]「DJ TOTTO대회」''' || ||<#F8F8F8> [[유비트 소서|{{{#231816 '''유비트 소서'''}}}]][BR][[파스텔군|{{{#000 파스텔군}}}]] || 바퀴 ||<#f3b9f0> [[리플렉 비트 콜레트|{{{#000 '''리플렉 비트 콜레트'''}}}]][BR][[스미스씨|{{{#000 스미스씨}}}]] || ||<-3> [[DJ TOTTO]] || ||<#F8F8F8> [[Windy Fairy]] [BR][[DJ TOTTO]] || 15 ||<#f3b9f0> [[Arousing]][BR][[DJ TOTTO]] feat.[[요시카와 스나오|吉河順央]] || ||<-3> [[이즈미 무츠히코|Mutsuhiko Izumi]] || ||<#F8F8F8> [[DRAGON KILLER]][BR][[쿠로사와 다이스케|96]] vs [[이즈미 무츠히코|Mutsuhiko Izumi]] || 30 ||<#f3b9f0> [[Mirage]][BR][[이즈미 무츠히코|Mutsuhiko Izumi]] || ||<-3> [[wac]] || ||<#F8F8F8> [[ストレイ・マーチ]][BR] [[wac|少年ゾディアック]] || 35 ||<#f3b9f0> [[アストライアの双皿]][BR][[wac|ZODIACSYNDICATE]] || ||<-3><:>양쪽 모두 60바퀴를 돌았을 경우 아래 곡 해금|| ||<-3> {{{#!wiki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3b9f0, #FFFFFF, #f8f8f8); margin: -5px -10px; padding: 5px" [[chaplet]][BR][[DJ TOTTO]]}}} || ||<-4><#bcbcbc><:> [[유비트 시리즈|{{{#000000 유비트}}}]] {{{#000000 난이도 체계}}}|| ||<:>난이도||<#69d462><:>BASIC||<#ff8a00><:>ADVANCED||<#ea4c4c><:>EXTREME|| ||<:>레벨||<:>3||<:>6||<:>9.6|| ||<:>노트 수||<:>277||<:>410||<:>789|| ||<:>BPM||<-3><:>210|| ||<-4><#bcbcbc><:>{{{#000000 아케이드 수록 버전 및 모바일 수록}}}|| ||<:>아케이드||<-3><:><#F8F8F8>[[유비트 소서|{{{#231816 유비트 소서}}}]] {{{#231816 (2013.06.12)}}}|| ||<:><|2>모바일||<-3><:><#F8F8F8>[[유비트 소서|{{{#231816 유비트 소서}}}]] {{{#231816 앨범}}} || ||<-3><:><#641271>[[리플렉 비트 시리즈|{{{#C0AA76 리플렉 비트}}}]] {{{#C0AA76 앨범}}}|| ||<:>플러스 모드||<-3><:><#F8F8F8>[[유비트(모바일판)/수록곡#s-2.2.1.2|{{{#C583A4 R}}}{{{#A8BF54 U}}}{{{#5D8751 N}}}{{{#608CB9 R}}}{{{#DFB949 U}}}{{{#CD8735 N}}}{{{#534C42 マラソン}}}{{{#E166C6 !}}} {{{#000 pack 3}}}]]|| * 관련 칭호[* 굵은 글씨는 칭호 파츠.] * [[유비트 소서]] ~ * 昔おじいちゃんは'''竜'''を倒したんだって(옛날에 할아버지는 용을 쓰러뜨렸다면서) : 모든 보면 클리어 * あらあら、それは'''トカゲ'''のことよ(어머나, 그건 도마뱀 얘기란다) : 모든 보면에서 풀 콤보 * [[유비트 시리즈/수록곡|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파스텔군과 스미스씨의 RUNRUN 마라톤!]] 제3회 해금곡으로 이식되었다. [youtube(wgAhqs9gYJo)] EXT 채보 영상 [youtube(6ADbHJWJI2Q)] EXT EXC 영상 속주부분의 쿠로사와 다이스케의 연주는 직선 연타로 나오는 반면 이즈미 무츠히코의 연주는 흩어지는 패턴으로 나온다. 16비트 폭타가 한번도 안 나오지만 12비트가 계속해서 나오기 때문에 박자 감을 잡기가 힘들다. 12비트의 특성상 타이밍을 제대로 맞추지 못하면 줄그렛이 뜨게 된다. ||□ ■ □ ■ □ □ □ □ □ □ □ □ □ ■ □ ■|| 초반에 이런 동시치기가 나오고, 곡 최후반부에 D 모양 동시치기가 나온다. ||□ □ □ □ □ ■ ■ □ □ ■ □ ■ □ ■ ■ □|| 여담으로 후반에 쿠로사와와 이즈미가 번갈아가며 기타 솔로를 하는 구간에서는 서로의 기타 연주가 양쪽에서 번갈아 가면서 나오는데 가끔 유비트 기계 스피커에 이상이 있는 일부 오락실의 경우에는 한쪽의 기타 연주밖에 들리지 않아서 노래는 들리지 않는데 패널만 열심히 두들기게 되는 안쓰러운 상황이 생기기도 한다. ADV는 후반부에 갑작스런 8비트와 긁기가 나오므로 주의. 클랜에서 강등되면서 불렙곡이 되었다. [[유비트 클랜]]에서 ADV와 EXT가 각각 6, 9레벨로 강등되었다. [[분류:리플렉 비트 라임라이트의 수록곡]][[분류:기타프릭스·드럼매니아 XG3의 수록곡]][[분류:유비트 소서의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