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DGB금융그룹)] ||<-2> '''{{{+1 DGB금융그룹}}}[br]DGB FINANCIAL GROUP''' || ||<-2> [[파일:DGB금융그룹 수정.png|width=300]] || || '''법인명''' ||주식회사 DGB금융그룹[br]DGB FINANCIAL GROUP || || '''창립일''' ||[[2011년]] [[5월 17일]]^^([age(2011-05-17)]주년)^^ || || '''대표이사''' ||[[김태오(1954)|김태오]] || ||<|2> '''본사''' ||[[대구광역시]] [[북구(대구광역시)|북구]] [[옥산로]] 111 ([[칠성동2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대구광역시 북구 옥산로 111, 너비=100%, 높이=100%)]}}} || ||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규모''' ||[[대기업/대한민국|대기업]] || || '''업종''' ||[[금융지주회사]] || || '''상장 여부''' ||[[비상장 기업]] || || '''링크''' ||[[http://www.dgbfg.co.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facebook.com/dgbfinancialgroup/|[[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 '''고객 센터''' ||대표 전화: '''053-740-7900''' || [목차] [clearfix] == 개요 == [[DGB금융지주]]를 주축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금융지주회사]]. == 역사 == 1967년 설립된 대구은행이 기원이다. 1985년 대구리스, 1987년 대구창업투자, 1994년 대은금융경제연구소, 1997년 미래선물 등을 세워 사세 확장을 했다. 1997년 외환 위기 때 일부 자회사를 정리하고 2011년 DGB금융지주를 출범하여 계열사들을 자회사로 두었다. 2015년 우리아비바생명, 2016년 LS자산운용, 2018년 하이투자증권, 2021년 수림창업투자와 뉴지스탁 등을 인수했다. == 계열사 == * 현존 * [[DGB금융지주]] * [[DGB대구은행]] * [[DGB유페이]]: 구 '''카드넷''', 유페이먼트.[* 정확히는 카드넷이 유페이먼트에 인수되었다.] * DGB신용정보: 구 대구신용정보. * [[DGB캐피탈]]: 구 메트로아시아캐피탈. * DGB데이터시스템 * [[DGB생명]]: 구 우리아비바생명. * [[하이투자증권]]: 구 제일투자신탁-제일투자신탁증권-제일투자증권-CJ투자증권. * 하이자산운용[* 기존 하이자산운용이 지분 매각 후 [[브이아이자산운용]]으로 사명을 변경하자 DGB자산운용을 하이자산운용으로 사명 변경한 것이다.]: 구 델타투자자문-LS자산운용-DGB자산운용. * 하이투자파트너스: 구 수림창업투자. * 뉴지스탁 * 해산/매각 * 대구리스금융: 1998년 한국리스여신에 P&A로 매각된 후 1999년 소멸. * 인사이트벤처: 2001년 대성그룹에 매각. 현 대성창업투자. * 카드넷: 2013년 유페이먼트에 합병. * 미래선물: 1998년 폐업. * 대은금융경제연구소: 1998년 폐쇄. * 하이자산운용: 구 제일투자신탁운용-CJ자산운용. 2019년 [[뱅커스트릿프라이빗에쿼티]]에 매각. 현 [[브이아이자산운용]]. * 하이투자선물: 구 현대선물. 2019년 뱅커스트릿에 매각. 현 [[브이아이금융투자]]. == 공익 재단 == * DGB사회공헌재단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DGB금융지주, version=91)] [[분류:DGB금융그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