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소프트웨어]] ||<-2> '''{{{+1 DAYSIM}}}[br]데이심''' || || '''개발''' ||2001년 ~ 2021년 || || '''링크''' ||[[http://daysim.ning.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height=20]]]](폭파) [include(틀:GitHub 로고,링크=MITSustainableDesignLab/Daysim,크기=20)] || [목차] [clearfix] == 개요 == DAYSIM은 '''Day'''light '''Sim'''ulator의 약자이며, 일광 시뮬레이터라는 뜻이다. [[MIT]]의 [[http://mit.edu/sustainabledesignlab/|지속가능설계연구소]]에서 개발했으며 [[Radiance]]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DAYSIM 4.0이 최신 버전이지만 [[GUI]]를 제공하지 않으므로 [[Java]] 기반 [[GUI]]를 제공하는 DAYSIM 3.0을 흔히 사용한다. 다만 3.0은 2010년에 개발된 구형 프로그램이다. 분석이 완료되면 분석이 완료되면 분석 파일 묶음 중 htm 파일을 열람하여 대략적인 요약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장점은 예를 들자면 기능은 충실하지만 가격이 부담될 수 있는 유료 앱들과 달리[* 트림블에서 공식적으로 지원하는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터 익스텐션 [[Sefaira]]의 가격은 100만원에 달하며, 무료 체험판도 일반적으로 개인에게는 제공되지 않는다] DAYSIM은 쉽게 무료로 구할 수 있으며,[* 4.0은 쉽게 구할 수 있으나 3.0은 어려운 편이다.] 쓰기에 따라서는 사용법이 간단하다는 점에 있다. 한편 DAYSIM의 분석 결과를 자세하게 살펴보거나 시각화를 하려면 [[TRNSYS]], [[EnergyPlus]] 등의 다른 프로그램을 또 활용해야 한다는 점, DAYSIM은 [[GPU]]로 돌려야 효율적인 [[레이트레이싱]]을 [[CPU]]로 돌리는데다 CPU 점유율을 일정 정도 이상 올리지도 못하므로 시뮬레이션 시간이 오래 걸려 컴퓨터를 오래 틀어놓아야 한다는 점[* 대신 시뮬레이션 여러 개를 동시에 돌릴 수 있다.] 등의 단점이 있다. == 모형 가져오기 == === 스케치업 === ==== su2ds ==== [youtube(yBTMsH6i0KI)] [[https://drive.google.com/drive/folders/1mRhex3RMOyKZJamWtVBQMDGT9YO4zrPV?usp=share_link|다운로드[[파일:구글 드라이브 로고.svg|width=20]]]] DAYSIM은 공식적으로는 [[스케치업]]의 3d 모형 파일을 들여오는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다. 그러나 토마스 블레이처(Thomas Bleicher)가 개발한 su2ds라는 플러그인을 설치하면 DAYSIM 3.0으로 파일을 가져올 수 있다. DAYSIM 분석 결과를 스케치업으로 가져오면 최대, 최소, 평균 광량과 광량의 분포 시각화를 확인할 수 있다. 스케치업 7 혹은 스케치업 8을 설치한 다음 구글 코드 아카이브의 [[https://code.google.com/archive/p/su2ds/|su2ds 페이지]]에서 유포하는 패키지 압축파일에 동봉된 wxSU 플러그인, su2ds 플러그인을 차례대로 설치하고, DAYSIM 전용 재질을 사용해서 모형을 만든 다음 Mesh를 설치하고, 평면 앞뒤 재질을 동일하게 설정하고, 날씨 파일 링크를 연결하는 등의 몇 가지 작업만 거치면 DAYSIM으로 스케치업 모형을 가져올 수 있다. 메뉴얼을 구해서 방법을 숙지하기만 하면 완성된 모형 파일을 DAYSIM으로 가져오기까지 15분 정도 밖에 안 걸린다. 일단 su2ds를 활용하여 DAYSIM으로 모형을 가져오면 간단한 모형의 경우 시뮬레이션을 곧바로 돌리고 다 끝나면 분석 버튼을 누르면 그만이다. 일단 재질만 맞으면 스케치업의 모형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su2ds가 스케치업 7, 8에서만 사용이 가능하여 중복 설치가 필요하다. 그리고 DAYSIM 고유의 장단점이 존재한다. 만일 분석 결과를 상세하게 확인해야 한다면 스케치업 파일을 Energyplus로 가져오는 익스텐션인 [[OpenStudio]]를 추천한다. 최신 스케치업에 사용 가능하며 무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