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한시적 넘겨주기, other1=6월 21일부터 6월 23일까지 개최될 DAY6의 세 번째 팬미팅,rd1=I Need My Day)] [include(틀:JYP엔터테인먼트)] [include(틀:DAY6)] {{{#!wiki style="margin: 0 auto; padding: 5px 10px; max-width: 700px; text-align: center; border-radius: 8px; background: #253041; color: #fff" {{{#!wiki style="margin:-5px -10px; padding: 10px 0px;" {{{#!wiki style="margin: 3px 10px -5px" {{{#fff '''{{{-1 3RD FANMEETING}}}'''}}}[br][[I Need My Day|{{{#fff {{{+1 '''I Need My Day'''}}}}}}]]}}} ||[[파일:I Need My day Concept Photo 단체 3.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25px 10px 0px" {{{-1 {{{#fff '''[[Young K|{{{#fff Young K}}}]] · [[성진(DAY6)|{{{#fff 성진}}}]]{{{-1 (아래)}}} · [[원필|{{{#fff 원필}}}]]{{{-1 (위)}}} · [[도운(DAY6)|{{{#fff 도운}}}]]'''}}}}}}}}}}}}}}} ||<-3> {{{#!wiki style="margin:-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57c3c5, #093B6C)" {{{#!wiki style="display: block; float: left; width: 54%; text-align: right; margin: 5px -2px -10px" [[파일:DAY6 로고 화이트.svg|height=40]]}}}{{{#!wiki style="display: block; float: right; width: 43%; text-align: left; border-left: 1.5px solid #ddd; padding-left: 10px" {{{#fff {{{+2 '''DAY6'''}}}}}}[br]{{{#ffffff 데이식스}}}}}}{{{#!wiki style="display: block; clear: both" }}}}}} || ||<|2><#57c3c5> '''{{{#fff 데뷔}}}'''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2015년]] [[9월 7일]][br]{{{-4 {{{#!html 미니 1집}}}}}}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a4dbdc; font-size: 0.8em" [[The Day|{{{#fff,#093B6C The Day}}}]]}}}[br]{{{-2 (데뷔일로부터 '''[dday(2015-09-06)]일''', '''[age(2015-09-06)]주년''')}}}||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2018년]] [[3월 14일]][br]{{{-4 {{{#!html 미니 1집}}}}}}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a4dbdc; font-size: 0.8em" [[DAY6/음반#s-3.2.1|{{{#fff,#093B6C If-~また逢えたら~}}}]]}}}[br]{{{-2 (데뷔일로부터 '''[dday(2018-03-13)]일''', '''[age(2018-03-13)]주년''')}}} || ||<#57c3c5> '''{{{#fff 유닛 그룹}}}''' ||<-2>[[DAY6 (Even of Day)]] || ||<#57c3c5> '''{{{#fff 장르}}}''' ||<-2>[[팝 록]], [[모던 록]], [[파워 팝]], [[팝 펑크]], [[얼터너티브 록]], [[헤비메탈]], [[신스팝]], [[록 발라드]] || ||<#57c3c5> '''{{{#fff 리더}}}''' ||<-2>[[성진(DAY6)|성진]] || ||<#57c3c5> '''{{{#fff 소속사}}}''' ||<-2>[[JYP엔터테인먼트]] || ||<|2><#57c3c5> '''{{{#fff 유통사}}}'''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드림어스컴퍼니|드림어스]] ||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워너 뮤직 그룹|워너 뮤직 재팬]] || ||<#57c3c5> '''{{{#fff 팬덤}}}''' ||<-2>[include(틀:팬덤, 문서=My Day, 팬덤명=My Day (마이데이), 방향=to right, 그라데이션=#57c3c5\, #093B6C, 글자색=#fff)]|| ||<#57c3c5> '''{{{#fff 응원 밴드}}}''' ||<-2>[[My Day#공식 응원 밴드|마데워치]][* 공식 명칭은 따로 없으나 주로 '마데워치'라고 부른다.] || ||<#57c3c5> '''{{{#fff 링크}}}''' ||<-2>{{{#!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3>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http://day6.jype.com/|[[파일:DAY6 심볼.svg|height=22&theme=light]][[파일:DAY6 심볼 화이트.svg|height=22&theme=dark]]]] | [[http://fans.jype.com/day6|[[파일:JYP Fan's 아이콘.svg|height=22]]]][* [[다음 카페|공식 팬카페]]를 사용하는 타 기획사들과는 달리 [[JYP엔터테인먼트|JYP]]는 '''[[JYP엔터테인먼트|JYP]] 공식 커뮤니티인 [[JYP Fan's|Fan's]]를 운영하고 있다.''']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DAY6Official, 크기=20)] | [[https://www.facebook.com/day6official/|[[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instagram.com/day6kilogram|[[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원래 멤버들이 쓰던 계정이었으나 2021년 8월 13일 이후 DAY6 공식 계정으로 전환하였다.] | [[https://www.weibo.com/day6official|[[파일:시나 웨이보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tiktok.com/@day6_official|[[파일:틱톡 아이콘.svg|width=20]]]] || ||[[http://www.youtube.com/c/DAY6Official|[[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파일:DAY6 심볼.svg|height=15&theme=light]][[파일:DAY6 로고 화이트.svg|height=15&theme=dark]]^^ | [[https://youtube.com/playlist?list=PL9K3xwFkFqWF0Qiz3to8DtQ-w68rpLLx9|[[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파일:JYP엔터테인먼트 심볼.svg|width=12]]^^ ||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day6_japan, 크기=20)] | [[https://www.instagram.com/day6_japan_official/|[[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youtube.com/day6japanofficial|[[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일본 활동 관련 뮤직비디오들은 이 채널을 통해 업로드 되었으나, 현재는 전부 [[워너 뮤직 그룹|워너 뮤직 재팬]] 공식 채널로 이관되었다.] ||}}}}}}}}} || [목차] [clearfix] == 개요 == || [[파일:2023 The Present DAY6.gif|width=100%]] || || ||{{{#!wiki style="margin: 10px" 하나, 둘, 셋. 안녕하세요, DAY6입니다!}}}|| || ||{{{#!wiki style="margin: 10px" 잘할 거 아닙니다. 놀다 옵시다.[br]하나, 둘, 셋. DAY6.[* 무대에 오르기 전에 항상 외치는 구호로, 멤버들이 다 함께 손을 모으면 리더인 [[성진(DAY6)|성진]]이 선창한 후 다같이 데이식스를 외친다. "잘할 거 아닙니다."는 진짜 잘 하지 않겠다는 것이 아니라 부담감을 내려 놓고 무대를 즐기자는 뜻에서 하는 말이다.]}}}|| [[2015년]] [[9월 7일]]에 데뷔한 [[JYP엔터테인먼트]] 소속 4인조 [[록밴드|밴드]]. [[JYP엔터테인먼트|JYP]]에서 밴드로 데뷔한 최초의 아티스트이다.[* [[원더걸스]]는 처음부터 걸 밴드로 데뷔한 것이 아니라 아이돌 걸그룹으로 데뷔했으며, 밴드로 전향한 시점에서도 걸그룹 컨셉을 완전히 버리진 않았다.] 그룹명은 [[박진영]]이 지었다.[* 유닛 그룹인 [[DAY6 (Even of Day)|Even of Day]]의 이름 또한 [[박진영]]이 지었다.] 멤버는 [[성진(DAY6)|성진]](리더, 보컬, 기타), [[Young K]](보컬, 랩, 베이스), [[원필]](보컬, 키보드, 신디사이저), [[도운]](드럼, 보컬)으로, 멤버 전원이 악기와 보컬을 맡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 특징 == > DAY6는 팝/록 사운드에 기반한 밴드이기 이전에, 훌륭한 목소리를 가진 보컬리스트가 주도하는, '''케이팝 최고의 보컬그룹''' 중 하나다. ・・・ DAY6 보컬의 독특한 점은 이들의 목소리가 기능적인 역할 분배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다. 각각의 보컬리스트들은 파트에 무관하게 곡의 어느 부분, 어느 정서를 완벽하게 소화할 수 있는 실력을 갖추고 있다.[* 《지금 여기의 아이돌-아티스트》 〈7장. 멜로디의 아름다움을 전하는 밴드형 보컬그룹, DAY6〉] >---- > "보통 케이팝씬에서 케이팝 팬덤과 소위 머글이라고 하는 일반인, 그리고 평론가의 취향을 다 만족시키는 그룹은 거의 없어요. 근데 DAY6는 케이팝 팬덤도 좋아하고 머글도 좋아하고 저 같은 평론가들도 좋아하는 밴드거든요. 이건 진짜 어려운 거예요." [[https://youtu.be/faFzUUbx_g8?t=6168|#]] >---- > - 음악평론가, 한국대중음악상 선정위원 [[김영대(음악평론가)|김영대]] > 아이돌 신에 록을 들고 나온 팀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다만 콘셉트 그 이상의 느낌을 준 팀은 많지 않았다. ・・・ 이전까지의 아이돌 밴드는 산업의 특성과 맞물려 주체성을 상실한 껍데기에 지나지 않았다. 이런 상황에서 나온 그들의 첫 정규작은, 아이돌 사 속 밴드의 의미를 재고하게 만드는 작품이다. 아이돌로서의 스타성을 유지하면서도 밴드로서의 정체성도 꽉 쥐고 있는, 산업과 음악의 균형이라는 과제를 적확히 구현해내고 있기에 그렇다. 특별해 보이고 싶어서가 아닌, 자신들의 음악으로 록을 택했다는 느낌이 러닝타임 전반에 흐르기에 가능한 일이다. 대개 프론트맨과 가창에 집중되기 쉬운 경향과 달리, 각 멤버 모두가 유기적으로 움직이며 연주와 노래가 대등하게 존재감을 드러내는 결과물들은 더 언급할 필요도 없이 록 그 자체다.[br][br]연주의 존재감과 더불어 주목할 만한 것은 멤버 모두가 노래를 하고 있다는 점이다. 일반적인 '원 보컬 + 연주 멤버'와의 패턴과는 다른, 함께 연주하고 함께 노래하기에 가능한 수많은 가짓수의 스펙트럼이 앨범 전반에 걸쳐 있다. 곡의 무드에 따라 리드보컬을 다르게 가져가는 전략은 곡의 몰입도를 배가시키기에 안성맞춤. 여기에 멤버들의 송라이팅 역량도 수준급이다.[br][br]올해 접한 모든 작품을 통틀어 본다고 해도, 풀렝스로 이 정도의 완성도를 갖추고 있는 작품은 많지 않았던 것 같다. 노래와 연주, 송라이팅의 측면에서 느껴지는 멤버들의 노력과 재능, 클럽공연을 위주로 차근차근 성장시켜 온 소속사의 기획력이 적절하게 맞물려 탄생한 수작이다. 크로스오버가 대세인 작금의 록 트렌드와는 조금 거리가 있을 지언즉, 우직하게 자신들의 연주와 노래만으로 밀고나가는 이 정공법은 록으로서의 정체성으로도, 팝으로서의 친숙함으로도 부족한 부분이 좀처럼 발견되지 않는다. 록이란게 뭐 대단하고 거창한게 아니라, 연주와 노래에 주체성이 투영된다면 그걸로 오케이다. ・・・ 영국엔 맥플라이, 호주의 5SOS가 있다면, 우리나라엔 DAY6라는 보이밴드가 있다고 이야기해도, 괜찮지 않을까. >---- > - 대중음악평론가 황선업: [[IZM]] 《[[SUNRISE]]》 [[http://www.izm.co.kr/contentRead.asp?idx=28559|리뷰]] > "DAY6 얘기할 때마다 절대 빼놓지 않고 꼭 얘기하는 것 중에 하나가 '곡을 잘 쓴다'는 거예요. 그게 특별하냐고 묻는다면, (저는) 특별하다고 대답을 했었거든요. 왜냐면 좋은 곡 만들 수 있는 밴드가 그렇게 많지 않아요. 꾸준히 계속해서 좋은 곡을 만드는 건 정말 특출난 재능이라고 생각하고요. DAY6가 그런 부분에 있어서 활동 내내 충족을 잘 시켜줬어요. 그리고 플러스 알파로, 연주와 목소리에서 풍부한 감성이 느껴지는 게 좋아요." [[https://youtu.be/eJQUKrrH5LQ?t=2362|#]] >---- > - 대중음악평론가, 한국대중음악상 선정위원 김윤하 일반적인 [[록밴드#s-2|밴드 구성]]에서는 [[프론트맨]]인 보컬리스트가 1명인데 비해, '''DAY6는 멤버 전원이 악기와 함께 보컬을 맡고 있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원래는 악기와 보컬을 분리하거나 겸하더라도 보컬이 리듬 기타를 맡는 정도가 대다수이다. 악기 포지션인 멤버가 노래를 하더라도 짧게 한두 마디 참여하는 정도에 그치는데, DAY6는 [[드러머]]인 도운을 제외한[* 팔과 손가락만 잘 사용하면 연주하면서 노래도 가능한 다른 악기들과 달리, 드럼은 페달의 존재로 인해 다리까지 써야 하기 때문에 드럼을 연주하면서 노래에 집중하기는 쉽지 않다는 현실적인 이유가 있기 때문이다. 물론 드러머가 보컬을 맡은 경우가 없진 않은데 [[델리스파이스]]의 최재혁은 드러머이면서 보컬을 맡은 적도 있다. 다만 최재혁도 메인 보컬인 김민규나 윤준호에 비하면 앨범에서의 본인 보컬 곡 비중이 높진 않았다.] 멤버들이 돌아가면서 후렴과 애드립을 맡을 정도로 모두 메인보컬급의 실력을 가진 보컬리스트들이다. 멤버들 또한 '우리 팀은 곡마다 메인보컬이 달라진다'고 말할 정도. 이처럼 멤버들의 보컬 비중이 비슷한 '''올 보컬 밴드'''라는 포맷은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굳이 따진다면 [[비틀즈]] 정도로 흔치 않다. 또한 밴드이므로 자신의 곡을 직접 [[작사]] [[작곡]]하는데, 멤버별로 좋아하는 장르가 다르다 보니 음악적 스펙트럼이 매우 넓고 특정 장르에 국한되지 않는다. 음악 평론가 [[김영대(음악평론가)|김영대]] 또한 DAY6는 무슨 장르라고 표현해야 될지 모를 정도로 스펙트럼이 아주 넓은 그룹이며 밴드, 팝 락 장르 안에서 할 수 있는 건 거의 모든 걸 다 하는 느낌이라고 말했다. 따라서 어떤 멤버가 참여했느냐에 따라 곡의 장르나 분위기가 확연히 달라지는 편. 콘서트에서도 록밴드와는 거리가 먼 [[힙합]] 무대부터 [[오케스트라]]와 함께 하는 서정적인 무대까지 전 장르를 다양하게 넘나든다. 리더인 [[성진(DAY6)|성진]]의 말에 따르면, 특정 장르의 음악을 추구하기보다 좋은 음악을 만들고 싶다고 한다. 어떤 장르를 하더라도 자신들이 쓴 가사와 멜로디, 거기에 멤버들의 목소리가 들어가면 DAY6만의 노래가 된다고. 이처럼 다양한 장르를 하는데도 DAY6 특유의 감성을 잃지 않아 팀의 개성 또한 뚜렷하다. 발매하는 앨범마다 대중과 평론가들에게 고루 호평을 받는 팀으로, DAY6를 소개할 때 항상 '믿듣데', 즉 '''{{{#57c3c5 믿고 듣는}}} {{{#57c3c5 데이식스}}}'''라는 수식어가 따라 붙곤 한다. 멤버들은 '믿듣데'라는 수식어와 함께 '모든 순간을 노래하는 밴드'가 되고 싶다고 밝혔다. 데뷔 앨범인 〈[[The Day]]〉에서는 크레딧 표기를 팀으로 했으나, 미니 2집 〈[[DAYDREAM(DAY6)|DAYDREAM]]〉부터 참여 멤버를 정확히 표시하고 있기 때문에 곡을 들으며 참여한 멤버 조합을 확인하는 재미가 있다. 하지만 대부분 작곡은 거의 모든 멤버가 참여하는 편이라 어떤 멤버가 주도적으로 특정 곡 작업에 참여했는지는 멤버들의 설명없이 알기 어렵다. 일반적으로는 작업 기여도 순으로 표기하는 크레딧 순서를 확인하면 되지만, DAY6의 경우 '[[성진(DAY6)|성진]]-[[Young K]]-[[원필]]-[[도운]]'의 __나이 순__으로 적혀 있어 크레딧만 봐서는 어느 멤버가 주도적으로 그 곡을 만들었는지 알 수 없기 때문. 따라서 자세한 곡별 작업 비하인드는 각 앨범 문서를 참고할 것. == 로고 변천사 == ||<-3> {{{#!wiki style="margin:-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57c3c5, #093B6C)" {{{#fff [[파일:DAY6 로고 화이트.svg|width=75]] '''로고 변천사'''}}}}}} || ||[[파일:DAY6 logo 1.png|width=75%&align=center]] ||[[파일:Every Day6 logo.png|width=85%&align=center]] ||[[파일:DAY6 로고 세로.svg|width=50%&align=center]] || || '''{{{#57c3c5 데뷔}}}''' || '''[[Every DAY6 Project|{{{#57c3c5 Every DAY6 Project}}}]]''' || '''{{{#74c0c4 공}}}{{{#67adb6 식}}} {{{#528ea0 로}}}{{{#3a6a89 고}}}''' || ||[youtube(fDo7qeiCd3o)] || * 2018년 5월 12일, 〈[[Shoot Me : Youth Part 1]]〉 컴백을 앞두고 위의 로고 모션 영상과 함께 공식 로고가 공개되었다. 영상에 삽입된 배경음악은 당시 [[Shoot Me : Youth Part 1|발매를 앞뒀던 앨범]]의 수록곡인 '[[Shoot Me : Youth Part 1#s-4.1|WARNING]]'이다. * 로고는 [[스타벅스/대한민국|스타벅스 코리아]] 크리에이티브 디렉터이자 그래픽 디자이너인 박영하가 작업했다. [[http://mdesign.designhouse.co.kr/article/article_view/102/79348|#]] * 숫자 6을 중심으로 퍼져나가는 파장 형태는 DAY6의 음악적 파장을 의미하면서, 동시에 하루를 상징하는 시계의 시침이자 음표의 형태를 형상화한 것이다. * 현재까지도 이 로고를 사용하고 있으며, 유닛 그룹인 [[DAY6 (Even of Day)|Even of Day]] 또한 이 로고를 응용해서 디자인한 로고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The Book of Us : The Demon]]〉 앨범 로고처럼[* [[파일:사랑은왜한쪽으로기울어질까.jpg|width=450]]] 앨범 컨셉에 맞게 로고를 조금씩 변형하기도 한다. == 멤버 == [include(틀:DAY6 멤버)] ===# 前 멤버 #=== ## 이 문서는 [[https://namu.wiki/thread/DeeplyHulkingCapableClover|토론]]을 통해 "Jae를 DAY6의 前 멤버로 분류하고 DAY6를 4인조 그룹으로 명기하며, Jae의 DAY6 탈퇴일은 2021년 12월 31일로 서술하기"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제재될 수 있습니다.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이름''' || '''생년월일''' || '''포지션''' || '''탈퇴일''' || || '''[[임준혁(가수)|준혁]]''' || 1993.07.17 || {{{-1 키보드, 보컬}}} || 2016.02.27 || || '''[[eaJ|Jae]]''' || 1992.09.15 || {{{-1 리드기타, 보컬, 랩}}} || 2021.12.31 ||}}} == [[DAY6 (Even of Day)|유닛]] == [include(틀:DAY6 (Even of Day))]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DAY6 (Even of Day))] == [[/음반|음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DAY6/음반)] === [[/노래방 수록 목록|노래방 수록곡]]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DAY6/노래방 수록 목록)] == 커버 및 타 아티스트 참여곡 == === [[/커버곡|커버곡]]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DAY6/커버곡)] === 타 아티스트 곡 참여 목록 === * '''DAY6 곡을 제외'''하고 다른 아티스트의 노래에 멤버들이 [[작사]] / [[작곡]] / [[편곡]] 또는 [[피처링]] 등으로 참여한 목록이다. * 더 자세한 내용은 해당 멤버 문서를 참고하되 [[Young K]]와 [[원필]]의 경우 문서 분리된 관계로 [[Young K/음반]], [[원필/음반]] 문서를 참고할 것. ||
'''발매일''' || '''곡명''' || '''아티스트''' || '''비고''' || ||<-4> '''2015년''' || || 05.20 || 이럴거면 그러지말지 || [[백아연]] || [[Young K]] 랩 메이킹, 피처링 || || 06.05 || Sky high || [[박새별]], Like,Likes[* LIke,Likes의 [[FRANTS]]는 DAY6의 '태양처럼', 'Hunt' 등에 참여했다.] || [[Young K]] 랩 메이킹, 피처링 || || 08.03 || OPPA (오빠) || [[원더걸스]][* 원더걸스 앨범에 수록된 [[혜림]]의 솔로 곡.] || [[원필]] 나레이션 || ||<-4> '''2016년''' || || 03.21 || Beggin on my knees || [[GOT7]] || [[Young K]] '''단독 작사''', 보컬 디렉팅 || ||<|2> 08.23 || Young해 ||<|2> [[제이미(가수)|박지민]] || [[Young K]] 랩 피처링, 작사 || || ANSWER || [[Young K]] 작사 || || 11.21 || 빠져가지고 || [[업텐션]] || [[Young K]], [[성진(DAY6)|성진]] 작사, 작곡 | [[원필]] 작사, 작곡, 편곡 || ||<-4> '''2017년''' || || 04.25 || In Your Eyes[* [[그녀는 거짓말을 너무 사랑해(드라마)|그녀는 거짓말을 너무 사랑해]] OST] || 크루드플레이 || [[Young K]] 랩 메이킹[* '태양처럼', 'Hunt' 공동 작곡가 [[FRANTS]]가 작사 작곡한 곡에 랩 메이킹으로 참여] || ||<-4> '''2018년''' || ||<|2> 10.10 || Sleep Mode ||<|2> [[버나드 박]] ||<|2> [[Young K]] '''단독 작사''' || || Sleep Mode (English Ver.) || ||<-4> '''2019년''' || || 03.07 || Good night[* [[진심이 닿다(드라마)]] OST] || [[정세운]] || [[원필]] 작사, 작곡 || || 04.19 || Hope || [[유영재|영재]] || [[Young K]] '''단독 작사''', 작곡 || ||<|2> 11.01 || Love me tonight ||<|2> 휴이(HÜ) ||<|2> [[Young K]] 작곡 || || 원해 (I want you more) || ||<-4> '''2020년''' || || 07.14 || Don't know || [[정세운]] || [[Young K]] 작사 || ||<|4> 07.30 || Trouble With You ||<|4> [[에릭남]] ||<|3> [[Young K]] 작사 || || Paradise || || 잘 지내지 (How You Been) || || Love Die Young (Korean Ver.) || [[Young K]] '''단독 작사''' || || 09.17 || 사랑노래 || [[윤석철|THE BLANK shop]] || [[원필]] 피처링 || || 09.18 || LOVE || [[X Lovers]] || [[Young K]] 피처링, 작사 || || 12.06 || 축가 || [[그_냥]] || [[원필]] 피처링 || ||<-4> '''2021년''' || || 01.14 || ใจอ้วน / Sugar high || Stamp[* 태국 가수] || [[Young K]] 피처링, 작사 || || 02.20 || [[https://www.youtube.com/watch?v=7skQVdcgIK4|Love Me Now]] || [[하현상]] || [[Young K]] 작사, 작곡 || || 04.02 || 심야영화 || [[하현상]] || [[Young K]] 작사 || || 05.28 || Leaves (Feat. Young K) || Ben&Ben || [[Young K]] 작사 || || 07.18 || For You[* [[결혼작사 이혼작곡 2]] OST] || [[성훈(배우)|성훈]] || [[Young K]] '''단독 작사''', 작곡 || || 10.28 || 낙하산은 펴지 않을게요 || [[극한데뷔 야생돌]] || [[Young K]] 작사 | [[원필]] 작사, 작곡 || || 12.08 || naps! || [[1415(밴드)|1415]] || [[원필]] 피처링 || ||<-4> '''2023년''' || || 01.05 || 건물 사이에 피어난 장미 || [[H1-KEY]] || [[Young K]] '''단독 작사''' || || 04.26 || Good enough || [[Xdinary Heroes]] || [[Young K]] 작사 || || 06.28 || Maybe Next Time ft. Young K of DAY6 || Jamie Miller || [[Young K]] 피처링, 작사, 작곡 || ||<|2> 08.09 || PUZZLIN' || [[퀸덤 퍼즐]] || [[Young K]] '''단독 작사''', 작곡 || || Lemon Black Tea || [[조유리]] || [[Young K]] '''단독 작사''' || || 08.30 || SEOUL (Such a Beautiful City) || [[H1-KEY]] || [[Young K]] '''단독 작사''' || || 12.15 || 환호 || [[김영석(2003)|김영석]] || [[Young K]] 피처링, '''단독 작사''', 작곡, 편곡 || || 12.22 || 노래로 || 임정현 || [[Young K]] 피처링, '''단독 작사''', 작곡 || ||<-4> '''2024년''' || || 01.15 || Run For Roses || [[NMIXX]] || [[Young K]] 작사 || || 02.15 || 휘이 || [[휘인]] || [[Young K]] '''단독 작사''', 작곡 || || 02.27 || 기뻐 (Deeper) || [[H1-KEY]] || [[Young K]] 작사 || || 05.13 || HELLO || [[ZEROBASEONE]] || [[Young K]] 작사 || == 활동 == === [[DAY6/연도별 활동 내역|연도별 활동 내역]]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DAY6/연도별 활동 내역)] === [[/공연 및 행사|공연 및 행사]] === >대형 기획사 출신의 아이돌 밴드는 항상 그 진정성에 물음표가 따라붙지만, 2015년 홍대의 '라이브 클럽 데이(Live Club Day)'에서 데뷔 쇼케이스를 가진 이래로 데이식스는 여타 밴드가 그러하듯 치열한 노력과 실전으로 그들을 가다듬었다. '믿고 듣는 데이식스'라는 훈장은 결코 쉽게 얻어낸 것이 아니다. >---- > - [[IZM]] 편집장, 대중음악평론가 김도헌: [[http://www.izm.co.kr/contentRead.asp?idx=29634|IZM 데이식스 소개]] > 록은 1980년대에 잠시 주목받았을 뿐, 한국의 대중음악시장에서는 한 번도 주류였던 적이 없었다. 그럼에도 DAY6는 꿋꿋이 데뷔 EP를 내놓았고, 계속 서울 홍익대학교 앞 라이브 클럽으로 와 공연을 펼쳤다. 어떤 이들은 이 모든 활동이 밴드 코스프레일지 모른다고 폄하하기도 했다. 하지만 모든 의구심은 DAY6의 데뷔 음반을 듣고, 라이브를 보면서 깨끗이 사라졌다. DAY6는 자신이 나아갈 방향을 잘 알고 있었고,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흔들림 없이 나아가고 있었다. 그리고 아이돌 밴드에 대한 오해와 편견으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울 만큼 손색없이 연주하고 노래했다. 오히려 DAY6는 연주와 노래, 무대 매너에서 흐트러짐 없는 모습을 내비치며 선입견을 무색하게 했고, 1990년대 생들의 젊음으로 록을 다시 청춘의 음악으로 되돌리고 있었다. [[온스테이지]]에 담긴 [[https://tv.naver.com/v/1553946/list/121227|세 편의 눈부신 영상]]은 바로 그 증거이다. >---- > - 한국대중음악상 선정위원, 네이버 온스테이지 기획위원 서정민갑: [[https://vibe.naver.com/onstage/season/2/article/7400|삼백 서른 두 번째 온스테이지 '청춘의 대변자, DAY6(데이식스)']] ||<-4> '''{{{#fff DAY6 국내 공연 리스트}}}''' || ||[[파일:1st concert dday.jpg|width=100%]] ||[[파일:external/pbs.twimg.com/CjmTZ36VEAAAvMl.jpg|width=100%]] ||[[파일:external/ghavpdlwl.blob.core.windows.net/20170112145803_Every%20Day6_Concert%20in_01.jpg|width=100%]] ||[[파일:external/pbs.twimg.com/C4dNOrDVYAAbeWY.jpg|width=100%]] || ||<^|1> {{{-3 {{{#000 DAY6 1st LIVE CONCERT}}}}}}[br]'''{{{#000 D-Day}}}''' ||<^|1> {{{-3 {{{#000 DAY6 LIVE CONCERT}}}}}}[br]'''{{{#d0499a DREAM}}}''' ||<^|1> {{{-3 [[Every DAY6 Project|{{{#000 Every DAY6 Concert}}}]]}}}[br]'''{{{#8B008B Every DAY6 Concert[br]in February}}}''' ||<^|1> {{{-3 [[Every DAY6 Project|{{{#000 Every DAY6 Concert}}}]]}}}[br]'''{{{#0D98BA Every DAY6 Concert[br]in March}}}''' || ||[[파일:external/ghavpdlwl.blob.core.windows.net/20170312142645_Every%20Day6_Concert%20in_04_web.jpg|width=100%]] ||[[파일:external/pbs.twimg.com/C9hwoifUwAAjaPb.jpg|width=100%]] ||[[파일:external/pbs.twimg.com/C_xfx0jVoAAy0c1.jpg|width=100%]] ||[[파일:external/pbs.twimg.com/DDj_y7vUIAAJnom.jpg|width=100%]] || ||<^|1> {{{-3 [[Every DAY6 Project|{{{#000 Every DAY6 Concert}}}]]}}}[br]'''{{{#696969 Every DAY6 Concert[br]in April}}}''' ||<^|1> {{{-3 [[Every DAY6 Project|{{{#000 Every DAY6 Concert}}}]]}}}[br]'''{{{#008080 Every DAY6 Concert[br]in May}}}''' ||<^|1> {{{-3 [[Every DAY6 Project|{{{#000 Every DAY6 Concert}}}]]}}}[br]'''{{{#5F9EA0 Every DAY6 Concert[br]in June}}}''' ||<^|1> {{{-3 [[Every DAY6 Project|{{{#000 Every DAY6 Concert}}}]]}}}[br]'''{{{#BA4160 Every DAY6 Concert[br]in July}}}''' || ||[[파일:DAY6_Notice_20170813165010_IMG_2206.jpg|width=100%]] ||[[파일:DJWt7m6UQAAIWUt.jpg|width=100%]] ||[[파일:20171010163823_Every Day6_Concert in_11_web.jpg|width=100%]] ||[[파일:20171211-28411_1.jpg|width=100%]] || ||<^|1> {{{-3 [[Every DAY6 Project|{{{#000 Every DAY6 Concert}}}]]}}}[br]'''{{{#6495ED Every DAY6 Concert[br]in September}}}''' ||<^|1> {{{-3 [[Every DAY6 Project|{{{#000 Every DAY6 Concert}}}]]}}}[br]'''{{{#CE5A9E Every DAY6 Concert[br]in October}}}''' ||<^|1> {{{-3 [[Every DAY6 Project|{{{#000 Every DAY6 Concert}}}]]}}}[br]'''{{{#ED9149 Every DAY6 Concert[br]in November}}}''' ||<^|1> {{{-3 [[Every DAY6 Project|{{{#000 Every DAY6 Concert}}}]]}}}[br]'''{{{#DBB152 Every DAY6 Concert[br]in December}}}''' || ||[[파일:17017537_p.gif|width=100%]] ||[[파일:17017646_p.gif|width=100%]] ||[[파일:17017653_p.gif|width=100%]] ||[[파일:2018012916315855.jpg|width=100%]] || ||<^|1> {{{-3 [[Every DAY6 Project|{{{#000 Every DAY6 Concert}}}]]}}}[br]'''{{{#000 Every DAY6 Concert[br]in BUSAN}}}''' ||<^|1> {{{-3 [[Every DAY6 Project|{{{#000 Every DAY6 Concert}}}]]}}}[br]'''{{{#000 Every DAY6 Concert[br]in DAEGU}}}''' ||<^|1> {{{-3 [[Every DAY6 Project|{{{#000 Every DAY6 Concert}}}]]}}}[br]'''{{{#000 Every DAY6 Concert[br]in DAEJEON}}}''' ||<^|1> {{{-3 [[Every DAY6 Project|{{{#000 Every DAY6 Concert}}}]]}}}[br]'''{{{#5165CF {{{-2 EVERY DAY6[br]FINALE CONCERT}}}[br]-THE BEST MOMENTS-}}}''' || ||[[파일:Youth seoul.jpg|width=100%]] ||[[파일:Youth ulsan.jpg|width=100%]] ||[[파일:Youth jeonju.jpg|width=100%]] ||[[파일:Youth busan.jpg|width=100%]] || ||<^|1> {{{-3 {{{#010D1B DAY6 1ST WORLD TOUR}}}}}}[br]'''{{{#00D4D8 'Youth' SEOUL}}}''' ||<^|1> {{{-3 {{{#010D1B DAY6 1ST WORLD TOUR}}}}}}[br]'''{{{#00D4D8 'Youth' ULSAN}}}''' ||<^|1> {{{-3 {{{#010D1B DAY6 1ST WORLD TOUR}}}}}}[br]'''{{{#00D4D8 'Youth' JEONJU}}}''' ||<^|1> {{{-3 {{{#010D1B DAY6 1ST WORLD TOUR}}}}}}[br]'''{{{#00D4D8 'Youth' BUSAN}}}''' || ||[[파일:You Made My Day Poster.jpg|width=100%]] ||[[파일:Youth daegu.jpg|width=100%]] ||[[파일:The Present poster.jpg|width=100%]] ||[[파일:Youth Encore Poster.jpg|width=100%]] || ||<^|1> {{{-3 {{{#D8BDA8 DAY6 FIRST FAN MEETING}}}}}}[br]'''{{{#9F624D You Made My Day}}}''' ||<^|1> {{{-3 {{{#010D1B DAY6 1ST WORLD TOUR}}}}}}[br]'''{{{#00D4D8 'Youth' DAEGU}}}''' ||<^|1> {{{-3 {{{#4A0B02 DAY6 Christmas Special Concert}}}}}}[br]'''{{{#FEAE23 The Present}}}''' ||<^|1> {{{-3 {{{#010D1B DAY6 1ST WORLD TOUR}}}}}}[br]'''{{{#00D4D8 'Youth' [Encore]}}}''' || ||[[파일:Scentographer Poster.jpg|width=100%]] ||[[파일:GRAVITY seoul.jpg|width=100%]] ||[[파일:GRAVITY daegu.jpg|width=100%]] ||[[파일:GRAVITY busan.jpg|width=100%]] || ||<^|1> {{{-3 {{{#879476 DAY6 'You Made My Day' Ep.2}}}}}}[br]'''{{{#F8E5E4 Scentographer}}}''' ||<^|1> {{{-3 {{{#005BA4 DAY6 WORLD TOUR}}}}}}[br]'''{{{#14B4FF 'GRAVITY' in SEOUL}}}''' ||<^|1> {{{-3 {{{#005BA4 DAY6 WORLD TOUR}}}}}}[br]'''{{{#14B4FF 'GRAVITY' in DAEGU}}}''' ||<^|1> {{{-3 {{{#005BA4 DAY6 WORLD TOUR}}}}}}[br]'''{{{#14B4FF 'GRAVITY' in BUSAN}}}''' || ||[[파일:19thepresent.jpg|width=100%]] || [[The Present : You are My Day|[[파일:The Present - You are My Day poster.jpg|width=100%]]]] || [[Welcome to the Show(콘서트)|[[파일:Welcome to the Show concert poster.jpg|width=100%]]]] || [[I Need My Day|[[파일:I Need My day Poster.jpg|width=100%]]]] || ||<^|1> {{{-3 {{{#FBC597 DAY6 2019 Christmas Special Concert}}}}}}[br]'''{{{#D9473A The Present}}}''' ||<^|1> {{{-3 {{{#0C1E2A DAY6 Christmas Special Concert}}}}}}[br]'''[[The Present : You are My Day|{{{#3DC8AB The Present : You are My Day}}}]]''' ||<^|1> {{{-3 {{{#D0DEEF DAY6 CONCERT}}}}}}[br]'''[[Welcome to the Show(콘서트)|{{{#003058 Welcome to the Show}}}]]''' ||<^|1> {{{-3 {{{#39A591 DAY6 3RD FANMEETING}}}}}}[br]'''[[I Need My Day|{{{#253041 I Need My Day}}}]]'''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DAY6/공연 및 행사)] * 데뷔 초부터 꾸준히 공연 위주로 활동을 진행했다. 국내 전국 투어 및 월드 투어까지 성공적으로 해내면서, 데뷔 후 만 4년이 지난 2019년 12월 24일에 DAY6 이름을 걸고 한 단독 콘서트 100회차를 달성하였다. * TV 방송 활동보다는 [[홍대거리/공연장#s-3.2|FF 클럽]], [[홍대거리/공연장#s-4.1|브이홀]], '''디딤홀''', [[홍대거리/공연장#s-4.5|롤링홀]], [[홍대거리/공연장#s-3.7|고고스2]], [[SJA실용전문학교#웨스트브릿지|웨스트브릿지]], [[홍대거리/공연장#s-4.2|상상마당 라이브홀]] 등 [[홍대거리/공연장|홍대]] 클럽과 공연장 중심으로 활동해 왔다. 한 대중음악평론가는 이를 두고 현재 활동하고 있는 [[아이돌]] 그룹과 [[연습생]]을 통틀어 '''고고스2'''를 알고 있는 그룹은 DAY6가 유일할 것이라고 [[http://www.hani.co.kr/arti/culture/music/827183.html|말]]하기도 했다. * 이처럼 데뷔 초에 인디 뮤지션처럼 홍대 공연 위주로 활동한 것은 '밴드'의 데뷔 앨범부터 방송에서 [[핸드싱크]][* 녹음된 연주를 내보내면서 악기를 연주하는 척하는 것]하는 모습을 보여줄 수 없다는 소속사의 판단 때문이었다.[*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1509301697451969|정욱 JYP 대표]]는 “데이식스는 밴드인데 첫 무대부터 핸드싱크를 보여줄 수는 없었다”고 밝혔다. 아무리 홍보가 급한 신인이라지만 연주가 생명인 밴드를 연주 시스템 없는 무대에 세워 가치를 떨어뜨리지 않겠다는 얘기다.] 대형 기획사의 아이돌 밴드라고 하면 익히 떠올리는 편견을 깨기 위해서인 것으로 보인다. 네이버 온스테이지 기획위원 또한 데이식스를 [[온스테이지]]에 올렸던 건 '''진정성'''을 봤기 때문이었다고. 대형 기획사 소속이었지만 홍대 무대에 계속 오르는 등 활동을 인디 뮤지션들처럼 했고, 똑같이 필드에서 평가 받고 싶어 했기 때문에 그 진정성과 실력을 보고 결국 인정하게 되었다고 한다. [[https://youtu.be/6iFCJIGcx0s?t=342|#]], [[https://www.sis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35237|‘아이돌 밴드’라는 편견을 버려 - 배순탁]] === [[/방송|방송]]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DAY6/방송)] === [[/콘텐츠|콘텐츠]]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DAY6/콘텐츠)] ==== [[힐링 여행은 핑계고]]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힐링 여행은 핑계고)] === 화보 === ||
유닛 화보는 [[DAY6 (Even of Day)#화보|여기]]를, 멤버 개인 화보는 각 멤버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이 문단에는 단체 화보만 기록합니다.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발행월''' || '''잡지명''' || '''타이틀''' || '''비고''' || ||<-4> '''2016년''' || ||<|2> 5월호 || 텐아시아 || [[https://tenasia.hankyung.com/topic/article/2016042802234|우리가 꿈꾸고 기대하는 '데이식스']] || || Bling || 여섯 명의 소년, 꿈을 찾아 떠나는 여정을 시작하다. || || ||<-4> '''2017년''' || || 2월호 || DAZED || “그 누구보다 더 가볼 생각이다.” -DAY6 || [[https://twitter.com/DazedKorea/status/826626111656357888|[[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18]]]] || || 5월호 || [[GRAZIA]] || SIX DAY SEVEN NIGHT || [[https://youtu.be/Ak-e1d7mjmU|[[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18]]]] || || 12월호 || allure || [[https://www.allurekorea.com/2017/11/22/끝-그리고-시작/|끝 그리고 시작 <1>]] | [[https://www.allurekorea.com/2017/11/23/끝-그리고-시작-2/|끝 그리고 시작 <2>]] || [[https://www.allurekorea.com/2017/12/07/데이식스의-뮤직-테라피/|{{{-2 데이식스의 뮤직 테라피}}}]] || ||<-4> '''2018년''' || || 3월호 || Singles || [[https://m.thesingle.co.kr/article/710333/THESINGLE|데이식스의 시간]] || 화이트데이 세레나데[br]{{{-2 [[https://m.thesingle.co.kr/article/696106/THESINGLE|성진]] | [[https://m.thesingle.co.kr/article/696285/THESINGLE|Young K]] |[[https://m.thesingle.co.kr/article/696101/THESINGLE|원필]] | [[https://m.thesingle.co.kr/article/696284/THESINGLE|도운]]}}} || || 7월호 || [[NYLON]] || SUMMER DAY LIGHT || || ||<-4> '''2019년''' || || 1월호 || Sudsapda[*태국] || || 커버모델[br][[https://youtu.be/G4hoJfsJUVU|[[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18]]]] | [[https://www.facebook.com/watch/?v=1140847569430573|[[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18]]]] || ||<-4> '''2020년''' || || 1월호 || Alternative Press[*미국] || TIME OF THEIR LIVES || 커버모델 || || 5월호 || THE STAR || SUNDAY AFTERNOON [[https://www.thestar.kr/board/star/3992|1]] | [[https://www.thestar.kr/board/star/4004|2]] || ||<-4> '''2024년''' || || 5월호 || 앳스타일 || || [* ASEA 2024 시상식 현장 화보] || || 6월호 || [[코스모폴리탄(잡지)|COSMOPOLITAN shine]] || || [* 코스모폴리탄이 2024년 6월 첫 론칭한 아티스트 전용 화보집. 오직 한 아티스트만으로 채운 화보와 인터뷰, 에세이, 부록에 디지털 콘텐츠까지 포함된다. 론칭 첫 에디션의 주인공으로 데이식스가 선정됐다.] || }}} === 광고 및 홍보 대사 === ||
'''기업 및 주최''' || '''브랜드 및 행사명''' || '''품목''' || '''비고''' || ||<-4> '''2018년''' || ||<-2>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공공기관] ||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홍보대사 || [* 2019년 제15회 대한민국 청소년 박람회 폐막식 축하 공연] || ||<-4> '''2020년''' || || 친환경농산물자조금관리위원회 || 2020 유기농먹자 캠패인 || - || [[https://youtu.be/c8-XWPArvqU|유기농송]] / [[https://youtu.be/n_jZzVF8gUs|유기농송 메이킹]] / [[https://twitter.com/mafrakorea/status/1267731434258567168|농림축산식품부]] || ||<-4> '''2021년''' || || [[무신사]] || UNDERTONES || 의류 || [* DAY6의 음악에서 영감을 받아 제작] || == 팬덤 [[My Day]]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My Day)] * '믿듣데'라는 수식어에 걸맞게 여러 아이돌 및 가수, 배우 등의 추천곡에 자주 등장하는 편이다. 또한 [[https://www.magazineidole.com/post/연예인의-연예인-데이식스-day6|연예인의 연예인, 데이식스(DAY6)]]이라고 할 정도로 팬심을 드러낸 유명인이 많다. 자세한 내용은 [[My Day#s-8|My Day라고 알려진 유명인]]을 참고. == [[DENIMALZ]]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DENIMALZ)] * 2018년에 공개된 DAY6의 동물형 캐릭터로, '''데'''이식스와 애'''니멀즈'''(Animals)의 합성어이다. * 멤버들의 이목구비를 쏙 빼닮은 것[* 전체적으로 다들 닮았지만, 특히 [[Young K|KE]]와 [[원필|PIL]]이 닮았다는 평이 가장 많다.]이 특징이며, [[My Day|팬덤]] 사이에서 '''주력 [[굿즈|MD]]'''로 자리잡은 굿즈다. == 수상 경력 == === 시상식 === ||<-5> {{{#!wiki style="margin:-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57c3c5, #093B6C)" {{{#fff [[파일:DAY6 로고 화이트.svg|width=70]] [br] '''시상식 수상'''}}}}}} || || '''날짜''' || '''시상식''' || '''부문''' || '''영상''' || '''비고''' || ||<-5> '''2018년''' || || {{{-2 11.06}}} || [[지니 뮤직 어워드|[[파일:지니뮤직 로고.svg|width=50]]]][br]{{{-2 {{{#0096ff '''MBC PLUS × 지니뮤직 어워드'''}}}}}} || 밴드 음악상 || [[https://youtu.be/5u1IbwnNrE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데뷔 후 첫 수상이다.] || ||<-5> '''2019년''' || || {{{-2 08.01}}} || [[지니 뮤직 어워드|[[파일:MGMA_Logo_2019.png|width=70]]]][br]{{{-2 {{{#21b4e7 '''M2 × 지니뮤직 어워드'''}}}}}} || 밴드 || || [* 2년 연속 수상.] || ||<-5> '''2020년''' || || {{{-2 10.13}}} || [[파일:올해의 브랜드 대상.jpg|width=100]][br]{{{-2 {{{#b8860b '''올해의 브랜드 대상'''}}}}}} || 아이돌 밴드 || || || || {{{-2 12.06}}} || [[마마 어워즈/역대 시상식#s-4.1|[[파일:엠넷 아시안 뮤직 어워드 로고.svg|width=50&theme=light]][[파일:엠넷 아시안 뮤직 어워드 로고 화이트.svg|width=50&theme=dark]]]][br]{{{-2 {{{#000000 '''Mnet ASIAN MUSIC AWARDS'''}}}}}} || 베스트 밴드 퍼포먼스 || || || ||<-5> '''2021년''' || || {{{-2 08.19}}} || [[파일:올해의브랜드대상2021.png|width=50]][br]{{{-2 {{{#b8860b '''올해의 브랜드 대상'''}}}}}} || 밴드 || || || ||<-5> '''2024년''' || || {{{-2 04.10}}} || [[ASEA|[[파일:ASEA 로고.png|width=70]]]][br]{{{-2 {{{#abff04 '''아시아 스타 엔터테이너 어워즈'''}}}}}} || 베스트 밴드 || [[https://youtu.be/fyt-hWk2G7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 음악방송 1위 === ||<-4> {{{#!wiki style="margin:-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57c3c5, #093B6C)" {{{#fff [[파일:DAY6 로고 화이트.svg|width=70]] [br] '''음악 방송 수상'''}}}}}} || || '''날짜''' || '''프로그램''' || '''제목''' || '''비고''' || ||<-4> '''2019년''' ^^총 2관왕^^ || || {{{-2 7월 24일}}} || [[쇼챔피언|[[파일:쇼 챔피언 (2024) 로고.png|width=70]]]] ||<|2>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1b2910; font-size: .88em; color: #fe149e; letter-spacing: -0.2px" [[한 페이지가 될 수 있게|{{{#f17610 '''한 페이지가 될 수 있게'''}}}]]}}}[br]'''2관왕''' || {{{-2 '''데뷔 후 음악 방송 첫 1위'''[* 데뷔 '''1417일''' 만이다.]}}} [br] {{{-2 '''결방'''[* 'SHO캉스' 특집으로 결방되어 공식 트위터에 수상 소감 영상이 올라왔다.]}}} || || {{{-2 7월 25일}}} || [[엠 카운트다운|[[파일:엠 카운트다운 로고 2024.png|width=45]]]] || {{{-2 '''결방'''[* KCON 2019 NY 특집 때문에 결방되었지만 본방송이 끝난 후 1위 발표와 소감이 공개되었다.]}}} || == 여담 == ||
개별 곡에 대한 비하인드는 [[DAY6/음반]] 목록에서 각 앨범의 문서의 여담 문단을,[br][[Every DAY6 Project]]에 대한 비하인드는 [[Every DAY6 Project|해당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 별명으로는 가장 대표적인 수식어이기도 한 '''믿듣데'''[* '''믿'''고 '''듣'''는 '''데'''이식스. 발표하는 곡들마다 어느 하나 빠지지 않고 전부 명곡인 데서 유래. 주변에서 데이식스 곡을 추천해 달라고 할 때 그냥 '''제목 끌리는 거 아무거나 들어도 좋다'''고 말할 정도로 팬들 또한 데이식스 곡에 자부심이 있다.], 데식이들, 짠내식스[* 데뷔곡 'Congratulations' 외에 '놓아 놓아 놓아', '[[예뻤어]]', '반드시 웃는다', 'Shoot Me', '행복했던 날들이었다' 등 초창기 발표한 곡들 중 슬프고 서정적인 곡이 많아서 생긴 별명. 이외에도 이별식스, 염전식스, 찌질식스 등이 있었다. [[Young K]]의 말에 따르면 [[Every DAY6 Project]]를 할 당시 좀 밝거나 상쾌한 곡들은 자신은 마음에 들었지만 회사에서 컨펌이 나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최근에는 다양한 주제의 곡들이 많아지면서 잘 쓰지 않는다.], 청량식스[* 'Hi Hello', 'Free하게', 'Say Wow', '장난 아닌데', '한 페이지가 될 수 있게' 등 청량한 곡이 잘 어울리는 데서 유래.] 등이 있다. * 멤버들의 입사 순서는 성진, Young K, 원필(셋 다 2010년) - 도운(2015년 4월) 순으로, 멤버 모두 [[JYP엔터테인먼트]]에서 첫 연습생 생활을 시작했다. 원필의 경우 다른 기획사에서 입사 제의를 받기도 했으나 거절했다고. * 처음에는 회사를 통해 결성되었지만, 밴드이기에 약 5년간의 긴 연습생 생활[* 드럼 오디션에서 뽑힌지 약 3개월 만에 데뷔한 막내 [[도운]]을 제외하면 [[성진(DAY6)|성진]], [[Young K]], [[원필]]은 2010년 입사로 연습생 기간이 꽤 긴 편이다.]을 버틸 수 있었고, 음악적으로 더 깊게 고민하며 발전해 나갈 수 있는 성장 계기가 되어 '''밴드가 된 것이 매우 만족스럽다'''고 한다. * [[보컬리스트]]로 입사한 만큼 [[성진(DAY6)|성진]]과 [[Young K]]는 처음 밴드 팀에 배정되었을 때 당황했다고 한다. [[Young K]]는 밴드 팀 배정 소식을 듣고, "밴드는 어떻게 하는 거지?"라는 생각이 들 만큼 전혀 실감이 나지 않았으며, 마침 [[공중제비|백플립]]에 막 성공했을 때라 더 당황스러웠다고 한다. [[성진(DAY6)|성진]]도 보컬 연습밖에 하지 않아 밴드에 대해 전혀 알지 못했다고. 처음엔 놀랬지만 노래에는 반주가 필요하니까 악기를 배우면 자신에게도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하고 시작했다고 한다. 하지만 금세 굉장히 즐거워졌다고 한다. 보통 연습생 때는 계속 혼자 연습했었는데, 멤버들과 이것저것 말하면서 함께 곡을 만드는 것이 굉장히 신선했고 즐거웠다고. 반면 [[원필]]은 그때쯤 밴드 음악에 빠져 있을 때라 밴드가 하고 싶었는데, 그런 생각을 하자마자 마침 회사에서 밴드 제의를 해줘서 무척 좋았다고 한다. * 팀이 만들어진 초기부터 작곡, 작사를 했다. 진정한 밴드로 가기 위해서는 무조건 해야겠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곡 작업을 시작했다고 한다. 회사에서도 '자신들의 이야기로 노래를 만들어 보라'고 주문했었다고 한다. 하지만 초기에는 멤버들끼리 만들면서 "이게 맞나?"하는 고민이 많았다고. * 2015년 [[도운]]이 합류하기 전에는 지금처럼 곡을 빠르게 쓰지 못했고, 한 곡을 완성하는 데 몇 주에서 한 달의 기간이 걸렸다고 한다. 최근에는 송캠프 같은 상황에서 하루 또는 몇 시간 안에 한 곡을 완성하기도 한다. * [[성진(DAY6)|성진]]의 말에 따르면 연습생 신분임에도 팀 전용 연습실을 획득했다는 기쁨은 잠시였다고 한다. 손가락에 이중으로 물집이 잡힐 때까지 베이스 연습을 했던 [[Young K]]를 비롯, 멤버들 모두 악기 연습을 해야 했고 작사, 작곡 공부도 병행해야 했기 때문이다. 2012년부터 한 달에 두 곡씩, 총 100여 곡을 회사에 제출했지만 2015년 'Congratulations'를 제출하기 전까지는 번번이 다 퇴짜를 맞았다. 데뷔 조건이 데뷔할 수 있을 만한 곡을 써 오는 것이었기 때문에 '이러다 데뷔도 못 해보고 청춘 다 가는 건가'라고 생각했었다고. [[원필]]의 말에 따르면 '우리가 좋은 곡을 쓸 수 있을까'하는 부담감이 갈수록 커졌다고 한다. * 그렇게 곡 작업을 해왔지만 자작곡으로 처음 칭찬을 들었던 것은 2015년 '[[The Day|Congratulations]]'를 썼을 때였다. 그 직후 열린 회의에 들고 갔더니 '새롭다'란 평을 받았고 결국 데뷔곡으로 결정됐다. 당시 [[성진(DAY6)|성진]]은 정말 뿌듯했다고 한다. * 앨범을 작업하거나 합주를 할 때의 의견 충돌은 기억이 안 날 정도로 오래됐다고 한다. 도운을 제외하고 모두 연습생 생활을 5년 이상 한 만큼 이미 그때 의견 조율 및 서로의 성격을 다 파악했기 때문. 앨범 작업 외에도 모든 일은 깔끔하게 다수결로 결정한다. 최근에는 그 다수결조차 필요 없어졌다고. 함께한 지 10년이 넘어가다 보니 이젠 의견이 갈리지도 않는다고 한다. * 함께 100곡 이상을 만들다보니 노하우가 생겼다고 한다. 먼저 곡 분위기에 따라 악기 편곡을 해 녹음한 뒤, 그걸 들으며 멤버들이 자기 느낌대로 멜로디를 짓고, 그들 중 좋은 것을 합쳐 선율을 완성하고 가사를 얹는다고 한다. * 2018년 4월, 일본 인터뷰에서 좀 더 자세히 예를 들었는데, 누가 기타 리프를 만들면, 거기서 음색만 바꿀 때도 있고 거기에 [[원필]]이 키보드를 올리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그것을 [[Young K]]가 가져가서 다른 전개로 이어나가거나 한다고. 그렇게 하면 멤버들의 개성이 모두 곡에 들어가 생각지도 못한 케미 작용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고 한다. 때때로는 아예 합주하며 곡을 만들기도 하고, 그 후 곡에 멤버들 개성에 가장 잘 맞는 보컬 파트를 만든다고 한다. * 데뷔 전 연습량은 하루 12시간 정도, 데뷔 후에는 6~8시간 정도라고 밝혔다. 낮에는 JYP 당시 청담 사옥 옆 7평 정도의 지하 합주실과 [[JYP]] 본사 연습실을 오가며 각자 개인 악기 연습을 하고, 저녁에는 다시 지하 합주실로 모여 합주를 했다고 한다.[* 2016년 4월, 함께 합주실을 쓰던 [[원더걸스]]를 합주실에서 본 적이 있냐는 질문에 연습 스케줄이 달라 마주친 적은 없다고 밝혔다.] * 데뷔하기 전, 주당 100시간씩 합주해야 하는 시기가 있었다고 한다. 일주일에 100시간 넘게, 즉 하루에 14시간 이상씩 개인 레슨과 합주 연습을 했었다고. * 악기를 보지 않고 앞만 보고 연주하기 위해 불을 끄고 연습한 적도 있다고 한다. * 데뷔 초 [[JYP]] 출신이라는 점 때문에 부담감이 컸다고 한다. [[아이돌]] 기획사 출신 [[밴드]]라는 점 때문에 조금이라도 연주에서 실수를 하면 더 많은 비난이 돌아올 것이라고 생각했었다고 한다. [[원필]]은 "연주할 때 한치의 오차도 없어야 한다는 강박관념에 스트레스가 컸다"고 말했다. * 데뷔 전 [[Young K]]와 [[원필]]은 숙소에도 들어가지 않고 연습실에서 자고 연습만 했던 시기가 있었다고 한다. 숙소는 씻으러 갈 때만 잠깐 갔다가 나왔다고. * 2015년 8월 [[도운]]의 생일 때, 팀에 들어온 지 몇 개월 안 된 [[도운]]을 환영하는 의미로 소매에 멤버들의 이름이 모두 써져 있는 단체 티셔츠를 맞췄다. 데뷔를 앞두고 들어오게 된 [[도운]]을 위해서 한 것으로, [[도운]]이 들어오기 전에는 이런 것을 한 번도 해본 적이 없었다고. * [[도운]]이 늦게 합류해서 힘들지 않았냐는 물음에 성격적으로 맞춰준 건 남은 멤버들이지만, 음악적으로 맞춰준 것은 [[도운]]이라고 대답한다. 싸우기도 했었지만[* DAY6는 5년간 연습생 생활을 하면서 싸워놨지만, [[도운]]은 2개월 정도라 초반엔 부딪힐 수밖에 없었다고. --[[성진(DAY6)|성진]]: 고집이 센 친구였다.--] 형들이 맞춰주려 노력한 것을 알아 미안하다는 [[도운]]의 말에 남은 멤버들은 [[도운]]이 합류하기 전에 우리끼리는 싸울 것을 다 싸워놔서 그렇다고 답변했다. * 가사를 자주 잊어버린다. 1절과 2절의 가사를 바꿔 부르거나, 단어를 바꿔 부르거나, 아예 개사를 하거나, [[원필]]은 잠시 정적 뒤에 즉흥적으로 "가사를 까먹었네요"하는 식으로 부른 적도 있다. 이에 대한 해명도 다양한 편인데, '무대 위에 올라가서 긴장하면 훅 날아가버릴 때가 있다', '신경 쓰면 잊고 신경 안 쓰면 더 잊고(...)', '우리는 가이드 단계에서부터 제대로 녹음하는 편인데, 가사 수정 단계를 많이 거치면서 유사 어휘로 살짝만 바꾸는 경우가 많아 헷갈린다' 등이 있다. 그래서 공연 시엔 항상 거대한 프롬프터를 설치하는 경우가 많다. * 녹음할 때 악기 세션 녹음은 크게 오래 걸리지 않지만, 드럼인 [[도운]]은 오래 걸린다고 한다. 3곡 녹음하는데 5~6시간 걸린 적도 있다고. 세팅 시간도 한 시간 정도로 오래 걸리는 데다가 아무 것도 없이 메트로눔에 맞춰 연주하고, 잡는 것에 따라 소리가 달라지기 때문에 연주하다가도 악기 위치를 바꾸고 마이크 위치를 바꾸고 하는데 그렇게 바꾸면 처음부터 다시 쳐야 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https://youtu.be/Imtqd4B8ILs|드럼 녹음 영상]] * [[박진영]]에게 들었던 최고의 칭찬은 "너희의 팬이다"였다고. DAY6 담당자가 신곡을 들려 주러 가면 "DAY6의 곡은 기대된다 빨리 듣자"며 재촉한다고 한다. 앨범 발매 전 기획 회의할 때 가장 즐겁고 부담 없는 가수로 DAY6를 꼽기도 했다. 그래서인지 완성된 곡을 들고 가면 웃으면서 "다음 곡은 언제 완성될 것 같아?", "빨리 듣고 싶다"고 한다고. * [[박진영]]을 "진영이 형"이라고 부르는 마지막 팀이 될 것으로 보인다. DAY6 이후로 데뷔한 팀들은 모두 피디님이라고 부르기 때문. * 소속사 다른 팀들에 비해 데뷔 초부터 회사 및 [[박진영]]이 기본적으로 DAY6의 음악엔 전혀 손을 대지 않고 개성을 지켜 준다고 한다. 밴드이기도 하고, 원래 본부가 아닌 아티스트 레이블이었던 '[[JYP엔터테인먼트#STUDIO J 본부|Studio J]]' 소속이라 음악적 자유도가 높기 때문. 외부 OST 공동 작사를 제외하고는 [[박진영]]과 작업하거나 곡을 받은 적이 없으며, 엄격하기로 유명한 녹음 디렉 또한 받은 적 없다. * 회사에 알게 모르게 밴드를 하는 사람이나 했던 사람들이 많아 도움을 많이 받는다고 한다. 사장인 정욱도 밴드를 정말 좋아해서 DAY6 세대에서는 잘 모르는 밴드를 알려 준다고. 뱀뱀의 말에 따르면, 연습생 시절에도 (다른 연습생들이) 춤 추는 것보다 DAY6 멤버들이 악기 연주하는 게 회사 분들에게 인기가 많았다고. * 2015년 첫 단독 콘서트에서 시작된 DAY6의 대표적인 컨텐츠로, '데이식스 작곡, 여러분 작사' 즉 '''데작여작'''이 있다. 콘서트장에서는 작성 후 종이 비행기로 접어 날리기 / 입장 직전 포스트잇 쓰기 / 공연 며칠 전 미리 설문 조사 등으로 가사 아이디어를 받고, V LIVE에서는 댓글로 가사를 달아 주면 멤버들이 그것을 보고 활용하여 즉석에서 작사/작곡하여 노래를 불러준다. 특히 2017년 [[Every DAY6 Project]] V LIVE에서 매달 꾸준히 이어져 왔다. 단독 콘서트 및 팬미팅에서도 항상 코너로 등장하며, 데이식스가 출연하는 방송 및 라디오에서 차용되기도 한다. 이를 테마로 만들어진 프로그램이 2020년 [[네이버 나우]]의 [[음악이 모임]]이다. * 2018년 [[불후의 명곡]] 출연 당시, 멤버들은 1승은 상상도 못했고, 공연 전만해도 "우리가 준비한 것만 딱 보여주고 오자"는 생각에 무대 시작 전만 해도 "감사했습니다." 하고 미리 인사하고 올라갈 정도였다고 한다. [[성진(DAY6)|성진]]은 아예 정신이 없었고 당연히 DAY6 쪽에 불이 꺼지겠거니 하고 생각하며 바닥만 쳐다봤는데 쾅 하는 소리와 함께 불이 꺼지지 않고 관객 환호성이 들려서 그때야 1승을 깨달았다고.[* [[Young K]]는 [[성진(DAY6)|성진]]의 반응을 보고 1승 했다는 것을 깨달았다고 한다.] * 멤버들의 음악적 취향은 다들 다르지만, 공통적으로 좋아하는 밴드는 [[Coldplay]], [[The Script]] 등이 있다. 일본 밴드 중에서는 [[ONE OK ROCK]]. * 팬들의 [[제창/한국|떼창]]을 매우 좋아한다. 데뷔 연차가 쌓인 지금까지도 노래를 따라 부르면 신기하다는 듯한 반응을 보이곤 한다. 자신들의 공연을 "[[My Day]] 노래 들으러 간다."라고 표현하기도 하며, 진짜 돈 내고 티켓팅해서 갈 테니 My Day 공연 한 번 열어 보라는 말을 하기도 했다. 팬들의 떼창을 들으며 매우 행복해 하는 영상이 유명하기도 하다. [[https://youtu.be/gSaCZL5GBf8|#]] 멤버들 주변에서도 콘서트 때 팬들 떼창이 너무 좋았다고 먼저 얘기해 주기도 한다고. 요즘에는 공연할 때 팬들이 노래할 수 있게 즉석에서 악기 반주를 연주해 주기도 한다. * 오래 전부터 매 콘서트 말미에 멤버들이 앵콜 무대를 준비하러 사라졌을 때 '앵콜'이나 가수 이름을 부르는 대신, 팬들끼리 미리 정한 노래를 완창하는 문화가 있다. 일명 '''앵콜떼창'''(앵떼). * 아이돌 특유의 그룹 인삿말 구호가 없다. 이에 대해 --가끔 나가는-- 방송에서 DAY6의 다소 평범한 그룹 인사를 보고 놀라워하는 MC들의 반응을 볼 수 있다. 이것이 아쉬웠던 [[도운]]이 멤버들과 술을 마시다 '''"하루가 짧다, 데이식스!"'''를 고안해[* 각 잡고 멋있는 것보다 우리만의 구수하고 재밌고도 웃긴 게 하고 싶었다고 한다.] 인삿말로 밀었지만... 형들에 의해 기각되었다.[* [[원필]]: 이건 방송용이 될 수 없다, [[성진(DAY6)|성진]]: 부적합하다.] 그렇지만 꾸준히 주장한 덕분인지(?) 2024년 이슬라이브에서 [[https://youtu.be/mv20PoNo0GY|건배사]]로 쓰이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 가장 일찍 일어나는 멤버는 [[Young K]]가 대학생이었을 때를 제외하면 --학식k-- [[도운]].[* 이에 본인은 1년 전에 비해 많이 바뀌었다며 시간이 예전처럼 느긋한 편은 아니다 보니까 혼자서 체계적으로 나를 준비하는 생각이 바뀐 것 같다고, 최대한 어떻게 활용을 해볼까 한다고 한다. 옛날에는 아침에 일찍 일어난다는 건 상상도 못했다고.] * 외동인 [[Young K]]를 제외하고 멤버 모두 누나가 한 명 있는 막내들이다. --남동생식스--[* 〈EVERY DAY6 FINALE CONCERT -THE BEST MOMENTS-〉에서 리더인 [[성진]]이 감사 멘트를 할때 "저희가 무럭무럭 자랄 수 있게 도와준 가족, 예를 들면 뭐... 누-나?", "우리가 이끌기로 했는데 계속 이끌리려 하네, 의지하고 싶은 마음이 또 있어요 사실... 막내라서 그래요, 집에서."라고 말하며 남동생식스다운 면모를 보여준 바 있다.] * [[성진(DAY6)|성진]] 외에 다른 멤버들은 모두 JYP 입사하기 전에 하나 이상 악기를 배운 적이 있다. [[원필]]은 부모님께서 피아노 학원을 운영하셨기에 어릴 때부터 건반을 보고 자랐고, 노래 부를 때 그에 맞는 악기를 직접 연주하면 좋겠다는 생각에 중학생 때 건반 코드 등을 독학했다고 한다. [[Young K]]는 초등학생 때 바이올린을 4년 배웠으며, 중학생 때는 학교 부활동으로 테너 색소폰을 3년 정도 했었고 취미로 기타를 독학했다. [[도운]] 또한 중학생 때부터 드럼을 시작해 예고-예대를 졸업한 드럼 전공자이다. * 2018년 6월 숙소 이사를 하면서 멤버들 모두 처음으로 각 방을 사용하게 되어 만족도가 매우 높다. 방 꾸미기에 여념이 없다고. 각 방이 생겨서인지 다들 전보다 방을 깨끗하게 정리한다고 한다.[* 이사했던 그 해 여름 기준, [[원필]]의 방에만 에어컨이 있었는데 괜찮냐는 팬의 말에 [[도운]]이 "[[원필]]이 형 방에 에어컨 있어서 괜찮아요~"라고 말한 걸 보니 방들이 이어져 있는 듯.] 하지만 활동 중에 급하게 이사하게 되어 기본적인 도배장판이나 인테리어 등을 바꾸지 못 하고 들어 갔다고. --노란 장판과 굉장한 무늬의 벽지들-- 당시 앨범 활동 이후로 투어가 시작되기도 했고 이미 이사한 후엔 짐 때문에 도배장판을 바꾸기 힘들어서 몇 년이 지난 현재까지 그 상태 그대로라고 한다. * 2018년 이후로 해외 투어를 할 때도 멤버 모두 각 방을 쓴다. * 2018년 첫 팬미팅 'You Made My Day'에서 처음으로 악기 체인지를 해 'Congratulations'를 불렀다. 맡은 악기는 [[성진(DAY6)|성진]] 드럼, [[Young K]] 일렉 기타, [[원필]] 어쿠스틱 기타, [[도운]] 키보드. 성진의 파트는 도운이 불렀다.[* [[My Day]]가 [[성진(DAY6)|성진]]의 도입부 파트를 따라 부르다 [[도운]]이 [[성진(DAY6)|성진]]의 파트를 부르는 것을 듣고 모두 노래를 멈췄다.] 원래 기타를 칠 줄 알던 [[Young K]]와 달리 다른 멤버들은 해본 적 없는 악기였기 때문에 연습을 엄청나게 했다고. 같은 해 12월, 연말 크리스마스 콘서트인 'The Present'에서 그 무대를 다시 한번 더 선보였다. 이후 2019년 두 번째 팬미팅 'Scentographer'에서 'I Loved You'를 악기 체인지해서 부르기도 했다. * [[DAY6/음반#s-6|미발매곡]] 중 YOU, PANDORA, EYELESS, I CAN는 '갓시리즈'라고 불린다. 나머지 미발매곡은 일회성으로 보여준 데 그쳤지만, 갓시리즈는 데뷔 전부터 지금까지도 종종 부르는 곡들이다. 하지만 발매할 계획은 없다고 한다. 2019년 1월, 데뷔 초와 달리 이제는 발매한 곡이 꽤 되기 때문에 정식 콘서트에서는 갓시리즈를 부르지 않겠다고 했다. 이에 아쉬워 하는 팬들이 많자 대신 2019년 6월 두 번째 팬미팅 'Scentographer'에서 4곡을 메들리로 이어서 불러주었다. * 연습생 때 다른 연습생들보다 좀 더 자유로웠던 것 같다고 한다. 회사가 허용해줘서가 아니라 자신들이 그렇게 살았다고. 연습생 때 뭘 잘못해서 연습 정지 받으면 내심 기뻤다고 한다. 살짝 휴가 같았었다고. * 서로 음악 취향을 많이 공유한다. 추천한다기보다 숙소 방에서 그냥 듣고 있고, 들려주고 싶으면 블루투스 스피커로 크게 튼다고. 노래가 좋으면 서로 물어 보고 음악 이야기를 자연스럽게 하는 편이다. 갑자기 멜로디가 생각나 흥얼거리다 녹음을 하고 작업실에 가서 발전시키기도 한다고 한다. * 반면, 상대적으로 작곡에 덜 참여하는 [[도운]]은 평소에도 가장 자주 듣고 좋아하는 곡으로 DAY6를 꼽기도 했다. 형들이 진짜 노래를 잘 만든다고. 샤워할 때도 듣는다. 이에 대해 [[Young K]]는 자신들이 만든 곡을 같은 멤버인 도운이가 좋아해 줘서 너무 고맙다고 했다. * [[원필]] 또한 이제는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가수이자 장르가 곧 데이식스가 되었다고 한다. * 술을 마시며 진지한 이야기를 자주 나눈다. 같이 사니까 따로 시간을 내진 않고 각자 의견을 자유롭게 내는 편이라고. 내고 난 다음에 리더 [[성진(DAY6)|성진]]이 취합을 한다. 각각 이야기를 다 들어보면 다 이해되는 말들이라 '이런 생각을 하는구나' 하고 듣는 재미가 있다고 한다. 멤버들이 활동 중단 중인 시점에는 [[DAY6 (Even of Day)|이오데]]끼리 항상 [[원필]]의 방에 모여서 술을 마시며 수다를 떨었다고. 이러면서 만들어진 앨범이 유닛 미니 앨범 2집 〈[[Right Through Me]]〉이다. * 곡들의 보컬 난이도가 상당히 높다. 멤버 전부 보컬을 맡고 음역대가 다들 하나같이 넓어서 만일 1인 보컬로 데이식스 노래를 커버한다면 보컬에게 묵념을…. 대부분의 곡들이 [[2옥타브]] 후반대에서 [[3옥타브]]를 넘어가는 편이라, 여자 보컬에게도 고음역대인 노래가 많다.[* 여성 보컬들도 데식 노래를 부를 때는 원키 그대로 부르거나 한두키 정도만 조정하는 경우가 많다.] 대표곡 중 하나인 '[[예뻤어]]'는 최고음이 [[고음/노래 목록/한국#s-2.3.2|2옥타브 라#]]으로, 데이식스 곡들 중에서는 그렇게 고음역대의 곡은 아님에도 불구하고 웬만한 남자 보컬리스트들도 부르기 어려워 하는 곡이다.[* 파사지오 구간을 길게 끄는 부분이 많고, 러닝타임이 긴 데다 1명이 아닌 다인원이 부르는 곡이고 그만큼 쉬는 구간도 없다.] [[10CM]]의 [[권정열]] 또한 '[[예뻤어]]'를 부르기 전에 "저도 키가 꽤 높은 편이라 남자 보컬 노래할 때 낮춰 본 적이 별로 없거든요? 근데 (데이식스 노래는) 낮췄어요.. 아 왜 이렇게 높게 썼어요? 나 진짜 깜짝 놀랐네"라고 말하기도 하였다.[[https://youtu.be/rq_N3ESXmOU?t=741|영상]] * 멤버 전원이 [[현역병|현역]]으로, 각자 다른 군 생활과 다른 보직을 맡게 되었다. [[성진(DAY6)|성진]]은 육군 조교, [[Young K]]는 카투사 행정병, [[도운]]은 육군 본부 소속 군악대, [[원필]]은 해군으로 복무했다. 특히 [[Young K]]는 '''아이돌 최초 카투사''', [[원필]]은 '''아이돌 최초 해군'''[* 그것도 비전투과가 아닌 소양함에서 '''전역할 때까지 갑판병'''으로 복무했다.]이라는 점도 눈에 띈다. 이런 특이성 때문인지 전역한 성진을 제외한 세 멤버는 국방FM 라디오 프로그램에 함께 초대되거나, 국방부가 주최하는 '제74주년 국군의날 기념 KBS 불후의 명곡'에 출연하여 각자의 군 복무 형태에 대한 이야기를 하기도 했다. * 복무 형태가 전부 다르다 보니 군복도 다 다르게 입게 되었다. 성진은 빨간 [[조교(군대)|조교]] 모자를, Young K는 미 육군 군복인 [[멀티캠#s-1.1|OCP]]를, 원필은 해군의 [[세일러복]]과 푸른빛의 [[군복/한국군/해군#s-2.4.2|함상 전투복]]을, 도운은 [[레드 코트]]를 차용한 [[군복/한국군/육군#s-7.3|군악복]]을 입었다. 멤버들 모두 전역하면 각자의 군복을 입고 같이 사진을 찍고 싶다고. [[파일:day6 군복.gif|width=400]] * 복무 형태가 다르다 보니 마찬가지로 경례구호 또한 다르다. [[Young K]]는 주한 미8군 한국군지원단 소속이므로 '단결', [[원필]]은 해군이므로 '필승', [[성진(DAY6)|성진]]과 [[도운]]은 육군 표준 경례구호인 '충성'을 외쳤다. 군인 신분으로 함께 방송에 나갈 때마다 각자 경례구호를 외치곤 했다. * [[군백기]]가 2년 8개월로 심지어 멤버 모두가 군대에 있는 진짜 '공백기' 기간은 대략 2022년 4월부터[* 3월 말 원필이 마지막으로 입대] 2022년 8월까지[* 9월 초 성진 전역] 약 5개월 정도로 꽤나 짧은 편인데, 이는 원필과 도운이 팀의 군백기를 줄이기 위해 노력했기 때문이다. [[도운]]은 95년생이라 약 1~2년 정도 더 미룰 수 있음에도 먼저 입대하였으며, [[원필]] 또한 육군이나 군악대를 지원할 수 있었으나 혹시나 떨어지게 되면 입대일이 밀리게 되는지라 솔로 활동이 끝나자마자[* 3월 13일까지 콘서트 개최 후 3월 28일 입대였으나 입대 전날인 3월 27일까지 콘서트를 추가하였다.] 가장 빨리 갈 수 있는 해군을 선택했다. 멤버들 모두 완전체에 대한 의지가 강하기 때문에 결정할 수 있었다고 한다. 빨리 다시 모이기 위해 모두 비슷한 시기에 군대를 가기로 오래 전부터 얘기해 왔었다고. 이후 군백기 중 멤버 전원 재계약 체결 소식이 알려지면서 멤버들의 팀에 대한 애정과 의지를 또 한번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 [[원필]]은 자기 때문에 데이식스 완전체가 더 늦게 모이게 되는 게 너무 싫어서 경쟁률이 높은 육군을 제외하고 해군, 공군, 해병대까지(...) 전부 지원했다고 한다. 멤버들과 시기만 맞출 수 있다면 어디를 가도 상관 없었다고. 아이돌 최초 해군이 된 이유도 육군보다 복무 기간이 길고, 훈련도 힘들기 때문에 애초에 아이돌은 잘 지원하지 않기 때문. * 또한 해군 입대 후 의무적으로 배를 타야하는 6개월이 지난 후에도 배에서 내리지 않고 전역할 때까지 함정 근무를 하였는데, 이는 배에서 내리지 않고 근무한 함정근무병에게 주어지는 휴가를 받아 조금이라도 빨리 데이식스로 복귀하고 싶었기 때문. 함정 근무 자체가 힘든데 그 중에서도 가장 힘든 갑판병[* [[파일:군 복무 난이도별 티어.jpg|width=400]]]으로 전역할 때까지 배를 탄 것이다. 이처럼 승함병으로서 수상함에 전역할 때까지 근무한 건 아이돌을 떠나 '''연예인으로서도 최초'''이다. 이런 [[원필]]의 노력 덕분에 전역한 지 한 달만에 완전체로 [[The Present : You are My Day|크리스마스 공연]]을 할 수 있게 되었다. * 2023년 11월 27일에 마지막으로 원필이 전역함으로써 멤버 전원이 현역으로 군 복무를 마무리하였다. 3번째로 군백기를 끝낸 3세대 아이돌로, 같은 세대 다른 팀들의 군백기가 시작할 시기에 [[군백기]]를 끝내고 돌아왔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았다. * 엔터테인먼트사·방송사 재직자, 영화 및 방송 콘텐츠 제작자, 연예부 기자 등 업계 종사자 200명을 대상으로 한 2022년 '나만 알고 싶은 가수' 1위로 데이식스가 선정됐다. [[https://www.joynews24.com/view/1535000|[창간18년] "업계 사심픽"…'믿듣데' 데이식스, '나만 알고 싶은 가수' 1위]] ||{{{-1 '좋은 음악은 언제나 통한다'는 아주 단순한 명제를 바탕으로 '모든 순간을 노래하는 밴드'라는 데이식스의 목표에 끊임 없이 다가가고 있는 셈이다. 이들의 음악을 가장 근거리서 지켜보는 연예 관계자들이 데이식스를 '사심 픽'에 넣은 이유도 이와 크게 다르지 않다.}}}|| * 2024년 1월, '[[예뻤어]]'와 '[[한 페이지가 될 수 있게]]'가 발매된 지 약 7년, 5년만에 '''더블 역주행'''을 하였다. 과거 2020년 1월 '예뻤어'가 역주행한 적은 있지만 차트에 오래 머무르진 못 했는데, 이번에는 발매 후 최고 순위를 경신하여 멜론 TOP100 7위, 9위까지 올랐으며 월간 차트에까지 올랐다. 발매 시기가 꽤나 차이 나는 두 곡이 동시에 10위권 내에 오를 정도로 역주행한 것은 정말 흔치 않은 사례다. 더블 역주행과 더불어, 3월 18일에 발매한 미니 8집 〈[[Fourever]]〉 또한 JYP 엔터테인먼트에서 발매한 앨범 중 '''수록곡까지 전부 멜론 TOP100에 차트인한 최초이자 유일한 앨범'''이 되었다. 컴백과 함께 나온 딩고의 [[킬링보이스]] 영상까지 화제가 되면서 멜론 일간 차트 1000위 안에 무려 '20곡'[* 예뻤어, 한 페이지가 될 수 있게, 〈[[Fourever]]〉 앨범 7곡, Love me or Leave me, Lovehoilc, 행복했던 날들이었다, Zombie, Congratulations, 뚫고 지나가요, 좋아합니다, 행운을 빌어 줘, 놓아 놓아 놓아, Sweet Chaos, Shoot Me]이나 차트인하게 되었다. 이로써 '''멜론 일간 차트 1000위권 내 최다 진입한 그룹'''이라는 기록까지 세웠다. * 2023년 연말에 멤버 모두 군백기를 끝내고 2024년 4월에 드디어 전역 후 첫 앨범 콘서트인 〈[[Welcome to the Show(콘서트)|Welcome to the Show]]〉를 [[잠실실내체육관]]에서 개최하였는데, 데이식스 공연 역사상 처음으로 360도 완전 개방 형태로 진행되었다. 그런데도 좌석이 부족해 유보석과 시야 제한석을 추가로 오픈하였으며, 심지어는 첫콘 전 날에 판매 보류석까지 더 오픈하였다. 총 관객수는 약 34,000명으로, 한 회당 약 11,300명 정도이다. 이에 따라 공연예술통합전산망 기준 '''[[잠실실내체육관]]에서 진행된 [[서울종합운동장 실내체육관#역대 공연 및 행사|역대 공연 및 행사 규모 중 가장 많은 관객을 동원하는 기록]]'''을 세운 것으로 보인다. == 역대 활동별 단체 티저 == ||<-3> {{{#white '''한국 앨범 OFFICAL PHOTO'''}}} || ||[[파일:DAYDREAM 티저.jpg|width=100%]] ||[[파일:Every DAY6 January 티저.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10px -10px" [[파일:Every DAY6 February 티저.jpg|width=100%]]}}} || || {{{-2 [[DAYDREAM(DAY6)|{{{#white '''DAYDREAM'''}}}]]}}} || {{{-2 [[Every DAY6 January|{{{#white '''Every DAY6 January'''}}}]]}}} || {{{-2 [[Every DAY6 February|{{{#white '''Every DAY6 February'''}}}]]}}} || ||[[파일:Every DAY6 April 티저 1.jpg|width=100%]] ||[[파일:Every DAY6 April 티저 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10px -10px" [[파일:Every DAY6 May 티저 1.jpg|width=100%]]}}} || ||<-2> {{{-2 [[Every DAY6 April|{{{#white '''Every DAY6 April'''}}}]]}}} || {{{-2 [[Every DAY6 May|{{{#white '''Every DAY6 May'''}}}]]}}} || ||[[파일:Every DAY6 May 티저 2.jpg|width=100%]] ||[[파일:SUNRISE 티저.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10px -10px" [[파일:Every DAY6 July 티저.jpg|width=100%]]}}} || || {{{-2 [[Every DAY6 May|{{{#white '''Every DAY6 May'''}}}]]}}} || {{{-2 [[SUNRISE|{{{#d6d9c7 '''SUNRISE'''}}}]]}}} || {{{-2 [[Every DAY6 July|{{{#white '''Every DAY6 July'''}}}]]}}} || ||[[파일:Every DAY6 August 티저 1.jpg|width=100%]] ||[[파일:Every DAY6 August 티저 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10px -10px" [[파일:Every DAY6 November 티저.jpg|width=100%]]}}} || ||<-2> {{{-2 [[Every DAY6 August|{{{#white '''Every DAY6 August'''}}}]]}}} || {{{-2 [[Every DAY6 November|{{{#white '''Every DAY6 November'''}}}]]}}} || ||[[파일:MOONRISE 티저 1.jpg|width=100%]] ||[[파일:MOONRISE 티저 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10px -10px" [[파일:MOONRISE 티저 3.jpg|width=100%]]}}} || ||<-3> {{{-2 [[MOONRISE|{{{#f6cf74 '''MOONRISE'''}}}]]}}} || ||[[파일:Shoot Me 티저.jpg|width=100%]] ||[[파일:Remember Us 티저.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10px -10px" [[파일:The Book of Us Gravity 티저 1.jpg|width=100%]]}}} || || {{{-2 [[Shoot Me : Youth Part 1|{{{#000 '''Shoot Me : Youth Part 1'''}}}]]}}} || {{{-2 [[Remember Us : Youth Part 2|'''{{{#!html Remember Us : Youth Part 2}}}''']]}}} || {{{-2 [[The Book of Us : Gravity|{{{#f17610 '''The Book of Us : Gravity'''}}}]]}}} || ||[[파일:The Book of Us Gravity 티저 2.jpg|width=100%]] ||[[파일:The Book of Us Entropy 티저 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10px -10px" [[파일:The Book of Us Entropy 티저 2.jpg|width=100%]]}}} || || {{{-2 [[The Book of Us : Gravity|{{{#f17610 '''The Book of Us : Gravity'''}}}]]}}} ||<-2> {{{-2 [[The Book of Us : Entropy|{{{#b6171c '''The Book of Us : Entropy'''}}}]]}}} || ||[[파일:The Book of Us The Demon 티저 1.jpg|width=100%]] ||[[파일:The Book of Us The Demon 티저 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10px -10px" [[파일:The Book of Us The Demon 티저 3.jpg|width=100%]]}}} || ||<-3> {{{#!wiki style="margin:-5px -10px; padding: 5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16454, #708aa0)" {{{-2 [[The Book of Us : The Demon|{{{#fff '''The Book of Us : The Demon'''}}}]]}}}}}} || ||[[파일:The Book of Us : Negentropy - Chaos swallowed up in love 단체 1.jpg|width=100%]] ||[[파일:The Book of Us : Negentropy - Chaos swallowed up in love 단체 2.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5px -10px; padding: 5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cda5f, #dd5c3d)" {{{-2 [[The Book of Us : Negentropy - Chaos swallowed up in love|{{{#fff '''The Book of Us : Negentropy - Chaos swallowed up in love'''}}}]]}}}}}} || ||[[파일:Fourever_Group Concept Photo 1.jpg|width=100%]] ||[[파일:Fourever_Group Concept Photo 2.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5px -10px; padding: 5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9B5A5, #916962, #815C54, #A97A73, #B48976)" {{{-2 [[Fourever|{{{#fff '''Fourever'''}}}]]}}}}}} || [[분류:DAY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