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라틴문자]] 4번째 글자 == [include(틀:라틴 문자)] ## ||<-3> '''{{{+3 D / d}}}''' || ||<|7> 이름 || [[라틴어]] ||데 (Dē, [deː]) || || [[영어]] ||디 (Dee, [diː]) || || [[프랑스어]], [[스페인어]] 등등 ||데 (Dé[* 불어]], De[* 나머지 언어들에서] [de]) || || [[독일어]], [[스웨덴어]] ||데 (De, [deː]) || || [[이탈리아어]] ||디 (Di, [di]) || || [[에스페란토]] ||도 (Do, [do], [dɔ]) || || 발음 ||<-2>d[br]t[br]ɗ[br]z (북부 [[베트남어]])[br]j (남부 [[베트남어]])[br]ⁿd[* 이 경우 보통은 '''nd'''의 꼴로 사용된다.][br]ɖ || [[그리스 문자]] [[델타]](Δ/δ)에서 유래한 라틴문자이다. 발음은 'ㄷ' 발음이다. [clearfix] === 자형 === [[에트루리아]]인들이 이 글자를 받아들일 때 D를 좌우로 뒤집은 모양대로 썼고, 이를 로마인들이 D의 형태로 쓰기 시작하면서 현재의 형태가 확립되었다. 유래가 같은 [[키릴 문자]]의 Д는 인쇄체가 무척 다르지만 [[필기체]]는 로마자 D와 비슷하다. 소문자는 b, d, p, q가 서로 닮은 편이다. 대문자 [[B]], D, [[Ρ]], [[Q]]가 그다지 닮지 않은 것과는 대조적이다. [[A|a]]의 경우 인쇄체는 윗머리가 길지만 많이들 ɑ로 쓰기 때문에 d의 윗머리를 짧게 쓰면 ɑ처럼 보일 위험이 있다. 서양 [[이모티콘]]으로는 :D 식으로 눕혀서 웃는 입 모양을 나타내기도 한다. 수평선을 하나 그은 '[[Ð]]/ð'가 있는데 'edh/eth'라고 부른다. [[중세]]에 [[영어]], [[아이슬란드어]] 등등에서 썼던 모양. [[Ð]] 참조. [[대문자]] 축소 버전(small caps)으로 'ᴅ'가 있다. 대문자 축소 버전을 간혹 [[국제음성기호]]로 쓰기도 하나 D의 경우 [[국제음성기호]]에서 이를 사용하지 않는다. === 빈도 === [[영어]]에서 D의 사용 빈도는 4% 정도로 딱 1/26보다 약간 더 높은 1/25 정도이다.[[https://en.wikipedia.org/wiki/Letter_frequency|#]] 다른 언어에서도 대부분 3~5% 정도이며 [[아이슬란드어]]나 [[핀란드어]]에서는 1%로 극단적으로 낮다. 제일 많이 쓰이는 언어는 [[네덜란드어]]로 5.9% 정도. 영어에서는 'de-'나 'dis-'와 같이 부정적이거나 무언가를 없애는 방향 또는 아래의 의미를 가진 접두사가 많기 때문에, 해당 의미의 단어 중 d로 시작하는 것이 꽤 많은 편이다. discard(버리다), defeat(패배), decode(복호화하다)[* 암호(code)를 제거하다], discover(발견하다)[* 덮개(cover)를 제거하다], description(설명)[* 아래로(de-) 글을 적어나가다(script)] 등등 === [[키보드]]에서 === [[쿼티]] 키보드에서 2번째로 많이 눌리는 키가 D(ㅇ)키이다. 대개 왼손 D(ㅇ) 자리에 [[검지]]~[[중지]]가 오기 때문. 왼손 중앙줄 '[[asdf]]'가 같이 묶인다. 참고로 1위는 [[E]]키이다. 특문을 포함하면 [[스페이스 바]]가 넘사벽이다. 그리고 [[두벌식 자판]]에서는 진짜 1위이다. 당장 [[리포그램|ㅇ 없이 글쓰기]]를 해보자. [[나무위키]]에서는 D키를 누르면 최근 토론(recent 'd'iscuss) 페이지를 볼수있다. == 고유명사 == === 인물 === * [[도쿄 레이븐스]]의 등장인물 [[아시야 도우만(도쿄 레이븐스)|아시야 도우만]]의 별칭 D * [[마크로스 제로]]에서 등장하는 [[D.D. 이바노프]] * [[변신자동차 또봇]]에서 등장하는 [[또봇 D]] * [[뱀파이어 헌터 D]]에서 등장하는 [[D(뱀파이어 헌터 D)]] * [[수전전대 쿄류쟈]]에서 등장하는 [[영맹의 전기 D]] * 대한민국의 디자이너 [[D(디자이너)]] * [[EZ2AC 시리즈]]의 패턴제작자 [[D(EZ2AC)]] * [[오버워치]]의 [[D.Va]] * [[펫숍 오브 호러즈]]의 [[D 백작]] * [[탐정의 왕]]에 나오는 등장인물 [[D(탐정의 왕)]] * [[DIO]] * --[[오노 다이스케]]--[* 애칭으로 오노'''D''', 오노디라고 불린다(...).] * [[노블레스(웹툰)|노블레스]]에서 등장하는 약 [[D(노블레스)]] * [[누을 NuEul#D (Emile Dwerryhouse)]]의 캐릭터 * [[거미입니다만, 문제라도?]]의 [[거미입니다만, 문제라도?/등장인물|등장인물]] * [[평행도시]]에서 등장하는 [[D(평행도시)|D]] * [[승리의 여신: 니케]] 의 등장 니케 [[D(승리의 여신: 니케)|D]] ==== [[미들네임]] ==== * [[D.Gray-man]]의 등장인물 [[마나 워커|마나 D 켐벨]], [[14번째|네아 D 켐벨]]. 작중 제목도 '''D'''.gray man 이라 꽤 의미심장한 부분이다. 인터뷰에서 작가는 마지막 결말을 누군가에게 편지를 쓰는 형식으로 끝나고, D로 끝난다고 했다. 팬들은 이를 보고 '''Dear'''누구누구로 끝나는 거 아니냐는 추측도 돌고 있고, 마나와 14번째의 본명이 드러나자 우스갯소리로 [[원피스(만화)|원피스]]의 [[D의 일족]]아니냐며 관련 드립도 나오고 있다. * [[원피스(만화)|원피스]] [[D의 일족]] * [[슈퍼로봇대전 시리즈]]의 [[슈퍼로봇대전 D]] ==== [[엘든 링]]의 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D(엘든 링))] === 집단 === * [[비주얼계]] 하드[[록밴드]] [[D(밴드)]] * [[원피스(만화)|원피스]]에서 등장하는 [[D(원피스)]] * [[유희왕]]의 [[데스티니 히어로|D-HERO]], [[디포머]] * [[이니셜D]]의 [[프로젝트 D]]와 이를 사칭한 [[가짜 프로젝트 D]] === [[음악]] 관련 === * [[프란츠 슈베르트]]의 작품 번호인 도이치 번호의 약자 [[프란츠 슈베르트#s-6|D]] * [[비트매니아 IIDX 17 SIRIUS]]의 엑스트라계열 악곡 [[D(BEMANI 시리즈)]] * [[EZ2AC 시리즈]]의 코스. [[EZ2DJ 7th TRAX Ver 1.5]]의 D와 [[EZ2AC : EVOLVE]] 2.01b부터 등장한 D가 있으며, 각각 구디와 신디로 구분한다. [[D(EZ2AC)]]] 문서 참조. * [[DEAN(가수)|DEAN]]의 노래 D (half moon) * [[펌프 잇 업]]의 수록곡 [[D(펌프 잇 업)|D]] * [[델리스파이스]]의 4집 [[D(음반)|D]] * [[BIGBANG]]의 싱글 [[D(BIGBANG)|D]] === 기타 === * [[3DO]]의 게임 [[D의 식탁]]의 해외명. * [[맥주]] 브랜드 d는 'dry finish'에서 온 말이다. == 개념 == === [[열차의 등급|열차 등급]] D === [include(틀:독일과 오스트리아의 열차 등급)] * D/D-Zug/Durchgangszug, [[독일어권]] [[유럽]] 국가에서 부르는 [[인터시티(유럽)|장거리 급행]] [[유로나이트|등급 열차]]들의 총칭. * [[중국]]의 [[특급(철도)|특급]] [[열차의 등급|등급명]] D. === [[프로그래밍 언어]] [[D(프로그래밍 언어)|D]]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D(프로그래밍 언어))] === Cohen's d === 효과크기(size of effect)를 나타내는 지수. 가설 검정을 하면 많은 경우 가설이 맞는지 틀린지는 알수 있으나, 맞다고 하더라도 정확히 얼마만큼 영향이 있는지 알 수 없다. 즉 똑같이 효과가 있어도 하나는 영향이 미미할 수 있고 다른 하나는 영향이 엄청날 수 있는데, 가설 검정만으로는 알 수가 없다. 그래서 영향의 정도를 객관적을 나타내는 것을 효과크기라 한다. 보통 아래와 같은 식으로 나타낸다.[* t√n으로도 나타낼 수 있다. t=t점수(t score)이고 n=표본수]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t test)은 식이 다른데, [[https://www.ai-therapy.com/psychology-statistics/hypothesis-testing/two-samples?groups=0¶metric=0|여기서]] 계산할 수 있다. [[파일:cohen's d.gif]] 보통 ~0.2까지는 영향이 약한 것으로 친다. 그리고 0.8을 넘어가면 영향이 강한 것으로 여긴다.[* Pagano, R. R. (2012). Understanding statistics in the behavioral sciences. Cengage Learning.pp339-340.] == 기호 == === '4번째' === [[16진법]]에서 [[13]]을 의미한다. 10부터 A를 붙이기에 4번째인 13이 D에 해당한다. === [[브래지어]]의 [[컵(브래지어)|컵]] 사이즈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컵(브래지어), 앵커=D컵)] [include(틀:가슴 크기)] === [[성적]]의 단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ABCDE 등급)] C보다도 낮은 성적이며, 이 성적부터는 거의 재수강을 하는 학생들이 많다. 상대평가라 할지라도 C 이하로는 상한선이 없어서 어느 정도 성의만 보이면 D도 받을 일이 거의 없다. === 약호 === * 영어에서는 [[좆|거시기]]를 뜻하는 말인 dick을 D, the D라고 순화(?)하여 부르기도 한다. 예를 들면 'She wants the D' 같은 식으로(...) * [[중수소]]('d'euterium, 듀테륨)의 표기 * [[안경]]의 도수를 나타내는 단위 D. 'diopter'의 약자이다. * [[메탈슬러그 시리즈]]의 [[드롭 샷(메탈슬러그 시리즈)|드롭 샷]]('D'rop Shot) * [[TRPG]]에서 [[주사위]]('d'ice)의 약어로 사용한다.(예: "3d6"은 [[정다면체|정육(6)면체]] 주사위 3개를 굴리라는 지시문) * [[수학]]에서 거리나 공차를 d(distance)로 나타낸다.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은 'determinant'를 따서 D로 나타낸다. * [[신분당선]]은 다른 노선과의 역 번호 구분을 위해 역 번호 앞에 DX Line의 D를 붙인다. 예를 들면 판교역은 D11번이다. 이 때의 D는 'digital([[디지털]])의 약자인 모양. * '[[디스크|disk]]'(원반)의 약어로, [[컴퓨터]]의 저장 매체가 대부분 원반형이기에 'HD'([[하드 디스크]]), FD([[플로피 디스크]]), [[CD]](컴팩트 디스크), DVD(Digital Versatile Disc) 등에 D가 들어간다. * 자동변속기(차량)의 드라이브('D'rive) 레인지 * [[화학(교과)]] - 밀도 (g/ml) * [[판별식]] - 'D'iscriminant === 기타 === * 실험실용 간이 입자가속기의 부품 D. D자 모양으로 생긴 자석이라고 이름도 D다. * [[로마 숫자]]로 [[500]]을 나타낸다. 100, 1000과는 달리 500을 나타내는 [[라틴어]] 단어와는 무관하다. * [[쾨펜의 기후 구분]]에서는 [[냉대기후]]를 나타낸다. * 음악에서 계이름 '레'를 뜻한다. 기타 연주 시 코드 이름에 D가 들어간 코드는 샤프나 플랫이 붙지 않는다면[* 샤프나 플랫이 붙으면 대부분 하이코드이다. 샤프나 플랫이 붙고 자주 쓰는 오픈코드는 F♯m11코드 정도밖에 없다.] 대부분 오픈코드이기 때문에 대체로 쉬운 편이다. 이는 A(라)와 E(미)도 마찬가지이며 반대로 코드 이름에 F(파)나 B(시)가 들어간 코드는 대부분 하이코드이기 때문에[* 코드 이름에 F나 B가 들어간 오픈코드는 FM7코드와 B7코드 정도가 있는데, 그래서 이 두 코드는 각각 F코드와 B코드의 대체 코드로 쓰이기도 한다.] 난이도가 껑충 뛴다. == [[국제음성기호]] [d] == 영어 발음에서와 마찬가지로 [[치경음#s-2.2|유성 치경 파열음]]에 해당한다. [[권설음]]에 [ɖ], [[내파음]]에 [ɗ]가 있다. [ð]는 유성 치 마찰음으로 쓰인다. [[분류:동음이의어]][[분류:로마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