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white '''{{{+1 Clavia DMI AB}}}'''}}} || ||<-3> [[파일:Clavia 로고.png|width=100%]] || ||<-2><:>'''{{{#white 창립}}}'''||[[1983년]], [[스웨덴]] [[스톡홀름]] || ||<-2><:>'''{{{#white 본사}}}'''||[[스웨덴]] [[스톡홀름]] || ||<-2><:>'''{{{#white 링크}}}'''||[[https://www.nordkeyboards.com/|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2 (공식 사이트)}}} || [목차] == 개요 == [[스웨덴]]의 전자악기 제조사. [[1983년]] Hans Nordelius와 Mikael Carlsson가 Digital Percussion은 Plate 1라는 최초의 상업용 드럼제작으로 시작해 [[1994년]] ddrum를 내놓았다.[* 현재 ddrum은 따로 동명의 브랜드로 독립해 생산되고 있다.] 이후 [[1995년]] 버추얼 아날로그 [[신디사이저]] [[Nordlead]]를 출시하면서, 당시 이 악기가 일렉트로닉 뮤지션 중심으로 대중화되며 신디사이저 회사로서 발돋움하기 시작한다. 2001년에는 6,70년대 빈티지 키보드들을 시뮬레이션한 [[Clavia/Nord Electro시리즈|Electro]]를 출시해 현재까지도 대중음악, 레트로 음악을 하는 키보디스트들 중심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고, 그외 Electro+Lead 조합인 [[Nord Stage|Stage]]시리즈, [[스테이지 피아노]] Piano시리즈, 지금은 단종된 37건반 비츄얼 아날로그 Modular시리즈, [[하몬드 오르간]]을 시뮬레이션한 C시리즈등이 출시됐다. 모든 제품을 [[수제]]로 만든다고 한다. [[빨간색]]의 빈티지한 디자인과 비싼 가격 그리고 좋은 사운드 퀄리티 때문인지 일각에서는 Clavia의 제품을 전자악기계의 [[페라리]]라 평가하고 있다. 특히 건반과 관련된 모든 기능들(어쿠스틱,일렉트릭,신스 등등)이 높은 퀄리티로 들어있는 Stage시리즈는 범용성을 무기로 장르를 막론하고 모든 키보드/피아니스트들에게 선호되는 악기다. 한국은 물론이고 세계적으로 빨간색의 Nord 키보드를 무대에서 많이 볼 수 있다. == 제품 목록 == [include(틀:Clavia nord 역대 라인업)] 제품명은 공통적으로 Nord로 시작하며, 각각의 모델마다 주력으로 삼는 소리가 다르다. [[Nordlead]]는 버추얼 아날로그 신디사이저, [[Nord Electro]]는 EP와 오르간 및 기타 건반악기, [[Nord Piano]]는 어쿠스틱 피아노, Nord C는 하몬드 오르간을 메인으로 삼고 있다. 또한 [[Nord Stage]]는 Nordlead+Nord Electro+Nord Piano를 집대성한 Nord의 끝판왕 라인업이라 할 수 있으며, 물론 안 그래도 하나같이 비싼 Clavia의 악기 중에서도 가장 무시무시한 가격을 자랑한다. == 사운드 라이브러리 == Nord시리즈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추가 사운드를 다운로드 받아서 사용할수 있는데, 피아노, 전자키보드 음색모음인 Nord Piano Library와 샘플 모음인 Nord Sample Library가 있다. === Nord Piano Library === Nord Stage, Nord Piano, Nord Electro(Electro 3부터)와 호환되는 피아노 샘플 라이브러리로, Extra Large, Large, Medium, Small 총 4가지 사이즈가 있는데, Small은 기본적인 스테레오 사운드의 벨로시티만 추가되어 있고, Medium은 일부 중요한음의 페달을 밟을시 발생하는 스트링 레조넌스(현의 공명)이 포함되어 있다. Large는 모든음의 스트링 레조넌스가 포함되어 있고, Extra Large는 완벽한 키보드 매핑 된 사이즈로 그만큼 용량도 크다. ==== Grand Pianos ==== * Concert Grand [[외레브로]] 콘서트 홀에서 녹음한 [[스타인웨이]] D-274 피아노의 샘플. 마이크 위치에 따라 Ambient, Close로 나뉜다. Stage, Stage 2에 기본으로 탑재되어있다. * Studio Grand [[야마하]] C7 피아노 샘플. 1,2가 각각 다른 방식으로 녹음되었다. * Grand Lady D 스타인웨이 D-274 피아노 샘플. * Grand Imperial [[뵈젠도르퍼]] 임페리얼 290 피아노의 샘플. * Bright Grand 야마하 S4 피아노 샘플. * Italian Grand 이탈리아 피아노사인 파지올리(Fazioli)의 F212 피아노 샘플. * Silver Grand [[KAWAI]] SK-7 피아노 샘플. * Velvet Grand 독일의 피아노 회사인 블뤼트너(Blüthner)의 모델 1 피아노 샘플. * Royal Grand 3D 야마하 S6 피아노 샘플. 더미 헤드(Dummy Head) 마이크[* 사람 머리모양처럼 생긴 모형에 귀에 마이크가 장착되어 있는 마이크]로 녹음했다고 한다. * White Grand 스타인웨이 B-211 세미 그랜드 피아노의 샘플. ==== Upright Pianos ==== * Rain Piano 스웨덴제 업라이트 피아노의 샘플. * BlueSwede Upright 스웨덴에서 19세기말에 있었던 Östlind & Almquist라는 회사의 업라이트 피아노 샘플. * Romantic Upright 독일의 쉼멜(Schimmel)이 1967년 제조한 업라이트 피아노 샘플. * Saloon Upright 스웨덴의 Baumgardt의 디튜닝(de-tuned)된 업라이트 피아노 샘플. * HonkyTonk Upright Baumgardt의 HonkyTonk 업라이트 피아노 샘플. * Black Upright 체코의 페트로프(Petrof)의 132 모델 샘플. * Queen Upright 뵈젠도르퍼 업라이트 피아노 샘플. * Grand Upright 야마하 U3 샘플. * Mellow Upright 뵈젠도르퍼 C130 샘플. * Bambino Upright 미국의 볼드윈(Baldwin)의 스피넷 피아노[* 밤비노 피아노라고도 하며, 주로 미국에서 생산되는 높이가 1미터가 안되는 업라이트 피아노를 말한다. [[See You Again]]에서 [[찰리 푸스]]가 연주하는 피아노로 예를 들수 있겠다.] 샘플. * Amber Upright 독일의 Grotrian-steinweg사의 132 concertino 업라이트 피아노 샘플 * Baby Upright 스웨덴의 Nordiska사의 작은 사이즈의 업라이트 피아노 샘플. * Felt Upright ==== Electric Pianos ==== * [[로즈 일렉트릭 피아노]] * EP1 MK I, Low Deep * EP2 MK I Suitcase, Close Ideal * EP3 MK II, Shallow Close * EP4 MK V, Ideal Close * EP5 MK I Suitcase, Bright Tines * EP6 Sparkletop Vintage '67 * EP7 Tines Amped * EP8 Nefertiti MKI * [[월리처 일렉트릭 피아노]] * Wurlitzer * Wurlitzer 2 Amped ==== Electric Grands ==== * [[야마하/CP시리즈|야마하 CP80]] * Electric Grand Amped * Electric Grand CP80 * Electric Grand Gerbstedt ==== Clavinets ==== [[호너 클라비넷]]의 샘플. 총 4개의 타입이 나뉘어져 있다. * Hohner Clavinet D6 ==== Harpsichords ==== [[하프시코드]] 샘플으로, 프랑스제, 이탈리아제로 나뉘며, 이 안에도 여러 타입의 샘플들이 들어 있다. * French Harpsichord * Italian Harpsichord ==== Chris Maene Collection ==== Chris Maene은 피아노, 하프시코드 기술자로 여러 역사적인 악기의 수제 복제품과 고급 피아노를 만드는 인물으로 알려져 있다. 아래 샘플들은 모두 Chris Maene의 주도로 제작된 복제품을 샘플로 만든 것이다. * Broadwood Fortepiano 브로드우드(Broadwood)는 18세기 유럽에서 생산 됐던 포르테피아노로[* 피아노의 초기형] [[루트비히 판 베토벤]]이 애용했던 피아노로도 알려져있다. * Mozart Fortepiano Anton Walter가 제작한 포르테피아노로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가 여러 공연에서 애용했던 포르테피아노로 알려져있다. * Steinway No.1 1836년 스타인웨이에서 처음으로 제작된 피아노로 2006년 Chris Maene가 최초이자 유일하게 스타인웨이의 공식 승인을 받고 약 2000시간동안 제작한 복제품의 샘플이다. ==== Digital Pianos ==== [[야마하/DX시리즈|DX-7]]등 80년대, 90년대 신디사이저, 스테이지 피아노의 일렉피아노 샘플. * DigiGrand 1 * DigiGrand 2 * DX Full Tines * DX Rubba Tines * Layers * Ballad EP1 * Ballad EP2 * Hybrid EP * Silver EP ==== Miscellaneous ==== [[마림바]], [[비브라폰]]같은 건반형 [[체명악기]] 샘플. === Nord Sample Library === Nord Stage(Stage 2부터), Nord Piano(Piano 2부터), Nord Electro(Electro 3부터), Nord Wave등과 호환되는 여러 악기들의 샘플들을 모은 샘플 라이브러리. 현재 3.0까지 버전이 나왔고, 악기마다 호환되는 버전이 다르니 참고하기 바란다. 기본 카테고리는 [[스트링]], [[브라스]], [[신디사이저]]등 기본적인 샘플들과, 공식적으로 라이센스를 받은 [[멜로트론]], 체임벌린 샘플들이 포함되어 있고, 사운드 컬렉션엔 카테고리에 없던 멜로트론, 체임벌린 샘플이나, 초기 멜로트론 리듬 테잎 샘플, 아티스트 멜로트론 샘플[* [[탠저린 드림]], [[블랙 사바스]], [[예스(밴드)]], 록시 뮤직등의 멜로트론 사운드.], [[중국의 전통악기]] 샘플, [[Fairlight]], 심포니아 스트링 샘플이 있다. 그외 Nord Sample Editor를 통해 직접 샘플을 만드는것도 가능하다. [[분류:스웨덴의 악기 제조사]][[분류:스웨덴의 음향기기 회사]][[분류:신디사이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