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gold {{{+1 Carpe Diem}}}}}}'''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arpe_Diem_Joker_Out_Thumbnail.jpg|width=100%]]}}} || || '''{{{#gold 발매일}}}''' || '''2023년 2월 4일''' || || '''{{{#gold 장르}}}''' || [[인디 록]] || || '''{{{#gold 작곡}}}''' || Bojan Cvjetićanin, Jan Peteh, Jure Maček, Kris Guštin, Nace Jordan, Žarko Pak || || '''{{{#gold 작사}}}''' || Bojan Cvjetićanin || [목차] [clearfix] == 개요 == >'''The song tells you that you can look at life from two different perspectives at any given moment. It doesn’t take much to look on the bright perspective. So just make the best out of every day, think positive, share love, not war.''' >이 노래는 여러분이 주어진 순간에 두 가지 다른 관점으로 인생을 바라볼 수 있다는 것을 말해줍니다. 밝은 관점에서 보는 것은 그리 많은 것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그러니 매일 최선을 다하고,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사랑을 나누세요. 전쟁 말고요. >---- >[[조커 아웃]] [[슬로베니아]]의 밴드 [[조커 아웃]]의 노래. == 영상 == === 뮤직비디오 === ||<#000> {{{#gold '''뮤직비디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zDBSIGITdY4)]}}}|| === 유로비전 === ||<#000> {{{#gold '''세미 파이널'''}}} ||<#000> {{{#gold '''파이널'''}}}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zCEVHbHi5kA)]}}}||{{{#!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3LXlPviGiWc)]}}}|| == 가사 == || 원어 || 한국어 번역 || || Mi bomo celo noč plesali, Ljubili se in se igrali, Kot da nas jutri več ne bo. Vedno manj besed, tanek led pod nogami žge, mi pa bežimo s prepiha. 810.000 let moraš delat' le, da duša malo zadiha. (An ban, pet podgan.) Ti loviš, če preživiš. (Jaz ti bom vzel vse,) ti ničesar ne dobiš. (Ah Ah Ah) Si tega res želiš? Igra sovraštva je za vas, hvala lepa, ne računajte na nas. Na nas. Mi bomo celo noč plesali, Ljubili se in se igrali, Kot da nas jutri več ne bo. Ne bomo šteli ur do zore, Preskakovali bomo gore, Da nas objame nebo. Prvi dež odplaknil ves bo blišč, da ne bi kradel magije s plesišč, Tema bo prižgala žar v očeh. Igra sovraštva je za vas, hvala lepa, ne računajte na nas. Še bolj na glas. Mi bomo celo noč plesali, Ljubili se in se igrali, Kot da nas jutri več ne bo. Ne bomo šteli ur do zore, Preskakovali bomo gore, Sprejeli, da smo večni samo in srečni samo, ko objema nas nebo. Vso noč do jutra smo plesali. Ljubili se in se igrali. Živeli, kot da jutri nas mogoče več ne bo. || 우리는 밤새 춤을 추고, 밤새 사랑을 나누며 놀지. 내일이 더 이상 오지 않는 것처럼 점점 단어는 적어지고, 발 밑의 얇은 얼음은 타 들어가 하지만 우리는 한기로부터 도망쳐. 81만년은 일해야 영혼이 잠시 숨 쉴 수 있어. ([[척척박사#s-2|코카콜라 맛있다]])[* An ban, pet podgan을 문자 그대로 번역하자면 "An Ban, 다섯 쥐" 이지만 문자 그대로의 의미는 아니고 아이들이 게임 등을 하면서 숫자를 세가며 고를 때 쓰는 말이다. 우리나라로 치면 "코카콜라 맛있다 맛있으면 또 먹지"와 같은 부류] 이겼네, 너가 살아남는다면. (네 모든 걸 가져가지.) 아무 것도 가져갈 수 없어 (아 아 아) 이걸 진짜로 원하나? 증오의 게임은 당신들의 것이야, 정말 고마워, 우리를 믿지 마. 우리를 우리는 밤새 춤을 추고, 밤새 사랑을 나누며 놀지. 내일이 더 이상 오지 않는 것 처럼. 새벽이 될 때까지 시간을 세지 않고, 산을 뛰어넘을거야, 하늘이 우릴 감싸 안을 수 있도록 첫 비가 모든 반짝이는 것들을 씻어낼거야, 무도회장의 마법을 훔쳐갈 수 없도록. 어둠은 눈의 불씨를 밝혀내지. 증오의 게임은 당신들의 것이야, 정말 고마워, 우리를 믿지 마. 더 큰 소리로 우리는 밤새 춤을 추고, 밤새 사랑을 나누며 놀지. 내일이 더 이상 오지 않는 것 처럼. 새벽이 될 때까지 시간을 세지 않고, 산을 뛰어넘을거야, 우리만이 영원할 것을 받아들이고, 그리고 오직 행복할거야 하늘이 우릴 감싸 안을 수 있다면 우리는 밤새 춤을 추고, 밤새 사랑을 나누며 놀지. 마치 내일이면 우리가 사라질 것처럼 || 가사를 살펴보면 표면적으로는 현재를 즐기고 파티하자 라는 유흥과 오락의 내용이 담겨 있지만, 슬로베니아에서는 현재의 젊은 세대를 대표하는 노래로 받아들여지고 있다고 한다. 즉 [[유고슬라비아 전쟁|증오로 점철된]] [[슬로베니아 독립전쟁|피비린내나는 역사]]를 겪었던 구 [[유고슬라비아]] 시절 태어난 부모 세대와 달리, 유고슬라비아 해체 및 슬로베니아 독립 이후 태어난 젊은 세대들은 인종차별, 성차별, LGBT차별 등의 혐오와 증오의 물결에 더 이상 참여하지 않겠다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고 한다. 중간의 "ne računajte na nas"라는 가사도 "Računajte na nas"라는 1978년에 발표된 유고슬라비아의 노래 제목을 비틀은 것이다. ==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2023년|2023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 [include(틀: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참가자/2023)] [[파일:Carpe_Diem_Joker_Out2.jpg]]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2023년|2023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 참가해 세미파이널에서 103점을 받아 5위에 달성해 파이널로 진출하였고, 파이널에서 78점을 받아 21위를 달성했다. === Pre Party === [youtube(-0x2tBEefZM)] === 포스트카드 === [youtube(KD7_yFUjxWk)] [[분류:2023년 노래]][[분류: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참가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