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하위 문서,top1=Caramelldansen/몬더그린,top2=Caramelldansen/2차 창작)] ||<-2>
{{{+1 '''Caramelldansen'''}}} || || '''가수''' ||Caramell || || '''음반''' ||Supergott || || '''발매일''' ||2001. 11. 02. || || '''장르''' ||[[:분류:댄스 팝|댄스 팝]], [[유로댄스]] || || '''작곡''' ||<|2>Jorge "Vasco" Vasconcelo and Juha "Millboy" Myllylä || || '''작사''' || [목차] [clearfix] == 개요 == ||<-2> '''{{{#000,#ddd 【언어별 명칭】}}}''' || ||[[한국어|{{{#000,#ddd 한국어}}}]][* 영어 기준. 원어인 스웨덴어로는 '''캬라멜단센'''에 가깝다.] || 카라멜댄스 || ||[[스웨덴어|{{{#000,#ddd 스웨덴어}}}]] ||Caramelldansen || ||[[독일어|{{{#000,#ddd 독일어}}}]] ||Caramelltanzen || ||[[러시아어|{{{#000,#ddd 러시아어}}}]] ||Карамельтанец || ||[[영어|{{{#000,#ddd 영어}}}]] ||Caramelldance || ||[[네덜란드어|{{{#000,#ddd 네덜란드어}}}]] ||Karameldans || ||[[스페인어|{{{#000,#ddd 스페인어}}}]] ||<|2>Caramelldanza || ||[[이탈리아어|{{{#000,#ddd 이탈리아어}}}]] || ||[[일본어|{{{#000,#ddd 일본어}}}]] ||キャラメルダンス || ||[[폴란드어|{{{#000,#ddd 폴란드어}}}]] ||Caramelltaniec || 남성 프로듀서 2명, 여성 보컬 2명으로 이루어졌던 [[스웨덴]]의 가수 그룹인 [[Caramella Girls|'''Caramella Girls''']](前 Caramell)의 [[댄스 음악|곡]]이다. 조성은 내림사장조(G♭ Major)이다. == 원곡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qz2Ihbm_Mz0)]}}}|| || '''Caramell''' (1998~2002)의 '''Supergott''' 앨범([[2001년]] [[11월 2일]] 발매) 수록 버전 || 들어보면 흥겹긴 하지만 Speedcake의 리믹스보단 속도와 피치가 낮아 리믹스만 듣다가 원곡을 들은 사람들 중에는 왜 곡을 느리게 재생시키냐고 하기도하고 [[베이퍼웨이브]] 버전이냐는 드립을 치기도 한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tMJzl8gllEw)]}}}|| || [[스톡홀름]]에서 개최된 라이브 || 정작 스웨덴 국내에서는 모르는 사람이 더 많았고, 이 곡을 실제로 불렀던 Caramell은 2002년 마지막 앨범 발표 이후로 오랫동안 활동이 없었다가, 2008년에 여성 3인조로 재정비 된 '''Caramella Girls'''로 복귀했다. == Speedcake Remix == ||<-2> 재결합 및 멤버 재정비 후, '''Caramella Girls''' (2008~現)의 '''Supergott (Speedy Mixes)'''[* 해당 앨범 발매 당시 그룹명은 이전과 마찬가지로 Caramell이었다. 추후 재결합과 멤버 재정비를 하고 여성 3인조로 재정비 되며 Caramella Girls로 개명했다.] 앨범(2008. 01. 05. 발매) 수록 버전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6-8E4Nirh9s)]}}}||{{{#!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22mnWM8EQVQ)]}}}|| || [[스웨덴어]] 원곡 || 공식 영어 버전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PQbdeUfalI)]}}}||{{{#!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z3UTuYjlLks)]}}}|| || 공식 일본어 버전 || 공식 [[독일어]] 버전 || U-U-Uma Uma(˚∀˚) (Speedcake Remix)로 널리 알려진 버전으로, 벅스에서 음원 구매가 가능하나 정작 원곡인 Caramelldansen은 판매하지 않고 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x57yIcRiRR4)]}}}|| || 2018 리메이크 버전(영어)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WBNfXrxZk5k, width=640, height=360)]}}}|| || 라이브 영상[* 4분 14초부터는 다른 곡인 Boogie Bam Dance가 나온다.] || 코스프레가 아니라 본인들이다. 댓글을 보면 'Caramella Girls'는 좋아하는데 ''' 탈 때문에 [[불쾌한 골짜기|악몽 꿀 것 같다, 잠 못잘 것 같다]]'''라는 평이 대다수다.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orig05.deviantart.net/caramella_girls_wallpaper_by_thorpsy100-d9844jr.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bubblegumdancer.com/caramellagirls.jpg|height=3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s.mxmcdn.net/28915290_800_800.jpg|height=3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direct-ns.rhap.com/500x500.jpg|height=300]]}}} || 사실 이 영상에 나온 당사자들이 등장한 분장은 카라멜라 걸즈(Caramella Girls)를 대표하는 공식 캐릭터 겸 아바타이다. 이 3명의 존재는 [[http://www.caramellagirls.com|해당 공식 사이트]]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해외 각국 버전의 우마우마 동영상에서도 단골로 등장한다. 그림체에 따라 설명문 위에 존재하는 3명의 '카와이' 버전이나 '영스터' 버전, 또는 부기밤 댄스 버전 등 많은 모델링이 존재 했으나, 본인들도 카와이 버전의 퀄리티가 떨어지는 것을 인지해서인지, 2015년부터는 카와이 버전과 영스터 버전을 적절히 섞은 2.5D풍 캐릭터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최근에는 해당 그룹의 패러디나 신곡 등의 활동에 따른 MV에서도 종종 출연한다. == 가사 == || {{{#000 Vi undrar är ni redo att vara med Armarna upp nu ska ni få se}}} || || 비 운드랄 앨 니 리도 앗 버라 메 알말나 웁 누 스카 니 포 시 || || 시작할 준비는 된 거야? 팔을 들어 이제 보일거야 || || {{{#000 Kom igen Vem som helst kan vara med (Vara med)}}} || || 콤 이옌 벰 솜 헬스트 캰 버라 미 (버라 미) || || 이리로 와 어느 누구든지 와 (누구든지) || || {{{#000 Så rör på era fötter Oa-a-a Och vicka era höfter O-la-la-la}}} || || 소 뢸 포 이라 푀텔 우아-아-아 오 비캬 이라 회프텔 울랄-랄-라 || || 발을 움직여 우아-아-아 엉덩이를 흔들어 울랄-랄-라 || || {{{#000 Gör som vi Till denna melodi (Oh-wa-ohwa-ah)}}} || || 열 솜 비 틸 덴나 멜로디 (우-와-우와-아) || || 우리처럼 이 멜로디를 따라서 (우-와-우와-아) || || {{{#000 Dansa med oss Klappa era händer Gör som vi gör Ta några steg åt vänster}}} || || 단사 미 오스 킬라파 이라 핸델 열 솜 비 열 타 노그라 스틱 옷 벤스텔 || || 우리처럼 춤 춰 손뼉을 쳐 우리를 따라해 왼쪽으로 몇 걸음 걸어 || || {{{#000 Lyssna och lär Missa inte chansen Nu är vi här med Caramelldansen}}} || || 리스나 오 랄 미사 인테 환센 네 앨 비 핼 미 캬라멜단센 || || 잘 듣고 배워 실수하지 마 우린 지금 카라멜 댄스중이야 || || (X2) || || {{{#000 Oo-oo-oa-oa Oo-oo-oa-oa-a}}} || || 우-우-우아-우아 우-우-우아-우아-아 || || 우-우-우아-우아 우-우-우아-우아-아 || |||| || {{{#000 Det blir en sensation överallt förstås På fester kommer alla att släppa loss}}} || || 디 블릴 엔 센사훈 오베랄트 펄슈토스 포 페스텔 콤멀 알라 앗 슬래파 로스 || || 모두 같은 느낌일거야 누구나 함께할 수 있는 파티 || || {{{#000 Kom igen Nu tar vi stegen om igen (Oh-wa-ohwa-ah)}}} || || 콤 이옌 느 탈 비 스티겐 옴 이옌 (오-와-오와-아) || || 이리로 와 처음부터 다시 해보자 (오-와-오와-아) || || {{{#000 Så rör på era fötter Oa-a-a Och vicka era höfter O-la-la-la}}} || || 소 뢸 포 이라 푀텔 우아-아-아 오 비캬 이라 회프텔 울랄-랄-라 || || 발을 움직여 우아-아-아 엉덩이를 흔들어 울랄-랄-라 || || {{{#000 Gör som vi Till denna melodi Så kom och}}} || || 열 솜 비 틸 덴나 멜로디 소 콤 오 || || 우리처럼 이 멜로디를 따라서 어서 이리로 와 || |||| || {{{#000 Dansa med oss Klappa era händer Gör som vi gör Ta några steg åt vänster}}} || || 단사 미 오스 킬라파 이라 핸델 열 솜 비 열 타 노그라 스틱 옷 벤스텔 || || 우리처럼 춤 춰 손뼉을 쳐 우리를 따라해 왼쪽으로 몇 걸음 걸어 || || {{{#000 Lyssna och lär Missa inte chansen Nu är vi här med Caramelldansen}}} || || 리스나 오 랠 미사 인테 환센 네 앨 비 핼 미 캬라멜단센 || || 잘 듣고 배워 실수하지 마 우린 지금 카라멜 댄스중이야 || || (간주) || || {{{#000 Dansa med oss Klappa era händer Gör som vi gör Ta några steg åt vänster}}} || || 단사 미 오스 킬라파 이라 핸델 열 솜 비 열 타 노그라 스틱 옷 벤스텔 || || 우리처럼 춤 춰 손뼉을 쳐 우리를 따라해 왼쪽으로 몇 걸음 걸어 || || {{{#000 Lyssna och lär Missa inte chansen Nu är vi här med Caramelldansen}}} || || 리스나 오 랠 미사 인테 환센 네 앨 비 핼 미 캬라멜단센 || || 잘 듣고 배워 실수하지 마 우린 지금 카라멜 댄스중이야 || |||| || {{{#000 Oo-oo-oa-oa Oo-oo-oa-oa-a (X2) Så kom och }}} || || 우-우-우아-우아 우-우-우아-우아-아 (X2) 소 콤 오 || || 우-우-우아-우아 우-우-우아-우아-아 (X2) 어서 이리로 와 || || (X2) || || {{{#000 Dansa med oss Klappa era händer Gör som vi gör Ta några steg åt vänster}}} || || 단사 미 오스 킬라파 이라 핸델 열 솜 비 열 타 노그라 스틱 옷 벤스텔 || || 우리처럼 춤 춰 손뼉을 쳐 우리를 따라해 왼쪽으로 몇 걸음 걸어 || || {{{#000 Lyssna och lär Missa inte chansen Nu är vi här med Caramelldansen}}} || || 리스나 오 랠 미사 인테 환센 네 앨 비 핼 미 캬라멜단센 || || 잘 듣고 배워 실수하지 마 우린 지금 카라멜 댄스중이야 || == 웃웃우마우마 == '''ウッーウッーウマウマ(゚∀゚)''' [[니코니코 동화]]에서 유행했던 합성 동영상들. 어느 날 이 곡의 Speedcake Remix[* Speedcake Remix는 원곡보다 [[나이트코어|1.2배 정도 빠른]] 버전으로, 그 이름은 hongfire.com에 올라와 있는 파일 이름이 caramelldansen_speedcake였던 데에서 유래한다.] 버전을 에로게 [[포포탄]][* 엄밀히는 DVD판이자 확장판인 [[포포탄|포포탄Po]].]의 [[https://youtu.be/K3ytSL_S4Rw?t=114|오프닝]][* 정확히 1분 54초에 나온다.]에 나온 춤추는 장면을 포함하여 어떤 서양인 덕[* 프로필상 국적은 [[캐나다]]. 공개된 장소는 [[http://www.animemusicvideos.org/members/members_videoinfo.php?v=151769|이곳]]이며 영상 다운로드는 회원가입이 필요하다. 가입절차는 해외 사이트가 그렇듯이 간단하고 무엇보다 '''무료'''다.]이 [[매드 무비]]를 제작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6BmvIWhe_DQ|링크]]. 음악과 어울리는 귀여운 춤이 니코동에서 급격히 인기를 끌기 시작하면서 이 곡을 배경음악으로 넣은 각종 애니 및 게임 패러디 영상이 쏟아져 나왔다. ~~덕중의 덕은 양덕~~ 5월 21일 일본에서 [[리믹스]]를 포함한 싱글이 발매되었다. [[BEMANI|BEMANI 시리즈]]의 뮤지션인 [[Ryu☆]]의 리믹스가 포함되어 있다. 이유는 일본 발매 레이블이 퀘이크 레코드(현 [[EXIT TUNES]])이기 때문. [[오리콘차트]]에서 2008년 6월 2일자 주간순위 16위에 올랐다. 이외에도 리믹스가 더 있다. 이 앨범은 우리나라 음원 사이트에도 올라와 있다! 원래 가사는 O-o-oa-oa[* u-u-ua-ua라고도 한다. 스웨덴어의 'O'는 /u/발음이 나지만 간혹 접근음 /β/이 동반되듯이 발음될 때가 있는데, 이렇게 발음할 경우 '''웁-웁-웁아웁아'''처럼 소리가 난다. 여기에 콧소리가 가미되어서 나온 [[몬더그린]]이라고 보면 된다.]이지만 [[몬더그린]] 효과에 의해 웃웃우'''마'''우'''마'''(ウッーウッーウ'''マ'''ウ'''マ'''(゚∀゚))로 들린다. 후렴구만 반복하는 것은 '''중독 버전'''이라고 한다. 양덕 계열 커뮤니티에서 유행이 시작되어 컬트적 인기를 끈 것이 [[Nyan Cat]]과 비슷하나, 저건 일본에서는 인지도가 거의 없는 것이 특징이다. 2019년 3월 31일 [[틱톡]]에서 어느 주택의 한 방에 현란한 무지개 불빛을 켜고 이 음악을 크게 틀어놓은 곳을 촬영한 것이 밈이 되어 이 음악도 다시금 주목받게 되었다. 이 밈의 주된 패턴은 원본처럼 저 멀리서 무지개 불빛을 키고 카라멜 댄스 음악이 틀어놓여져 있는것이 주요 패턴. 아니면 그 방에 한 캐릭터가 뻗어있는 패턴도 있다. === 영향력 === 우리나라는 물론 일본에서 가장 인기있는 [[스웨덴어]] 노래가 되었다. 더군다나 일본에선 스웨덴 노래라 하면 ABBA보다 이 노래를 먼저 떠올릴 정도. 2008년 5월경에는 [[싸이월드]]에서 '''애교댄스'''라는 [[미니미]]를 만들었는데, 이 미니미는 [[우사미미|토끼귀]]를 쓰고 '''웃웃우마우마'''를 추는 것이다. [[도토리]] 5개. 그리고 리믹스 싱글마저 국내발매. [[http://www.melon.com/album/detail.htm?albumId=637751|#]] 무서운 경향이 없잖아 있다. 본디 [[빌리 헤링턴]] 관련 자료도 있었으나, [[유튜브]]가 잘랐다.하지만 몇몇 사람이 이것을 구해 세상에 알렸다. ([[http://bbs2.ruliweb.daum.net/gaia/do/ruliweb/default/307/read?bbsId=G005&itemId=107&articleId=9452219|붕탁송]]) 하지만 유튜브를 잘 뒤져보면 좀 더 고전적이고 찰진 것도 있다.) [[서태지]]팬이 우마우마 매드무비를 만들고 움짤을 만들어서 서빠들 사이에 널리 알려지기도 했다. [[http://gall.dcinside.com/seotaiji/458331|움짤]] 그래서 2008 ETPFEST에서 서태지를 제외한 서태지 밴드의 멤버들이 단체로 이 춤을 추었다고 한다(참고로 서태지는 탑이 같이 추자고 부르는 걸 못듣고 갔다고 한다).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의 [[판다렌]] 여캐의 '/춤' 모션으로 나왔다. [[http://www.inven.co.kr/board/powerbbs.php?come_idx=1896&l=9507|#]] [[타르타로스 온라인]]에서의 '/춤' 모션은 이 춤이다. 놀랍게도 남녀 공용이다. [[엘소드]]의 바니걸 모션이다. [[피니와 퍼브]] TV스페셜 '우리들의 여름(Summer Belongs to You)'에서 패러디되었다.[[http://www.youtube.com/watch?v=-NCpM8mxzDw|#]] [[소나(리그 오브 레전드)]]의 초월급 스킨인 DJ소나가 춤(ctrl + 3)을 추면 이 춤을 춘다. [[Grand Theft Auto Online]]의 퀵플레이 중 얼레리 꼴레리는 이 춤을 추는 것이다. [[데스티니 가디언즈]]의 [[잃어버린 자 시즌]]에 '고양이 귀 춤' 감정표현으로 등장했다. 다른 매체에서는 손 모양을 토끼 귀로 생각하지만 여기서는 고양이 귀로 인지하고 있다. === [[니코니코 동화]] === [[니코니코 동화]]에서 ウッーウッーウマウマ(゚∀゚) 태그로 검색하면 4,600개 정도의 동영상이 나온다. [[니코니코 동화]]에서 가끔 코멘트에 "[[필터]]"가 붙는 것이 종종 있다. 이 필터의 기본형은 u→ウッーウッーウマウマ(゚∀゚). 사용법은 다음과 같다. 여러 가지가 있지만 대표적으로 [[작안의 샤나]] 관련일 경우는 'sh→シャーシャーシャナシャナ(゚∀゚)', [[어떤 마술의 금서목록]] 관련일 경우 [[카미조 토우마|t→トッートッートウマトウマ(゚∀゚)]]와 같다. 俺の嫁(내 신부) 대신 ヨッーヨッーヨメヨメ(゚∀゚)를 쓰기도 한다. [[니코니코 동화]] 관련 동영상 중 한 개인 [[http://www.nicovideo.jp/watch/sm2865665|Windows도 웃웃우마우마(Windowsもウッーウッーウマウマ(゚∀゚))]]는 코멘트 수가 무려 '''175만개가 넘는다.''' [[니코니코 동화 유성군]]과 니코니코 동화 셀렉션 에도 수록. '춤춰보았다' 동영상도 상당하다. == [[리듬 게임]] 수록 == 리듬게임에는 [[태고의 달인]] 12, [[maimai]],[* 다만 [[maimai]]에 실린 버전은 커버보컬이다.] 그리고 [[DanceDanceRevolution|댄스 댄스 레볼루션]] 2013년판에 수록되었다. 하지만 [[DanceDanceRevolution|댄스 댄스 레볼루션]]에서는 2016년 3월 7일자로 라이센스 계약만료로 더 이상 플레이가 불가능하다. === [[DanceDanceRevolution]] === [[파일:external/chuantu.biz/1468073001x2372228391.jpg]] ||<-7> [[DanceDanceRevolution]] 난이도 체계 || ||<|3> [[BPM]] ||<-8> 싱글 플레이 || || {{{#blue BEGINNER}}} || {{{#orange BASIC}}} || {{{#red DIFFICULT}}} || {{{#green EXPERT}}} || {{{#purple CHALLENGE}}} || || {{{#blue 2}}} || {{{#orange 5}}} || {{{#red 8}}} || {{{#green 11}}} || {{{#purple 14}}} || ||<|3> 165 ||<-7> [[더블 플레이]] || || || {{{#orange BASIC}}} || {{{#red DIFFICULT}}} || {{{#green EXPERT}}} || {{{#purple CHALLENGE}}} || || || {{{#orange 6}}} || {{{#red 8}}} || {{{#green 11}}} || {{{#purple 14}}} || * [[DanceDanceRevolution/수록곡|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Dance Dance Revolution(2013)]]에 첫 수록되었다. 플레이 중이 아닐 때 나오는 데모 영상에서도 등장한다. 북미판 DDR 2015에서는 수록되지 않았다. [youtube(Lr6jNhZts8U, width=640, height=480)] ESP 영상 싱글 익스퍼트에서는 '웃웃우마우마'하는 부분(위 영상 기준 1분 9초부터)에서 그 춤을 재현할 수 있는 패턴이 나온다. 또한 싱글 디피컬트에서도 조금 짧지만 춤을 출 수 있는 패턴이 나온다.[* "(웃웃우마우마) '''호! 호! 호호!'''"부분 4박자씩 두군데서 밖에 안 나온다.] [youtube(O861VQssH7k, width=640, height=360)] 안무 예시 [youtube(jxEHdIwz-mQ, width=640, height=360)] CSP 영상 [youtube(qax6dx80_Xo, width=640, height=360)] CDP 영상 CHALLENGE 보면이 2013년 7월 18일에 조건부 해금되었다.[* Everytime We Touch, [[BUTTERFLY(SMiLE.dk)|Butterfly(2008 X-edit)]], DUB-I-DUB(2008 X-edit)을 1크레딧 안에 플레이. 지금은 통상해금되었다.] 아쉽게도 CHALLENGE 보면은 안무재현은 못하고 폭타가 많아진 14레벨로 등장했다. === [[태고의 달인]] === === [[maimai]] === == 관련 문서 == * [[Caramelldansen/몬더그린]] * [[Caramelldansen/2차 창작]] * [[니코니코 동화]] * 앗 웃웃이네이네 - 이 MAD는 [[스모모모모모모 ~지상 최강의 신부~]]에서 유래했는데, Paffendorf feat. Leyla de Vaar의 Under My Skin이라는 노래의 [[웃웃우마우마/몬더그린|몬더그린]] 가사 부분을 이용했다는 것이 공통점. 유사품(?)으로 [[이즈미 코나타]]의 앗 뿌뿌뿌에뿌에가 있다. * ぷんちきぱやっぱーヾ(゜∀゜)ノ♪ - 이쪽은 Carinho의 Caipirinha라는 곡과 [[아즈망가 대왕 THE ANIMATION]][[http://youtu.be/A5iyQAeqmbw|을 섞은 것에서]] 유래함. [[http://www.nicovideo.jp/watch/nm3194629|이런 식.]] * [[포포탄]] - [[니코동]]에서 4,600개의 동영상의 시초가 된 부분을 포함하고 있는 오프닝의 주인공 * [[smooooch・∀・]] - 비마니계의 웃웃우마우마 * 유명 비마니 아티스트 [[Ryu☆]]의 첫 앨범인 [[starmine(앨범)|starmine]] 19번 트랙에 본인이 직접 리믹스한 웃웃우마우마가 수록되어 있다. * [[http://www.nicovideo.jp/watch/sm2211305|각 나라의 웃웃우마우마를 검증해 보다]] * [[우주게이 히맨]], [[Rasputin]] - 본 곡과 마찬가지로 원곡을 스피드업 & 피치업 한 뒤 전혀 상관 없는 만화 영상에 합성한 것이 인기를 끌어 인터넷 밈이 된 케이스들이다. [[분류:제목이 스웨덴어인 문서]][[분류:2001년 노래]][[분류:스웨덴 노래]][[분류:댄스 팝]][[분류:태고의 달인의 수록곡]][[분류:maimai 시리즈의 수록곡]][[분류:DanceDanceRevolution의 수록곡]][[분류:인터넷 밈/음악/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