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2차 세계대전/이탈리아 항공기)] ||
[[파일:Fiat_CR42_Falco_Thumbanail.jpg |width=100%]]|| || '''Fiat CR. 42 Falco''' || [목차]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nHj4JNj13bo)]}}} || || '''CR. 42 팔코 기동 영상''' || [[제2차 세계 대전]] 시기에 [[이탈리아]] [[공군]]에서 운용했던 복엽[[전투기]]로 [[피아트]] 항공사에서 설계 및 개발하였다. 명칭의 CR은 C.R. 42의 설계자인 첼레스티노 로사텔리(Celestino Rosatelli)의 이니셜을 딴 것이다. 다만 여기서 C는 첼레스티노가 아니라 카치아(Caccia), 즉 [[전투기]]이다.[* 비슷한 예로 로사텔리가 설계한 [[폭격기]]인 B.R. 20 치코냐의 B는 '''B'''ombardiere이다. 읽는 법은 봄바르디에레.] == 제원 == * 전장 : 8.25m * 전폭 : 9.70m (아래쪽 익폭 : 6.50m) * 전고 : 3.59m * 익면적 : 22.4㎡ * 익면하중: 102kg/m² * 엔진 : 피아트 A.74 RIC38 복열 14기통 공랭식 성형엔진, 840마력 * 자체중량 : 1,782kg (전비중량 2,295kg) * 최대속도 : 441km/h (고도 6,096m) * 순항속도: 399km/h * 항속거리 : 780km[* [[에게 해]]에서 활동하기 위한 버전인 CR.42 egeo은 1000km] * 무장 : 기수 상면에 [[M1919 브라우닝#s-4.6|브레다-SAFAT]] 12.7mm 기관총 2정, 정당 400발[* 초기형은 7.7mm 브레다-SAFAT 1정, 12.7mm 브레다-SAFAT 1정] 옵션으로 아래쪽 주익 페어링에 [[M1919 브라우닝#s-4.6|브레다-SAFAT]] 12.7mm 좌우 1정씩 장착가능 주익 하부 하드포인트에 최대 200kg 폭장가능 === 개발, 최강의 복엽기 === 1930년대 이탈리아 공군의 주력전투기로 이름 날리던 [[CR.32]]의 후계기종으로 CR.32의 설계를 기반으로 장비들을 [[업그레이드]]하고 기존 설계를 개수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기에 CR.32의 파생형으로 분류하는 경우도 있다. 사상 최고의 복엽전투기를 논할 때 항상 거론되는 기종이지만 문제는 '''이 기종이 배치되고 활동한 시기가 2차대전이란 점'''이다! 1930년대 후반 이탈리아 공군은 대세에 따라 차세대 단엽전투기 개발을 의뢰한 상태였고, 훗날 차기 주력전투기로 채택되는 [[MC. 20x 시리즈|MC. 200]]의 원형기가 1937년 12월에 초도비행에 성공한 시점에서 뜬금없이 피아트사에서 제출한 복엽전투기 CR. 42의 개발계획이 승인되었다. 게다가 CR. 42를 발주받은 피아트사는 차세대 단엽전투기 개발에 참여하고 있는 상황이었다.[* 이 전투기가 바로 [[G.50 프레치아]]이다.] 그렇지만 [[스페인 내전]] 등지에서 [[CR.32]]가 맹활약을 하여 검증받은 상태였고 이를 업그레이드시키는 방식이었으니 개발속도도 빨랐고 당연히 성능 향상도 있었다. 여기에 MC. 200을 비롯한 차세대 전투기들의 배치가 지지부진한 상황이라 이탈리아의 빈약한 산업력때문에 차세대 단엽 전투기 계획을 진행하면서 생산량에 대한 고민을 하는 차에 CR.42는 이탈리아군에게 나름 매력적인 안이었다. 마키(Macchi)사의 C.200은 이탈리아 최초의 단엽 전금속 전투기였기 때문이었다. 비슷한 시기에 영국이 [[호커 허리케인]]과 [[슈퍼마린 스핏파이어]]를 병행 생산하게 된 이유가 전금속 전투기인 스핏파이어의 생산성이 떨어질 것을 염려해서 나온 결과라는 것을 생각하면 이탈리아군의 발상은 나름 합리적이었다. ||
[[파일:ca165-1.jpg |width=100%]]|| || '''카프로니 Ca.165''' || 그래서 이탈리아군은 차세대 단엽전투기 개발과 별개로 신형 복엽기 프로젝트를 시행했다. 참가한 회사는 피아트(Fiat), 카프로니(Caproni) 두 회사였고 피아트는 CR.42를 선보였고 카프로니는 Ca.165를 내놓았다. 피아트의 CR.42는 자사의 공랭식 엔진 A.74 RC.38을 장착한 반면, 카프로니의 Ca.165는 이소타 프라스키니(Isotta-Fraschini)사의 L.121 RC.40 수랭식 엔진을 사용했다. Ca.165의 이소타 프라스키니 L.121 RC.40은 900마력으로 피아트 A.74 RC.38의 840마력보다 출력이 높았다. 거기에다가 Ca.165는 수랭식 엔진의 특징상 좀더 공기저항을 덜 받는 기수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최고 속력은 461km/h였다. 화력은 처음부터 12.7mm 브레다-SAFAT 2정을 장착하고 있었기 때문에 CR.42의 7.7mm 1정, 12.7mm 1정보다 강력했다. 특히 Ca.165는 수평선회전 뿐만 아니라 에너지파이팅도 어느정도 고려한 카프로니사의 노련한 솜씨를 보여준 대작이었다. 하지만, Ca.165는 결격사유가 하나 있었다. 바로 이소타 프라스키니 엔진이 신뢰성이 낮았던 것. 이점은 단엽전투기 생산량이 부족할 것을 예상하고 부족한 량을 채우기 위해 시작한 복엽기 프로젝트다보니 Ca.165의 성능이 우수했음에도 불구하고 탈락했다.[* 이소타 프라스키니 L.121 RC.40은 [[SM. 79]]나 [[Z.1007 알치오네]]에도 장착되었다가 심각한 신뢰성때문에 엔진을 교체하게 된다.] 결국 이탈리아 공군은 CR.42에 "Falco"란 이름을 부여하여 양산을 허가했다. 게다가 CR. 32의 우수한 성능을 알고 있던 [[벨기에]], [[헝가리]], [[스웨덴]], [[크로아티아 독립국]] 등지에서 CR. 42도 도입하겠다는 의사를 밝히면서 피아트사 입장에서는 매우 성공적인 기종으로 남게 되었다. 게다가 CR. 32와 비행특성이 유사했던 까닭에 CR. 32를 조종했던 조종사라면 별도의 기종전환 훈련 없이 적응하기에 용이한 점도 있었다. 일단 최강의 복엽기답게 속도는 441km/h, 항속거리도 780km[* 보조연료탱크를 장착한 [[Bf 109]] E형보다 길며, 복엽기중에서는 거의 [[A6M]] 제로 수준이다.], 무장도 기본이 12.7mm 기관총 2정이며, 추가로 12.7mm 기관총 2정을 더 달거나[* 이렇게 되면 12.7mm 기관총 4정으로 대전기 주력전투기인 [[MC. 202 폴고레]]보다 우수한 화력을 가지게 된다.](CR.42 ter) 50~100kg 폭탄을 2발 달수 있었다.(CR.42 AS) 덤으로 튼튼하며 환경이 열악한 곳에서 잘 버틴다. 한마디로 말해 여러가지 용도로 다양하게 사용가능하며, 취급도 쉽고 신뢰성도 높은 기체다. ==== 배리에이션 ==== CR. 42는 [[제2차 세계 대전]]동안 이탈리아가 생산한 기체중에 생산량이 많은 편에 속해 여러가지 개량형이 존재한다. * CR.42의 개량형인 CR.42 bis. CR.42 bis는 CR.42의 무장을 12.7mm 브레다-SAFAT로 통일한 버전이다. 그 이전에 생산한 버전도 bis와 동일한 개량을 받아서 CR.42의 무장이 12.7mm 기관총 2정으로 기억하게 되었다. * CR.42의 화력 개선안인 CR.42 ter. ter는 하단 주익에 추가로 12.7mm 브레다-SAFAT를 두 정을 장착한 버전이다. * CR.42 egeo. 에게 해에서 활동하기 위해 추가 연료탱크를 장착해 항속거리를 늘린 버전이다. * 야간 전투기버전인 CR.42 CN. 배연관을 길게 늘리고 동체를 검게 칠했다. CN은 Caccia Notturna[[야간전투기]]의 줄임말이다. * [[전폭기]] 버전인 CR.42 AS. 모래먼지를 막기위해 전방에 엔진 필터를 달고 CR.42 ter에 준하는 무장을 한 뒤[* 하지 않기도 했다.] 주익 하단에 폭탄을 장착할 수 있는 파일런을 단 버전이다. AS는 'Africa settentrionale'의 이니셜을 딴 것으로 북아프리카라는 의미다. * 무장강화 버전인 CR.42 CAI. 하단 주익에 7.7mm 브레다-SAFAT 2정을 단 버전이다. CAI는 'Corpo Aeuronautico Italiano'의 줄임말이다. * [[수상기]]버전인 ICR.42. * [[정찰기]] 버전인 CR.42 RF. RF는 'Ricognitore Fotografico'의 줄임말이다. * DB 601 엔진(...)을 탑재한 CR. 42DB 시제기도 존재하는데, CR. 42의 최종진화로 최고속력 524km/h을 기록했다. 기체성능은 대단했지만, 시대에 뒤떨어진 복엽기에 자사의 최신예기인 [[G.55 첸타우로]]를 생산하는데도 부족한 엔진을 낭비하는 격인지라 당연히 채택되지 않았다. [[http://i.imgur.com/9FNp1kt.jpg]] * 복좌 훈련기 버전도 존재한다. * 독일 공군이 생산을 지시해서 만든 CR.42 LW도 있다. LW는 당연히 'Luftwaffe'의 줄임말이다. 주로 정찰이나 초계와 같은 보조 임무를 맡았지만 종종 이탈리아 공군이 한 것 처럼 지상공격에 동원되기도 했다. 생산량은 의외로 300정도 되며 북이탈리아에서 독일군이 항복할 때까지 사용되었다. === 실전 === 하지만 당시 전투기 개발 추세를 보면 복엽전투기에 기동성을 중시하는 설계는 시대에 한참 뒤떨어진 '''구식'''이었다. 이미 대세는 저익단엽기에 고속성능을 이용한 전술을 구사하는 시기였으며, 이미 기동성 중시의 복엽전투기는 한 주먹감도 안된다는 것을 유럽 각지에서 [[독일 공군]]이 증명하고 있었다. 게다가 결정적인 '''민폐'''가 있었으니 당시 CR. 42가 사용하던 840마력급 피아트제 공랭식엔진은 다른 차세대 전투기들도 같이 쓰는 엔진이었다! 결국 CR. 42 만든답시고 다른 차세대 전투기들이 쓸 엔진들을 떼먹는 상황이었고 최소 생산량에서 3할 가량의 엔진이 CR. 42 개발을 위해 소진된 것으로 보고 있다.(CR. 42의 생산량은 무려 1,817대) 그만큼 다른 전투기들이 피해를 본 셈이다.[* 다만 CR. 42자체는 자잘한데 쓰기 좋은데 비해 더 큰 문제는 같은 피아트사가 생산한 [[G.50 프레치아]]였다. G. 50은 단엽기주제에 CR. 42보다 후지다!!(당연히 경쟁작인 [[MC. 200 사에타]]에 탈락한 놈이다.) 심지어 같은 엔진을 쓰고 있다는 점. 이마저도 683라는 적지않은 수가 생산되었고 진짜 엔진부족의 원인중 하나로 본다.] 다만 [[MC. 202 폴고레]]가 생산되면서 알파-로메오 엔진에 여유가 생겼기때문에 CR. 42중기 생산분부터는 큰 민폐가 아니다. 다행히 1939년 말에서 1940년 중반까지 [[영국]]이 영국 본토 방어에 더 신경을 쓰느라 워낙 후달려 제2선에 신경을 못쓰고 있었기에 [[몰타항공전]]이나 북아프리카 전역에서 CR. 42가 활약할 여지가 있었다. 일단 당시에 [[몰타]] 섬에는 같은 복엽기인 [[글로스터 글래디에이터|글래디에이터]] 3대만 배치되어있었고[* 원래 4대였지만 1대는 폭격으로 파손, 예비부품용으로 쓰였다.] [[항공모함]] 함재기로 쓰이는 [[페어리 풀머|풀머]]가 있었지만 풀머는 복좌전투기라 아주 떨어지는 기동성을 자랑했다.[* 실제로 풀머보다 CR.42의 최대 속력이 더 빠르다. 그러나 영국군 조종사들은 풀머가 단엽기라는 점을 이용해서 에너지파이팅으로 [[이탈리아군의 졸전 기록|발랐다]].] 하지만 1940년 9월부터 2선급 전선에도 [[호커 허리케인]]이 배치되자 그저 격추스코어 [[셔틀]]로 전락했어야 하는데, 허리케인을 성공적으로 격추했다. 심지어 [[슈퍼마린 스핏파이어]]와 교전해서 이긴 사례도 존재한다. 이것은 교리면에서 뒤떨어지고 숙련도가 낮았던 북아프리카 영국 공군 파일럿의 문제가 컸기 때문이었다. 여기서 끝나지 않고 비행장에 쳐들어가 폭탄을 퍼붓는 등 모기처럼 영국군을 괴롭했다. 복엽기 주제에 나름 영국입장에서는 대단해보였는지 적성무기 평가표에서 [[CR. 42]]를 통칭 피아트(Fiat)라고 부르곤 했는데,[* 피아트사에서 만들어서 피아트라고 한다. [[G.50 프레치아]]도 피아트사 작품인데 프레치아를 피아트로 부르는 경우는 별로 없었다고 한다.] 꽤나 좋은 평가를 내렸고 신참들한테는 적에게 등을 보이면 꽤 강력한 화력에 당하니 주의하라고 적혀있다. 40년도내에서의 복엽기치곤 밥값을 한 수준이나 42년 후반까지 계속 생산됐다. 물론 초기 모델을 계속 생산한 건 아니고 상황에 맞게 조금씩 개량한 버전들이 나오기도 했고, DB 601엔진을 넣은 개수 버전도 만들어보는 등 그야말로 별짓을 다했다. 여기에는 다른 기종 생산량이 후달리다보니 그나마 양산이 용이하고 다양한 목적으로 굴릴 수 있는 CR. 42를 계속 찍어낸 탓도 있다. 당시 이탈리아 전투기중에 멀티롤(Multi-role)이 가능한 것은 레지아네사의 [[Re. 200x 시리즈]]인데 이 시리즈는 유독 양산허가가 잘 안나서 전장에서 쓸만한 멀티롤 기는 CR. 42정도였다. 일단 200kg 수준이 폭장이 가능한데[* [[Bf 109]]가 고작 250kg 폭탄달고 겨우 지상지원을 나가는 걸 보면 알겠지만 일단 전투기에 폭장이 되면 쓸때가 있는 법이다. [[F4F 와일드캣]]이 고작 100lb 폭탄 2발만 장착 가능해서 용도가 제한적이었다는 것을 생각해보자.] 복엽전투기치고 상당한 폭장이었고 실속하는 속력이 낮다보니 여러므로 잘 써먹었다는 모양이다.[* 당시 이탈리아의 주력 폭격기인 [[SM. 79]]와 함께 자주 영국군을 괴롭혔는데, 영국이 제법 열받았는지 [[크루세이더 전차]]기반 대공자주포를 만드는 이유중 하나였다고 한다.] === [[대전기]] === ==== [[제2차 세계 대전]] ==== ===== [[영국 본토 항공전]] ===== [[영국 본토 항공전]]에도 참가한 기록이 있다. 물론 [[Bf-109]]와 [[슈투카]]를 운영하며 한껏 눈이 높아져있던 독일군은 정치적인 이유라고 해도 척 봐도 구닥다리처럼 보이는 복엽기를 끌고 돕겠다고 온 이탈리아군을 [[이뭐병]]으로 쳐다봤다고 전해진다. ===== [[지중해 전역]] ===== ||
[[파일:Italy_night_Falco.jpg |width=100%]]|| || '''지중해 전역 당시의 이탈리아 왕립 공군 소속 CR. 42 팔코''' || ===== [[독소전쟁]] ===== 독소전쟁 당시에는 주로 헝가리군이 운용했는데, 원래 헝가리군은 CR. 32를 운용했는데 전쟁때 필요한 전투기를 구하다보니 아에 라이센스까지 하게되어 두고두고 우려먹었다고 한다. 헝가리군은 이 CR. 42를 이용해 엄청한 전과를 올렸으며 최대 '''12 : 1'''이라는 제법 충격적인 교환비를 내기도 했다고. 기록에 따르면 [[Re. 200x 시리즈|MAVAK 헤야]](Re. 2000의 헝가리 라이센스 버전)와 함께 신형기체로 대접받았으며 [[I-16]]과 교전해 피해없어 5대를 격추시켰다던가 [[Yak-7]], [[Yak-9]](!!!)을 상대로도 밀리지 않았다고 한다.[* 헝가리 최고 에이스 파일럿은 'Dezső Szentgyörgyi'(데죄 센트죄르지)로 Re.2000(MAVAK 헤야)와 Bf109 G형을 탔으며 30.5대를 격추했다. 센트죄르지가 격추한 기체는 [[I-16]]같은 구식 기체가 아니라 [[Yak-9]], [[La-5]], [[Il-2]]였으며 [[P-51]] 머스탱과 [[P-38 라이트닝]]도 격추한 기록이 있다.] ===== [[이탈리아 전선]] ===== 마지막으로 CR. 42는 복엽기로써 최후의 공중전 전과를 냈다고 본다. 1944년, 알프스 일대에서 독일군 소속 CR. 42 편대가 비행중에 미 육군항공대의 [[P-38 라이트닝]]과 조우해서 교전했는데 CR. 42 3대가 격추되었고 라이트닝은 부대로 귀환했다. 이걸로 끝이면 활약이 아니겠지만 부대에 귀환했을때 라이트닝 2대가 돌아오지 못한 것이다! 상황을 보면 CR. 42의 피해가 누적되어 결국 격추되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여러므로 복엽기의 시대가 아니였지만 화려하게 마무리를 장식하고 사라졌다고 볼 수도 있을 것이다. 그외 초계활동도 해서 대잠전과도 있다. 대표적인 예시로 영국 U급 잠수함 HMS 얼지(Urge)가 CR. 42의 공격으로 격침되었다고 하지만 2019년, 얼지의 잔해를 발견하면서 밝혀진 원인에 따르면 얼지의 격침원인은 [[기뢰]]였다고 한다. === 미디어 === 항공 시뮬레이션 게임 [[워 썬더]]에서 등장한다. [[워 썬더/항공 병기/이탈리아 트리/피아트 · 마키]] 1티어에 위치해있다. 게임상 같은 트리에선 다들 복엽기타고 다니니 확실히 우수한 기체임을 느낄 수 있다. [[히어로즈 인 더 스카이]]에서도 이탈리아 초기 전투기 트리로 등장했다. 놀랍게도 이 게임에서는 20mm 기관포 2문을 장착할 수 있었다. 덕분에 복엽기전 대전모드에서는 사기적인 기체였다. 잠수함 패치로 복엽기전 모드에서 기관포를 사용할 수 없게끔 막은 뒤로는 사용 빈도가 줄어들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2차 세계대전/스웨덴군 항공기)] [include(틀:2차 세계대전/독일군 항공기)] [include(틀:항공병기 둘러보기)] [[분류:전투기]][[분류:항공 병기/세계 대전]][[분류:피아트]][[분류:이탈리아군/항공기]][[분류:1939년 출시]][[분류:1943년 단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