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ff8a00><:>'''< [[BOF]] 역대 개인전 스코어 우승·준우승·3위 곡 >''' || ||<:> 2015 || → ||<:> 2016 || → ||<:> 2017 || ||||||||||<:>'''우승''' || ||<:> [[DataErr0r]] || → ||<:> '''[[Aleph-0]]''' || → ||<:> [[Nhelv]] || ||||||||||<:>'''준우승''' || ||<:> [[Dreadnought(BMS)|Dreadnought]] || → ||<:> '''[[Black Lotus(BMS)|Black Lotus]]''' || → ||<:> [[Berry Go!!]] || ||||||||||<:>'''3위''' || ||<:> [[METATRON]] || → ||<:> '''CO5M1C R4ILR0AD''' || → ||<:> [[もぺもぺ]] || ||<#FFFFAA><:> '''곡명''' ||<:> [[CO5M1C R4ILR0AD]] || ||<#FFAAFF><:> '''[[장르]]''' ||<:> '''Hi-NRGTECH [[트랜스(음악)|Trance]]''' || ||<#AAFFAA><:> '''[[BPM]]''' ||<:> '''155''' || ||<#FFAAAA><:> '''[[작곡가]]''' ||<:> '''kanone''' || ||<#AAFFFF><:> '''[[BGA]]''' ||<:> '''Shuto''' || ||<#AAAAFF><:> '''BGA 형식''' ||<:> '''MPEG-BGA''' || ||<#AAAAAA><:> '''Extended''' ||<:> || [youtube(MSkcd7kLiUU)] |||||||||| [[발광 BMS]] 3단 || ||스테이지|| 곡명 || 차분명 || 발광 난이도 || 참고 || || 1 || [[Trahison]] || E || ★6 || || || 2 || [[Danse de Romani]] || Professional || ★7 || || || 3 || [[UnFaked phantOm]] || EXTRA || ★8 || || || 4 || [[CO5M1C R4ILR0AD]] || ON3 M0RE 3XTR4 || ★9 || || |||||||||| [[발광 BMS]] DP 7단 || ||스테이지|| 곡명 || 차분명 || 발광 난이도 || 참고 || || 1 || [[METATRON|Metatron]] || sub black another14 || ☆12 || || || 2 || [[雪解け色フラワーズ]] || Spring Ephemeral || ★7 || || || 3 || [[CO5M1C R4ILR0AD]] || DP || ☆12 || || || 4 || [[Hazy moon]] || DP Another || ★7 || || ||<-6> [[발광 BMS]] 난이도 체계 || || 차분명 || 발광 난이도 || 노트 수 || 판정 || 차분 제작자 || 참고 || || ON3 M0RE 3XTR4 || ★9 || 2106 || EASY || swa || || || Penother || ★4 || 1745 || EASY || PEN || DP || kanone가 [[BOFU2016]]에서 s-don, Ras와 함께 결성한 Futurist Voices 팀의 에이스곡으로 출품한 곡이다. 곡 이름은 Cosmic Railroad를 [[리트]]로 표기한 것. 곡에 맞춰서 BGA에 우주를 횡단하는 기차가 등장한다. 가장 첫 작품인 Cross Galaxy에서도 신인이라고 믿기지 않는 상당히 깔끔한 트랜스를 선보여 주목을 받았는데, 이번에도 역시 자신의 강점인 트랜스를 하이테크 사운드와의 조화로 잘 살려서 좋은 음악을 만들어냈다. 작년 곡이었던 MASAMUNE[* 장르명은 오리엔탈 엣지였고, 장르명 처럼 동양풍의 웅장함을 강조한 곡이였다.]보다는 곡의 느낌 자체나 곡 제목이 Galaxy 시리즈를 계승하는 작품으로 느껴진다. 초반의 하드한 전개를 벗어나고 중반 이후부터의 전체적인 멜로디 라인은 비슷한데, 악기 구성을 다양하게 가져가면서 음악으로 후반으로 갈수록 고조되고, 그러면서도 질주감을 살렸다. hi-low의 패턴 자체도 깔끔하게 나와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 BGA도 좋긴 좋았는데 후반 부분이 음악과 함께 반복적인 느낌이 들어 아쉬웠다는 평가도 있었다. 대회 초반에는 그렇게 큰 주목을 받지 못했는데, [[Aleph-0]]가 1등을 확정짓는 폭발적인 임프레션 증가를 보일 때 조용히 올라오더니 10위권에 안착했다. 게다가 대회 초반 990점대 평점을 지니고 있으면서 이러다가 최초 990점을 보는게 아니냐는 말까지 나왔을 정도인 [[Alice in Misanthrope -厭世アリス-]]의 중앙값마저 뛰어넘으면서 엄청난 행진을 하기 시작하며 한 자리수 순위로 위치를 옮겼다. 기어이 대회 후반부에서는 3~6위에서 각축을 벌이고 있던 곡들을 전부 따돌리고, 3등에 위치하게 된다. 막판 흥행으로 20만점을 노릴 수 있는 위치까지 갔지만... '''단 622점이 모자라서 20만점 대열에 합류하지 못한다.'''[* 20만점 대열 중 우승, 준우승을 하지 못한 곡은 당시 [[METATRON]]이 유일했고, 코스믹이 나오고 1년 뒤 [[もぺもぺ]]가 나왔다. 재미있는 것은 그 두 곡은 총점만 높지 중앙점 및 평점은 박살이 났다는 것...] 중앙값 또한 마찬가지로 대회 중후반까지는 유력한 1위 후보였는데, 역시 990점의 벽은 높았는지, 계속해서 평점이 떨어져서 980점대 후반까지 갔다. 이후에 [[Hyper Fiber World Spectrum]]이 대회 중반에 중앙값이 1000점으로 올라오면서 평점에서 2위로 밀리기 시작했고, 마지막 날 뚜껑을 열어보니 조용했던 [[Black Lotus(BMS)|Black Lotus]]가 가장 위에 위치하면서 중앙값. 평점 역시 3위로 대회를 마감했다. 참고로, 총점도 3위, 중앙값도 3위는 [[Grand Thaw]]의 [[ERIS]] 이후로 2번째이다. 여담으로 작곡가인 kanone의 BMS 경력은 꽤나 들쭉날쭉한 편인데, BMS OF FIGHTERS 2011에서 혜성같이 등장해 Cross Galaxy로 12등을 차지하며 기대받는 신인이 됐고, 다음해에 [[Infinite Galaxy]]까지 흥행[* 당시 대회 평점 3위.] 시키며 슈퍼스타의 반열에 올랐으나, 2013년의 Twilight Galaxy는 Galaxy 시리즈의 BGA를 담당해줬던 [[deadblue238]]의 은퇴 여파로 BGA 없이 출품하면서 순위가 많이 하락했다. 그 후 2014년 내내 BMS와는 담을 쌓았던 kanone는 2015년에 [[HDLV|낭만영상제작클럽]]의 BGA를 동원한 MASAMUNE로 성공적인 복귀를 보여주면서 자신이 아직 건재하다는걸 증명했고, 결국 이 곡으로 자신의 BOF 최고 순위를 바꾸는데 성공했다. 유일한 흠이라면 단 하나의 임프레 부족으로 인해서 [[Altale]]과 [[Black Lotus(BMS)|Black Lotus]] 같이 총점 20만점 돌파 및 평점 980점 이상 돌파를 동시에 하지못했다는 아쉬움뿐이다. === 대회 결과 === 대회 : '''[[BOF|BMS OF FIGHTERS ULTIMATE 2016 - Legendary Again -]]''' (2016) 총점 : '''199378''' (203 임프레션) [* 에이스 보정 기준 249222.5] 중앙값 : '''1000.00''' / 1000.00 평점 : {{{#red '''982.15'''}}} / 1000.00 개인전 스코어 순위 : '''3위''' 개인전 중앙값 순위 : '''3위''' 개인전 평균값 순위 : '''3위''' === 곡 코멘트 === >이번에는 제 특기인 「Hard Trance」에 「자기해석을 한 Hi-TECH」를 합친 악곡이 되어 양쪽 장르에 경의를 담은 명칭 「Hi-NRGTECH Trance」라고 죄송스럽지만 멋대로 붙이게 되었습니다. > >미려하면서도 약동감 있는 영상을 Shuto(@shuto_fms)님께 받았고, 채보 제작의 서포트를 hi-low(@hi_low_pol)님께 부탁드렸습니다. > >다시금 이번에는 멋진 분들과 만날 수 있어서 진심으로 기쁘게 생각합니다! > >그럼 이번 작품도 아무쪼록 잘 부탁드리겠습니다! > >흑채보는 꽤나 지독하게 만들었지만 가능한 분은 간단히 이어나갈 수 있는 채보입니다! == 리듬게임 수록 == === [[CHUNITHM]] === |||||||||| [[CHUNITHM]] 난이도 체계 || || 곡명 |||||||||| CO5M1C R4ILR0AD || || 아티스트 |||||||||| kanone || || BPM |||||||| 155 || ||<|2>난이도|| {{{#green BASIC}}} || {{{#orange ADVANCED}}} || {{{#red EXPERT}}} || {{{#8324ff MASTER}}} || || {{{#green 3}}} || {{{#orange 7}}} || {{{#red 11}}} || {{{#8324ff 13}}} || ||노트수|| {{{#green 429}}} || {{{#orange 732}}} || {{{#red 1274}}} || {{{#8324ff 1685}}} || [youtube(t4Nx1zhLn84)] 2019년 6월 6일에 AMAZON PLUS에 수록되었다. === [[MUSYNC]] === ==== Hard ==== [youtube(sovWIDjq47Y)] 4K Hard 영상. 전반부가 살짝 난해한 감이 있으므로 우선 익숙해지는 것이 스코어링에 도움이 된다. 후반부 메인 파트에서는 주로 멜로디를 따라가며 전체적으로 조금씩 꼬이는 배치에 주의. [youtube(yOEJreE7N3k)] 6K Hard 영상 ==== Inferno ==== [youtube(qItR0vvBvmA)] 4K Inferno 영상 [youtube(erzAPEg0lNs)] 6K Inferno 영상 === [[Sixtar Gate: STARTRAIL]] === [include(틀:Sixtar Gate: STARTRAIL/채보, thumb=co5m1cr4ilr0ad_thumb.png, title=CO5M1C R4ILR0AD, composer=kanone, last_other=Visualized, last_name=Shuto, l_comet=03, l_nova=05, l_supernova=09, l_quasar=13, s_comet=03, s_nova=06, s_supernova=09, s_quasar=13, s_starlight=15, l_c_note=332, l_n_note=576, l_s_note=1053, l_q_note=1638, s_c_note=332, s_n_note=626, s_s_note=1030, s_q_note=1682, length=2:17, date=0.1.002 (2021.11.06), remarks=STARLIGHT 패턴 존재, jacket=co5m1cr4ilr0ad_jacket.png )] ==== 채보 상세 ==== ===== LUNAR MODE ===== [youtube(cGSxzxM2LaI)] '''QUASAR''' 패턴 영상 ===== SOLAR MODE ===== [youtube(aAUwxhwnNC0)] '''QUASAR''' 패턴 영상 [youtube(lPEtdrasVfo)] '''SUPERNOVA''' 패턴 영상 [youtube(R8shAIPz5Ck)] '''NOVA''' 패턴 영상 === [[D4DJ Groovy Mix]] === [include(틀:구루미쿠 1차 악곡해금 투어)] [include(틀:D4DJ Groovy Mix의 14 수록곡)] * [[D4DJ Groovy Mix/수록곡]] ||||<:><#48d1cc,#004c4c>{{{+1 {{{#4b0082,#violet C}}}O5M1C R4ILR0AD}}}[br]{{{#!wiki style="margin: -10px -10px auto;margin-top:-9px"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border-right:1px solid;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margin-left: -10px;float:left" {{{#373a3c,#afeeee BPM}}}}}} {{{#373a3c,#afeeee 155}}}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border-left:1px solid;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margin-right: -10px;float:right" {{{#373a3c,#afeeee 2:18}}}}}} ||}}}{{{#!wiki style="margin: 0px -12px -16px" |{{{#!wiki style="margin: 0px 2px;" [[파일:CO5M1C_R4ILR0AD_Groovy_Mix_Cover_Art.jpg|width=100%]]}}}|<-4> [[파일:d4dj_Easy.png]][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blue;display:block;, 곡률=1em, 사이즈=0.8em; margin: 3px -5px 2px, 글자색=#fff, 내용=5)] 255 [br] (NTS/DNG) || [[파일:d4dj_Normal_2.png]][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darkGreen;display:block;, 곡률=1em, 사이즈=0.8em; margin: 3px -5px 2px, 글자색=#fff, 내용=8)] 364 [br] (DNG/SCR) || [[파일:d4dj_Hard.png]][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Chocolate;display:block;, 곡률=1em, 사이즈=0.8em; margin: 3px -5px 2px, 글자색=#fff, 내용=11+)] 601 [br] (SCR) || [[파일:d4dj_Expert.png]][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Crimson;display:block;, 곡률=1em, 사이즈=0.8em; margin: 3px -5px 2px, 글자색=#fff, 내용=14)] 1004 [br] (SCR) ||}}}|| ## 노트수가 1000이상일 경우 '''볼드체''' 처리합니다. ## 채보 경향은 NTS / DNG / SCR / EFT / TEC 중 레이더 차트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가지는 수치를 적습니다. 높은 수치가 세 개 이상일 경우 ALL을 적습니다. || 수록 || 2022년 2월 26일 || || 아티스트 ||<#fafafa,#1f2023> kanone || || 해금 방법 ||<:> ~~구루미쿠 투어[* LIVE PASS로 해금 불가.]~~[br]2022년 3월 27일부터 진주교환소에서 해금 가능 || || 카테고리 ||<#32cd32,green><:> 원곡 || || 기타 || MV 있음[* 교환소에서 구매할 필요 없이 기본 제공됨. Shuto의 BGA를 그대로 가져왔다.] || ||||<^|1><:>{{{#!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 레이더 차트 & 채보 디자이너 ] [[파일:레이더 차트.png|align=center]]{{{#!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파일:d4dj_Easy.png]] || [[파일:d4dj_Normal_2.png]] || [[파일:d4dj_Hard.png]] || [[파일:d4dj_Expert.png]] || ||<-4> hi-low ||}}}}}}}}} || 2022년 2월 20일, 공식 트윗에 악곡 해금 투어 예고 트윗이 올라왔는데,[[https://twitter.com/D4DJ_gm/status/1495322331849236482|*]] 힌트로 주어진 글자인 5, 4, 0을 통해 이 곡으로 예상되었고, 2월 23일 구루미쿠 공식 트윗을 통해 정식 공개되었다.[[https://twitter.com/D4DJ_gm/status/1496409501825736708|*]] 채보 제작자는 BMS와 마찬가지로 hi-low. BMS 곡이 상업 게임에 이식되었는데도 채보 제작자가 동일한 이례적인 경우로 hi-low가 구루미쿠 채보 팀에 속해있기에 가능한 일. ==== 채보 ==== [youtube(0_1DcA4HYMI)] HARD 채보 캡처 영상 [youtube(Y7tB6xjXoIQ)] EXPERT PFC(-4) 영상 [youtube(SYteykqjIs8)] EXPERT PFC(-33) 영상[*MV MV ON, 레인배경밝기 0%, 노트크기 50% 설정 상태이므로 유의.] === [[펌프 잇 업]] === * [[펌프 잇 업/수록곡]]으로 돌아가기 || 최초 수록 버전 ||<-2> [[펌프 잇 업 PHOENIX]] || || 아티스트 ||<-2> kanone || || BPM ||<-2> 155 || || 비주얼 ||<-2> Shuto || || 채널 ||<-2> World Music / PHOENIX || ||<-3> 레벨 데이터 ※[[펌프 잇 업 PHOENIX|PHOENIX]] 기준[* 볼드체는 해금 필요.] || || 타입 |||| 레벨 || ||<|5> Normal || Single || 10 / 15 / 18 / 21 || || Double || 13 / 19 / 22 || ||<-3> 채보 제작자 || || 타입 |||| 레벨 및 제작자 || ||<|2> Normal || S10 / S15 / S18 / S21 ||<|2> [[FEFEMZ*|FEFEMZ]] || || D13 / D19 / D22 || 싱글 10, 15 [youtube(aggNy-SvT8I)] 싱글 18, 21 더블 13 더블 19 [youtube(tduwn5NEdfs)] 더블 22 [[분류:BOF/수록곡]][[분류:CHUNITHM의 수록곡]][[분류:Sixtar Gate: STARTRAIL의 수록곡]][[분류:D4DJ Groovy Mix의 수록곡]][[분류:펌프 잇 업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