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미국 관련 문서)] [목차] [clearfix] == [[미합중국 육군|미 육군]] 범죄수사대 == ||<-2> {{{#ffffff '''{{{+1 미합중국 육군범죄수사대}}}[br](Criminal Investigation Division)'''}}} || ||<-2> [[파일:CID_seal.gif|width=250]] || ||<-2> '''{{{#ffffff 해야할 일을 하라(Do What Has To Be Done.)}}}''' || || '''{{{#ffffff 상급기관}}}''' || '''[[육군부|미국 육군부]]''' || || '''{{{#ffffff 설립입}}}''' || '''1971년 9월 17일''' || || '''{{{#ffffff 사령관}}}''' || 케빈 버린(Kevin Vereen)[* 2019년 6월 24일 부임] || || '''{{{#ffffff 주요임무}}}''' || 중대 범죄 수사, [br]중대 조사 수행, [br]범죄정보 수집 · 분석 및 전달, [br]보안 서비스, [br]법의학 시험, [br]육군 범죄 기록 관리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ID본부.jpg|width=100%]]}}}|| || '''CID 본부''' || === 개요 === [[미합중국 육군]]범죄수사대는 미 육군 내에서 발생한 중범죄의 수사[* 심각하지 않은 건 군사경찰이 직접 수사한다.], 국가안보에 대한 위협 격퇴와 방첩 및 대테러 업무 등을 담당하는 기관이다. 다만 방첩 임무는 육군 방첩대(U.S. Army Counterintelligence)가 이미 있어서[* 타군에선 수사기관이 방첩기관 역할도 하는데 육군만 조직이 분리되어 있다.] 적극적으로 나서지는 않는다. 때로는 경호나 경비 임무를 맡기도 한다. 해공군부 소속일 뿐 군의 일부는 아니어서 군 지휘 체계를 따르지 않는 [[NCIS]], [[AFOSI]]와 달리 CID는 [[육군참모총장]] 밑에 있는 육군의 일부이며, 육군[[미합중국 육군/군사경찰|군사경찰]]감([[소장(계급)|소장]])이 사령관을 겸임한다. 모양은 조금 다르지만 다른 두 군수사기관과 함께 [[버지니아 주]] 콴티코의 해병기지(MCB Quantico)에 본부를 두고 있다.--정모해도 될 듯-- 직원은 [[현역]], [[예비역]] [[장병]] 및 [[군무원]]을 합쳐 3천 명에 조금 못 미친다. [[군사경찰]] 내에서 범죄수사까지 죄다 도맡는 [[대한민국 국군|국군]] 출신들은 조금 이해하기 힘든 조직일 수도 있는데 [[미군]]은 각 군마다, 심지어 [[미합중국 해안경비대|해안경비대]]까지 군 장병과 군무원으로 구성된 수사기관이 딸려 있으며 군사경찰은 경미한 범죄수사를 하긴 하지만 교통이나 경계근무 등을 중점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국군에도 [[국방부 조사본부]]라는 유사 조직이 있기는 하다. 이렇게 군사경찰과 수사기관을 분리한 이유는 야전 지휘관들의 지휘 체계에서 벗어남으로써 수사의 독립성을 보장하고 비 군인인 군무원을 영입함으로써 우수한 인재 영입 루트를 넓게 유지해 수사관의 질을 끌어올리기 위함이다. 군무원이 군수사기관에서 근무하기 때문에 군의 폐쇄성을 견제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수사기관 답게 육군 내에서 끗발이 꽤 센 부대로, 이곳 근무자는 대다수의 미 육군 인원들이 껄끄러워한다. 약칭은 문서 제목처럼 CID인데 과거 명칭 Criminal Investigation Division(범죄수사단)의 흔적이다. 유서 깊은 이름이라 정식 사령부로 승격되고 명칭이 바뀌었음에도 CIC로 개칭하지 않고 여전히 CID를 쓰고 있다. === 역사 === 과거에는 미군도 군사경찰만이 범죄수사를 맡았다. 해군에서 NCIS의 전신인 NIS가 범죄수사를 하긴 했지만 소속이 [[ONI]]이었던 것에서 알 수 있듯이 NIS의 범죄수사는 방첩 작전으로서의 성격이 강했다. 그러나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고 미군이 대규모 해외 파병에 나서자 육군 수뇌부는 고민에 잠겼는데 해외에서는 국내만큼 군사경찰의 영향력이 크지 않을테니 감시가 소홀해진 틈을 타 파병군이 고삐풀린 망아지처럼 날뛸 것 같았던 것이다. 실제로 파병군의 군기 유지는 매우 중요한 문제인데 병사 한 명의 범죄 때문에 우방국이 적으로 돌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결국 원정군 사령관이었던 [[존 퍼싱]] 장군이 직접 방범과 수사를 전담하는 부서를 군사경찰대 내에 새로 설치하기로 하는데 이게 바로 Criminal Investigation Division, CID이다. 그러나 기존의 군사경찰대 내에 설치한 것이기 때문에 CID는 단일화된 조직이 아니라 이 부대 저 부대 내에 우후죽순으로 설치되었으며 소속 군사경찰부대 군사경찰 지휘관의 통제 아래 놓일 수 밖에 없었다. 1차대전이 끝나고 [[미 육군]]의 규모가 축소되면서 CID 역시 근근히 명맥만 이어가는 신세가 되었다. 그러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고 미군의 참전이 가시화되자 육군은 부랴부랴 규모를 키웠는데 CID 역시 다시 활기를 되찾았다. 그러나 육군 군사경찰감실은 CID를 불신하여 방산업체 취업자의 [[간첩]] 여부 조사 정도만 맡겼고 현장에서의 육군 장병 범죄수사는 여전히 군사경찰의 몫이었다. 하지만 전쟁이 계속되고 미군이 해외에서 보내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장병 범죄율은 올라갔지만 군사경찰은 다른 임무들 때문에 수사에 쏟아부을 수 있는 자원이 점점 줄어갔다. 이에 야전 [[지휘관]]들의 개선 요청이 빗발치자 1944년 1월 비로소 CID는 군사경찰감실 직속의 단일 조직이 되었다. 이때 군사경찰의 수사 감독권과 야전부대간 수사 공조 조율권 등이 부여되면서 CID는 육군 범죄수사를 선도하는 [[조직]]으로 떠올랐다. 그러나 학습 효과가 없었는지 육군은 2차대전이 끝나자 CID를 갈기갈기 찢어 군사경찰부대들로 돌려보낸다. 이후 CID는 1차대전 종전 후처럼 찌그러진 채 살다가, 1964년 미군 해외 주둔군의 효율적인 통제를 고심하던 [[미합중국 국방부]]가 CID 조직의 단일화를 결정하면서 극적으로 부활한다. 1965년에는 단일화된 CID의 국내 관할이 확정되었고 이듬해 유럽과 극동에서도 CID 개편이 이루어졌다. 물론 보수적인 군의 특성상 새 체계가 완전히 자리를 잡은 건 몇 년 뒤인 1969년으로 이때 육군수사청(Army Criminal Investigation Agency)이 창설되어 전세계의 CID 조직들을 감독하게 된다. 거기에 1971년 멜빈 레어드(Melvin Laird) 국방장관이 '감독권으로 되겠냐? 지휘권도 줘라'라고 [[육군부]]에 지시하면서 육군수사청은 9월 17일 육군범죄수사사령부로 승격되었고, 전세계의 CID 조직을 흡수하면서 오늘날의 모습이 된다. === 조직 === CID 사령관이 군사경찰감이기 때문에 CID 주둔지 역시 군사경찰부대로 분류된다. * 제3군사경찰단 : [[조지아 주]] 헌터 육군비행장. * 5군사경찰[[대대]] : [[독일]] 카이저슬라우테른. * 10군사경찰대대 : [[노스캐롤라이나]] 포트 브래그. * 502군사경찰대대 : [[켄터키]] 포트 캠벨. * 포트배닝대대 : [[조지아 주]] 포트 배닝. * 워싱턴대대 : [[버지니아 주]] 포트 마이어. * 12군사경찰분견대 : [[버지니아 주]] 포트 리. * 68군사경찰분견대 : [[메릴랜드]] 포트 미드. * 75군사경찰분견대 : [[버지니아 주]] 포트 벨보어. * 제6군사경찰단 : [[워싱턴 주]] 포트 루이스. * 11군사경찰대대 : [[텍사스]] 포트 후드. * 19군사경찰대대 : [[하와이]] 휠러 육군비행장. * 22군사경찰대대 : [[워싱턴 주]] 포트 루이스. * 제701군사경찰단 : [[버지니아 주]] 콴티코 해병기지 * 야전수사대 * [[방산비리]]수사대 * 컴퓨터범죄수사대 * 테러범죄수사대 * 육군경호대대 : [[버지니아 주]] 포트 밸보어. * 미 육군 범죄수사연구소 : [[조지아 주]] 포트 길렘. * 미 육군 범죄기록센터 : [[버지니아 주]] 콴티코 해병기지 --육군범죄수사사령부인데 어째 주요 시설은 다 해병대 기지에 있다?-- === 장비 === 요원들의 제식 총기는 [[SIG]]사의 [[SIG M11|M11]], [[SIG P228]]. [[M4 카빈|M4A1]]도 갖고 다니기는 하지만 쓸 일은 별로 없는데 이유는 CID가 수사를 한다면 그곳은 대부분 미군기지 내부일 것이고, 그런 곳에서 권총을 들이밀었는데도 제압이 안 될 정도로 강하게 저항하는 범죄자가 있다면 굳이 직접 제압하려고 애쓰지 말고 그냥 다른 군사경찰들을 부르면 된다. 그러면 순식간에 군사경찰들이 [[험비]]를 타고 들이닥쳐서 모든 것을 정리할 테니... 게다가 좀 큰 기지 내에는 Security force가 존재하므로 여차하면 장갑차와 대테러팀도 온다. === 관련 문서 === * [[NCIS]] * [[AFOSI]] * [[DCIS]] * [[CGIS]] * [[장군의 딸]] * [[미군 군사경찰]] * [[미합중국 육군/군사경찰]] * [[미합중국 해군/군사경찰]] * [[미합중국 공군/군사경찰]] == [[미합중국 해병대|미 해병대]] 범죄수사단 == [[파일:USMC_CID_badge.jpg]] 잘 알려지지 않은 사실이지만 [[해병대]]에도 CID라는 수사기관이 존재한다. USMC CID라고 하는데 이쪽은 이름도 여전히 Criminal Investigation Division이다. [[해군부]] 산하인 [[NCIS]]와 달리 [[해병대사령관]] 예하이다. 육군 CID의 압도적인 규모와 존재감에 밀리는 데다 NCIS에 굵직굵직한 권한들도 다 넘기고 남은 건 천 명도 안 되는 직원들 뿐이다. 그래도 여전히 해병대 내에서는 끗발 좀 있다는 게 위안이라면 위안이다. [각주] [[분류:수사기관]][[분류:방첩기관]][[분류:미국 국방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