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JNR-C515.jpg]] [목차] == 개요 == [youtube(iBnWIjW8JG8)] [[일본국유철도]]에서 운용한 여객용 [[증기 기관차]]. == 제원 == ||이름||JNR Class C51|| ||형식명 (일본)||国鉄C51形蒸気機関車|| ||차륜배치 ||4-6-2|| ||제작사 ||[[카와사키 중공업]] 등|| ||전장||19.994mm|| ||전폭||mm|| ||전고||3,800mm|| ||중량||113.8t|| ||생산 년도||1919~1928년|| ||생산량||289대|| == 상세 == 1930년에 첫번째로 개통한 [[츠바메(특급)|츠바메 열차]]를 견인한 증기 기관차로 [[차륜 배치 표기법|4-6-2 퍼시픽형]] 차륜배치를 가졌다. [[중국]]에도 수출되었는데, 해당 차량은 중국 국철 승리 9형(勝利9)이나 중국 중앙철도 파시나[* 파시 7형. [[남만주철도주식회사|남만주철도]]의 파시 7형(파시나) [[고속철도|스트림라이너 증기 기관차]]와는 다르다.]형으로 명명되었다. [[파일:C51_61.jpg]] 61호차의 경우 도낏날을 연상시키는 독특한 형상의 선두 구조물을 추가로 장착하였다. C51형은 1965년에 완전히 현업 운행에서 퇴역했다. == 보존 == [[파일:JGR_Class_C51_steam_locomotive_5_at_the_Railway_Museum_001.jpg]] [[파일:C5144.jpg]] [[파일:C5185.jpg]] [[파일:D10HnN6UkAA3Rip.jpg]] 5호차, 44호차, 85호차[* 44호차와 85호차는 [[터우형 증기기관차|내부를 볼 수 있게 절개했다]].], 239호차[* 해당 차량은 천황 전용 열차의 기관차였다.] 총 4대가 보존되었으며, 전 차량 정태보존 상태다. == 기타 == C51형의 동륜은 차후 일본의 증기 기관차 동륜 크기의 표준이 되었다. 또한 C51의 보일러는 [[D50형 증기 기관차]] 설계시에 유용하여 이후로 등장하는 일본의 증기 기관차의 대다수가 공유하였다. 133호차는 [[마쓰카와 사건]]으로 탈선했다. [각주] [[분류:증기 기관차]][[분류:일본의 철도차량]][[분류:1919년 출시]][[분류:1928년 단종]][[분류:나무위키 일본철도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