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브리트니 스피어스/음반]][[분류:2001년 음반]][[분류:미국의 팝 음반]][[분류:빌보드 1위 앨범]][[분류:컨템퍼러리 R&B]][[분류:로드니 저킨스]][[분류:The Neptunes]] [include(틀:브리트니 스피어스 앨범)]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3> '''[[브리트니 스피어스/앨범 목록|{{{#f1d625 브리트니 스피어스의 음반 순서}}}]]''' || || ← ||<|2> '''3집'''[br]{{{+1 '''Britney'''}}}[br]'''(2001)''' || → || || {{{-2 2집}}}[br][[Oops!... I Did It Again(앨범)|{{{#926524 ''' ''Oops!... I Did It Again'' '''}}}]][br]{{{-2 (2000)}}} || {{{-2 4집}}}[br][[In the Zone|{{{#4773a4 ''' ''In the Zone'' '''}}}]][br]{{{-2 (2003)}}} || ||<-3><#4e699e> '''{{{#f1d625 수상 내역}}}''' || ||<-3>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1 [[빌보드 200|[[파일:Billboard200logoBLACK.png|width=150]]]][br][[빌보드 200]] {{{#b2a529 '''역대 1위'''}}}}}} || || ''[[Invincible]]'' [[Michael Jackson|{{{-2 {{{#8086a0 Michael Jackson}}}}}}]] || {{{+1 →}}} || '''Britney'''[br]'''^^{{{-2 (1주)}}}^^''' '''[[Britney Spears|{{{-2 {{{#8086a0 Britney Spears}}}}}}]]''' || {{{+1 →}}} || ''Scarecrow'' [[Garth Brooks|{{{-2 {{{#8086a0 Garth Brooks}}}}}}]] || ---- [include(틀:RIAA 플래티넘,pt=4)] ---- [include(틀:빌보드 선정 2000년대 200대 명반, 순위=64)] ---- [include(틀:BuzzFeed 선정 147대 명반)] ---- }}} ||}}} ---- ||<-2> {{{+2 ''' ''Britney'' '''}}}[br]{{{-2 '''브리트니'''}}}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ritney.jpg|width=100%]]}}}|| || '''발매일''' ||'''2001년 11월 6일'''|| || '''프로듀서''' ||'''BT · [[Rodney Jerkins]] · Brian Kierulf''' 외[* Peter Kvint · [[Max Martin]] · [[The Neptunes]] · Rami · Wade J. Robson · Josh Schwartz · [[Justin Timberlake]]]|| || '''장르''' ||'''[[팝 음악|팝]] · [[컨템퍼러리 R&B|R&B]]'''|| || '''길이''' ||'''39:47'''|| || '''레이블''' ||[[소니 뮤직 엔터테인먼트|[[파일:자이브 레코드 로고.svg|width=30px]]]] || [목차] [clearfix] == 개요 == 2001년 11월 6일 발매된 [[브리트니 스피어스]]의 세 번째 정규 앨범이다. 브리트니 스피어스의 '''성공적인 이미지 변신'''을 이룬 앨범이다.[* 3집 이후로 노선을 섹시로 변경하게 되는데, (물론 2집 활동 때부터 조금씩 시도하긴 했다) 브리트니도 찰떡같이 소화해내 ~~신기할 정도로~~ 아이돌 이미지를 완전히 탈피하게 된다. 이후 브리트니=섹시 이미지가 굳어졌다.] 1, 2집에서는 전형적인 틴 팝을 부르는 틴 아이돌 이미지였다면 3집부터는 본격적인 섹시 노선을 타기 시작한다. 음악적인 부분에서도 틴 팝에서 벗어나 [[힙합 음악|힙합]], [[락 음악|락]], [[컨템퍼러리 R&B|알앤비]] 등 다양한 장르를 시도했다. 하지만 당시 브리트니의 나이는 19살에 불과한 완전한 숙녀로 불리기에는 부족한 시기였다. 앨범에서도 그 점이 드러나는데, "I'm Not A Girl, Not Yet A Woman"이 대표적이며 몇몇 노래는 1, 2집에 실려도 전혀 위화감 없을 틴 팝 노래 성격을 띄기도 한다. 틴 아이돌에서 섹시 가수로 가는 과도기적 앨범이라고 보면 된다.[* 그런 면에서 "I'm Not A Girl, Not Yet A Woman"이 성장에 대한 본인의 자아성찰로 보는 견해도 있다.] 이 앨범 활동 당시, 라디오 디제이들이 브리트니를 보이콧하여 3집 싱글과 [[In the Zone|4집]] 리드싱글까지 피해가 컸다. 앨범 수록곡중 일부가 브리트니가 주연으로 출연한 영화 '크로스로드'의 OST로 나온다.[* "I Love Rock 'N' Roll", "I'm Not A Girl, Not Yet A Woman", "Overprotected" 등.] == 차트 및 판매량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5> {{{+1 [[빌보드 200|[[파일:Billboard200logoBLACK.png|width=150]]]][br][[빌보드 200]] {{{#b2a529 '''역대 1위'''}}}}}} || || ''[[Invincible]]'' [[Michael Jackson|{{{-2 {{{#8086a0 Michael Jackson}}}}}}]] || {{{+1 →}}} || '''Britney'''[br]'''^^{{{-2 (1주)}}}^^''' '''[[Britney Spears|{{{-2 {{{#8086a0 Britney Spears}}}}}}]]''' || {{{+1 →}}} || ''Scarecrow'' [[Garth Brooks|{{{-2 {{{#8086a0 Garth Brooks}}}}}}]] ||}}} ---- [include(틀:RIAA 플래티넘,pt=4)] ---- || '''Britney의 차트 및 판매량'''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국가''' || '''판매량''' || '''순위''' || || 미국 || 5,210,000 || {{{#red '''1'''}}} || || 캐나다 || 400,000 || {{{#red '''1'''}}} || || 일본 || 535,000 || '''4''' || || 호주 || 160,000 || '''4''' || || 뉴질랜드 || 15,000 || 17 || || 영국 || 475,000 || '''4''' || || 독일 || 375,000 || {{{#red '''1'''}}} || || 프랑스 || 425,000 || '''2''' || || 대한민국 || 310,000 || [* 공식차트 없음] || || '''전세계''' ||<-2> '''10,240,000''' || }}} || 브리트니의 지난 두 앨범들에 비해 판매량이 감소하였지만 어디까지나 '비교적' 그렇다는 것이지 이 앨범도 꽤 히트를 거뒀다.[* [[9.11 테러]] 사건도 어느정도 영향이 있었다. 사실 이 9.11 테러라는 것은, 미국 문화 자체를 바꾼 사건이었고, 음악 시장도 이를 피해갈 순 없었으며, 브리트니의 판매량이 감소하는 것은 당연했다. 9.11 테러와 같은 날에 발매된 [[머라이어 캐리]]의 앨범이 크게 실패했다는 점을 떠올려 보자.][* 또한 인터넷의 발달, 그때까지 성숙하지 않았던 저작권 의식으로 인한 불법 다운로드가 본격적으로 기승을 부렸던 시기였다. 한국,미국,일본,유럽 할꺼 없이 2002년이 쯤이 되자, 음반시장이 붕괴되기 시작했었다.] 발매 첫 주 74만 장을 팔아치우며 [[마이클 잭슨]]의 마지막 앨범 [[Invincible]]을 끌어내리고 [[빌보드 200]] 1위로 데뷔한다. 2001년 [[NSYNC]]의 Celebrity에 이어 그 해 두 번째로 높은 초동 수치였다. 여가수로는 당연히 1위. 이로써 브리트니는 '''1집부터 3집까지 모든 앨범을 1위로 데뷔시킨 최초의 여가수'''라는 기록을 세운다. 2002년 연말 차트에는 8위에 올랐으며, 여가수로만 따지면 2위에 해당하는 순위였다. 미국 내 총 판매량은 440만 장으로 쿼드러플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다. 전 앨범들이 워낙 초대박을 쳐 모자라 보일 수 있으나, 3집도 대박인 판매량이다. 유럽 차트에서도 200만 장을 팔아 더블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고 전 세계 총 판매량은 1,000만장에서 마무리 되었다. 21세기 여성 가수 앨범 중에서 손에 꼽히는 판매량이다.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음악),album=britney,artist=britney-spears,critic=58,user=7.7)] '탑 팝스타'에서 '섹시 팝스타'로 넘어가는 과도기에 위치한 앨범인 만큼 평가가 그리 좋지 못했다. 발전하는 브리트니의 음악을 칭찬하는 쪽도 있었지만, 소녀도 숙녀도 아닌 어중간한 앨범이라는 비판도 있었다. 어쨌든 브리트니가 기존 음악들을 벗어나 힙합, R&B 등 다양한 장르들을 시도했다는 데 의미를 둘 수 있을 듯. 메타크리틱에서는 브리트니의 앨범 중 점수가 가장 낮았으나, 8집 [[Britney Jean]]이 나오면서 뒤에서 2등으로 올라왔다. == 싱글 == [include(틀:Britney/싱글)] ---- || '''Britney의 싱글 차트 순위'''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노래명''' || [[빌보드 핫 100|[[파일:빌보드 로고.svg|width=50]]]] || [[Official Charts|[[파일:오피셜 차트 로고.svg|width=50]]]] || '''비고''' || || [[I'm a Slave 4 U]] || 27 || '''4''' || || || Overprotected || 86 || '''4''' || || || I'm Not A Girl, Not Yet A Woman || -[* 버블링 언더 2위] || '''2''' || || || I Love Rock 'N' Roll || - || 13 || || || Boys || -[* 버블링 언더 22위] || '''7''' || || || Anticipating || - || - || [* 프랑스에서만 한정 발매된 싱글이다.프랑스 싱글 차트 38위.] || }}} || == 트랙리스트 == * [[파일:single_sign.png|width=15]] : 정규 싱글 * [[파일:singlepromo_sign.png|width=15]] : 프로모셔널 싱글 / 지역 한정 싱글 ||<-3> '''Britney'''[br]{{{-3 (North American Edition)}}}[br]{{{#!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0 10px; padding: 4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transparent 45%, #f1d625 45%, #f1d625 55%, transparent 55%); width: 90%" }}}[br]{{{#!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0 -10px 5px; color: #f1d625; font-size: .8em; min-width: 5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트랙''' || '''제목''' || '''길이''' || || 1 || [[파일:single_sign.png|width=10]] '''[[I'm a Slave 4 U]]''' ||<:>3:23|| ||<:>2|| [[파일:single_sign.png|width=10]] '''Overprotected''' ||<:>3:18|| ||<:>3|| Lonely ||<:>3:19|| ||<:>4|| [[파일:single_sign.png|width=10]] '''I'm Not A Girl, Not Yet A Woman''' ||<:>3:51|| ||<:>5|| [[파일:single_sign.png|width=10]] '''Boys''' ||<:>3:26|| ||<:>6|| [[파일:singlepromo_sign.png|width=10]] '''Anticipating''' ||<:>3:16|| ||<:>7|| [[파일:singlepromo_sign.png|width=10]] '''I Love Rock 'N' Roll''' ||<:>3:06|| ||<:>8|| Cinderella ||<:>3:39|| ||<:>9|| Let Me Be ||<:>2:51|| ||<:>10|| Bombastic Love ||<:>3:05|| ||<:>11|| That's Where You Take Me ||<:>3:32|| || 12 || What It's Like To Be Me || 2:50 ||}}}}}}}}} || ||<-3> '''Britney'''[br]{{{-3 (Digital Deluxe Edition)}}}[br]{{{#!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0 10px; padding: 4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transparent 45%, #f1d625 45%, #f1d625 55%, transparent 55%); width: 90%" }}}[br]{{{#!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0 -10px 5px; color: #f1d625; font-size: .8em; min-width: 5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트랙''' || '''제목''' || '''길이''' || || 1 || [[파일:single_sign.png|width=10]] '''[[I'm a Slave 4 U]]''' ||<:>3:23|| ||<:>2|| [[파일:single_sign.png|width=10]] '''Overprotected''' ||<:>3:18|| ||<:>3|| Lonely ||<:>3:19|| ||<:>4|| [[파일:single_sign.png|width=10]] '''I'm Not A Girl, Not Yet A Woman''' ||<:>3:51|| ||<:>5|| [[파일:single_sign.png|width=10]] '''Boys''' ||<:>3:26|| ||<:>6|| [[파일:singlepromo_sign.png|width=10]] '''Anticipating''' ||<:>3:16|| ||<:>7|| [[파일:singlepromo_sign.png|width=10]] '''I Love Rock 'N' Roll''' ||<:>3:06|| ||<:>8|| Cinderella ||<:>3:39|| ||<:>9|| Let Me Be ||<:>2:51|| ||<:>10|| Bombastic Love ||<:>3:05|| ||<:>11|| That's Where You Take Me ||<:>3:32|| ||<:>12|| When I Found You ||<:>3:35|| ||<:>13|| I Run Away ||<:>4:03|| ||<:>14|| What It's Like To Be Me ||<:>2:50|| ||<:>15|| Before The Goodbye ||<:>3:50||}}}}}}}}} || === [[I'm a Slave 4 U]]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I'm a Slave 4 U)]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Mzybwwf2HoQ)]}}}|| ||<#4e699e> {{{#f1d625 '''I'm a Slave 4 U (Official Music Video)''' }}} || 뮤비의 선정성이 [[Toxic]] 뮤비와 근접하다는 말이있다. 이후 정규 7집 [[Femme Fatale(브리트니 스피어스)|Femme Fatale]]의 [[Till the World Ends]] 뮤직비디오가 이와 비슷하게 만들어졌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dTocdBiwDgo)]}}}|| ||<#4e699e> {{{#f1d625 '''I'm a Slave 4 U (MTV VMA)''' }}} || 2001년 9월 6일 열린 [[MTV VMA]]에서 펼친 I'm a Slave 4 U 컴백 무대가 굉장한 화젯거리가 되었다. 실제 뱀을 몸에 휘감는 퍼포먼스를 펼쳐 '뱀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살아있는 실제 [[백호]]까지 무대에 올렸다. 실제 동물+비쥬얼+댄스가 삼박자를 이뤄 역대급 무대라는 칭찬이 쏟아졌다. 브리트니 커리어 사상 최고의 공연을 논할때 반드시 언급되는 공연이며, VMA에서 반드시 기억해야 될 순간 중 하나로 꼽히기도 한다. 이 무대를 통해 브리트니는 10대 아이돌에서 섹시 가수로 완벽한 이미지 변신을 이룬다. 다만 동물을 퍼포먼스에 이용했다면서 동물 보호 단체에서 엄청난 항의를 해댔다. 선정적인 공연에 학부모 단체에서도 항의가 빗발쳤다고. 이러한 화젯거리에도 불구하고 빌보드 핫 100 최고 순위는 27위로 미국에서만 유독 고전했다. 이러한 이유에는 여러가지 설이 있는데 대표적으로 싱글 억제와 라디오 보이콧이 있다. 앨범 판매에 집중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싱글 생산을 제한한 자이브 레코드의 싱글 억제 전략은 1집부터 이때까지 계속 이어졌다. 또한 빌보드 핫 100 차트의 중요한 집계 기준 중 하나인 라디오(에어플레이) 순위가 상당히 낮았다.[* 2001년 당시 빌보드 핫 100은, "음반 판매량"과 "라디오 에어플레이"를 토대로 만들었는데 이 중 라디오 에어플레이가 없으니 차트 성적이 좋을 수가 없다.] DJ들이 브리트니의 노래를 틀어주지 않는 보이콧을 펼친 것. 실제로 빌보드 라디오 차트인 빌보드 핫 100 에어플레이에서는 최고 순위가 30위였다. 게다가 브리트니의 섹시 컨셉에 대해 보수적인 미국 학부모층에서 거부감을 느낀 탓도 있다. 미국 외에 다른 국가에서는 대부분 10위권에 진입하며 인기에 걸맞는 순위가 나왔다. === Overprotecte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ZYSiWHW8V0)]}}}|| ||<#4e699e> {{{#f1d625 '''Overprotected (Official Music Video)'''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JeahZqa5Sgw)]}}}|| ||<#4e699e> {{{#f1d625 '''Overprotected (Full Choreography)''' }}} || || '''Overprotected의 차트 및 판매량'''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국가''' || '''차트 순위''' || '''판매량''' || || 미국 || 86위 || - || || 영국 || {{{#red '''1위'''}}} || 200,000 || || 폴란드 || {{{#red '''1위'''}}} ||- || || 프랑스 || 15위 || 250,000 || ||<|3> '''전세계 판매량''' || '''피지컬 싱글''' || - || || '''디지털 싱글''' || - || || '''스트리밍''' || 73,645,203 [*스포티파이] || ||<|3> '''유튜브''' || '''조회수''' || 148,552,708 [*2023-09-23 기준] || }}} || === Lonely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lII_sdBMFQg)]}}}|| ||<#4e699e> {{{#f1d625 '''Lonely (Official Audio)''' }}} || === I'm Not A Girl, Not Yet A Woman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IlV7RhT6zHs)]}}}|| ||<#4e699e> {{{#f1d625 '''I'm Not A Girl, Not Yet A Woman (Official Music Video)''' }}} || || '''I'm Not A Girl, Not Yet A Woman의 차트 및 판매량'''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국가''' || '''차트 순위''' || '''판매량''' || || 영국 || {{{#red '''1위'''}}} || 200,000 || || 오스트리아 || '''3위''' ||- || || 독일 || '''10위''' ||- || ||<|3> '''전세계 판매량''' || '''피지컬 싱글''' || - || || '''디지털 싱글''' || - || || '''스트리밍''' || 56,607,838 [*스포티파이] || ||<|3> '''유튜브''' || '''조회수''' || 169,266,821 [*2023-09-23 기준] || }}} || 3집 싱글 중 유일한 발라드이다. 뮤비 촬영 장소는 [[그랜드 캐니언]]이다. === Boys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s25OMP4Ww6Y)]}}}|| ||<#4e699e> {{{#f1d625 '''Boys (Album Version Official Music Video)''' }}} || 싱글 버전은 원래 버전이 아닌 [[퍼렐 윌리엄스]]가 피쳐링한 리믹스 버전이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17jGDyuVMv4)]}}}|| ||<#4e699e> {{{#f1d625 '''Boys (Official Audio)''' }}} || 원래 버전은 퍼렐의 피처링이 없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qYS02GiV0qQ)]}}}|| ||<#4e699e> {{{#f1d625 '''Boys (live from Las Vegas)''' }}} || === Anticipating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fUld94hj8gI)]}}}|| ||<#4e699e> {{{#f1d625 '''Anticipating (Official Audio)''' }}} || [[프랑스]]에서만 네 번째 싱글로 한정적으로 발매되었다. 때문에 세계 어느 곳에서도 차트에 오르지 않은 곡이나, 프랑스 싱글 차트에서만 38위까지 올랐다. 한정으로 발매했기 때문에 뮤직비디오도 없다. === I Love Rock 'N' Roll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ITuOddPeYoc)]}}}|| ||<#4e699e> {{{#f1d625 '''I Love Rock 'N' Roll (Official Music Video)''' }}} || 원곡은 [[더 러너웨이스]] 출신의 여자 락커 [[조안 제트]]의 1982년 싱글로 1982년 [[빌보드 핫 100]]에서 '''7주 연속 1위를 차지한 대히트곡'''인데 이것을 브리트니 스피어스가 커버한 것이다. 조안 제트는 이에 대해 “그녀가 로큰롤을 좋아한다니, 그건 사실이 아닐 듯싶네요.”라고 말했다. 하지만 훗날, 자신의 노래를 여러 가수가 부른 것 중 브리트니 스피어스의 버젼을 가장 좋아한다고 밝혔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uvbZZ_D8cU0)]}}}|| ||<#4e699e> {{{#f1d625 '''I Love Rock 'N' Roll (Scene of Crossroads)''' }}} || === Cinderella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UmJIy6BTD_c)]}}}|| ||<#4e699e> {{{#f1d625 '''Cinderella (Official Audio)''' }}} || === Let Me Be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tVoJAiygqi4)]}}}|| ||<#4e699e> {{{#f1d625 '''Let Me Be (Official Audio)''' }}} || === Bombastic Love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wNcZ6SSq49Q)]}}}|| ||<#4e699e> {{{#f1d625 '''Bombastic Love (Official Audio)''' }}} || === That's Where You Take Me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FryQsU9lYJA)]}}}|| ||<#4e699e> {{{#f1d625 '''That's Where You Take Me (Official Audio)''' }}} || === When I Found You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7VwGx5HfUeU)]}}}|| ||<#4e699e> {{{#f1d625 '''When I Found You (Official Audio)''' }}} || === I Run Away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E8LG6SkXLmY)]}}}|| ||<#4e699e> {{{#f1d625 '''I Run Away (Official Audio)''' }}} || === What It's Like To Be Me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2IQgJx05JxE)]}}}|| ||<#4e699e> {{{#f1d625 '''What It's Like To Be Me (Official Audio)''' }}} || === Before The Goodbye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6bGkEmtZGVE)]}}}|| ||<#4e699e> {{{#f1d625 '''Before The Goodbye (Official Audio)'''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