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음이의어, rd1=Boyhood(동음이의어))] [include(틀:창모)] ||<-2> '''{{{#fff {{{+1 ''Boyhood''}}}[br]보이후드}}}''' || ||||{{{#!wiki style="margin:-6px -10px" [[파일:Boyhood.jpg|width=100%]]}}}|| || '''아티스트''' || [[창모]] || || '''발매'''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9년 11월 29일 || || '''장르''' || Rap / Hip-hop || || '''길이''' || 38:21 || || '''타이틀''' || '''[[METEOR]]''' '''더 위로''' '''REMEDY (Feat. [[청하]])''' || || '''레이블''' || [[AMBITION MUSIK|[[파일:AMBITION MUSIK 로고.jpg|width=150]]]] || || '''유통''' || 지니뮤직, 스톤뮤직엔터테인먼트 || [목차] [clearfix] == 개요 == >'''CHANGMO의 첫 정규 앨범 "Boyhood"''' > >결국엔 유명해진다. >---- >앨범 소개 >'''전국 사람들이 외치네''' >'''저 괴물체는 뭘까''' >'''Meteor, 거대 Meteor''' >'''난 네게 처박힐 Meteor야''' >---- >[[METEOR]] 中 [[창모]]가 [[2019년]] [[11월 29일]]에 발매한 정규 1집. 26살의 나이에 첫 정규 앨범을 내고 싶어 꽤 오래 전부터 준비한 앨범이라고 한다. 그 이유는 26살에 자신을 품었던 어머니를 위해서[* 카녜의 "Hey Mama", 투팍의 "Dear Mama", god의 "[[어머님께]]" 등등 어머니에게 바치는 노래들에는 모두 영향을 받았다고 한다.], 또 [[카녜 웨스트]]가 1집 ''\[[[The College Dropout]]]''을 냈을 때 26살이었기 때문에 거기에 맞추고 싶었기 때문이었다고 한다. == 트랙리스트 == ||<-2> '''{{{#fff 트랙리스트}}}''' || || '''트랙''' || '''제목''' || || 1 || [[빌었어]] || || 2 || ^^{{{#8258fa {{{-3 '''TITLE'''}}}}}}^^ '''[[METEOR]]''' || || 3 || 위업 (Feat. [[Okasian]] & [[UNEDUCATED KID]])[* 원래는 피처링 없이 솔로곡으로 만드려 했으나 [[오케이션]]이 작업실에 놀러와서 비트를 들어보고 꼭 이 곡을 해보고싶다고 창모에게 부탁하여 파트를 주게 되었다고 한다.] || || 4 || 2 minutes of hell (Feat. [[Paul Blanco]])|| || 5 || ~~나의고향서울~~[* 원작자에게 샘플 클리어를 받지 못했다.] || || 6 || ^^{{{#8258fa {{{-3 '''TITLE'''}}}}}}^^ '''더 위로''' || || 7 || Dearlove (skit)[* 창모는 스킷이라고 이름 붙인 걸 후회한다고 한다. 발매 직전까지 넣을까 말까 고민했다고.] || || 8 || 세레나데 || || 9 || 031576 (Feat. KIRIN) || || 10 || ^^{{{#8258fa {{{-3 '''TITLE'''}}}}}}^^ '''REMEDY (Feat. [[청하]])''' || || 11 || meet me in Toronto (Feat. [[Paul Blanco]]) || || 12 || Hotel Walkerhill (Feat. [[Hash Swan]]) || || 13 || S T A R T || === [[빌었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빌었어)] === [[METEOR]] === [include(틀:상세 내용,문서명=METEOR)] === 위업 (Feat. [[Okasian]] & [[UNEDUCATED KID]]) === [youtube(Rs6Hj_QJIhA)] || '''{{{#fff "위업" 가사}}}''' || || {{{#!folding [ 열기 / 닫기 ] [Hook] Hoo Shoot Whut Huh Shit it down everytime 간을 잃어 거리 밖으로 탈출 해 난 위로 Every time 지녀 사임 0은 길어 Certified Rockstar 이루셨다 위업 위업 Gang Gang Gang Hol up Ya [Verse 1: CHANGMO] 영원히 벌으라카네 나의 하나님 경이로운 내 님 빨간 빛 빛 빛 언제부턴가 나의 삶은 변했지 어느 시점부터 나는 늘 lit as fuck 흔한 고졸 학력이 끝인 허나 여자는 늘 하늘 출신 sky sky 새로운 계층의 대두 쌈마이 구 pedigree 나의 bar를 원해 근본도 없는 새끼들이 난 써 가공할만한 loop 머리들을 받으며 oops 난 억대 벌어 쓰면 hook 여기 뭐 들었게 내 juice 꽐라 모드로 가 난 늘 섞을까 프로메타진 보석 때문에 독감이 걸린 조선의 위대한 락스타니 Hands [Hook] Hoo whut Ya Snow Bitch Yeah Yeah Shit it down everytime 간을 잃어 거리 밖으로 탈출 해 난 위로 Every time 지녀 사임 0은 길어 Certified Rockstar 이루셨다 위업 위업 Gang Gang Hol up 위로 [Verse 2: Okasian] Snow Bitch Whut 위로 카메라 키든 끄든 간에 우린 간지나고 그건 옷이 아니라고 백 번을 말해봐도 못 알아 쳐먹으니 돌체랑 또 가바나 Amiri 청바지를 입어 나는 말을 아끼려고 저기 ㅈ밥 새끼들이랑 나는 소통 하기 싫어 쟤넨 이해 못 해 고통을 쟤넨 취해있어 보통 그리고 우린 곱빼기 같은 보통 Bitch 위로는 집에 가 찾어 임마 나는 한눈 아니 반눈도 안 팔아 나는 열 뛰네 넌 일 벌려 임마 넌 침만 튀고 난 튀어 임마 난 노예처럼 일해 왕처럼 game playin’ 겁쟁이라도 된 듯이 난 준비해 But 때가 되면 피 땀 눈물 전부를 걸어 김지용 도박 안 두렵기에 bitch 안 두렵기에 bitch bitch 안 두렵기에 bitch bitch 안 두려 야 야 bitch [Outro: UNEDUCATED KID] 우린 바닥에서 왔어 You know that 형은 비닐하우스 난 재개발에 10년 동안 뼈를 깎는 고생 으 우린 마침내 축복은 지랄하네 나는 저주받았어 매일 밤 죽고 싶어서 눈을 감았어 돈을 위해서라면 나쁜짓도 하겠어 Murder on my mind 나는 벌써 사람 죽였어}}} || 활동이 매우 드문 '''[[오케이션]]'''과 단 4마디로 강렬한 인상을 남긴 [[언에듀케이티드 키드]]가 피쳐링했다. === 2 minutes of hell (Feat. [[Paul Blanco]]) === [youtube(GtI6LSHrdp8)] || '''{{{#fff "2 minutes of hell" 가사}}}''' || || {{{#!folding [ 열기 / 닫기 ] [Hook: Paul Blanco)] I got diamonds on my wrist I got diamonds on my bag right now I got diamonds on my wrist I got diamonds on my bitch right now I got diamonds on my wrist I got diamonds on my bag right now I got diamonds on my wrist I got diamonds on my bitch right now [Refrain: Paul Blanco] 하나님 날 용서하면 나엔 없지 지옥 따위는 나의 혼 천국에 간다면 나엔 없지 천국 따윈 [Verse 1: CHANGMO] #000 or white 내 생이 참 그래 삼각형의 roof 마치 아이언 플랫 Mastermind 값은 200대 No 808 이건 썅년과 내 clap 알아둬 니 걷는 길이 내 피눈물 흐른 그 길임을 장미들을 둬 나를 기려 피가 덮인 나 내 자신을 잔 올려 잔을 쥔 손을 펴 뿌려내 글렌피딕 깨진 컵 멈추지 않아 난 이 즐김을 뒤를 향해 쏘아 나는 액수를 불려 Grrratttttt tat tat tat tat johnathan wick 난 혼자였지 살아남아 길을 파냈지 길을 따라 내게 닿으려 발악하는 새끼들에겐 저주를 난 영원을 바래 팔 수도 있어 내 혼을 [Hook: Paul Blanco)] I got diamonds on my wrist I got diamonds on my bag right now I got diamonds on my wrist I got diamonds on my bitch right now I got diamonds on my wrist I got diamonds on my bag right now I got diamonds on my wrist I got diamonds on my bitch right now [Refrain: Paul Blanco] 하나님 날 용서하면 나엔 없지 지옥 따위는 나의 혼 천국에 간다면 나엔 없지 천국 따윈}}} || 창모가 얻어낸 것들 속 어두운 면을 표현한 곡이다. === ~~나의고향서울~~ === 샘플 클리어 문제로 누락된 곡이다. 이 곡에서 샘플로 2곡이 사용되었는데 하나는 [[김추자]]의 '무인도', 다른 하나는 [[어떤날]]의 '취중독백'이다. 2019 힙합플레이야 페스티벌에서 벌스1만 공연한 바 있고, 단콘에서는 [[https://youtu.be/CgJ2lGOlbBs|풀버전]]으로 공연했었다. 음원 발매가 무산되었고, 무료공개라도 하려했으나 무료공개조차 허락이 떨어지지 않아서 끝끝내 공개되지 못했다.[* 한 분은 무료공개를 허락했으나 다른 한 분은 허락하지 않았기 때문에 공개되지 못했다고 한다. 누가 허락하고 허락하지 않았는가는 알려지지 않았다.] 창모가 앨범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던 곡인 만큼 굉장히 세며, 영향을 가장 많이 받은 아티스트로 매번 [[카니예 웨스트]]를 뽑는 만큼 카녜와 비슷한 사운드가 들어간 곡이다. CD에서도 바람 소리만 3초동안 들린다. 2021년 창모의 라이브 방송에서 '''나의고향서울 발매를 암시했다!''' 당시 나오지 않은 창모의 정규 [[UNDERGROUND ROCKSTAR|2집]]의 6번 트랙이었지만 리스트를 갈아엎었는지 결국 나오지 못했다.[* 2집의 6번 트랙은 vivienne이다.] === 더 위로 === [youtube(eCxwCvzj0T8)] || '''{{{#fff "더 위로" 가사}}}''' || || {{{#!folding [ 열기 / 닫기 ] [Hook] 난 내 생을 사랑해 헤네시를 따 내 모든 걸 자랑해 I said i’m not lying 내 적들은 사방에 저 radio 안까지 여길 거야 넌 거물로 이 복수극 안의 스타를 더 위로 저 위로 더 위로 너가 닿지 못할 데까지 더 더 위로 저 위로 더 위로 신이 나의 손에 닿을 데까지 더 [Verse 1] What you want 나는 그 award 현대 밭 속에 난 porsche 필요해 아우토반 전국 스타 억대 life 허나 다 좆까라해 살껴 더 쎈 삶 Great choice 일제히 illi에 applause 존나 걱정되었던 놈이 탑으로 대우받어 이젠 부르지마 날 네 homie 입 닥치고 pay homage 난 피아노 앞에 보다 돈에 대해서 영재였지 alright let’s get it 난 해냈네 메두사 head 늘 말한 브랜드의 토씨도 안 꺼낼 만큼 알잖아 난 해냈네 50,000 사임 아냐 벤자민 단위 여자들이 터져 내 파틴 쳐붓자 피 색 와인을 [Hook] 난 내 생을 사랑해 헤네시를 따 내 모든 걸 자랑해 I said i’m not lying 내 적들은 사방에 저 radio 안까지 여길 거야 넌 거물로 이 복수극 안의 스타를 더 위로 저 위로 더 위로 너가 닿지 못할 데까지 더 더 위로 저 위로 더 위로 신이 나의 손에 닿을 데까지 더 [Verse 2] 천을 첨 벌을 땐 Louis purse 오천을 넘겨 그땐 여자 것을 기념일 억을 넘은 그땐 바로 porsche 십억을 넘고선 그 여자는 gone 이리 공평한 게 삶이지 난 따러 허 금들을 원했어 난 가져 금수저들한테나 망할 이 판이 게임이지 난 내 인생을 걸었고 내 가족들을 먹여 여전히 하나뿐야 선택진 여전히 씨바 등 뒤에는 백지 내가 무너지면 고통은 배지 씨바 눈물 대신 흘러 나는 drippin’ 난 히트를 원하면 나를 넣어 그렇게 챙겨 또 나는 억 살 시간 없어 못 사네 dawn 눈 안 감아 칠 때 말곤 [Hook] 난 내 생을 사랑해 헤네시를 따 내 모든 걸 자랑해 I said i’m not lying 내 적들은 사방에 저 radio 안까지 여길 거야 넌 거물로 이 복수극 안의 스타를 더 위로 저 위로 더 위로 너가 닿지 못할 데까지 더 더 위로 저 위로 더 위로 신이 나의 손에 닿을 데까지 더}}} || Boyhood의 2번째 타이틀 곡이다. === Dearlove (skit) === [youtube(a5obauntreE)] || '''{{{#fff "Dearlove" 가사}}}''' || || {{{#!folding [ 열기 / 닫기 ] Dearlove 난 매일을 너랑 있었고 Oh my Dearlove 이렇게 망가질 순 없어 we on fire 사랑해 이러면 안 되는데 참 외롭군 Inner peace In this peace 우린 섞잖아 매일을 밤새서 장소를 옮겨 대놓고 거리에서도 널 봐 나는 이게 과연 옳은가 이렇게 생각하다 금세 너를 찾아 우린 팀 함께 in the club 들을 때도 말야 50cent 노래 in da club 널 여겼어 16 땐 그저 미라클로 너 덕분에 우린 축제 속을 사니 maseltov 20대의 기억 우린 정이 들었고 항상 날 맛 가게 해줘 알잖아 다른 것들이 나를 유혹 한다는 걸 그럴 땐 너를 불러 목을 껴안고 씨발 입술을 들이켜 잃을게 많아 다른 애와 quick fuck 하기엔 너무 많아 내가 위험 너의 익숙함은 광기도 일으켜 ㅈ같애 내가 왜 이러게 됐는지 17 때 너랑 매일 지내 내 머리가 빠진 지경까지 됐을 때 내 레이블과 내 매니저 내 새끼들이 시도했지 떼놓길 난 너 덕분에 얻곤 하지 내 용길 덕에 나를 잃고 적곤 하지 내 멋진 bar 우울함을 얻기도 환희 역시 오늘 쇼 끝난 뒤에 울다가 널 불러 또 bitch 걍 널 안아 난 알코올 그래 널 지난 애인들 다 너를 미워해도 나는 홀로 입맞출래요 그정도 벌면 참지란 말 하지마세요 음악으로 풀란 말 좀 안하면 안돼요}}} || 사랑하는 여인에 대해 쓴 곡이라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술에 대해 이야기하는 곡이다. 스킷 표기를 할지 말지 고민하다가 결국엔 넣었는데, 발매 직후의 인터뷰에서 이를 후회한다고 밝혔다. === 세레나데 === [youtube(lL_Lx3965so)] || '''{{{#fff "세레나데" 가사}}}''' || || {{{#!folding [ 열기 / 닫기 ] [Verse 1] [[1994년 폭염|1994년]] 마치 [[2018년 폭염|2018년]]과 비견할만한 더위를 뒤로 숨긴 초여름, 5월 마지막 날 스물여섯의 당찬 이 여자는 첫 출산에 지쳤지만서도 걔를 봐 96년 "우리 창모는 좀 달라 내가 밖에 나가도 곤히 자곤 해 깨면 그저 조용히 [[톰과 제리]]를 보니" 달력 뜯기고 뜯겨 동쪽 [[하남시]]에 와 터를 잡은 그녀의 가족은 이제 세기말에 닿아 1999년, "로봇 갖고싶다요" "다요 하지 말랬지" "옆집 앤 있잖아요" "참을 줄도 알아야 해" 허나 그녀 속엔 맺히기 시작해 평생의 미안함 엄마들만의 특징 잠깐 뒤돌아봐 봐 내 나인 갓 아들을 본 그쪽 나이와 같아 걔는 잘 클 테야 아무것도 미안해 마 테이프 받아, 이 노래가 그댈 위할 테야 [Hook] 날 낳은 그 시간 그 속의 엄마의 나인 나의 나이 날 낳은 후 지난 26년 속 안의 엄마를 향해 불러 세레나데 [Verse 2] 도무지 참을 수 없어 "피아노 피아노" 거리는 아들의 생떼 물론 양반이지 왈가닥 딴 아들들에 비해 하지만 얜 한번 고집 부림 절대 안 꺾지 그때 딱 떠오른 단어 [[영창피아노]] 중고네 "아들 짜잔 한번 쳐봐" 그녀는 고민들을 했지 내 아들을 피아노 쪽 특히 클래식 피아니스트가 되게 하도록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또 동시에 가사, 영어 독학, [[석사]] 학위도 땄었지 경제적인 제한, 영어 선생님이 되어 하염없이 간 시간 아인 벌써 십대네 [[예술중학교|예중]][[예술고등학교|고]]는 못 보냈어도 큰 세계엔 꼭 보내자 제발 우리 아들 꿈 만큼은 꼭 하 삶은 왜 대체 이렇게 바램과는 반대로 굴곤 해 오 엄마 나는 바꿀래 삶을 보란 듯이 돈 벌어 행복하고 말래 오 우리 아들 가렴 원하면 단 삶의 본질을 알아채길 원한다 엄만 행복은 거창하지 않아 너를 잃지마 약속 넌 다르니 my son (갈께) [Hook] 날 낳은 그 시간 그 속의 엄마의 나인 나의 나이 날 낳은 후 지난 26년 속 안의 엄마를 향해 불러 세레나데 (Mom) [Outro] 엄마 들어봐 봐요 스물여섯 때 낳은 아이가 친구됐다요 몇만 밖의 mom 동넨 텅 비었지 그래도 가곤 해 집이 고픈 나머지 우리 엄마 참 사랑한다요 난 이제 뭘 원하는지 좀 알 것 같아요 난 단지 보고파 나의 공연이 끝난 뒤에는 너무 많이}}} || 어머니를 위해 쓴 곡이다. === 031576 (Feat. [[기린(가수)|KIRIN]]) === [youtube(wUyyR20qMUw)] || '''{{{#fff "031576" 가사}}}''' || || {{{#!folding [ 열기 / 닫기 ] [Intro] 어 안녕 KIRIN MOSAIC 뭐해 Yeah Yeah Ooh Girl Nah Ohh Girl [Verse 1:CHANGMO] 저 안녕 간만 hey 참 세월이 빨라 fly 격하게 기억해 난 you 10년 전 summertime 너 약간 키 컸겠지 아 실없는 소리 sorry 건 거고 열일곱 때 너 딴 동네 고 갔잖아 날 기억할까 덕소리 락스타 아니면 네게 난 그 아름다워 스타 마치 난 세기말 흐린 채 설렐까나 들어 나는 여러러 생각이 좀 이런 추억의 힘은 많이 커 기억나 십년 전 나눴었지 흰색과 그 검은 슬라이드폰이 짧담 짧은 설렘 담긴 스토리 Blah lah lah blah lah lah blah lah lah lah lah lah 졸업식 후에 우린 갈린 거지 묻곤 했어 이모네 포차에서 널 다 몰라 널 애들 몰라 너의 19 내게 남은 건 이름 석자 031576 [Chorus: KIRIN] 아름다운 그날을 잊을 수 없어 잊을 수 없어 눈 감으면 너의 미소가 그려져 우린 지금 그곳에 없지만 이 노래 만은 잊지마 예쁜 생각들로 기억되기를 바라며 [Verse 2: CHANGMO] 첫 스마트폰이 생긴 후 그 메신져를 다운하고 널 깜빡 잊었던 때를 기억해 그때까지 여태 경험 못한 것들을 경험하던 나 멋진 사람들이 많은 저 먼 홍대에도 가 그렇게 10년 흘러 영원히 그때 같던 time 멀어지고만 09의 576 아이 둘 아마 난 널 통해 찾고픈 건지 몰라 날 Girl 너란 걸 알아챘다면 아무 말 하지 말고 웃어줘 그 소심했던 곰팅일 단 1초라도 떠올려준담 걸로 고마워 난 우린 지금 그곳에 없지만 나란 걸 알아챘다면 노랠 끝까지 들어줘요 어 안녕 [Outro: KIRIN] 나의 친구들 우린 너를 좋아해 내 여자친구라는 사실 하나만으로 우리 두 사람 사랑 영원하도록 내 친구들이 항상 우릴 축복할꺼야}}} || 제목의 뜻은 남양주시의 지역 번호다. 576은 031-576-****으로 덕소에서 대부분 공통적으로 사용된 중간 번호다. 모자이크의 왕자와 병사들 이라는 노래를 [[샘플링]]하여 만든 곡 이다. === REMEDY (Feat. [[청하]]) === [youtube(9bMtG_ofQdo)] || '''{{{#fff "REMEDY" 가사}}}''' || || {{{#!folding [ 열기 / 닫기 ] [Chorus: CHANGMO] Bust down ay 내 시간은 맑아 허나 내 안은 검은색이지 Girl I’m beggin 내 삶 안에 들어와 그대 별 같은 다이아가 되주면 안 되겠니 Well 흩뿌려 내 멜로딜 Oh My 지배됐어 내 머린 너의 존재 눈빛 다 My Remedy 넌 보이지 않아 내 눈이 [Refrain: CHANGMO] Bust Down ay Bust Down ay Bust Down ay Bust Down ay Bust Down ay Bust Down ay Bust Down ay Bust Down ay [Verse 1: CHANGMO & 청하] Every other city I go 나는 필요해 내 손 위 니 손 날 애기처럼 다뤄줄 니 팔 give me that hoo hoo 성급했던 그때는 my fault 그래 알아 나두 우리 이름이 커다란걸 좋기만 할 순 없다란 걸 또 난 많잖아 실수 눈들이 너를 바라보니 그래도 단 한 번만 너를 볼 때면 훨 더 나은 사람이 되고파 난 근데 넌 왜 너 얘기만 할까 왜 날 넌 그리 좋다는 걸까 화려한 의상이 나는 아닌걸 You can realize [Chorus: CHANGMO] Bust down ay 내 시간은 맑아 허나 내 안은 검은색이지 Girl I’m beggin 내 삶 안에 들어와 그대 별 같은 다이아가 되주면 안 되겠니 Well 흩뿌려 내 멜로딜 Oh My 지배됐어 내 머린 너의 존재 눈빛 다 My Remedy 넌 보이지 않아 내 눈이 [Refrain: CHANGMO] Bust Down ay Bust Down ay Bust Down ay Bust Down ay Bust Down ay Bust Down ay Bust Down ay Bust Down ay [Verse 2: CHANGMO & 청하] Gang Yeah 안 보여 니 작은 눈 속 아닌 것만 같아 네 real talk 친구로써 넌 yeah we’ll be fine 남자로써 넌 sorry I don’t know 그래 뭐 잘못 생겼잖아 생소할 거야 내 차림 말투 lifestyle 곡 그댄 전국적인 hottest bi 아니다 미안 you the queen 내가 많이 꿀리긴 해도 날 알아줘 baby 왜 너 멋대로 생각해 날 우린 정말 모든 게 달러 니 노래 안엔 딴 애가 살아 착각은 그만 마음을 따라 boy [Outro: CHANGMO] You’re right Bust Down ay Bust Down ay Bust Down ay Bust Down ay}}} || Boyhood의 마지막 타이틀 곡으로 청하가 피처링을 했다. === meet me in Toronto (Feat. [[Paul Blanco]]) === [youtube(Paqt98jSpGU)] || '''{{{#fff "meet me in Toronto" 가사}}}''' || || {{{#!folding [ 열기 / 닫기 ] [Pre-Chorus: Paul Blanco] 언제까지나 우리가 지금과도 같을까 일로 와 [Chorus: Paul Blanco] Meet me in toronto sometime Meet me in toronto sometime I can show you what this love’s like Like we fuckin for the first time Meet me in toronto sometime Meet me in toronto sometime I can show you what this love’s like Like we fuckin for the first time Real Love [Verse: CHANGMO] 멀지 허나 같은 도시에 있어도 멀어진 사람이 더 멀지 너가 좋아했던 내 미공개곡 비행 내내 것만 들었지 내가 나의 돈들과 인기를 다 잃어도 아니 그게 뭔 상관이야 이 순간 서울 서울 서울을 벗어나니 돌아오는 원래의 나 다들 무관심해 내게 마치 원래의 나 파티엔 할 때마다 틀은 노래가 WESTSIDE 그래 참 멀어졌어 I Know 왼손은 라 오른손은 highest note 왼손은 너 오른손은 나이고 타고 만남 안돼 글리산도 아마 그러긴 힘들꺼야 그래도 빌어봐 난 이렇게 네 젊음이 너를 이곳 데려올꺼야 [Pre-Chorus: Paul Blanco] 언제까지나 우리가 지금과도 같을까 일로 와 [Chorus: Paul Blanco] Meet me in toronto sometime Meet me in toronto sometime I can show you what this love’s like Like we fuckin for the first time Meet me in toronto sometime Meet me in toronto sometime I can show you what this love’s like Like we fuckin for the first time Real Love}}} || [[Paul Blanco|폴 블랑코]]와 [[토론토]]에 갔을 때 만든 곡이다. === [[그랜드 워커힐 서울|Hotel Walkerhill]] (Feat. [[Hash Swan]]) === [youtube(9aZYZiMPh9U)] || '''{{{#fff "Hotel Walkerhill" 가사}}}''' || || {{{#!folding [ 열기 / 닫기 ] [Verse 1: CHANGMO] 상관없어 이 삶이 참 현실이거나 꿈이라케도 그저 즐기고파 얼마나 바래왔었니 지난날 휘릭 돌이켜봐 그러다 앞을 보니 그 장소야 어릴 적 우리 네 가족이 서울시로 나들이하러 갈때 반드시 지나야 했던 place of piece 아빤 말했지 ‘보여 저기 산 위로 이 서울시 속 최고라 불리는 곳’ 그 후 품게 됐었지 저기 하루에 아마 백 돼겄지 학생 땐 저길 지나는 1670번에 몸 싣고 창문을 응시해대곤 했어 난 들어갈 일 없나 들어가 보자 상상이지만 내 스타일로 그려낸 그곳 안 썅 내가 왜 못 해 그래 나 도전해볼래 한번 내 생 삶은 ㅆ바 gambling [Hook: Hash Swan & CHANGMO] I just wanna check in hotel walkerhilla 돈 벌어 돈 벌 아이들 wassup I just wanna check in hotel walkerhilla With my gang 결국 가버릴 애 I just wanna check in hotel walkerhilla Illi gang 결국 될래 난 Illi I just wanna check in hotel walkerhilla [Verse 2: CHANGMO] 스물둘 양재동 지하에서 땅 위로 올라와 광장동 알콜 의존 가지고 2평 벌집 40돈 알다시피 광장동은 한강 동쪽 부자동네 염따형은 아실걸 매일을 적어 sick flow 넘을테야 king of flow 힘들 땐 옥상 위 올라서 그저 바라봐 아빠 말하시던 저 아차산 위로 이 서울시 속 최고라 불리는 곳 그래 삶은 게임이니 멈추지 말자 나의 단단함은 스테인리스니 그러며 난 갈까 했어 멘탈 관련된 클리닉 현실은 시궁창이라는 에미넴 meme 이 어울렸거든 군대 휴가 나온 준희는 썩은 내 꼴을 보고 월급 털어 맥주를 사 4개 만원 캔맥 들고 노랠 틀어 그게 우릴 이 호텔에 오게 바로 물꼬를 틀어 돈 벌어 [Hook: Hash Swan & CHANGMO] I just wanna check in hotel walkerhilla 억 벌어 많은 사임들 wassup I just wanna check in hotel walkerhilla With my chain Rollie Cartier frame I just wanna check in hotel walkerhilla Illi gang bition Boyz in the building I just wanna check in hotel walkerhilla [Verse 3: CHANGMO] 그리고 알다시피 난 작은 리를 대표하게 됐지 동네 커뮤니티에선 까댔어 막 동네 망신에 왜 동네 이름 파냐까지 알던 몇 이웃 어른들도 변해 그 피라냐와 같이 ㅆ바 덕 ㅆ바 소 ㅆ바 안 멈춰 난 덕소 이젠 meme 창모 요번 노래 왜 덕소가 없어 솔직히 그때 난 이 리를 떠나 딴 애들처럼 맘 편히 살까도 했어 그치만 이 리 ㅆ새끼들이 여기서 사는 한 떠날 순 없잖아 바빠도 명절 땐 반드시 여 와 술 먹잖아 ㅆ바 몸뚱아리만 어른 서른이 스물보다 가까운 리의 대표 스타 여전히 난 꿈 꿔 돈 벌 아이들 돈 벌어 Dok2와 The Quiett 다섯 살 beautiful 쇼미 7프로듀서 갱 히트 싱글 그럼 이젠 과연 하 헤엄쳐 욕조에서 난 깨달아 인기 보석 아닌 내 그 자체가 스타 [Outro: Hash Swan] I just wanna check in hotel walkerhilla Yeah swan I just wanna check in hotel walkerhilla 결국 이곳에 난 결국엔 왔어 I just wanna check in hotel walkerhilla I just wanna check in}}} || 처음 공개된 트랙 리스트에는 없다가 마지막으로 공개된 트랙 리스트에서 [[해쉬스완]]의 이름이 추가됐다! === S T A R T === [youtube(nZwu6fzXz7E)] || '''{{{#fff "S T A R T" 가사}}}''' || || {{{#!folding [ 열기 / 닫기 ] [Hook] 이 밤의 별이 빛을 멈추길 소원하는 것 건 너무나도 허튼 일 키워봐 볼륨 울리게 저쪽이 yeah You like this sound 멜로디는 해내 더 큰일 Damn 흘러 흘러 흘러 흘러 원하던 나 별이 됐네요 홀려 홀려 홀려 홀려 온 세상 멜로디로 [Verse 1] 삐뚤은 손가락질 날려도 좋아요 전 스타이니 하늘이란 너무나도 커 난 혐오 대상 혹자에겐 우릴 위해 난 빛나려 했어 ㅈ나 동네 놈이라 우리가 속한 곳에만 시선이 가 다른 곳에 난 상처를 들춰 보인 나 잔을 들어 위하여 젊음을 위하여 그 모든 이를 위하여 다 큰 어른이 된 나 어린 나에 대한 용서를 빌어 고개를 들지 못해 갈 때마다 그 시를 어떤 별은 띠가 있고 먼지라데 그 띠 안엔 나도 나의 띠를 두른 채로 가야해 [Hook] 이 밤의 별이 빛을 멈추길 소원하는 것 건 너무나도 허튼 일 키워봐 볼륨 울리게 저쪽이 yeah You like this sound 멜로디는 해내 더 큰일 Damn 흘러 흘러 흘러 흘러 원하던 나 별이 됐네요 홀려 홀려 홀려 홀려 온 세상 멜로디로 [Verse 2] 감히 나 자신을 스타라고 부르려 해 알잖아 니 나처럼 부르는 애들 많지만 날 대체할 스타 새낀 없지 유일한 아이 라 말하기 전에 나 날 스타라 부르곤 했던 바닥 길 때 나에 사랑 주던 그 애들 걔넬 챙기지 않는담 떠나지 못할 것 같아 got me feelin like oh oh yeah 잘난 것도 하나 없던 놈에 넌 사랑만을 줬고 umm 널 향해 노래할께 Oh Oh yeah You got me feelin like oh oh 그래 날 믿어주던 너 너 oh 한 명 한 명 수만 명 oh 결국 별 될 시간이야 [Outro] 흘러 흘러 흘러 흘러 원하던 나 별이 됐네요 홀려 홀려 홀려 홀려 온 세상 멜로디로}}} || 1절에는 본인의 [[창모/논란 및 사건 사고#s-3.1|과거]]를 반성하는 가사를 썼다. 스포티파이 광고 ost 곡으로 사용되었다. === 앨범 크레딧 === [include(틀:토론 합의,토론주소1=LanguidBoredMurkyInvention,합의사항1=트랙리스트 문단에는 트랙 넘버와 곡 제목만 기재하고\, 이외의 앨범 크레딧은 개별 문단으로 분리하는 것으)] {{{#!wiki style="word-break:keep-all" ||<-6> '''{{{#fff 앨범 크레딧}}}''' || || '''트랙''' || '''제목''' || '''작사''' || '''작곡''' || '''프로듀서[br]{{{-3 (편곡)}}}''' || '''기타''' || || 1 || 빌었어 wish ||<|2><-3> 창모 || [* 추가 보컬: [[지바노프]] / 내레이션: [[홍수정]].] || || 2 || METEOR ||<|4>|| || 3 || 위업 WE UP {{{-2 (feat. Okasian & UNEDUCATED KID)}}} || 창모 Okasian UNEDUCATED KID |||| 창모 || || 4 || 2 minutes of hell {{{-2 (feat. Paul Blanco)}}} |||| 창모 Paul Blanco || 창모 || || 5 || --나의고향서울-- ||<-3>|| || 6 || 더 위로 Da Wero ||<|3><-3> 창모 || [* 기타: 이신우.] || || 7 || Dearlove (Skit) ||<|2>|| || 8 || 세레나데 || || 9 || 031576 {{{-2 (feat. KIRIN)}}} |||| 창모 김준범 KIRIN || 창모 김준범 || [* 원곡: 모자이크 - "왕자와 병사들".] || || 10 || REMEDY {{{-2 (feat. 청하)}}} |||| 창모 || 창모 Way Ched^^co.^^ Paul Blanco^^co.^^ || [* 보컬: 청하 + 폴 블랑코.] || || 11 || meet me in Toronto {{{-2 (feat. Paul Blanco)}}} ||<-3> 창모 Paul Blanco || [* 색소폰: 주현우. / 바이올린: 이새롬.] || || 12 || Hotel Walkerhill {{{-2 (feat. Hash Swan)}}} |||| 창모 Hash Swan || Prima Vista || [* 피아노: 창모.] || || 13 || S T A R T ||<-3> 창모 || || ||<-6> {{{-3 All songs produced and mixed by CHANGMO @ Neo Deokso except "빌었어", "031576" mixed by Nahzamsue, "더 위로" mixed by Dabid Youngin Kim "REMEDY" mixed by Stay Tuned Mastered by Vlado Meller at Vlado Meller Mastering / Assisted by Jeremy Lubsey Photo by Hidongki Artwork by Rowdee Album Producer: CHANGMO}}} ||}}} == 영상 == === 뮤직비디오 === [include(틀:YouTube,제목=METEOR M/V,url=lOrU0MH0bMk,채널=Ambition Musik,url2=abuTb3qMOsY,채널2=Stone Music Entertainment)] [include(틀:YouTube,제목=REMEDY M/V,url=uJjfej-8gg4,채널=Ambition Musik,url2=ngTZLvKauRE,채널2=Stone Music Entertainment)] === 인터뷰 === [include(틀:YouTube,제목=[HIPHOPLE Interview] 창모 (CHANGMO),url=VUil6egCs7Q,채널=HIPHOPLE)] '''“한 번 주어진 삶은 나로 살아야 하니까” / [Boyhood], 그리고 창모의 성장 이야기 [ENG Sub]''' {{{-2 (2019. 12. 11.) “차라리 돈이 적어지더라도, 팬들이 나의 이런 모습을 안 좋아할지라도, 한 번 주어진 삶은 나로 살아야 하니까.” 신보 [Boyhood]에 담긴 솔직한 이야기, 칸예 웨스트를 향한 존경심과 수많은 고뇌를 거치며 바뀐 마음가짐까지! 한국 힙합씬의 독보적인 캐릭터 창모와 힙합엘이가 깊은 이야기를 나눠봤습니다. FULL 서면 인터뷰 바로 가기: [[http://hiphople.com/15876848]] 서면 인터뷰에 추가적인 창모의 모든 이야기가 담겨 있습니다.}}} == 음원 성적 == ||<-3> [[멜론(음원 서비스)|[[파일:멜론 로고.svg|width=100]]]] [br] '''{{{#fff 멜론 월간 차트 1위}}}''' || || '''{{{#fff 2019년 12월}}}''' || '''{{{#fff 2020년 1월}}}''' || '''{{{#fff 2020년 2월}}}''' || || [[파일:아이유.Love Poem.jpg|height=70]][br]'''[[아이유|{{{#gray 아이유}}}]][br][[Blueming|{{{#gray Blueming}}}]]''' || [[파일:Boyhood.jpg|height=70]][br]'''[[창모|{{{#fff 창모}}}]][br][[METEOR(창모)|{{{#fff METEOR}}}]]''' || [[파일:지코_아무노래.jpg|height=70]][br]'''[[지코|{{{#gray 지코}}}]][br][[아무노래|{{{#gray 아무노래}}}]]''' || ||<-5> [[가온차트|[[파일:external/image.chosun.com/2015010800997_1.jpg|width=100]]]][br] '''{{{#blue 가온 스트리밍 차트 월간 1위}}}''' || || '''2019년 12월''' || '''2020년 1월''' || '''2020년 2월''' || || [[파일:아이유.Love Poem.jpg|height=70]] || [[파일:Boyhood.jpg|height=70]] || [[파일:지코_아무노래.jpg|height=70]] || || '''[[아이유|{{{#000 아이유}}}]][br][[Blueming|{{{#000 Blueming}}}]]''' || '''[[창모|{{{#000 창모}}}]][br][[METEOR(창모)|{{{#000 METEOR}}}]]''' |||| '''[[지코|{{{#000 지코}}}]][br][[아무노래|{{{#000 아무노래}}}]]''' || [[창모]]가 대중성을 의식하지 않고 만든 앨범임에도 대중적으로 상당히 성공을 거둔 앨범이다. '''"METEOR"와 "빌었어" 두 트랙 모두 당당한 역주행이다.''' 한국 힙합 트랙 중에서 역주행한 트랙으로 비슷한 예시를 내자면 2018년 7월 31일에 [[Dingo Freestyle|딩고]]와 [[Indigo Music|인디고 뮤직]]의 합작으로 나온 [[flex(노래)|flex]]는 [[Kid Milli|키드밀리]]의 [[SHOW ME THE MONEY 777|쇼미더머니]] 출연과 동시에 [[flex(노래)#s-4|딩고의 GRBOYZ 시리즈]]로 통한 유튜브 홍보로 역주행했지만 당시 엄청난 차트 레드오션으로[* 위에 있던 아티스트들이 [[로이킴]], [[임창정]], [[선미]], [[펀치(가수)|펀치]], [[숀(가수)|숀]], [[방탄소년단]], [[벤(가수)|벤]], [[폴킴]]까지 모두 음원강자였다.] 실시간 차트와 일간 차트 모두 9위가 최고순위였지만, "METEOR"는 앞서 언급한 트랙들의 하강곡선이 빨라 더 높이 상승할 가능성이 있었다. 2019년 11월 29일 같은 날 발매됐던 [[폴킴]]의 마음은 멜론 실시간 차트 기준 19시 15위로 진입했고, [[창모]]의 "METEOR", 빌었어, 더 위로는 각각 54위, 74위, 98위로 진입했다. "METEOR"는 발매 이후 사람들의 입소문을 타기 시작하며 점점 순위가 올라가기 시작했고, 가속을 제대로 받은 "METEOR"는 멜론 일간차트 기준으로 12월 15일에 '''15위'''를 뚫었고, 12월 18일 '''11위'''[* 같은 날 빌었어 또한 멜론 일간차트 TOP 100에 재진입 후 위로 올라왔다.], 12월 19일 '''5위''', 12월 20일 '''2위'''를 달성하였고, 결국 먼저 지니에서 12월 21일 1위를 달성했고, 다음 날 12월 22일 20시 멜론 실시간 차트에서 [[아마두]]를 꺾고 '''드디어 1위를 달성했다!''' 1위 달성 이후인 2020년 1월 4일에 [[그것이 알고싶다]]에서 [[그것이 알고싶다/2020년 방영 목록#1197|음원 사재기에 관련된 이슈를 다루는 편]]이 방영됐는데, 괜히 [[창모]]에게 의심의 불똥이 튀었다. 몇몇 무개념 유저들은 [[마녀사냥|자신은 창모를 잘 모른다며 사재기가 아니냐는 소리를 하고 있고]], 자신이 좋아하는 아이돌보다 순위가 높다고 해서 별점을 까내리는 사람들도 있다. 작업물의 퀄리티와 별개로 멜론 평점이 4 미만으로 떨어지는 상황이 발생했다.[* [[파일:200206_022853043.jpg|width=300]]] 결국 [[창모]]가 직접 [[https://youtu.be/_5dGmL7_sjI|"너무 억울하고 허위사실 유포자 한 명 딱 잡아 고소하겠다"고 밝혔다.]] 2020년 1월 13일에 [[지코]]의 '''"[[아무노래]]"'''에 1위를 빼앗기며 19일 연속[* 2019/12/22 ~ 2019/12/23, 2019/12/27 ~ 2020/01/12.] 차트 1위 기록으로 마무리되며 20일 연속은 실패했지만 이 앨범을 발매한 이후 결론적으로 [[창모]]는 본인의 커리어 하이를 맞았다. == 평가 == * [[리드머]]에서 4점을 받았다. >명품 브랜드를 열거하는 등, 클리셰를 따른 자기과시성 가사와 “더 위로”, “S T A R T”처럼 다소 뻔하고 서툴게 느껴지는 구성의 트랙들이 존재한다. 하지만 그런 어수룩함이 ‘소년의 성장기’라는 주제와 창모의 이미지와 절묘하게 맞아떨어져 앨범의 고유한 색깔을 완성했다. 창모의 음악은 여느 많은 래퍼와 마찬가지로 트렌드에 기반을 두었지만, 끊임없이 개성을 덧입히고자 노력한 지점이 엿보여왔다. [Boyhood]에서 우린 그 과정이 성공에 이른 것을 목격할 수 있다. >---- >황두하 평론가 [[http://board.rhythmer.net/src/go.php?n=18846&m=view&c=16&s=review|리뷰]] * [[한국 힙합 어워즈]] 2020 올해의 힙합 앨범 후보에 올랐다. >창모의 인생이 담긴 앨범. 여러 수식어 필요 없이 너무 좋은 앨범이었다. >대중성과 음악성을 한 번에 보여준 앨범이었다. >그의 감정을 노래 가사에 너무 잘 표현했고, 여러 효과음이 노래에 잘 맞아떨어졌다. >창모라는 래퍼를 넘어 구창모라는 사람을 대중들에게 알린 앨범이었다. >과거의 자신이 원하고 부러워하던 모습이 된 입장에서 한 이야기를 메시지화하여 잘 녹여낸 작품이었다. >---- >네티즌 추천사 * '''[[METEOR]]는 [[한국 힙합 어워즈]] 2020 올해의 힙합 트랙을 수상했다.''' >'''독자적인 힘으로 음원 차트에서 힙합곡이 1위를 한다는 것은 경이로운 일이 아닐 수 없다.''' >'''한국 사람들의 성공에 대한 열망을 반영한 노래다.''' >'''사재기가 판치는 마당에 솔로곡으로 방송 출연 없이 각종 차트 1위를 휩쓸었다. 곡의 퀄리티는 두말하면 잔소리.''' >'''창모라는 아티스트의 역사를 보여주는 곡이자 꿈을 꾸며 앞으로 나갈 수 있다는 희망을 주는 곡.''' >'''음원차트 1위를 통해 대중성을 확보했고, 창모 본인의 팬들까지 만족시킨 곡이다.''' >---- >네티즌 추천사 == 여담 == * 창모 커리어에서 호평일색이었던 ''M O T O W N''이나 ''닿는 순간''과 많이 비교되는데 대중성, 음악적 화려함보다는 근 5년간 음악을 해온 자신을 위한 자서전 같은 느낌을 주는 감성적인 앨범이다. * 발매 직후에는 리스너들이 기대했던 창모의 앨범이 아니라서 아쉬웠다는 평이 있었지만 마음에 든다고 호평하는 사람들도 많아 다소 호불호가 갈리는 편이었다.[* 창모 본인도 정규 소식을 알리기 시작한 18년 말부터 "세상 모든 사람이 욕해도 내 팬들이 좋아할 음악으로 정규를 채울 것이다"라고 간간히 언급한 만큼 대중이 원하는 것보다 본인이 하고자 하는 이야기를 담은 앨범이라 보는 게 맞다. 그리고 이러한 성향은 2집 [[UNDERGROUND ROCKSTAR]]에서 더 강해진다.] * 다만 시간이 지날수록 해당 앨범은 대체적으로 호평이 많으며 창모의 어린시절부터 지금까지 겪은 상황들을 진솔하게 풀어낸 가사가 공감을 일으킨다는 평이다. 실제로 이런 부분이 대중과 평단에게 장점으로 작용했는지 어머니에 대한 사랑을 노래하는 세레나데가 대중들에게 반응이 좋다. * 앨범 발매 초기엔 음원 사이트에 곡 명 옆에 피쳐링이 표기되지 않았었고 후에 오류로 판명나며 추가되었다. * 5번 트랙 "나의고향서울"은 [[어떤날]] 2집의 "취중독백 1989"이라는 곡을 샘플링했는데 샘플 클리어를 거절당해 발매가 불가능했다고 한다. 자세한 내용은 [[어떤날#나고서|해당 문단]] 참고. 피지컬 앨범에서조차 수록되지 않았고 그 자리에 바람이 휭하고 부는 소리만 넣어놓았다. * "METEOR" 중 2번째 벌스 초반에 나오는 "I'm the man in the mirror 그러니 Light me up"은 창모의 4번째 믹스테입이자 유료 발매 믹스테입인 ''M O T O W N''의 1번 트랙 "Light Me Up"이라는 노래에 나오는 라인이다. 그 다음에 "1절의 그 별이 2절의 그 별이 그래 모두 [[창모|나]]였지" 에서도 별은 "Light Me Up"에서 미래의 창모를 지칭하는 표현이다. * 첫 곡 빌었어에서 내레이션 부분은 성우 [[홍수정]]이 맡았다. * 닿는 순간과 마찬가지로 첫 곡이 동화적인 느낌이 난다. 닿는 순간에서는 멜로디가, 이 앨범에서는 내레이션이 그런 역할을 한다. * "REMEDY" 2분 20초에 [[청하]]의 'Gang'이 나온다. * "REMEDY" 뮤비에는 [[수퍼비]], [[언에듀케이티드 키드]], [[Paul Blanco]]가 출연했다. * "REMEDY" 중 3분 7초에 [[Way Ched]]의 시그니쳐 사운드가 나온다. * "meet me in Toronto"는 실제로 창모와 폴 블랑코가 토론토에서 함께 제작한 [[https://instagram.com/p/B5efETuHjN6|곡이다.]] * 수록곡 031576은 [[모자이크#s-.8]]의 "왕자와 병사들"을 [[샘플링]]했다. * [[Dingo Freestyle]]에서 기획한 다모임의 곡 '아마두'에 대한 [[더 콰이엇]]의 차트공약으로 인해 더 콰이엇과 창모가 번지점프를 하게 됐는데, 이 앨범커버와 적절하게 들어 맞아 창모의 예언이 되었다는 우스갯 소리가 돌았다. * 앨범 제목은 ''M O T O W N 2'', ''지금 이 순간'', ''Boyhood'' 중에서 고른 거라고 한다. 따라서 ''M O T O W N''의 후속작이라고 봐도 틀리지 않다. * 많은사람들이 "Hotel Walkerhill" 마지막 훅에서 나오는 여성 보컬이 누구냐고 의문을 가졌었지만, 이 미성은 전부 [[Hash Swan]]의 가성이라고 한다. 심지어 피치도 안 건드렸다고 한다. [[분류:창모]][[분류:2019년 음반]][[분류:한국 힙합 음반]][[분류:한국 힙합 어워즈 후보]][[분류:AMBITION MUSIK 발매 음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