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가수 에일리의 미니 1집 수록곡, rd1=에일리/음반 목록, paragraph1=1.2)] [include(틀:해체된 배틀그라운드 프로게임단)] ---- ||<-2><#fff,#191919> [[파일:BoyeoJulgae logo.png|width=300]] || ||<-2> '''{{{+1 보여줄게}}}''' || ||<-2><#fcad3a> '''{{{#151515 {{{+1 BoyeoJulgae}}}}}}''' || || '''창단''' ||[[2020년]] [[8월 16일]]|| || '''활동 중단''' ||[[2021년]] [[6월]]|| ||<|2> '''팀명''' ||{{{#!folding 통합 이전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1px" ||BoyeoJulgae(2020) Kim-Pirates(2020) BoyeoJulgae(2020) Kim-Pirates(2021)||[[MokJul]](2021)||}}}}}}|| ||'''BoyeoJulgae(2021)'''|| ||<-2><#fcad3a> '''{{{#151515 우승 기록}}}''' || || '''[[LVUP SHOWDOWN: PUBG|{{{#fcad3a LSP}}}]]''' (1회) ||2021 시즌1[* 팀 단일화 이전 [[MokJul]]이 달성한 기록]|| ||<-2> '''팀 컬러''' || ||<-2> {{{#!wiki style="margin:0 -10px" {{{#373a3c,#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0px" ||<-2> '''팀 컬러''' || ||<-2> {{{+5 {{{#151515 ■}}} {{{#fcad3a ■}}} }}} ||}}}}}}}}}}}} || [목차] [clearfix] == 개요 == || '''BoyeoJulgae'''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2021 PWS Phase 1 BoyeoJulgae.png|width=100%]]}}}|| || '''{{{+1 #BJWIN}}}''' || 2020년 8월 16일에 조이 박혜민 선수가 방송에서 마음에 맞는 전프로들과 PCS 3 ASIA Korea Qualifier 예선을 나가기로 합의하여 BoyeoJulgae('''BJ''') 팀이 탄생하였다. Kim-Pirates 당시 팀 약자는 '''KP'''. PCS 3 ASIA Korea Qualifier 예선을 1위로 통과한 당일, [[킴성태|BJ킴성태]]가 후원하기로 결정하여 Kim-Pirates로 팀명을 변경하였다. [[인텔 배틀그라운드 스매쉬 컵 2020]]에서 구단주가 직접 출전했던 [[KIM PIRATE]]의 역사를 계승하진 않지만 동일한 로고를 사용하고 팀명도 비슷하게 유지된다. PCS 3 ASIA Korea Qualifier 본선이 끝나고 [[배틀그라운드 스매쉬 컵 2020 시즌 3]] 대회 전 [[킴성태|BJ킴성태]]의 후원이 종료되면서 원래 이름인 BoyeoJulgae로 다시 환원하였다. 하지만 [[2021 PUBG WEEKLY SERIES: EAST ASIA Pre-Season]] 대회 전 [[킴성태|BJ킴성태]]에게 네이밍스폰을 받아 Kim-Pirates로 팀명을 다시 변경하였다. 3월 30일, 31일에 열린 [[2021 LVUP SHOWDOWN: PUBG Season1]] 결선에서 종합 7위를 기록하며 [[2021 PUBG WEEKLY SERIES: EAST ASIA Phase 1|PWS Phase 1]]진출에 실패하였다. KP는 비록 PWS Phase 1 진출에 실패하였지만, [[MokJul]](이하 MJ)을 인수하며 다시 프로시드를 확보하게 되었다. MJ가 시드권을 양도하게 된 계기를 살펴보자면 당시 결선에서 MJ의 압도적인 경기력을 이끈 폭시와 막내[* 2021년 4월 6일 기준 BJ에 재합류하였다]가 타 프로구단으로의 이적이 확실시 되고 있으며, 결선 이후 MJ에 합류 예정이었던 위키드 또한 PGI.S에서 녹슬지 않은 실력을 보여주며 DWG KIA로 이적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이스코는 일선상의 이유로 PWS Phase 1 불참선언을 하였는데 결과적으로 드래프트만이 MJ에 남게 되었다. 이후 드래프트가 조이에게 시드권 양도를 제안함으로써 KP가 MJ의 멤버를 흡수합병하는 형식을 취하게 되었다. 4월 초 팀원 구성을 완료하였다. BoyeoJulgae는 기존의 KP맴버 '''[[박혜민(프로게이머)|조이]], [[김민욱(프로게이머)|아칸]], [[안강현|헬렌]], [[황대권|DG98]]'''과 MJ의 맴버 '''[[김동환(e스포츠)|드래프트]], [[신동주(1999)|막내]]''' 외에 '''[[최성철|빠뽀]]'''를 추가로 영입, 7인 로스터로 [[2021 PUBG WEEKLY SERIES: EAST ASIA Phase 1|PWS Phase 1]]에 참가한다. 하지만 PUBG 팀명 등록 규정상 Kim-Pirates는 사용이 불가능하기 때문[* 오픈슬롯 결선에 참여하였다가 탈락한 팀명의 이름 사용 불가]에 PWS Phase 1은 BoyeoJulgae(BJ)로 참가하게 되었다. == 주요 기록 == ||<-5> '''{{{#fff 우승 기록}}}''' || ||<-5> '''[[2021 LVUP SHOWDOWN: PUBG Season1]] 우승''' || || b1ackoutX || → || '''[[MokJul]]''' || → || [[SeungYong and Babys]] || == 로고 변천사 == ||<:> [[파일:BoyeoJulgae logo.png|width=110]] ||<:> [[파일:KIM PIRATE logo.png|width=80]] ||<:> [[파일:MokJul_logo.png|width=70]] ||<:> [[파일:BoyeoJulgae logo.png|width=110]] || ||<:> '''{{{#fcad3a 2020}}}''' ||<:> '''{{{#951c2e 2020~2021}}}[* [[Kim-Pirates]]]''' ||<:> '''{{{#ffffff 2021}}}[* [[MokJul]]]''' ||<:> '''{{{#fcad3a 2021}}}''' || == 행적 == === 2020 시즌 === ==== PCS 3 ASIA Korea Qualifier ==== ===== 1차 예선 ===== [[http://bj.afreecatv.com/curtainwal/post/60766200|경기 결과]] C조에 배정되었다. 태민 강태민 선수의 개인사정으로 백업 멤버인 헬로윈드 정제경 선수가 투입되었다. 5경기 35점을 획득하여 무난하게 통과하였다. ===== 2차 예선 ===== [[http://bj.afreecatv.com/curtainwal/post/60813640|1일차 경기 결과]] [[http://bj.afreecatv.com/curtainwal/post/60855812|2일차 경기 결과]] [[http://bj.afreecatv.com/curtainwal/post/60900005|최종 경기 결과]] B조에 배정되었다. 1일차에 34점, 2일차에 51점을 획득하여 총 85점 4위로 3차 예선에 직행하였다. 여담으로 전체 순위 탑 4를 비제이 팀이 전부 차지하는 저력을 보여줬다. ===== 3차 예선 ===== [[http://bj.afreecatv.com/curtainwal/post/61615497|경기 결과]] 프로 팀인 [[DAMWON Gaming/배틀그라운드|DAMWON Gaming]]과 [[FarmPC E-sports]]가 합류하여 난이도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엄청난 여포력으로 압도적인 킬포인트를 획득해 전체 1위로 본선에 직행하였다. 2차 예선과 비슷하게 이번에도 비제이 팀이 각각 1,2,3,5위를 차지하여 전프로들의 클래스를 보여주었다. ===== 본선 ===== [[http://bj.afreecatv.com/curtainwal/post/62847064?keyword=pcs|최종 경기 결과]] ==== [[배틀그라운드 스매쉬 컵 2020 시즌 3]] ==== ==== [[2020 AfreecaTV PUBG League Winter Season]] ==== === 2021 시즌 === ==== [[2021 PUBG WEEKLY SERIES: EAST ASIA Pre-Season]] ==== ===== [[2021 PUBG WEEKLY SERIES: EAST ASIA Pre-Season/1주|1주차]] ===== 1주차 위클리 시리즈에서 시작하였고, 아마추어팀이란것을 감안했을때 상당히 높은 '''5위를 기록'''하면서 무난하게 1주차 위클리 파이널에 올라가게 된다. [[http://bj.afreecatv.com/curtainwal/post/66789848?page=1|위클리 시리즈 1주차 순위]], [[http://bj.afreecatv.com/curtainwal/post/66789872|위클리 시리즈 1주차 플레이어 스탯]] 1주차 위클리 파이널에서 위클리 시리즈 상위 8팀과 함께 파이널 시드권을 받은 8팀이[* 젠지, T1, 담원 기아, 아프리카 프릭스, K7 esports, Detonation Gaming White, Enter force 36, Global esports Xsset] 참가하며 KP팀은 상당히 고전할것으로 예상되었으나, '''6위'''의 성적을 기록하며 2주차 파이널 시드권을[* 위클리 파이널 상위 8팀은 그다음주 파이널 시드권을 얻게된다.] 가져가게 된다. 특히나 1일차에서는 DG98 선수가 12킬을 기록하며 킬 순위 2위에 올랐고, 1+2일차 합산에서는 17킬로 8위에 기록된다. 나머지 선수들도 준수한 경기력을 보여주며 2주차 위클리 파이널을 더더욱 기대해볼 수 있게 만들었다. [[http://bj.afreecatv.com/curtainwal/post/66969323|위클리 파이널 1주차 순위]], [[http://bj.afreecatv.com/curtainwal/post/66969330|위클리 파이널 1주차 플레이어 스탯]] 위클리 파이널에서 특히나 2라 에란겔 16킬 치킨, 10라 에란겔 13킬 2등을 기록하며 에란겔에서 매우 강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특히나 마지막 라운드 에란겔 매치는 많은 팀들의 운명을 바꿀 정도로[* 담원 기아, 기블리의 우승 여부, 젠지의 파이널 8위 여부 등등] 보는 대중들로서는 흥미로운 경기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미라마에서는 광탈하는 장면이 매우 많이 나왔기 때문에 2주차에서 미라마맵에서 보완이 필요해 보인다. ===== [[2021 PUBG WEEKLY SERIES: EAST ASIA Pre-Season/2주|2주차]] ===== 1주차 파이널에서 6등을 기록하면서 2주차 파이널 시드권을 얻게 되었다. 위클리 파이널 1일차에서는 1점차이로 Gen.G에 이은 2위를 차지하였고, Joy 선수가 킬 1등을 달리며 1일차에서 매우 기분좋은 출발을 하게 된다. DG98 선수와 AkaN 선수가 빠지고 Joy, Rage 선수가 플레이했는데, 여기서 Joy 선수가 1일차 킬 1등을 달리게 된다. Rage 선수도 수류탄으로 5라운드에서 Detonation Gaming White 를 잡는 장면으로 좋은 경기력을 보여주었다. Mick9y 선수와 HelleN 선수들도 마찬가지로 교전에서 특히나 강력한 모습을 보여주며 BJ팀임에도 불구하고 위클리 파이널에 나온 대부분의 프로팀들을 압도하는 성적을 보여준다. 특히나 1라운드에서부터 11킬 치킨을 가져가며 매우 기세 좋은 출발을 보여주었고, 2라운드에서 1킬 16등, 4라운드에서 4킬 11등으로 광탈했으나, 나머지 라운드에서 각각 10킬 이상씩 가져가면서 충분한 점수를 얻었다. 특히나 1주차 파이널에서는 미라마에 특히나 약한 모습을 보여줬었는데, 이번 1일차에서는 그 부분을 완벽하게 보완을 하면서 미라마에서도 한라운드 빼고 강력한 교전능력을 선보이며 BJ팀중에서는 압도적인 성적을 기록했다. [* 사실 BJ팀이라고는 하지만, 멤버 대부분이 2020년이나 2019년까지 활동했었던 전 프로들이었어서 더더욱 강한 모습을 보여주는것도 있다. [* DG98, HelleN, Rage, Joy, Mick9y 이 5명이 전프로이다.]] [[http://bj.afreecatv.com/curtainwal/post/67264131|2주차 위클리 파이널 1일차 순위]], [[http://bj.afreecatv.com/curtainwal/post/67264131|2주차 위클리 파이널 1일차 선수 스탯]] 그러나, 2일차에서는 선수들이 다시 기복 심한 모습을 보여줬고, 에란겔에서도 많은 점수를 얻어가지 못했기 때문에 '''최종 6위'''에 랭크된다. 특히나 1일차때 1등 젠지와 1점 차이 2등을 유지하고 있었기 때문에 더더욱 아쉽다는 평가이다. 2일차에서는 1일차에서 가져갔던 50점의 반도 안되는 15점을 가져가면서 총 65점, 6위로 랭크된다. 대부분의 선수가 킬을 거의 못했고, 위클리 시리즈와 파이널을 통틀어서 가장 부진한 경기력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워낙 Joy 선수가 1일차에 많은 킬을 가져가면서 킬랭킹 4위에 위치하게 된다. --2일차에서 딱 5킬만 더 했어도 킬 공동 1등이었다-- [[http://bj.afreecatv.com/curtainwal/post/672822791|2주차 위클리 파이널 1+2일차 순위]], [[http://bj.afreecatv.com/curtainwal/post/67282303|2주차 위클리 파이널 1+2일차 선수 스탯]], 1주차 2주차 모두 최종 6위로 마감하였지만, 1+2주차 누적점수에서는 '''4위'''에 랭크된다. [* 이 이유가 한 라운드때 갑자기 점수를 많이 가져가는 팀 특성상 라운드별로 보면 기복이 심해 보이지만, 총 점수를 보았을땐 1주 2주 모두 준수한 점수를 기록했기 때문. 그러나 여전히 킬포인트도 없이 초반 광탈은 분명히 개선되어야 할 점.] BJ팀중에서는 남은 10라운드에서 좋은 성적을 기록하면 희박하기는 하지만 우승까지도 노려볼수도 있는 유일한 팀이다. [[http://bj.afreecatv.com/curtainwal/post/67282426|위클리 파이널 1+2주차 누적점수 순위]] ===== [[2021 PUBG WEEKLY SERIES: EAST ASIA Pre-Season/그랜드 파이널|그랜드 파이널]] ===== 그전 1+2주차 위클리 파이널에서 최종 6위로 마무리했고, 그랜드 파이널도 마찬가지로 누적된 점수에서 시작한다. ==== [[2021 LVUP SHOWDOWN: PUBG Season1]] ==== ===== [[2021 LVUP SHOWDOWN: PUBG Season1/결선]] ===== 대회 1위로 무난하게 [[2021 PUBG WEEKLY SERIES: EAST ASIA Phase 1]]에 진출했다. ==== [[2021 PUBG WEEKLY SERIES: EAST ASIA Phase 1]] ==== 와일드카드에서 이엠텍, 매드클렌, 노 코멘트와 함께 위클리 파이널에 진출했다. 위클리 파이널 두번째 매치에서 자기장이 다 좁혀 들어가는 긴장감 끝에 치킨을 땄다. --헬렌의 집-- 그리고 펍지 위클리 시리즈 페이즈1 Week 1 위클리 파이널에 우승하면서 아마추어팀 최초로 위클리 파이널 우승자가 되었다. 이로써 BoyeoJulgae는 남은 주차의 경기결과에 상관없이 Grand Final 직행이 확정되었다. Weekly stage 3주차 첫째날 마지막 6라운드에서 23킬 치킨을 흭득하며 Weekly Final에 진출하였다. 여기서 주목해야할 점은 킬포인트인데, BoyeoJulgae는 PUBG 통합리그 출범 이후 최초로 한 라운드 23킬 치킨이라는 기록을 세우게 되었다. ==== [[2021 LVUP SHOWDOWN: PUBG Season2]] ==== ===== [[2021 LVUP SHOWDOWN: PUBG Season2/결선]] ===== 2021 PWS Phase 1 시드 자격으로 참가할 예정이었으나 기권하였다. == 해체 당시 멤버 == === [[박혜민(프로게이머)|박혜민]](Joy) === [[파일:BJ_Joy_PWS1.png|width=500]] 전 [[DeToNator PUBG KOREA|DeToNator]]. === [[김민욱(프로게이머)|김민욱]](AKaN) === [[파일:BJ_AKaN_PWS1.png|width=500]] 아프리카TV 소속 배그 BJ. [[Star Balloon]]으로 이적. === [[안강현]](HelleN) === [[파일:BJ_HelleN_PWS1.png|width=500]] 전 [[T1/배틀그라운드|T1]]. [[Danawa e-sports]]로 이적. === [[황대권]](DG98) === [[파일:BJ_DG98_PWS1.png|width=500]] 전 [[VSG/배틀그라운드|VSG]]. [[BGP(e스포츠 팀)|BGP]]로 이적. === [[김동환(e스포츠)|김동환]](Draft) === [[파일:BJ_Draft_PWS1.png|width=500]] 전 [[Danawa e-sports]]. === [[최성철]](BBABBO) === [[파일:BJ_BBABBO_PWS1.png|width=500]] 전 [[OP GAMING Rangers]]. == 전 멤버 == === [[강태민]](taemin) === [[파일:KP_taemin_2020_PCS_3.png]] 전 [[Gen.G Esports/배틀그라운드|Gen.G]]. 군입대 문제로 팀 탈퇴. [[BGP(e스포츠 팀)|BGP]]로 이적. === 정제경(helloweend) === [[파일:KP_helloweend_2020_PCS_3.png]] 아프리카TV 소속 배그 BJ. === 강다민(Damin) === [[파일:GG_Damin_PWS.png]] 아프리카TV 소속 배그 BJ.[* '''taemin''' [[강태민]]의 친형이라고 한다.] [[GNGB]]로 이적. === [[김다현(프로게이머)|김다현]](mick9y) === [[파일:KP_mick9y_PWS.png]] 전 [[DAMWON Gaming/배틀그라운드|DAMWON Gaming]]. [[OP.GG SPORTS/배틀그라운드|OP.GG SPORTS]]로 이적. === [[이효범]](Rage) === [[파일:KP_Rage_PWS.png]] 전 [[Danawa e-sports]]. === [[구종훈]](Black9) === [[파일:KP_Black9_2020_PCS_3.png]] 전 [[Asura Walk]]. 이후 복귀. === [[신동주(1999)|신동주]](Makne) === [[파일:BJ_Makne_PWS1.png|width=500]] 전 [[Element Mystic/배틀그라운드|Element Mystic]]. [[DWG KIA/배틀그라운드|DWG KIA]]로 이적. == 성적 == ||<-4> [[BoyeoJulgae|[[파일:BoyeoJulgae logo.png|height=45]]]] || || {{{#fcad3a 기간}}} || {{{#fcad3a 순위}}} || {{{#fcad3a 대회}}} || {{{#fcad3a 획득 상금}}} || || 2020.10.10 || '''{{{#white 14위}}}''' || [[PCS 3 ASIA Korea Qualifier]] || - || || 2020.12.09 || '''{{{#white 13위}}}''' || [[배틀그라운드 스매쉬 컵 2020 시즌 3]] || - || || 2020.12.13 || '''{{{#white 16위}}}''' || [[2020 AfreecaTV PUBG League Winter Season]] || - || || 2021.01.24 || '''{{{#white 7위}}}''' || [[2021 PUBG WEEKLY SERIES: EAST ASIA Pre-Season]] || - || || 2021.03.30 || '''{{{#white 7위}}}''' || [[2021 LVUP SHOWDOWN: PUBG Season1]] || - || || 2021.05.23 || '''{{{#white 11위}}}''' || [[2021 PUBG WEEKLY SERIES: EAST ASIA Phase 1]] || ₩ 23,000,000[* 1주차 위클리 파이널 1위 20,000,000원 + WWCD 상금 3,000,000원] || * 누적 상금 : '''₩23,000,000''' == 둘러보기 == [include(틀:LSP 역대 우승팀)]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347&aid=0000147101|PCS3 진출한 BJ팀, '킴성태'의 킴 파이러츠 합류]]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347&aid=0000147102|킴 파이러츠 '태민' 강태민, 새로운 도전을 말하다]] [[분류:나무위키 배틀그라운드 프로젝트]][[분류:배틀그라운드/e스포츠 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