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테일러 스위프트/노래]][[분류:2014년 노래]][[분류:2014년 싱글]][[분류:빌보드 핫 100 1위 노래]][[분류:빌보드 어덜트 컨템퍼러리 차트 1위 노래]][[분류:Spotify 10억 스트리밍]] [include(틀:테일러 스위프트)] [include(틀:테일러 스위프트/노래)] {{{#!wiki style="word-break:keep-all" ||<-3><#e6e3d5> [[테일러 스위프트|{{{#737985 {{{-2 '''테일러 스위프트'''}}}}}}]]{{{#737985 {{{-2 '''의'''}}}}}} [[테일러 스위프트/싱글|{{{#737985 {{{-2 '''정식 싱글'''}}}}}}]] || || {{{#8c8c8c ←}}} ||<|2><#e6e3d5> {{{#737985 {{{+1 ''' ''Blank Space'' '''}}}[br]{{{-2 (2014.11.10.)}}}}}} || {{{#8c8c8c →}}} || || [[1989(음반)|{{{#!wiki style="display:inline; padding:3px 4px; border-radius:2px; background:#ecede4; color:#3c73aa; font-size:0.55em; letter-spacing:-0.1px" '''1989'''}}}]][br][[Shake It Off|{{{-2 {{{#878787 '''Shake It Off'''}}}}}}]][br]{{{-2 {{{#8c8c8c ^^(2014.08.19.)^^}}}}}} || [[1989(음반)|{{{#!wiki style="display:inline; padding:3px 4px; border-radius:2px; background:#ecede4; color:#3c73aa; font-size:0.55em; letter-spacing:-0.1px" '''1989'''}}}]][br][[Style|{{{-2 {{{#878787 '''Style'''}}}}}}]][br]{{{-2 {{{#8c8c8c ^^(2015.02.09)^^}}}}}} || ||<-2> {{{+2 '''Blank Space'''}}}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lank Space_cover.png|width=100%]]}}}|| ||<-2> '''Single by Taylor Swift''' || || '''아티스트''' || [[테일러 스위프트|{{{#737985 '''테일러 스위프트'''}}}]] || || '''레이블''' || [[빅 머신 레이블 그룹|[[파일:BMR_logo_0.png|width=40px&bgcolor=#fff]]]] || || '''발매''' || 2014년 11월 10일 || || '''장르''' || [[일렉트로팝]] || || '''길이''' || 3:52 || || '''송라이터''' || [[테일러 스위프트|Taylor Swift]], Max Martin, Shellback || || '''프로듀서''' || Max Martin, Shellback || || '''수록 음반''' || [[1989(음반)|{{{#!wiki style="display:inline; padding:3px 4px; border-radius:2px; background:#ecede4; color:#3c73aa; font-size:0.8em; letter-spacing:-0.1px" '''1989'''}}}]] || || '''차트 기록''' || {{{#!wiki style="margin: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빌보드 핫 100|[[파일:빌보드 로고.svg|width=80]]]] || {{{#red '''1위'''}}} || || [[Official Charts|[[파일:오피셜 차트 로고.svg|width=80]]]] || 4위 || || [[Spotify|[[파일:스포티파이 로고.svg|width=80]]]] || 1,292,508,018회[*A 2023년 6월 26일 기준.] || || [[YouTube|[[파일:유튜브 로고.svg|width=80]]]] || 3,185,850,379회[*B 2023년 6월 26일 기준.] ||}}}}}}}}}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Gif_Blank Space.gif|width=100%]]}}}|| ||<#fff,#191919> {{{-2 {{{#ccc5b1 '''Cause, d'''}}}{{{#bbb6a7 '''arling, I'''}}}{{{#a8a69b ''''m a nigh'''}}}{{{#989892 '''tmare d'''}}}{{{#878a89 '''ressed l'''}}}{{{#767c7f '''ike a da'''}}}{{{#656d75 '''ydream'''}}} 자기야, 사실 난 백일몽을 가장한 악몽이었거든}}} || [[테일러 스위프트]]의 5집 [[1989(음반)|1989]]의 2번째 정식 싱글.[* 프로모 싱글 및 라디오 싱글을 포함하면, [[1989(음반)|1989]]의 3번째 싱글이다.] == Blank Space == ||{{{#!wiki style="margin:-5px -10px" [youtube(dC9QIUKviJU)]}}}|| ||<#e6e3d5> {{{#!wiki style="word-break:keep-all" {{{#737985 {{{+2 '''Blank Space'''}}}}}}[br]{{{#8c8c8c 3:52}}}}}} || || {{{#!folding [ 가사 보기 ] {{{#!wiki style="word-break:keep-all" [br] Nice to meet you 만나서 반가워 Where you been 그동안 어디 있었어? I could show you incredible things 아주 놀라운 걸 보여줄게 Magic, madness, heaven, sin 마법과 광기, 천국과 죄악 Saw you there and I thought 너를 보고 난 생각했어 Oh my god, Look at that face 세상에, 저 얼굴 좀 봐 You look like my next mistake 너는 내 다음 실수가 될 것 같아 Love's a game, wanna play? 사랑은 게임이야, 해보지 않을래? New money, suit and tie 벼락부자, 수트와 넥타이 I can read you like a magazine 난 잡지처럼 뻔히 널 읽을 수 있어 Ain't it funny, rumors fly 소문이 퍼지는 거, 재밌지 않니? And I know you heard about me 나에 대해 뭘 들은지도 알아 So, hey, let's be friends 그래, 우리 친구부터 시작하자 I'm dying to see how this one ends 우리의 끝이 어떨지 궁금해 죽겠어 Grab your passport and my hand 여권 챙기고 내 손 잡아 I could make the bad guys good for a weekend 난 나쁜 남자도 주말만 지나면 착하게 만들지 So it's gonna be forever 그래서 우리는 영원하거나 Or it's gonna go down in flames 아니면 불꽃 속으로 사라지겠지 You can tell me when it's over 넌 끝날 때 내게 말해줘 If the high was worth the pain 고통을 견딜 만큼 황홀했는지 Got a long list of ex lovers[* 이 부분이 몬더그린으로 “Lonely Starbucks lovers”로 들린다는 사람들이 많아 일종의 밈으로 정착했다. 테일러의 어머니도 스타벅스라고 생각했다고(…)] 아주 긴 전남친들의 목록이 있어 They'll tell you I'm insane 다들 내가 미쳤다고 할 거야 Cause you know I love the players 왜냐면 난 바람둥이들을 사랑하고 And you love the game 너도 이런 놀이 좋아하잖아 Cause we're young and we're reckless 우리는 어리고 무모하니까 We'll take this way too far 갈 데까지 가보는 거야 It'll leave you breathless 이건 널 숨막히게 하거나 Or with a nasty scar 끔찍한 흉터를 남기겠지 Got a long list of ex lovers 아주 긴 전남친들의 목록이 있어 They'll tell you I'm insane 다들 내가 미쳤다고 할거야 But I got a blank space, baby 근데 아직 한 칸 비었네 And I'll write your name 거기 네 이름도 적을 거야 Cherry lips, Crystal skies 앵둣빛 입술, 빛나는 하늘 I could show you incredible things 아주 놀라운 걸 보여줄게 Stolen kisses, pretty lies 은밀한 키스, 아름다운 거짓말 You're the king, baby, I'm your queen 넌 왕이고 난 너만의 여왕 Find out what you want 난 너의 취향을 찾아서 Be that girl for a month 한 달 동안 네가 원하는 여자가 될게 Wait, the worst is yet to come 기다려, 최악은 아직 오지도 않았어 Oh, no 이런 Screaming, crying, perfect storms 비명소리, 눈물, 엉망진창이야 I could make all the tables turn 난 손쉽게 모든 상황을 뒤바꾸지 Rose garden filled with thorns 가시로 뒤덮힌 장미 정원 Keep you second guessing like 너는 이런 생각을 할 거야 "Oh my god, Who is she?" "세상에, 저 여자 누구야?" I get drunk on jealousy 난 질투에 미쳤어 But you'll come back each time you leave 하지만 넌 떠나도 다시 돌아오게 될 거야 Cause, darling, I'm a nightmare dressed like a daydream 자기야, 사실 난 백일몽을 가장한 악몽이었거든 So it's gonna be forever 그래서 우리는 영원하거나 Or it's gonna go down in flames 아니면 불꽃 속으로 사라지겠지 You can tell me when it's over 넌 끝날 때 내게 말해줘 If the high was worth the pain 고통을 견딜 만큼 황홀했는지 Got a long list of ex lovers 아주 긴 전남친들의 목록이 있어 They'll tell you I'm insane 다들 내가 미쳤다고 할 거야 Cause you know I love the players 왜냐면 난 바람둥이들을 사랑하고 And you love the game 너도 이런 놀이 좋아하잖아 Cause we're young and we're reckless 우리는 어리고 무모하니까 We'll take this way too far 갈 데까지 가보는 거야 It'll leave you breathless 이건 널 숨막히게 하거나 Or with a nasty scar 끔찍한 흉터를 남기겠지 Got a long list of ex lovers 아주 긴 전남친들의 목록이 있어 They'll tell you I'm insane 다들 내가 미쳤다고 할거야 But I got a blank space, baby 근데 아직 한 칸 비었네 And I'll write your name 거기 네 이름도 적을 거야 Boys only want love if it's torture 남자들은 고통을 줘야 사랑을 원하지 Don't say I didn't say I didn't warn you 네게 경고하지 않았다고, 말하지 않았다고 하지 마 Boys only want love if it's torture 남자들은 고통을 줘야 사랑을 원하지 Don't say I didn't say I didn't warn you 네게 경고하지 않았다고, 말하지 않았다고 하지 마 So it's gonna be forever 그래서 우리는 영원하거나 Or it's gonna go down in flames 아니면 불꽃 속으로 사라지겠지 You can tell me when it's over 넌 끝날 때 내게 말해줘 If the high was worth the pain 고통을 견딜 만큼 황홀했는지 Got a long list of ex lovers 아주 긴 전남친들의 목록이 있어 They'll tell you I'm insane 다들 내가 미쳤다고 할 거야 Cause you know I love the players 왜냐면 난 바람둥이들을 사랑하고 And you love the game 너도 이런 놀이 좋아하잖아 Cause we're young and we're reckless 우리는 어리고 무모하니까 We'll take this way too far 갈 데까지 가보는 거야 It'll leave you breathless 이건 널 숨막히게 하거나 Or with a nasty scar 끔찍한 흉터를 남기겠지 Got a long list of ex lovers 아주 긴 전남친들의 목록이 있어 They'll tell you I'm insane 다들 내가 미쳤다고 할거야 But I got a blank space, baby 근데 아직 한 칸 비었네 And I'll write your name 거기 네 이름도 적을 거야}}}}}} || === 의미 === 테일러가 작사하는데 가장 짧은 시간이 걸린 곡인데, 미디어에서 '''남자를 갈아치우는 미친 여자'''로 표현하는 테일러 자신의 모습으로부터 영감 받아 작사한 곡이다. ||<#e6e3d5> {{{-1 {{{#737985 '''인터뷰 1'''}}}}}} || ||<#fff,#191919>{{{-1 "Blank Space" 같이 제가 쓴 곡들 중 몇 가지는 풍자의 내용을 담고 있어요. 우리는 원래 살고 있는 삶보다 더 창의적인 발상을 하고, 이야기를 만들어 내기도 하죠. 그렇기에 대중들은 내가 질투에 취한 것처럼 이야기하고, 사실 백일몽의 탈을 쓴 악몽이라 남자들이 떠날 때마다 돌아올 게 된다고 말할 수도 있어요. 하지만 누군가에게 다가가고자 할 때 실제의 저는 그렇지 않아요. 매력적이지만 교활하게 사람을 조종하는 소녀의 이야기를 쓴다는 것이 과연 멋진 일일까요? 저는 이러한 캐릭터가 미디어가 저를 (좋지 않게) 표현하는 방식이라 생각했고, 저는 오랫동안 그것에 의해 상처 받았어요. 개인적인 감상으로요. 하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저는 이 캐릭터가 재미있다는 것을 깨달았어요. [[https://www.gq.com/story/taylor-swift-gq-cover-story|-GQ, Taylor Swift]]}}} || ||<#fff,#191919> {{{#!folding [ 원문 보기 ] ||<#fff,#191919>{{{-1 Some of the things I write about on a song like "Blank Space" are satire. You take your creative license and create things that are larger than life. You can write things like I get drunk on jealousy but you'll come back each time you leave, 'cause darling I'm a nightmare dressed like a daydream. That is not my approach to relationships. But is it cool to write the narrative of a girl who's crazy but seductive but glamorous but nuts but manipulative? That was the character I felt the media had written for me, and for a long time I felt hurt by it. I took it personally. But as time went by, I realized it was kind of hilarious.}}} ||}}} || ||<#e6e3d5> {{{-1 {{{#737985 '''인터뷰 2'''}}}}}} || ||<#fff,#191919>{{{-1 이 노래는 맥스 마틴 그리고 쉘백과 함께 작곡한 곡이예요. 전 항상 그들과 많은 아이디어들을 상의하고 있어요. 제가 만든 4~5개의 코러스를 그들에게 보여줬고, 그들이 좋아할 것이라 예상했어요. 그리고 코러스를 보여준 날, 바로 함께 작업에 들어갔습니다. 사실 이 노래가 앨범에 실릴 거라고 전혀 생각하지 못했어요, 왜냐하면 그냥 장난스럽게 만들었거든요. 여러분들도 알다시피, 지난 몇 년간 언론들은 제 사생활을 소설화하고 과장했어요, 그리고 전 이에 대해 많은 생각을 했죠. 정말 기가 막히다고, 그리고 여기에 대한 생각을 하게 되었어요. 사람들이 만들어 내는 소설 속 그 사람은 감정적으로 불안정하고, 궁핍하고, 매달리고, 남자들을 전부 사귀고, 질린 남자들은 그녀를 떠나가죠. 그리고 그녀는 충격을 받아 사악한 은신처로 돌아가서 복수를 위한 노래를 써요. 하지만 저의 진짜 사생활은 그저 고양이 2마리와 함께 소파에 앉아, 프렌즈를 정주행하는 것 뿐이에요. 그렇지만 과연 나의 이 캐릭터들 중 어떤 것이 노래로 쓰이는 게 더 흥미로울지 생각했을 때, 사람들은 꾸며낸 캐릭터가 더 흥미롭게 느낄 것이라 생각났죠. 그 캐릭터는 허상이지만, 꽤 흥미롭잖아요. 그리고 저는 이 가사를 생각해 냈어요, "나에겐 아주 긴 전남친들의 목록이 있어, 걔네는 다들 내가 미쳤다고 할 거야. 아, 여기 한 칸 비었네. 거기 네 이름도 적을 거야."}}} || ||<#fff,#191919> {{{#!folding [ 원문 보기 ] ||<#fff,#191919>{{{-1 This is a song that I wrote with Max Martin & Shellback and I always bring them lots of ideas. I bring them like 4 or 5 first choruses that I've kind of worked on and I decided that I like them. We decide together which ones we're going to work on that day. With this one I did not think it was going to get picked because I kind of wrote it as a joke. I was thinking a lot about, you guys know, you've seen in the last couple of years, it's been interesting what the media has decided to fictionalize and sensationalize about my personal life. It's been pretty gnarly. I was thinking about that. I was thinking about how they've drawn up this character, she's like emotionally unstable, and needy and clingy, but she gets all these boyfriends but they leave her. She's devastated. She goes to her evil lair and writes songs for emotional revenge. I was thinking about the juxtaposition of that and my actual personal life which involves just kind of me just sitting there with two cats watching "Friends" marathons. But I got to thinking about it and I thought, which one is more interesting to write about? I thought the character they've drawn up, although it may be fictional, it's actually sort of interesting. I thought of this line that went, 'I've got a long list of ex lovers/They'll tell you I'm insane/But I've got a blank space baby and I'll write your name.}}} ||}}} || === 뮤직비디오 === ||<#e6e3d5> {{{#737985 {{{-1 '''Blank Space'''}}}[br]{{{+1 '''Music Video'''}}}}}}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e-ORhEE9VVg)]}}}|| * 최초로 20억뷰를 기록한 여성 가수의 뮤직 비디오이다. 같이 등장하는 남자는 모델 [[션 오프라이]]. * 영원히 깨지지 않을 것 같던 [[강남스타일]]의 97일 5억뷰 기록을 94일 5억뷰로 갈아치웠다. === 비하인드 === ||<#e6e3d5> {{{#737985 {{{-1 '''Blank Space'''}}}[br]{{{#!wiki style="word-break:keep-all;letter-spacing:-0.3px" {{{+1 '''Behind The Video'''}}}}}}}}}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EXDCcGbnAeE)]}}}|| ||<#e6e3d5> {{{#737985 {{{-1 '''Blank Space'''}}}[br]{{{#!wiki style="word-break:keep-all;letter-spacing:-0.3px" {{{+1 '''Behind The Song'''}}}}}}}}}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e6PQcmxnccU)]}}}|| ||<#e6e3d5> {{{#737985 {{{-1 '''Blank Space'''}}}[br]{{{#!wiki style="word-break:keep-all;letter-spacing:-0.3px" {{{+1 '''Behind The Scenes'''}}}}}}}}}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HJYZL2oscOg)]}}}|| ||<#e6e3d5> {{{#737985 {{{-1 '''Blank Space'''}}}[br]{{{#!wiki style="word-break:keep-all;letter-spacing:-0.3px" {{{+1 '''Behind The Vision'''}}}}}}}}}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cxNFwnnF2yU)]}}}|| == 성적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곡, 연도=2021, 순위=357)] || {{{#!wiki style="margin:-4px -10px" [[파일:빌보드 로고.svg|width=100]]}}} || '''[[https://www.billboard.com/music/music-news/10-best-songs-of-2014-6405564//|{{{#000000 빌보드 선정 2014년 최고의 곡}}}]][br]{{{#000000 {{{+5 9위}}}}}}''' || ||<-5><#fff,#404040> {{{+1 [[빌보드 핫 100|[[파일:BillboardHot100(2020Version).png |width=150]]]][br][[빌보드 핫 100]] {{{#b2a529 '''역대 1위'''}}}}}} || || ''[[Shake It Off]]''[br][[테일러 스위프트|{{{-2 {{{#8086a0 Taylor Swift}}}}}}]] || {{{+1 →}}} || '''[[Blank Space]]'''[br]'''[[테일러 스위프트|{{{-2 {{{#8086a0 Taylor Swift}}}}}}]]'''[br]{{{-2 (7주)}}} || {{{+1 →}}} || ''[[Uptown Funk]]''[br]{{{-2 {{{#8086a0 Mark Ronson (feat.Bruno Mars)}}}}}} || [include(틀:RIAA 플래티넘,pt=8)] 테일러 스위프트의 커리어에서 가장 히트한 곡 중 하나로, 테일러의 히트곡을 꼽으면 세 손가락 안에 반드시 들어간다. [[1989(음반)|1989]]의 두 번째 싱글로 결정되고 나서 2014년 11월 29일자 [[빌보드 핫 100]] 차트에서 1위를 차지하며 새로운 히트곡의 탄생을 알렸다. 이 때, 이전에 [[빌보드 핫 100]] 1위를 유지하고 있던 동일 앨범의 싱글 [[Shake It Off]]를 누르고 1위를 차지[* 즉, 자기 싱글의 1위를 자기 싱글의 1위로 교체했다.]하며 [[빌보드 핫 100]] 56년 '''역사상 최초로 자신의 싱글로 1위를 교체한 여가수'''가 되었다. 이후 '''7주 연속 1위'''라는 기염을 토했다.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고 무려 [[유튜브]]와 음원 판매만으로 이뤄낸 성과다. 2015년 빌보드 싱글 연간 차트 7위에 오르며 인기를 다시 한번 체감했다. [[빌보드 핫 100 올타임 차트/1958년-2018년|1958년~2018년 빌보드 핫 100 올타임 차트]]에선 387위에 올랐다. 2017년 11월 기준 450만건의 음원이 팔려나갔다. 2018년 7월 23일 RIAA 8x Platinum 인증을 받았다. 2022년 11월 25일자로 [[스포티파이]]에서 10억 건의 스트리밍을 달성했다. 곡이 발매된지 3년 후에야 스트리밍을 풀었음을 감안하면 상당히 빠른 추이. 테일러의 2번째 10억 스트리밍 곡이기도 하다.[* 첫번째는 이고 테일러의 솔로곡으로만 한정하면 가 최초다.] 2023년 8월 둘째주에는 [[1989 (Taylor's Version)]] 발매 소식이 알려지자 각종 음원 차트에서 역주행을 하였다. 그리고 [[빌보드 핫 100]]에서 49위로 8년만에 재진입을 하였다. == 라이브 == ||<#e6e3d5> {{{#737985 {{{-1 '''Blank Space'''}}}[br]{{{#!wiki style="word-break:keep-all;letter-spacing:-0.3px" {{{+1 '''GRAMMY Museum'''}}}}}}}}}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1Zt47V3pPw)]}}}|| ||<#e6e3d5> {{{#737985 {{{-1 '''Blank Space'''}}}[br]{{{#!wiki style="word-break:keep-all;letter-spacing:-0.3px" {{{+1 '''1989 Secret Sessions'''}}}}}}}}}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t13nujPSd4M)]}}}|| ||<#e6e3d5> {{{#737985 {{{-1 '''Blank Space'''}}}[br]{{{#!wiki style="word-break:keep-all;letter-spacing:-0.3px" {{{+1 '''American Music Awards 2014'''}}}}}}}}}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Ig--r-bahig)]}}}|| ||<#e6e3d5> {{{#737985 {{{-1 '''Blank Space'''}}}[br]{{{#!wiki style="word-break:keep-all;letter-spacing:-0.3px" {{{+1 '''Victoria's Secret Fashion Show 2014'''}}}}}}}}}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Twxcs399Bto)]}}}|| ||<#e6e3d5> {{{#737985 {{{-1 '''Blank Space'''}}}[br]{{{#!wiki style="word-break:keep-all;letter-spacing:-0.3px" {{{+1 '''The 1989 World Tour'''}}}}}}}}}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hC71Chcwafk)]}}}|| ||<#e6e3d5> {{{#737985 {{{-1 '''Blank Space'''}}}[br]{{{#!wiki style="word-break:keep-all;letter-spacing:-0.3px" {{{+1 '''Amazon Prime Day'''}}}}}}}}}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ENeKqSH_k1U)]}}}|| == 인터뷰 및 활동 == ||<#e6e3d5> {{{#737985 {{{-1 '''Blank Space'''}}}[br]{{{#!wiki style="word-break:keep-all;letter-spacing:-0.3px" {{{+1 '''How I Wrote My Massive Hit Blank Space'''}}}}}}}}}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8bYUDY4lmls)]}}}|| ||<#e6e3d5> {{{#737985 {{{-1 '''Blank Space'''}}}[br]{{{#!wiki style="word-break:keep-all;letter-spacing:-0.3px" {{{+1 '''Taylor Swift & Greg James Sing Blank Space'''}}}}}}}}}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YnR5KknFffU)]}}}|| ||<#e6e3d5> {{{#737985 {{{-1 '''Blank Space'''}}}[br]{{{#!wiki style="word-break:keep-all;letter-spacing:-0.3px" {{{+1 '''Taylor Swift & Greg James Blank Space Outtakes'''}}}}}}}}}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HEYBDwFasQ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