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BedWars(Roblox)]] [include(틀:상위 문서, top1=BedWars(Roblox))] [include(틀:BedWars(Roblox))] [목차] [clearfix] == 개요 == 이 문서는 [[BedWars(Roblox)]]의 게임 요소 중 하나인 유물(Relic)에 대해 다룬다. == 상세 == 배드워즈 시즌 6 업데이트와 함께 생겨난 기능[* 그러나 배틀패스 시즌 7(한국시간 2월 18일) 업데이트로 삭제되었다.]. 게임 시작 전 대기실에서 3가지의 유물이 보기로 주어지는데, 그 중 다수결의 의견을 따라 유물을 고를 수 있고, 그 유물을 가지고 게임을 시작 할 수 있는 기능이다. 기존에 있던 전설 유물은 전부 비활성화 또는 삭제되었으며, 결과적으로 유물은 각각 28개의 일반 유물, 4개의 저주 유물로 총 32개가 존재한다. 원래 시작할 때 각 팀마다 각각 다른 유물이 나왔지만 2022년 11월 5일 업데이트를 통해 모든 팀에 똑같이 나오도록 바뀌었다. 커스텀 매치에서는 /relic 명령어를 이용하여 플레이어에게 유물 효과를 주는 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시즌7 업데이트와 함께 유물 전체가 삭제되었다. 현재는 일반 게임에서 볼 수 없다.''' == 종류 == 아래는 각 등급에 맞는 유물들을 서술한다. === 일반 === ==== ''Iron Will'' ==== 번역시 굳건한 의지[* Iron은 명사로 철이지만, 형용사로 들어갈 경우 철과 같은 내지 철처럼 단단힌 등의 의미를 가진다. 또한 will의 경우 의지의 뜻 역시 가진다. 명사로 들어갈 경우 꽤나 자주 쓰이는 의미.]로, 침대가 사라질 때 방어력이 40%가 증가한다. ==== Supercharged Generator ==== 번역 시 '''과충전된 생성기'''로, 철 생성기의 생성 속도가 20% 빨라진다. 남들이 철 5개 얻을 때 6개를 주는 거라 체감은 되는 편. 여담으로 30대30에서 이 유물을 선택하면, 철 생산 티어 0이 오히려 티어 1보다 빨라지는 현상도 볼수 있다. ==== Runic Divide ==== 번역 시 '''룬 분열'''으로, 인첸트를 할 때 '''한번에 두 개의 인첸트를 얻을 수 있지만''' 그와 비례하여 가격도 2배로 증가한다. 가격이 2배로 증가한다는 점은 살짝 좋지 않지만, 이 게임에서 인첸트 하나하나가 체감이 잘되는 편이라 자원만 충분하다면 충분히 값어치를 한다. 또한 번개와 불이 같이 나오면 엄청난 딜을 선사한다.[* 불 효과랑 감전 효과까지 받은 후, 불 효과가 한 번 더 받으면 감전이 발동하고 반복된다.] ==== Escape Artist ==== 번역 시 '''탈출 예술가'''로, 시작 시 풍선을 3개 들고 시작할 수 있으며, 또한 풍선 최대 보유 가능 개수가 6개에서 9개로 증가한다. 일부 사람들은 시작하자마자 이 유물을 이용하여 대미지를 많이 받지 않고 침대를 깨는 사람이 있다. ==== Wormhole ==== 번역 시 말 그대로 '''[[웜홀]]'''로 60초마다 인벤토리에 웜홀(Wormhole) 아이템이 들어오게 된다. 사용 시 1초 간의 차징 후 집으로 즉시 귀환할 수 있다. 풍선이 2개 남았을 때 살아남을 수 있는 괜찮은 유물. ==== Looter ==== 번역 시 '''약탈자'''로 적을 죽이거나 공격할 때 자원을 얻을 확률이 생긴다. 인첸트 능력 중 하나인 약탈(Plunder)과 다르게 상대방에게 없던 자원이 생겨나고 얻는 양도 무난해서 시작할 때 상당히 많이 골라진다. 30대 30에서 파이로 같은 키트를 들고 적진 베이스에서 능력을 사용하면 자원이 순식간에 모인다. 만약에 키트 중 하나인 크립트(Crypt)를 사용한다면 해골을 소환해 맞지도 않고 약탈할 수 있다. ==== Knight's code ==== 번역 시 '''기사의 문자'''로 인첸트를 사용하지 못하는 대신, 대미지가 솔로, 듀오, 스쿼드, 30vs30에서 각각 14, 18, 22, 34% 증가하게 된다. 장기전에서는 꽤 불리하지만 듀얼이나 솔로 같은 단기전에서 체감이 잘되는 편. ==== Nature's Essence ==== 번역 시 '''자연의 정수'''로 철 20개, 80개, 에메랄드 5개, 40개로 체력을 170까지[* 에어리(Aery), 한나(Hannah)와 같은 체력이 90인 키트는 160까지] 올릴 수 있다. 장기전까지 간다면 갑옷과 체력, 두 마리 토끼를 한 번에 잡을 수 있는 강력한 유물이다. 심지어 죽는다고 해도 체력은 그대로 유지된다. ==== Ember's Anguish ==== 번역 시 '''엠버의 분노'''로 공격 시 20%의 확률로 2초간 화염 대미지를 입힌다. 무난하게 강력하고 좋은 유물이므로 많이 골라진다. 사실상 일반등급 유물 중에서 굉장히 좋은 편에 속한다. 확률이 20%라서 쓸모없다고 느낄 수도 있지만, 여러대를 때리는 걸 생각해보면 5방에 한번 꼴이니 나쁘지 않은 편. ==== Piercing Blade ==== 번역 시 '''관통하는 칼날'''로 적의 방어력을 25%[* 1/4 정도. 간단히 말해서 적의 방어력이 3/4가 되는 셈.] 무시할 수 있다. 희대의 사기 유물로 상대방의 철 갑옷을 가죽 갑옷처럼 무용지물로 만들어 싸울 수 있으며, 게임할 때 매우 거슬리는 적들의 방어력을 마구 깎아내려 승리하기가 훨씬 편해진다. 이 유물을 선택한 다른 팀이랑 상대하면 두 팀 모두 방어력이 떨어지기에 많은 팀이 이 유물을 선택했다면 유물의 가치가 조금씩 떨어진다. 에어리 혹은 칼리야랑 조합하면 사기성이 더욱 올라가는 걸 볼 수 있다. 게다가 녹턴, 닉스와 함께 쓰면 이론상 갑옷 90%관통이다... ==== Call of the Void ==== 번역 시 '''공허의 부름'''으로 적을 공허로 떨어뜨려 죽이게 되면 텔레펄(Telepearl) 2개를 받을 수 있고, 사용 시 보호막 10을 얻는다.[* 상점에서 텔레펄을 구매해도 발동된다.] 하지만 이블린(Evelynn) 하위호환이다. ==== Resource Refund ==== 번역 시 '''자원 환불'''로 모든 아이템을 구매할 때마다 25%의 자원을 돌려받을 수 있게 된다. 언뜻 보면 에메랄드 검을 사서 5 에메랄드 정도를 돌려받는 등, 환불량이 좀 적긴 하지만 나쁘진 않은 유물이다. 상인 마르코(Merchant Marco) 키트를 사용하여 이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 King's Grasp ==== 번역 시 '''왕의 손아귀'''로 부활할 때마다 들고 있던 자원의 75%를 보존할 수 있게 된다. 무난하게 쓰기 좋지만 다른 유물에 비해 강점이 없고 자원 한정으로 보존되므로 싸우는 걸 좋아하는 호전적인 사람들은 거의 선택하지 않는다. 또한 후반으로 갈수록 쓸모가 없어진다. ==== Second Wind ==== 번역 시 '''새로운 활력'''으로 피가 35% 이하로 내려갈 때 플레이어 최대 체력의 30%를 회복할 수 있게 된다. 여기까지 보면 강력한 유물이지만 문제는 생명 당 한번. 한번 발동되면 그 이후로는 능력이 발동되지 않아 죽으면 안되는 스택형 키트와는 나쁜 궁합을 보여준다. 그냥 상점에서도 파는 의료용 가방(First-Aid Kit)이라 생각하면 된다. ==== Second Strike ==== 번역 시 '''두 번째 일격'''으로 6번 타격시 '''갑옷을 관통하는 사용무기의 원래 대미지'''[* 즉, 레블에 발동되면 갑옷을 관통하고 70대미지를 넣는다!]를 줄 수 있게 된다. 원래는 8번을 타격해야 가능했지만 버프를 먹고 7번으로 줄었고 한 번 더 버프를 먹어 6번으로 바뀌었다. 상당히 많이 픽되는 유물이며, 눈덩이로 패널티를 위회하는 꼼수도 있어 호평을 받는다. 스택형 키트와 궁합이 좋다. ==== Marksman ==== 번역 시 '''명사수'''로 화살을 맞출 때 화살이 다시 들어오며 적과 떨어져 있을 때 원거리 무기로 공격하면 대미지가 증가한다.[* 최대 300%까지 증가하고 최대 80칸까지 적용된다.] 에임에 자신이 있다면 멀리 떨어져서 기지에서 철을 먹는 적을 석궁을 이용해 의문사 시킬 수 있으며, 다리 1~2개를 두고 싸우는 공성전에서도 엄청난 위력을 보여준다. 연타 특성 상 퍼뎀 버프를 강력하게 받아 바네사(Vanessa) 키트와 찰떡궁합.[* 이론상 무한 화살과 무한 딜] ==== Sword Master ==== 번역 시 말 그대로 '''소드마스터'''로 게임을 시작할 때 돌 검을 자동으로 들고 시작하며[* 단 죽으면 나무 검으로 초기화된다.] 모든 검의 가격이 30% 싸진다. 바바리안(Barbarian) 키트를 착용했다면 시작하자마자 돌 검으로 업그레이드 된다.(철검가격이 가죽갑옷가격이랑 비슷하다.) ==== Headstart ==== 번역 시 '''선두 시작'''으로 시작 시 32개의 철을 가지고 시작할 수 있게 된다. 말 그대로 선두로 게임을 시작할 수 있으며 다이아를 먼저 먹거나 시작하자마자 러쉬를 해서 많은 무기와 아이템들을 사는 등 여러가지를 할 수 있다. 하지만 이 유물도 역시 후반에 가면 의미가 없으므로 다른 유물들이 정말 쓰레기일 때 골라진다. 하지만 듀얼 모드 같은 경우에는 양털과 도끼를 사고 빠르게 러쉬를 갈 수 있기 때문에 굉장히 좋은 편이다. ==== Melody's Lullaby ==== 번역 시 '''멜로디[* 힐러 키트 중 하나인 멜로디(Melody)의 이름을 따왔다.]의 자장가'''로 침대 위에 디스크 플레이어 하나가 설치된다. 침대 근처(20블록)에서 대미지를 입게 되면 1초마다 5씩 체력이 회복된다. 도망치다가 기지로 돌아와 회복 하기 좋은 유물이며 당연하지만 침대가 파괴된다면 의미가 없어진다. ==== Quick Forge ==== 번역 시 '''빠른 제작'''으로 게임 시작 시 업그레이드를 무작위로 하나 얻게 되고, 11분마다 한 번씩 추가로 업그레이드를 계속 받을 수 있게 된다. 원래는 8분마다 한 번씩이었지만, 너프로 인해 11분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처음부터 팀 생성 속도 업그레이드가 주어지지 않는다. 주로 다이아몬드 업그레이드가 될 확률이 높다. ==== Nature's Touch ==== 번역 시 '''자연의 손길'''로 모든 종류의 체력 회복률이 40% 증가한다.[* 50%에서 너프되었다.] 체력재생 아홀로틀이나 라이프 스틸(Life Steal), 체력 사과(Health Apple)과 같이 체력 회복이 가능한 아이템, 키트 등에 모두 적용되므로 체력 회복을 능동적으로 할 수 있는 상태라면 고를 가치가 있는 유물. 멜로디와 궁합이 좋다. ==== Prospector's discipline ==== 번역 시 '''탐광자[* 여기서 탐광자는 광산에서 귀금속 등의 광물을 찾는 사람을 말한다.]의 규율'''로, 너프를 두 번 연속으로 먹은 사기 유물이다. 자원 생성기에서 나온 다이아몬드나 에메랄드를 먹을 때 20%[* 게임에 처음 등장했을 땐 무려 40% 확률이었다!] 확률로 한 개가 더 나오며, 팀 생성기에서 나온 자원을 먹을 때도 적용되나 당연히 플레이어가 버린 자원은 적용되지 않는다. 자원 파밍 위주로 플레이 하는 사람들은 고를 가치가 있으나 호전적인 사람들에게는 궁합이 좋지는 않다. ==== Light Step ==== 번역 시 '''가벼운 걸음'''으로 낙뎀이 없고 이동속도가 1.15배 증가한다. ==== Elementalist ==== 번역 시 '''엘리멘탈 리스트'''로 전기, 화염의 피해가 50% 증가한다. 인첸트나 마법사 지팡이, 테슬라 등 전기나 화염을 갖고 있는 요소들의 피해가 증가한다. 칼리야 고인물이 쓰면... 상대 팀 입장에서는 [[답이 없다|답이 없다.]] ==== Alchemize ==== 번역 시 '''(연금술로) <금속을> 변질시키다.'''[* 흔히들 연상할 만한 ‘’‘연금술’‘’ 정도로 해석할 수 있다.]로 상점에서 에메랄드나 다이아를 대미지로 살 수 있다. 한개당 2% 대미지가 증가하며 최대 40%까지 증가한다. ==== Blitz ==== 번역 시 '''전격전'''으로 처음 시작할때 대미지를 40% 증가시키지만 20초 마다 대미지가 2%씩 20%가 될 때 까지 감소한다.[* 게임시간 3분 20초] ==== Hunter ==== 번역 시 '''사냥꾼'''으로 적을 죽여 얻는 자원이 2제곱 증가한다. ==== Kill Streak ==== 번역 시 '''연속 처치'''으로 적을 처치할 때 마다 대미지가 4%씩 증가하며 최대 40% 까지 증가한다![* 죽으면 초기화 된다.][* 에어리를 하위호환으로 유물에 넣은 것이다.] 한마디로 '''개사기'''니 전설 유물이 나온게 아니라면 이 유물을 선택하자. 만약 에어리가 이 유물을 사용하면 미친듯이 학살을 할 수 있다. === 저주 === 저주 유물은 패널티를 대가로 강력한 공격력 버프를 얻는게 특징이다. ==== [[유리 대포|Glass Cannon]] ==== 번역시 유리 대포로 공격력이 28% 증가하지만 갑옷 효과가 40% 감소한다! 알기 쉽게 비유하자면 상대와 교전할때 기본적으로 상대는 피어싱 블레이드를 들고 싸우는 격이다.[* 요즘은 버프로 조금 줄어들었다.][* 그리고 상대의 유물이 피어싱 블레이드라면 답이 없다.] 철 갑옷을 입어도 물몸이 되므로 원거리를 잘 다루거나 피격을 허용하지 않는 스타일이라면 픽...해도 되긴 하다. 또한 엘더트리라면 패널티가 무효화된다.[* 엘더트리는 애초에 방어구를 입을 수 없고, 오브도 방어력이 아닌 최대 체력을 늘려주기 때문.] 물론 다같이 엘더트리가 아닌 이상 고르면 안된다.[* 하지만 11월 19일 기준 엘더트리가 무료로 풀려 사기 유물이 되었다!] 이 유물을 고르면 에메갑이 초록색 갑옷(...)이 된다는 소리도 있다. 유리 대포가 모든 유물 중에서도 가장 쓰레기 유물에 속한다... 물론 상황(자신이 엘더트리를 끼고 있거나 등등)에 따라 쓰레기가 아닐 수도 있지만, 유리대포보다 훨씬 더 좋은 유물들이 넘쳐나기 때문에 그냥 쓰지 말자. ==== Glass House ==== 번역시 유리 집으로 능력은 자신의 침대를 기준으로 반경 2X2에는 블록을 설치할 수 없다.[* 상대는 설치 할 수 있고 3칸부터는 아군도 설치할 수 있다.] 그러나 자신의 대미지가 20% 증가하고 공속과 점프가 약간 빨라진다.[* 1.1배] 방어적이거나 자원 파밍을 하는 사람들과는 맞지 않는 유물이지만 호전적인 사람과 맞는 유물이다. 우리팀의 침대를 방어하는 것 보다 상대팀의 침대를 파괴하는 게 더 중요한 솔로나 듀오에서는 꽤 쓸 만하다. ==== Blood Deal ==== 번역시 피의 거래로 공격력이 30% 증가하지만 주는 대미지의 8%를 돌려받는다. 원거리나 피격을 허용하지 않는 키트, 또는 빠져나가는 메꿀수 있다면 로우 리스크 하이 리턴 유물이 된다. 허나 이 유물의 능력을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는 키트가 있다.한나 키트의 경우, 처형 스킬 발동시 상대방을 그냥 죽이는 것이 아닌, 플레이어가 직접 어마어마한 타수의 대미지를 입혀 죽이는 방식이기에, 보통 이 유물을 쓰고 처형 발동시 [[자폭|둘다 죽는 웃픈 상황을 보이기도 한다.]][* 한나의 처형 스킬이 약 1000대미지이기 때문에, 80대미지를 돌려받게 된다.] ==== Enchanted ==== 번역 시 '''마법에 걸린'''으로 시작시 랜덤한 1레벨의 인첸트를 받는다. === 전설 === ====# --Dragon egg-- #==== 팀에서 16킬을 할 시 알에서 '''하늘을 날아다닐 수 있는 [[드래곤]]이 나오게 된다.''' 드래곤은 팀이 공격하는 대상을 같이 공격하며 노갑 기준 165라는 엄청난 딜을 선사한다. 그리고 드래곤 알은 적이 화염구로 부수면 깨지므로[* 이펙트가 있지는 않고 화염구에 닿는 순간 사라진다. 이 알은 세라믹과 양털로 방어하자.] 침대처럼 방어해야 한다. 여담으로 드래곤에 탈 수는 없다. 드래곤은 공격할 때만 잠시 내려오며 잠시 후 하늘로 다시 올라간다. 그리고 드래곤은 블록 설치 제한 범위 위에서 날고 있다.[* 현재 버그로 인해 잠시 삭제되었다.] === 삭제된 유물 === ==== Electrified ==== 번역 시 '''전기 필드'''로 인첸트 능력 중 하나인 감전(Static) 대미지가 70% 증가하게 된다. 화염(Fire) 능력한테 도트딜 때문에 밀려 버려지던 감전(Static) 능력을 그나마 쓸만하게 만들어준다. 엘리멘탈 리스트가 추가됨에 따라 삭제 되었다. ==== Unity ==== 번역 시 '''통합체'''으로 플레이어가 피해를 받고 팀원과 가까워지면 피해를 입은 플레이어는 최대 체력에 도달할 때까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치유 됩니다. 이때 받는 피해가 12% 감소된다. 솔로에선 사용할 수 없다.[* 당연한게, 솔로에선 팀원이 없기 때문이다.] ==== Reinforced Bed ==== 번역 시 '''강화 침대'''로 침대는 강화된 판자로 덮인다.[* 30대30에선 강화된 석재 벽돌로 덮힌다.] ==== Blackhole ==== 해석시 블랙홀로 받는 대미지가 40% 증가하지만 게임 시작후 8분이 지나면 맵 어딘가에서 블랙홀이 생기며 곧 플레이어를 덥쳐 '''침대 유무 상관없이 즉사시킨다!''' 8분안에 게임을 끝내는 듀얼이나 솔로같은 모드에서도 좋으며 스폰킬을 할 자신이 있다면 30ㄷ30에서 블랙홀을 골라 무한으로 시간을 늘릴수도 있다! ==== Stomper ==== 낙하 대미지를 '''75%[* 너프로 50%가 되었다.]나 줄여주고''' 주변에 있는 적에게 자신의 낙하대미지의 125%의 피해를 주는 유물이다. 애초에 적이 없어도 밥 먹듯이 쓸 수 있어 매우 유용하다. 하지만 잘 안 쓰인다 여담으로 발동 시 땅이 갈라지는 이펙트가 나며 전용 사운드가 나온다. Stomper라는 단어는 쿵쿵거리며 걷다, 발을 구르며 춤추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이 유물을 끼고 진저브레드 맨의 슬라임 위에 올라가면 적들에게는 엄청난 대미지를 주고 나는 대미지를 받지 않는다! 그리고 가죽갑으로 높은곳에서 뛰어내려 철갑을 이긴 일도 있다. --그러나 진저브레드의 젤리와 함께 쓰면 젤리를 썼는데도 낙뎀을 받는 버그가 있다........-- 평가는 안좋은 편 전설유물 치고는 딱히 좋지도 않고 1대1에서 사용하기 어렵기 때문이다.----일반유물한테 밀릴때로 있다.---- ==== Gliched Enchanting ==== [[BedWars(Roblox)/마법부여대|마법부여대]]를 수리하면 기존과 다른 모습으로 변경된다. 당연히 인챈트 능력도 바뀐다. || 불 || 처음엔 원래와 다를 게 없지만 중간 한 틱에 20 대미지가 들어간다. || || 스태틱 || 3번 때릴 때마다 하늘에서 번개가 친다. || || 처형 || 즉사당하는 기준이 높아졌다. 몇 대 덜 때려도 된다는 소리. || || 라이프 스틸 || 때리면 즉시 힐과 함께 아군의 체력이 회복된다. || || 볼리 || {{{#888 더 많은 화살을 발사한다.}}} || || 약탈 || 상대가 가지고 있는 자원을 복사해서 약탈한다[* 분명 에메랄드 5개였는데 '''20'''개정도 약탈한다!] || || 크리티컬 || 터질 확률이 늘어난다. 굉장히 아프다. || || 클린지 || {{{#888 자원을 돌려주는 양이 늘어났다.}}} --어차피 능력 자체가 구려서 별로다.-- || 불, 번개, 라이플 스틸을 제외하면 그냥 능력 발동 확률/계수 같은 것이 증가하는 버프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