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tube(R6sRcvQbRXI)] '''[[EZ2DJ 6th]]의 BGA''' [목차] == 개요 == [[EZ2DJ 6th]]의 수록곡. TY : F가 작곡하였으며, 테크노와 헤비메탈을 섞은 듯한 느낌의 곡이다. BGA는 이런저런 사진들을 필터를 먹인 구성인데, 강렬한 이미지를 연출했는데 호평도 있었지만 너무 정신없다는 반응도 있다. == 가사 == >There's a calm surrender >To the rush of day >When the heat of the rolling world >Can be turned away > >Ah- > >Kindness in your eyes >I guess you heard me cry >You smiled at me >Like jesus to a child > >I'd (I'd) have (have) my share of the crying game X2 > >To care of just die to decide was all >I can show you the world >Tell me princess now when did you last >That just she'll be mine == [[EZ2AC 시리즈]] == || 장르 ||<-4> TechRock || || 곡명 ||<-4> Be mine || || 작곡 ||<-4> TY : F || || 보컬 ||<-4> Lasid || || 배경 ||<-4> DOS 11:35 || || 최초 수록버전 ||<-4> [[EZ2DJ 6th]] || || BPM ||<-4> 128[* 6th 한정으로 128→192→256으로 올라간다.] || ||<-5> '''[[EZ2AC : FNEX]] 기준 난이도 정보''' || || '''모드 / 난이도''' || '''NM''' || '''HD''' || '''SHD''' || '''EX''' || || '''5K RUBY''' || 9 || - || - || - || || '''5K ONLY''' || 7 || 10 || 12 || - || || '''5K STANDARD''' || 6 || 7 || - || - || || '''7K STANDARD''' || 11 || 13 || 15 || - || || '''10K MANIAC''' || 10 || 13 || - || - || || '''14K MANIAC''' || 11 || 15 || - || - || || '''EZ2CATCH''' || 9 || - || - || - || || '''TURNTABLE''' || 11 || - || - || - || * 코스 수록은 [[EZ2AC/라디오채널과 코스]]를 참고. * [[EZ2AC/수록곡 일람|수록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EZ2DJ 6th 당시에는 패턴이 콤보가 잘 끊기는데다가 스크롤 속도가 갑자기 치솟는 구간 때문에 굉장히 강렬한 인상을 주었다. 인트로가 끝나자마자 원래 스크롤의 1.5배 수준으로 올라가는데다가 최후반 8마디동안은 아예 두 배로 치솟았다. 이후 EZ2DJ 7th 2.0에서 [[yak_won]]이 이 곡을 리믹스했는데, 곡의 구성이 더 짜임새 있어졌고 변속이 사라져 좀 더 쉬워졌다. 판정도 간접적으로 완화되었고 패턴에도 수정이 가해졌다. === 5K ONLY === [[https://youtu.be/igimXGIplXw|NM (7) 노트 수: 692개]] 곡 특유의 리듬에 맞춰 3연타, 2연타 따닥이, 또는 모두 산개시킨 3묶음 폭타 등 다양한 배치로 나온다. 다만 그 3연타 키음이 빠짐없이 구현되어 있고 초반부의 폭타, 후반부의 난잡한 롱잡으로 인해 Lv.7에서는 상대적으로 까다로운 편이다. [[https://youtu.be/-76CwOdvSGk|HD (10) 노트 수: 905개]] 곡 특유의 3묶음 폭타가 메인이다. 연타는 대부분 산개되어 있어 초반부까지는 무난한 편인데, 중반부에는 3연타와 16비트 폭타가 같이 나오기 시작한다. 그리고 2겹 3연타에 잡노트가 끼어 있는 패턴이 이어지는데 이 부분이 가장 어렵다. 이 부분을 넘기면 롱잡형 패턴이 나오는데, 이 부분도 롱잡이 꽤 난잡하게 나오니 롱노트에 약하다면 주의해야 한다. [youtube(LU59bqpEkmo)] SHD (12) 노트 수: 1,016개 EZ2DJ FNEX에서 추가되었다. 전반적으로 HD 패턴을 강화한 패턴이다. 초반부에 16비트 3묶음 노트가 산개되어 나오던 HD와는 달리 전부 3연타로 구현되어 있고, 중반부의 폭타에도 살이 붙었다. 그 뒤의 2겹 3연타 구간도 잡노트가 많아져 복잡해진 모습. 후반부의 롱잡 구간에서도 잡노트가 더 붙었으나 이 구간은 그나마 앞에 비하면 처리하기 수월한 편이다. 전반적으로 중반부의 연타 구간을 잘 처리하는 것이 관건이다. === 5K RUBY === [[https://youtu.be/6yQL4zF3tZ0|NM (9) 노트 수: 533개]] EZ2DJ 7th 2.0에서 추가되었다. 전반적으로 중반의 2겹 3연타 구간에 난이도가 집중된 형태로, 2겹 3연타와 함께 정박 페달과 스크래치를 같이 처리해야 한다. 그 뒤로도 페달이 정박으로 나오다가 기습적으로 반박으로 자주 바뀐다. === 5K STANDARD === 소수 존재했던 EZ2DJ 6th 초기 버전에서는 해금을 진행하다 보면 12레벨의 SHD 패턴이 있었다고 한다. 노트 배치는 16비트 글자 모양 노트가 계속해서 나오는 구성이라고 한다. === 7K STANDARD === === 5K COURSE === EZ2DJ BETA에서 Wr∞ng:p 채널에 1 스테이지 곡으로 수록되었다.음원은 yak_won 리믹스를 사용하였고, 패턴은 EZ2DJ 7th 2.0 HD 패턴과 거의 동일하다. znpfg 채널에 수록되었다. HD 패턴보다는 약간 더 어렵다. [youtube(Viawf64ZQTo)] EZ2AC EC에서 Trickster 코스에 수록되었다. 변속의 주기가 미스틱 드림보다 복잡해지고 촘촘해져서 느려졌다가 노트가 내려오는 부분만 빨라지고 다시 느려진다. 특히나 동시치기 연타가 변속과 함께 2-3-2 이런 순으로 나오는 노트는 굉장히 까다롭다. [youtube(RzQNAIQNJPU)] Hard Random 채널에 수록되었다. 그런데 일정 확률로 EZ2DJ 7th 1.5 이전의 변속이 있는 패턴이 나오기도 한다. 그런데 변속이 없어진 정상적인 패턴도 함께 수록되어 있어서 처음 곡만 듣고는 변속이 있을지 없을지 알 수가 없다. 그나마 다행인 점은 패턴 자체가 어렵지는 않기 때문에 빠르게 배속을 내리면 된다. === 7K COURSE === === 10K MANIAC === [[https://youtu.be/DFf-ZiYwdtQ|NM (10)]] EZ2AC EC에서 추가되었다. 3S의 프로페셔널 NM 패턴을 이식한 것이다. 3연타 노트가 자주 나오는 것이 특징이며 간접미스가 굉장히 많이 나온다. 스크롤이 원래 BPM보다 빠른 편이다. [youtube(Q5fl1E-Utkc)] HD (13) EZ2AC EC에서 추가되었다. 3S의 프로페셔널 HD 패턴을 이식한 것이다. 3연타 겹노트 형태가 자주 나오는 편이지만 간접미스만 주의한다면 입문 패턴이다. === 14K MANIAC === [[https://youtu.be/c5DWdX4f4xM|NM (11)]] EZ2AC EV 1.7 버전에서 추가되었다. [youtube(JcgrQ5ibS88)] HD (15) EZ2AC EV 1.7 버전에서 추가되었다. 추가 당시에는 14레벨이었는데 이후 15레벨로 상향 조정되었다. 원핸드를 요구하는 초반부가 고비이며 초반부를 넘기면 롱노트가 많아서 게이지 회복이 가능해서 클리어할 수 있다. === EZ2CATCH === [youtube(-oGaqEtCU14)] NM (9) 중반의 비비기 패턴이 난관으로 범위가 넓어서 꽤 까다롭다. 이 구간을 제외하더라도 전반적으로 광역 패턴이 많아서 표기 레벨에 비해서 어렵다. === TURNTABLE === NM (11) 본래 10레벨이었으나 EZ2AC NT에서 11레벨로 상향 조정되었다. 패턴이 꽤나 난해하게 짜여있는데, H자 패턴이 특징적이다. == [[Sabin Sound Star]] == 2010년 9월 1일 5차 업데이트로 추가되었다. == [[EZ2ON 시리즈]] == === [[RETRO EZ2ON]]/[[EZ2ON REBOOT]] === === [[EZ2ON REBOOT : R]] === [include(틀:EZ2ON REBOOT : R/6th)] ||<-1>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00000, #000000 60%)" {{{+2 '''[[EZ2DJ 6th TRAX ~Self Evolution~|{{{#!wiki style="display: inline; text-shadow: -1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789 6th}}}}}}]]'''}}}}}} ||<-4> {{{+2 '''Be mine'''}}} || || 장르 ||<-4> TechRock || || BPM ||<-4> 128 || || 작곡 ||<-4> TY : F || || 보컬 ||<-4> Lasid || || 배경 ||<-4> DOS 11:35 || || 업데이트 날짜 ||<-4> 기본 수록곡 || ||<-5> '''[[EZ2ON REBOOT : R]] 기준 난이도 정보''' || || '''모드 / 난이도''' || '''EZ''' || '''NM''' || '''HD''' || '''SHD''' || || '''4 KEY''' || 5 || 10 || 12 || 14 || || '''5 KEY''' || 6 || 9 || 11 || 13 || || '''6 KEY''' || 6 || 9 || 11 || 13 || || '''8 KEY''' || 5 || 9 || 11 || 14 || ||<-5> {{{-2 레벨 표기는 STANDARD 모드 기준.[BR] BASIC 모드의 레벨은 위첨자로 별도 표기.}}} || * 코스 수록은 [[EZ2ON REBOOT : R/코스]]를 참고. * [[EZ2ON REBOOT : R/수록곡|EZ2ON REBOOT : R 수록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과거 EZ2ON에는 특유의 변속이 존재했었으나, EZ2ON REBOOT : R에서는 아케이드 최신 버전을 따라서 변속이 없다. 단 변속만 없고 음원은 오리지널 음원을 사용하였다. ==== 4 KEY ==== || {{{#!wiki style="margin: -6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00000, #000000 60%); color: white;" '''EZ (5)'''}}}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00000, #000000 60%); color: white;" '''NM (1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유튜브 주소)]}}}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VFLH2n9pkE8)]}}}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00000, #000000 60%); color: white;" '''HD (12)'''}}}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00000, #000000 60%); color: white;" '''SHD (14)'''}}}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x0lu0Czn0Qg)]}}}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CpsgB-IwI8Y)]}}} || ==== 5 KEY ==== || {{{#!wiki style="margin: -6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00000, #000000 60%); color: white;" '''EZ (6)'''}}}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00000, #000000 60%); color: white;" '''NM (9)'''}}}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유튜브 주소)]}}}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유튜브 주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00000, #000000 60%); color: white;" '''HD (11)'''}}}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00000, #000000 60%); color: white;" '''SHD (13)'''}}}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VC2fJoYpK2k)]}}}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ZarCnS9NmTg)]}}} || ==== 6 KEY ==== || {{{#!wiki style="margin: -6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00000, #000000 60%); color: white;" '''EZ (6)'''}}}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00000, #000000 60%); color: white;" '''NM (9)'''}}}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유튜브 주소)]}}}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유튜브 주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00000, #000000 60%); color: white;" '''HD (11)'''}}}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00000, #000000 60%); color: white;" '''SHD (13)'''}}}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hBN5O7ycy48)]}}}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WmVztPJyaW4)]}}} || ==== 8 KEY ==== || {{{#!wiki style="margin: -6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00000, #000000 60%); color: white;" '''EZ (5)'''}}}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00000, #000000 60%); color: white;" '''NM (9)'''}}}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유튜브 주소)]}}}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유튜브 주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00000, #000000 60%); color: white;" '''HD (11)'''}}}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00000, #000000 60%); color: white;" '''SHD (14)'''}}}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유튜브 주소)]}}}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jWh4Jxh4rKs)]}}} || == Be Mine ~Vermillion Surf Edit~ == === [[EZ2AC]]에서 === 7키 라디오의 wr8ng q: 채널에서 플레이 할수 있는 키음 어레인지 곡이다. == 여담 == * BGA 내내 등장하는 구멍난 철판같은 것은 사실 흔히 볼 수 있는 찜기 사진에 필터를 먹인 것이다. * 테크락이라는 장르 표기는 당시 [[무뇌충]] 밈이 유행하던 시기였기 때문인데, 당시에는 이런저런 단어에 락을 갖다붙이는 것이 유행이었다. 그래서 한편으로는 장르 표기를 장난처럼 해놓는다는 반응도 있었고, 그래도 곡이 나쁘지 않으니 별 상관 없다는 반응이 공존했다. 사실 정통 장르 표기법으로는 하드코어에 가깝다. 이후 이 뜬금없는 "Rock" 접미 표기는 동일한 기획자가 런칭한 오투잼 수록곡 "三月™ (Turkish March)"의 장르 표기인 "City Rock"으로 이어진다. [[분류:EZ2AC의 수록곡]] [[분류:EZ2ON의 수록곡]] [[분류:Sabin Sound St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