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세계 앨범 판매량 순위)] ||<-2> '''{{{#ffffff {{{+1 Bat Out of Hell }}}}}}'''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Bat_Out_of_Hell.jpg|width=100%]]}}} || || '''발매일''' ||[[1977년]] [[10월 21일]] || || '''녹음''' ||[[1975년]] – [[1976년]] || || '''스튜디오''' ||뉴욕 베어스빌 스튜디오 || || '''장르''' ||[[하드 록]], [[글램 록]], [[팝 음악|팝]], [[프로그레시브 록]], [[록 오페라]] || || '''재생 시간''' ||46:25 || || '''곡 수''' ||7곡 || || '''프로듀서''' ||[[토드 런그렌]] || || '''레이블''' ||클리블랜드 인터내셔널 레코드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연도=2012,순위=343)] [include(틀: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장)] [include(틀:올타임 탑 1000 앨범, 순위=77, 연도=1998, 순위2=121, 연도2=2000)] [include(틀:Ultimate Classic Rock 선정 120대 록 명반)] [include(틀:Nostalgie 선정 500대 명반, 순위=16)] [목차][clearfix] == 개요 == [[1977년]] 발매된 [[Meat Loaf|미트 로프]]의 데뷔 앨범. [[텍사스]] 출신의 배우였던 미트 로프가 친구인 작곡가 짐 스타인먼, 프로듀서 [[토드 런그렌]]과 만나서 만든 앨범으로 [[브루스 스프링스틴]]의 백밴드 E 스트리트 밴드 출신이었던 로이 비턴, 맥스 웨인버그와 런그렌의 그룹 유토피아 멤버 뮤지션 등이 참여하였다. 오케스트라에는 [[뉴욕 필하모닉]]과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가 참가하였다. 앨범의 모든 곡을 작곡한 짐 스타인먼은 [[브루스 스프링스틴]], [[리하르트 바그너]], [[필 스펙터]], [[더 후]]의 영향을 받은 것이 이 앨범의 음악적 스타일에 영향을 크게 미쳤는데, 앨범의 장르는 [[메탈(음악)|메탈]], [[팝 음악|팝]], [[오페라]] 등 다양한 장르가 혼재되어 있었으며, 리스너들과 비평가들은 이러한 앨범의 특성에 처음에는 혼란을 느끼거나 부정적인 평가를 내렸지만 차츰 좋은 평가를 내렸다. 이 앨범은 그야말로 초대박을 거뒀는데, 영국에선 1위를 한 적은 한 번도 없었지만 무려 '''522주''' 동안이나 차트에 머물며 큰 성공을 거뒀다. 이는 [[핑크 플로이드]]의 [[The Dark Side of the Moon]][* 발매 당시 741주, 이후 드문드문 재진입한 기간까지 합치면 962주], [[플리트우드 맥]]의 [[Rumours]]에 이은 3위 기록이다. 미국에서는 [[빌보드 200]]에서 14위에 올랐으며 약 '''1400만 장''' 이상 팔렸으며 [[호주]], [[캐나다]], [[네덜란드]] 등의 차트에서 1위를 하였다. 전세계적으로는 약 '''4400만 장''' 이상 팔렸으며 '''대중음악 역사상 가장 성공한 앨범 중 하나'''가 되었다. 이후 미트 로프는 앨범을 몇 장 더 발매하였으나 큰 히트는 치지 못하였는데, [[1993년]] 이 앨범의 후속작으로 나온 "Bat Out of Hell II: Back into Hell"은 또 한 번 큰 히트를 거두었으며 수록곡 I'd Do Anything For Love (But I Won't Do That)은 [[빌보드 핫 100]] 1위에 올랐다. 이후 [[2006년]]에 또 다른 후속작 "Bat Out of Hell III: The Monster Is Loose"가 발매되었다. == 트랙 리스트 == === Side A === ==== Bat Out of Hell - 9:48 ==== [Youtube(x7ES7ueI7p0)] * 헤비 메탈 스타일의 곡으로, 거의 10분 가량의 러닝 타임을 자랑하는 대곡이다. 가사의 내용은 실연당하고 오토바이를 과속으로 몰다가 사고로 죽음을 맞이한 한 불운한 십대 소년의 이야기이다. ==== You Took the Words Right Out of My Mouth (Hot Summer Night) - 5:04 ==== [Youtube(HRZTRTPiIT4)] * 첫 번째로 싱글컷 된 곡으로, 빌보드 차트에서 39위에 올랐다. ==== Heaven Can Wait - 4:38 ==== [Youtube(VJKm0KxQ2L4)] ==== All Revved Up with No Place to Go - 4:19 ==== [Youtube(eWVmRvq50kQ)] === Side B === ==== Two Out of Three Ain't Bad - 5:23 ==== [Youtube(HVvXWUAKtus)] * [[록 발라드]] 느낌의 곡으로 두 번째로 싱글컷되어 11위까지 올라가며 미트 로프의 대표곡 중 하나가 되었다. ==== Paradise by the Dashboard Light - 8:28 ==== [Youtube(a136H5K3OKw)] * 8분 가량의 긴 곡으로, "I. Paradise", "II. Let Me Sleep on It", "III. Praying for the End of Time"의 세 부분으로 나뉘어 있다. ==== For Crying Out Loud - 8:45 ==== [Youtube(8KyHDNQkBSA)] == 여담 == 세계 앨범 판매량 4위에 달하는 상업적으로 어마어마하게 성공한 앨범임에도 불구하고 한국에서는 [[록덕후]] 사이들에게서도 인지도가 그렇게 높지 않은 앨범이다. 아무래도 다른 10위권 앨범들이 상업적으로든 음악적으로든간에 대중 음악의 패러다임을 바꾼 앨범들이라는 평가를 받는데 반해,[* 몇개 살펴보자면, [[Thriller|1980년대 대중 문화 그 자체]], [[The Dark Side of the Moon|음악 감상법의 재정립]], [[Saturday Night Fever Soundtrack|디스코 음악 부흥기의 시초]], [[Back in Black|하드 록 기타 연주법의 교본]] 등이 있는데, 이 앨범은 이런 레전드급 역사성을 가진 앨범들 사이에 끼어있다보니 그 중요성이 많이 낮아보이는 효과가 있다.] 이 앨범은 상대적으로 평가도 떨어지고[* 2020년 롤링 스톤 500대 명반 리스트에서 탈락했다.] 대중음악사에서 그렇게 중요한 앨범으로 여겨지지는 않으며, 아티스트도 한국에서 잘 알려져있는 편은 아니기 때문에 인지도가 낮은 것으로 보인다. 또 이 앨범이 빌보드 1위는 커녕 10위권에도 진입한 적이 없었다는 사실도 이런 인지도에 영향을 끼쳤을수도 있다. 무엇보다 이 앨범이 나온 후반은 [[폴 매카트니]], [[엘튼 존]], [[비 지스]], [[플리트우드 맥]], [[핑크 플로이드]], [[레드 제플린]]에다가 막 데뷔한 [[밴 헤일런]]과 [[AC/DC(밴드)|AC/DC]]까지 각종 레전드급 아티스트들이 명반들을 공장처럼 찍어내고 있던 시기였다. 이런 시대 중간에 나온 앨범이다보니, 인지도가 떨어지는 것은 그렇게 이상한 일은 아니다. [[분류:미국의 록 음반]][[분류:1977년 데뷔 음반]][[분류:하드 록]][[분류:글램 록]][[분류:프로그레시브 록]][[분류:록 오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