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NighT 시리즈)] ||<#fff,#0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히토시즈쿠P Bad ∞ End ∞ Night.png|width=100%]]}}} || ||<-2> {{{#ffffff '''{{{+2 Bad ∞ End ∞ Night}}}'''}}} || || '''가수'''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9C5BB; font-size: 0.99em" [[하츠네 미쿠|{{{#fff 하츠네 미쿠}}}]]}}}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C00; font-size: 0.99em" [[카가미네 린·렌|{{{#fff 카가미네 린·렌}}}]]}}}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0CB; font-size: 0.99em" [[메구리네 루카|{{{#fff 메구리네 루카}}}]]}}}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80000; font-size: 0.99em" [[MEIKO|{{{#fff MEIKO}}}]]}}}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0FF; font-size: 0.99em" [[KAITO|{{{#fff KAITO}}}]]}}}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9CA25; font-size: 0.99em" [[Megpoid|{{{#fff GUMI}}}]]}}}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94D9E; font-size: 0.99em" [[가쿠포이드|{{{#fff 가쿠포이드}}}]]}}} || || '''작곡가''' ||<|2> [[히토시즈쿠P]]×[[야마△]] || || '''작사가''' || || '''캐릭터 디자인''' || [[히다리]] || || '''일러스트레이터''' || 스즈노스케 || || '''영상 제작''' || TSO || || '''페이지''' || [[http://www.nicovideo.jp/watch/sm16702635|[[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width=24]]]] [[https://www.youtube.com/watch?v=WDUA7z3703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7]]]] || || '''투고일''' || 2012년 1월 15일 || || '''달성 기록''' || [[VOCALOID 전당입성]][br][[VOCALOID 전설입성]] || [목차] [clearfix] == 개요 == >"자, 시작하자. 네가 주역인 Crazy nighT" >무대는, True enD를 맞이할 때까지 계속된다. '''Bad ∞ End ∞ Night'''는 [[히토시즈쿠P]]×[[야마△]](やま△)가 2012년 1월 15일에 [[니코니코 동화]]에 투고한 [[KAITO]], [[MEIKO]], [[하츠네 미쿠]], [[카가미네 린·렌]], [[메구리네 루카]], [[카무이 가쿠포]], [[GUMI]]의 8가지의 [[VOCALOID]]를 사용한 [[VOCALOID 오리지널 곡]]이며 NighT 시리즈의 첫 스타트를 시작한 곡이다. 2012년 1월 18일에 발매된 컴필레이션 앨범 [[EXIT TUNES PRESENTS Vocalodream feat. 하츠네 미쿠]]의 수록곡이다. == 달성 기록 == || * 2012년 11월 4일에 [[VOCALOID 전설입성]] * 2015년 3월 8일에 200만 재생 달성 * 2017년 10월 28일에 300만 재생 달성 * 2021년 6월 19일에 400만 재생 달성 || * 유튜브 || * 2021년 12월 10일에 1,000만 재생 달성|| == 영상 == || [[니코니코 동화|[[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width=24]] {{{#fff '''니코니코 동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nicovideo(sm16702635, width=640, height=360)]}}} || || 【보컬로이드 8인】 Bad ∞ End ∞ Night 【오리지널】 || || [[유튜브|[[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7]] {{{#fff '''YouTube'''}}}]]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WDUA7z3703g, width=640, height=360)]}}} || || 【보컬로이드 8인】 Bad ∞ End ∞ Night 【오리지널】 || == 미디어 믹스 == === 음반 수록 === ||<|5><#fff,#010101>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하츠네 미쿠 심포니~Miku Symphony 2019~오케스트라 라이브 CD.jpg|height=177]]}}} || '''번역명''' || [[하츠네 미쿠 심포니#s-2.4.3|하츠네 미쿠 심포니~Miku Symphony 2019~오케스트라 라이브 CD]] || || '''원제''' || 初音ミクシンフォニー~Miku Symphony 2019~オーケストラ ライブ CD || || '''트랙''' || Disk 2, 5 || || '''발매일''' || 2019년 12월 18일 || || '''링크''' || [[https://sp.wmg.jp/mikusymphony/|[[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4]]]] || === [[리듬 게임]] 수록 === ==== [[펌프 잇 업]] ==== * [[펌프 잇 업/수록곡]]으로 돌아가기 || 최초 수록 버전 ||<-2> [[펌프 잇 업 2015 PRIME JAPANESE EDITION]] || || 아티스트 ||<-2> 히토시즈쿠P X 야마△(HitoshizukuP X yama△) || || BPM ||<-2> 204 || || 비주얼 ||<-2> 미표기[* 가사 출력방식과 모션 그래픽으로는 사실상 MiLa. MiLa BGA 모음집인 [[Can-can ~Orpheus in The Party Mix~]]의 BGA에 이 BGA가 등장해 MiLa=Felnya가 만들었다는 것을 본인이 인정했다.] || || 채널 ||<-2> J-Music / Prime || ||<-3> 레벨 데이터 ※[[펌프 잇 업 XX|XX]] 기준 || || 타입 ||<-2> 레벨 || ||<|4> Normal || {{{#white Single}}} || 2 / 4 / 6 / 10 / 13 / 17 / 19 || || {{{#white Double}}} || 11 / 18 / 23 || || {{{#white Double Perf.}}} || 4 || || Co-Op || 3인 || ||<-3> 채보 제작자 || || 타입 ||<-2> 레벨 및 제작자 || ||<|5> Normal || {{{#white S2 / S4 / S6 / S10 / S13 / S17 / S19}}} ||<|4> [[NIMGO]] || || {{{#white D11 / D18 / D23}}} || || {{{#white DP4}}} || || Co-Op(3인) || [youtube(UgYQlWZxjzE, width=560, height=315)] D23 플레이영상 - 공포의 16비트 후살... --음악은 12비트인데 비트와 안 맞는 후살이라니!-- 펌프 잇 업 2015 프라임 JAPANESE EDITION에 수록되었고, 국내에는 1.11.0때 추가되었다. [[안다미로]]에서 [[크립톤 퓨처 미디어]]사의 [[VOCALOID]] 캐릭터 사용 판권을 취득하지 못한 이유로[* 이것은 판권을 취득하지 못하는 이상 '''앞으로도 보컬로이드 노래의 펌프 잇 업에 수록 가능성이 매우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수록되어도 캐릭터도 반영하지 못하고 저런 허접한 BGA를 새로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회사 입장에서나 유저 입장에서나 [[홍철 없는 홍철팀|미쿠 없는 미쿠노래]]가 될 가능성이 높다.] 배경 그림 한 장에 효과 레이어를 얹고 가사를 띄운 형태의 BGA가 새로 제작되었는데 오히려 '''[[라젠스키 캉캉]]'''을 능가한 망[[BGA]]라서 대판 욕먹었다.[* 한 장의 그림을 깔고 이펙트를 거는 BGA는 [[Dream To Nightmare]]도 마찬가지지만 [[인 더 그루브]]에서의 BGA를 오마주했다. 그러나 3D 그래픽을 사용했기 때문에 적어도 퀄리티는 당연히 이 곡 BGA보다는 훨씬 낫다.] 차라리 [[범용 BGA]]가 더 나을 정도. 이후 피닉스에서도 [[아모르 파티(김연자)|비슷한 BGA]]가 또 추가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곡차트 1위 (2015년 12월 5일 기준)을 달성하는 위엄을 선보였다.''' 다른 특이사항으로, 곡 출시 당시엔 J-Music 카테고리에 있었으나 어느 순간 J-Music이 아닌 World Music으로 옮겨갔다. 1.15.0부터는 J-Music에 복귀 되었다. ===== 채보 구성 ===== ====== 싱글 ====== Lv.2 Lv.4 - 1.17에서 추가된 채보. Lv.6 - 다른 6렙곡에 비해서는 체력 소모가 적은 편이며, 개인차에 따라서는 하위권까지 가능. Lv.10 - 팔로우미 9렙 상위 호환급, 점프가 꽤 큰 비중을 차지한다. BPM이 빠르고 중반 이후로는 쉴 틈 없이 점프해야 해서 체력 소모가 상당하다. 후반에는 폭타와 짧은 틀기가 나온다. Lv.13 - 13렙 체력곡, 빠른 BPM에 말타기 점프라 개인에 따라선 체력이 모자랄 수 있다. 뛰는 박자만 알면 브렉온은 쉬운 편. Lv.17 - 정석대로 다 밟으면 큰 체력을 소모한다. 그러나 뭉개듯이 처리하며 조금 틀면 일반 점프 정도의 체력을 소모. 움직임을 최소화해서 체력을 아낀 뒤, 후반 폭타를 견뎌내는 것이 관건. 초반부 처리 방법이 사람마다 조금씩 다르다. Lv.19 ====== 더블 ====== Lv.4 Lv.11 Lv.18 - S17을 펼친 채보인데, 초반부터 나오는 말타기 스텝 때문에 체력을 좀 잡아먹을 수 있다. 그런데 후반 부분은 하프 살짝, 폭타 잠깐 나오는 거라 크게 문제 되는 부분은 없다. D18 중에선 하급 정도. Lv.23 - D18을 S로 클리어할 시 해금이 가능한 채보. 주로 12비트와 한발2노트의 무난한 패턴으로 초중반까지 가지만... 위 영상에서 볼 수 있듯 무식하게 쏟아지는 16비트 후살이 최대 난관이다. 이걸 넘긴다고 다가 아니라 후반까지 계속되는 4노트 뭉개기는 잘못 밟다가는 배드말림으로 폭사할 수 있으니 맨 마지막 롱노트까지 신경 써서 처리해야 브렉온이 가능하다. Co-Op (3인용) ==== [[MÚSECA]] ==== ||<-4> {{{#8b1c21,#e37478 MÚSECA 난이도 체계}}} || || {{{+1 {{{#8b1c21,#e37478 ☓}}}}}} ||<-3> Bad ∞ End ∞ Night || || [[BPM]] ||<-3> 204 || ||<|2> 난이도 || {{{#green,#7fff7f 翠}}} || {{{#orange,#ffa500 橙}}} || {{{#red,#ff0000 朱}}} || || {{{#green,#7fff7f 3}}} || {{{#orange,#ffa500 10}}} || {{{#red,#ff0000 13}}} || || 체인 || {{{#green,#7fff7f 308}}} || {{{#orange,#ffa500 594}}} || {{{#red,#ff0000 836}}} || 원래는 朱레벨이 12였지만, MÚSECA 1+1/2에서 13으로 변경되었다. [youtube(bixfHrmgJ1M, width=360, height=640)] 난이도 朱 CONNECT ALL 영상 ==== 사운드 볼텍스 ==== * [[사운드 볼텍스/수록곡|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4> [[사운드 볼텍스]] 난이도 체계 || || || {{{#purple,#ff7ffe NOVICE}}} || {{{#orange,#ffa500 ADVANCED}}} || {{{#ff009f,#ff009e EXHAUST}}} || ||자켓 || [[파일:히토시즈쿠P Bad ∞ End ∞ Night sdvx.jpg|width=150]] || [[파일:히토시즈쿠P Bad ∞ End ∞ Night sdvx.jpg|width=150]] || [[파일:히토시즈쿠P Bad ∞ End ∞ Night sdvx.jpg|width=150]] || ||난이도 || {{{#purple,#ff7ffe 03}}} || {{{#orange,#ffa500 08}}} || {{{#ff009f,#ff009e 13}}} || ||체인 수 || {{{#purple,#ff7ffe 0558}}} || {{{#orange,#ffa500 0626}}} || {{{#ff009f,#ff009e 1162}}} || ||일러스트 담당 ||<-3> 鈴ノ助、TSO || ||[[사운드 볼텍스/이펙터|이펙터]] ||<-3> mitsu || ||수록 시기 ||<-3> {{{#ff00ec,#ff00ec II 04(2013.07.18)}}} || ||[[BPM]] ||<-3> 204 || * [[스킬 애널라이저|SKILL ANALYZER]] 수록 * EXHAUST : Skill Level 05 C코스 (2015/02/27 ~) ## * III 버전 기준 해금 내용 정리 표 예시 ## ||<-3><:> TRACK INPUT (III) || ## || 난이도 || 필요 블록 || 조건 || ## || {{{#purple,#ff7ffe NOVICE}}} || || || ## || {{{#orange,#ffa500 ADVANCED}}} || || || ## || {{{#ff009f,#ff009e EXHAUST}}} || || || ===== 채보 상세 ===== [youtube(0IgZYQ8qcw4, width=420, height=600)] EXH 패턴 손배치 포함 PERFECT 영상 노래를 거의 완전히 따라가고, 크게 지력을 요구하는 패턴도 등장하지 않아 노래를 잘 알고 있다면 크게 어렵지 않다. [youtube(7oun28Zl5cY, width=420, height=600)] ADV 채보 영상 여담으로 낮은 레벨로 나온 편이라, 사볼에 수록된 지 2년 반 정도 뒤에 수록된 펌프가 먼저 작성되기도 했다. ==== [[maimai]] ==== ====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 ==== [include(틀:VIRTUAL SINGER)] ||<-5>
'''[[VIRTUAL SINGER|{{{#ffffff VIRTUAL SINGER의 수록곡}}}]]''' || ||<-5> '''난이도[br](노트 수)''' || ||<#6d1> '''EASY''' ||<#33bbed> '''NORMAL''' ||<#ffaa01> '''HARD''' ||<#ee4566> '''EXPERT''' ||<#bb33ef> '''MASTER''' || || 9[BR](211) || 14[BR](397) || 18[BR](726) || 25[BR](875) || 29[BR](1018) || || '''해금 방법''' ||<-4> 음악 상점에서 구매 || ||<-2> '''어나더 보컬''' || 미지원 || '''MV''' || 원곡 || ||<|4> '''지원 보컬''' ||<-4> '''버추얼 싱어 ver.''' || ||<-4> [[VIRTUAL SINGER]][br][[GUMI]][br][[카무이 가쿠포]] || ||<-4> 어나더 보컬 ver. || ||<-4> - || [youtube(YS2YcIjQDUc)] *EASY ~ EXPERT ALL PERFECT 영상 [youtube(nhvdnVgmEp4)] *MASTER ALL PERFECT 영상 프로세카 수록곡 중 처음으로 [[카무이 가쿠포]]가 사용된 곡이다. ==== [[GROOVE COASTER]] ==== ===== [[GROOVE COASTER 4MAX DIAMOND GALAXY|4MAX DIAMOND GALAXY]] ===== [include(틀:GROOVE COASTER AC/채보 ,엑스트라X= ,곡명=Bad ∞ End ∞ Night ,작곡= ,작곡표기=ひとしずく ,작곡링크=히토시즈쿠P ,문단명= ,작곡틈=× ,작곡표기2=やま△ ,작곡링크2=야마△ ,작곡틈2=feat. ,작곡표기3=初音ミク ,작곡링크3=初音ミク ,작곡틈3=・ ,작곡표기4=鏡音リン ,작곡링크4=鏡音リン ,작곡틈4=・ ,작곡표기5=鏡音レン ,작곡링크5=鏡音レン ,작곡틈5=・ ,작곡표기6=巡音ルカ ,작곡링크6=巡音ルカ ,작곡틈6=・ ,작곡표기7=KAITO ,작곡링크7=KAITO ,작곡틈7=・ ,작곡표기8=MEIKO ,작곡링크8=MEIKO ,작곡틈8=・ ,작곡표기9=GUMI ,작곡링크9=GUMI ,작곡틈9=・ ,작곡표기10=神威がくぽ ,작곡링크10=가쿠포이드 ,버전3= ,폴더명=보컬로이드™ ,BPM=204 ,SIMPLE레벨=4 ,NORMAL레벨=7 ,HARD레벨=11 ,EXTRA레벨= ,SIMPLE노트수=364 ,NORMAL노트수=411 ,HARD노트수=613 ,EXTRA노트수= ,SIMPLE애드립= ,NORMAL애드립= ,HARD애드립= ,EXTRA애드립= ,SIMPLE체인=1\,796 ,NORMAL체인=1\,900 ,HARD체인=2\,544 ,EXTRA체인= ,주소=kQfZio4uN4Q ,퍼펙트= ,타난이도영상or채보공략영상or리뉴얼전영상= ,보충주소X= ,OO영상or공략= ,보충퍼펙트or보충풀체인= )] * [[GROOVE COASTER AC/수록곡#보컬로이드™|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 [[GROOVE COASTER WAI WAI PARTY!!!!|WAI WAI PARTY!!!!]][anchor(GROOVE COASTER WAI WAI PARTY!!!!)] ===== [include(틀:GROOVE COASTER WAI WAI PARTY!!!!/채보 ,곡명=Bad ∞ End ∞ Night ,작곡표기=히토시즈쿠P ,작곡링크=히토시즈쿠P ,작곡틈=× ,작곡표기2=야마△ ,작곡링크2=야마△ ,단일보컬= ,보컬표기=하츠네 미쿠 ,보컬링크=하츠네 미쿠 ,보컬뒤=\, ,보컬표기2=카가미네 린·렌 ,보컬링크2=카가미네 린·렌 ,보컬뒤2=\, ,보컬표기3=메구리네 루카 ,보컬링크3=메구리네 루카 ,보컬뒤3=\, ,보컬표기4=MEIKO ,보컬링크4=MEIKO ,보컬뒤4=\, ,보컬표기5=KAITO ,보컬링크5=KAITO ,보컬뒤5=\, ,보컬표기6=GUMI ,보컬링크6=GUMI ,보컬뒤6=\, ,보컬표기7=가쿠포이드 ,보컬링크7=가쿠포이드 ,폴더명=VOCALOID™ ,BPM=154 ,EASY레벨=6 ,NORMAL레벨=6 ,HARD레벨=10 ,MASTER레벨=12 ,EASY노트수=259 ,NORMAL노트수=345 ,HARD노트수=411 ,MASTER노트수=581 ,EASY애드립=5 ,NORMAL애드립=6 ,HARD애드립=7 ,MASTER애드립=8 ,EASY체인=1\,166 ,NORMAL체인=1\,520 ,HARD체인=1\,900 ,MASTER체인=2\,376 ,액티브EASY레벨=2 ,액티브NORMAL레벨=4 ,액티브HARD레벨=6 ,액티브EASY노트수=193 ,액티브NORMAL노트수=262 ,액티브HARD노트수=345 ,액티브EASY애드립=5 ,액티브NORMAL애드립=5 ,액티브HARD애드립=6 ,액티브EASY체인=767 ,액티브NORMAL체인=1\,046 ,액티브HARD체인=1\,372 ,주소=QtxB-J7WXlQ ,EASY주소=2iEFE6fZ74w ,NORMAL주소=YLmjY89xAro ,HARD주소=gTNllVQBlAc )] * [[GROOVE COASTER WAI WAI PARTY!!!!/수록곡#VOCALOID™|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 서적판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음성 합성 엔진/미디어 믹스, 문단=2.1)] ==== 소설판 ==== || [[파일:히토시즈쿠P Bad ∞ End ∞ Night 소설 상.jpg|width=300]] || [[파일:히토시즈쿠P Bad ∞ End ∞ Night 소설 하.jpg|width=300]] || 2014년 11월 28일에 [[소설판]]이 발매되었다. 상권, 하권으로 나뉘어 발매되었다. 소설판의 저자는 [[히토시즈쿠P]]. 소설판의 일러스트는 원곡 영상 일러스트를 그린 스즈노스케가 담당. [youtube(WZ9JsWCtX70, width=640, height=360)] ||'''<상권 시놉시스>''' 신인 여배우 미쿠는 주역으로 발탁된 버렛 극단의 연극에서 무대의 세계로 빠져들고 만다. 숲속의 불길한 저택에 초대받지 못한 수수께끼의 시골 소녀로 빠져든 미쿠는 현실로 돌아가기 위해 일곱 명의 저택 거주자들과 함께 도난당한 대본의 페이지를 찾는다. 대인기 미스터리 고딕 판타지 곡을 제작자 히토시즈쿠P 본인이 직접 소설화!|| ||'''<하권 시놉시스>''' 무대의 세계에서, 숲속의 불길한 저택에서 도난당한 대본의 페이지를 찾아야 하는 신인 여배우 미쿠. 그곳에서 찾아낸 신비한 책 속에 적힌 끔찍한 사건은 왜인지 미쿠가 보았던 악몽과 같은 내용...? 대인기 미스터리 고딕 판타지 곡의 수수께끼가 드디어 풀린다!|| ==== 만화판 ==== [[파일:히토시즈쿠P Bad ∞ End ∞ Night 코믹스 발매 일러스트.jpg]] 2014년 12월 10일부터 [[만화판]] 연재가 시작되었다. 만화판의 제목은 Bad ∞ End ∞ Night ~인세인 파티~(Bad∞End∞Night~インセイン・パーティー~). 만화판의 작화가는 노자키 츠바타(野崎つばた). 스토리는 소설판의 내용을 따라가고 있다. [[이치진샤]]의 제로섬 온라인에서 무료로 볼 수 있다. 2015년 6월 25일에 단행본 1권이 발매되었다. ||<#000000><-2> '''등장인물''' || ||<#39C5BB> [[하츠네 미쿠|{{{#FFFFFF 미쿠}}}]][br]{{{-2 (시골 소녀 역)}}} || '버렛(Burlet, ビュルレ[* 일본어를 보면 프랑스어 '뷔를레'를 의도했음을 알 수 있다. '버렛'은 그냥 영어식으로 읽은 것]) 극단'의 연극 'Crazy ∞ nighT'의 주인공으로 발탁된 신인 배우. 밝고 솔직하지만 조금 소극적인 면이 있다. 평소에는 얌전하지만 무대에 서면 사람이 바뀐 듯한 연기력을 발휘하고 사람들을 매료시킨다. || ||<#FFA500> [[카가미네 린|{{{#FFFFFF 린}}}]][br]{{{-2 (소녀 인형 역)}}} || 렌의 쌍둥이 누나. 아역 시절부터 천재 쌍둥이 배우로서 활동해 왔고 실력과 인기를 겸비하고 있다. 자신 있는 사교적인 성격. 어리지만 연극 일은 흔들림 없이 엄격하게 대하고 있다. || ||<#FFE211> [[카가미네 렌|{{{#373A3C 렌}}}]][br]{{{-2 (소년 인형 역)}}} || 린의 쌍둥이 동생. 천재 쌍둥이 배우로서 활동해 왔고 경력도 길다. 세상사에 구애되지 않은 초연한 성격에 빈틈이 없다. 광적인 팬들을 많이 거느리고 있다. || ||<#FFC0CB> [[메구리네 루카|{{{#FFFFFF 루카}}}]][br]{{{-2 (아가씨 역)}}} || 간판 스타 모델로도 활동하고 있다. 아름다운 외모와 쿨한 행동으로 절대적인 인기를 자랑 중. 맡은 역할 때문에 차갑게 보이기 쉽지만 사실은 다정한 성격. || ||<#594D9E> [[가쿠포이드|{{{#FFFFFF 가쿠}}}]][br]{{{-2 (집사 역)}}} || 무대의 배우. 평소에는 과묵하고 입을 별로 열지 않는 편이다. 성실하고 온화한 성격. 작은 농장을 경영하고 있어 연습에 별로 참여하지 않고 있다. || ||<#39CA25> [[Megpoid|{{{#FFFFFF 메구}}}]][br]{{{-2 (메이드 역)}}} || 배우 활동을 하는 한편 시나리오 집필 활동도 하고 있다. 남들과는 다른 색다른 상식을 가지고 있다. 시간 지키기에 허술하고 덜렁대는 면이 있다. || ||<#0000FF> [[KAITO|{{{#FFFFFF 카이토}}}]][br]{{{-2 (주인 역)}}} || 무대의 책임자. 긍정적이고 상냥하고 온화한 청년. 약간 어리버리한 면도 있다. 현재는 가족의 반대를 무릅쓰고 배우 일을 하고 있다. || ||<#D80000> [[MEIKO|{{{#FFFFFF 메이코}}}]][br]{{{-2 (마님 역)}}} || 본격파 배우. 상당한 노력가로, 작품의 시대의 배경과 작가 등을 알아보며 연기를 한다. 차분한 태도에 믿음직한 누님이지만 화나게 만들면 무서워진다. || == 가사 == || '''하츠네 미쿠''' || '''카가미네 린''' || '''카가미네 렌''' || '''메구리네 루카''' || '''MEIKO''' || '''KAITO''' || '''GUMI''' || '''가쿠포이드''' || ||<-4> '''부분합창''' ||<-4> '''합창''' || ||<-4> 深い深い森の奥に 迷い込んだ村の娘 || ||<-4> 후카이 후카이 모리노 오쿠니 마요이 콘다 무라노 무스메 || ||<-4> 깊고 깊은 숲속에서 헤매고 있는 마을 소녀 || ||<-4> 色あせた手紙を持って 夜の館に辿り着く || ||<-4> 이로아세타 테가미오 못테 요루노 야카타니 타도리츠쿠 || ||<-4> 색바랜 편지를 들고 밤의 저택에 도착하네 || ||<-4> || ||<-4> 不気味な洋館の 壊れた扉を叩く || ||<-4> 부키미나 요우칸노 코와레타 토비라오 타타쿠 || ||<-4> 으스스한 양옥집의 부서진 문을 두드려 || ||<-4> 村娘 「誰かいませんか」 || ||<-4> 다레카 이마센카 || ||<-4> 마을 소녀 「누구 안 계신가요?」 || ||<-4> 執事 「おやおや、お困りですか?」 || ||<-4> 오야오야 오코마리데스카 || ||<-4> 집사 「이런 이런, 곤란하신 모양이군요?」 || ||<-4> || ||<-2> 少女人形 「ヨウコソ・・・」 ||<-2> 少年人形 「不思議ノ館ヘ・・・」 || ||<-2> 요오코소 ||<-2> 후시기노 야카타에 || ||<-2> 소녀 인형 「어서 오세요・・・」 ||<-2> 소년 인형 「신비한 저택에・・・」 || ||<-4> メイド 「お茶を召し上がれ♪」 || ||<-4> 오챠오 메시아가레 || ||<-4> 메이드 「차라도 드시겠어요♪」 || || 皆々 || 集まって || 客人は || 「値踏み」をされる || || 민나 민나 || 아츠맛테 || 캬쿠진와 || 네부미오 사레루 || || 모두 모두 || 모여서 || 손님은 || 「평가」를 당해 || ||<-4> 主人 「でも、こうして会うのも何かの縁」 || ||<-4> 데모 코우시테 아우노모 나니카노 엔 || ||<-4> 주인 「하지만, 이렇게 만난 것도 어떤 인연이겠지」 || ||<-4> 双子人形 「ナラ、パーティー 、パーティー!!」 {{{#FFA500 ■}}} {{{#FFE211 ■}}} || ||<-4> 나라 파티 파티 || ||<-4> 쌍둥이 인형 「그럼, 파티, 파티!!」 || ||<-4> 「「歓迎しよう!」」 {{{#FFC0CB ■}}} {{{#D80000 ■}}} {{{#0000FF ■}}} {{{#39CA25 ■}}} || ||<-4> 칸게이시요오 || ||<-4> 「「환영합시다!」」 || ||<-4> || ||<-4> 少年人形 「Hurry, hurrY!!」 || ||<-4> 소년 인형 「Hurry, hurrY!!」 || ||<-4> 執事 「ワインをついで」 || ||<-4> 와인오 츠이데 || ||<-4> 집사 「와인을 따르고」 || ||<-4> メイド 「どんちゃん どんちゃん♪」 || ||<-4> 돈챤 돈챤 || ||<-4> 메이드 「찰랑찰랑♪」 || ||<-4> お嬢様 「乾杯しましょう」 || ||<-4> 칸파이시마쇼오 || ||<-4> 아가씨 「건배해요」 || ||<-4> 少年人形 「Are you readY??」 || ||<-4> 소녀 인형 「Are you readY??」 || ||<-4> 奥方 「準備はいい?」 || ||<-4> 쥰비와 이이 || ||<-4> 부인 「준비는 됐니?」 || ||<-4> 「「さあ、始めよう」」 {{{#FFA500 ■}}} {{{#FFE211 ■}}} || ||<-4> 사아 하지메요오 || ||<-4> 「「자, 시작하자」」 || ||<-4> || ||<-4> 君が主役の Crazy nighT {{{#FFA500 ■}}} {{{#FFE211 ■}}} {{{#FFC0CB ■}}} {{{#D80000 ■}}} {{{#0000FF ■}}} {{{#39CA25 ■}}} {{{#594D9E ■}}} || ||<-4> 키미가 슈야쿠노 크레이지 나잇 || ||<-4> 네가 주역인 Crazy nighT || ||<-4> ワイン片手に洒落込んで {{{#FFA500 ■}}} {{{#FFE211 ■}}} {{{#0000FF ■}}} || ||<-4> 와인 카타테니 샤레콘데 || ||<-4> 와인을 한 손에 들고 멋을 부리며 || ||<-4> ほどよく酔いが回ったら {{{#FFC0CB ■}}} {{{#D80000 ■}}} {{{#39CA25 ■}}} {{{#594D9E ■}}} || ||<-4> 호도요쿠 에이가 마왓타라 || ||<-4> 적당히 취기가 돌게 되면 || ||<-4> 楽しくなってきちゃった? {{{#FFA500 ■}}} {{{#FFE211 ■}}} {{{#0000FF ■}}} || ||<-4> 타노시쿠낫테키챳타 || ||<-4> 즐거워졌니? || ||<-4> 歌え 踊れ 騒ごうぜ {{{#FFC0CB ■}}} {{{#D80000 ■}}} {{{#39CA25 ■}}} {{{#594D9E ■}}} || ||<-4> 우타에 오도레 사와고우제 || ||<-4> 노래하고 춤추고 떠들자 || ||<-4> 酸いも甘いも忘れてさ {{{#FFA500 ■}}} {{{#FFE211 ■}}} {{{#0000FF ■}}} || ||<-4> 스이모 아마이모 와스레테사 || ||<-4> 싫은 것도 좋은 것도 잊어버리고 || ||<-4> 気が狂っちゃうほどに {{{#39C5BB ■}}} {{{#FFC0CB ■}}} {{{#D80000 ■}}} {{{#39CA25 ■}}} {{{#594D9E ■}}} || ||<-4> 키가 쿠룻챠우호도니 || ||<-4> 미쳐버릴 정도로 || ||<-2> 楽しんじゃえ {{{#FFA500 ■}}} {{{#FFC0CB ■}}} {{{#0000FF ■}}} ||<-2> Happy☆nighT {{{#FFA500 ■}}} {{{#FFE211 ■}}} {{{#FFC0CB ■}}} {{{#D80000 ■}}} {{{#0000FF ■}}} {{{#39CA25 ■}}} {{{#594D9E ■}}} || ||<-2> 타노신쟈에 ||<-2> 하피 나잇 || ||<-2> 즐기자 ||<-2> Happy☆nighT || ||<-4> || ||<-2> 宴から ||<-2> 一夜明け || ||<-2> 우타게카라 ||<-2> 이치야 아케 || ||<-2> 연회가 가고 ||<-2> 하룻밤 지나 || ||<-2> 「何か」が ||<-2> オカシイのです || ||<-2> 나니카가 ||<-2> 오카시이노데스 || ||<-2> 「무언가」가 ||<-2> 이상한 거예요 || ||<-4> 眠って起きてみたけれど || ||<-4> 네뭇테 오키테미타케레도 || ||<-4> 자고 일어났는데도 || ||<-4> 一向に朝がこないのです || ||<-4> 잇코니 아사가 코나이노데스 || ||<-4> 아침이 전혀 오지 않는 겁니다 || ||<-4> || ||<-2> 少女人形 「秘密ヲ・・・」 ||<-2> 少年人形 「教エテアゲルヨ・・・?」 || ||<-2> 히미츠오 ||<-2> 오시에테아게루요 || ||<-2> 소녀 인형 「비밀을・・・」 ||<-2> 소년 인형 「알려줄까・・・?」 || ||<-2> 双子人形 「「時計ヲ ||<-2> 見テゴラン・・・☆」」 {{{#FFA500 ■}}} {{{#FFE211 ■}}} || ||<-2> 토케이오 ||<-2> 미테고란 || ||<-2> 쌍둥이 인형 「「시계를 ||<-2> 한번 봐봐・・・☆」」 || ||<-2> 娘は ||<-2> 怖くなり || ||<-2> 무스메와 ||<-2> 코와쿠나리 || ||<-2> 소녀는 ||<-2> 두려워하며 || ||<-2> 秘密の ||<-2> 部屋に逃げ込む || ||<-2> 히미츠노 ||<-2> 헤야니 니게코무 || ||<-2> 비밀의 ||<-2> 방으로 도망쳐 들어가 || ||<-4> 重たい扉を開けたら其処は・・・ || ||<-4> 오모타이 토비라오 아케타라 소코와 || ||<-4> 무거운 문을 열었더니 그곳엔・・・ || ||<-2> 「「Jesus、 ||<-2> jesuS!!」」 || ||<-2> 「「Jesus, ||<-2> jesuS!!」」 || ||<-4> 棺の山だった {{{#39C5BB ■}}} {{{#FFA500 ■}}} {{{#FFC0CB ■}}} || ||<-4> 히츠기노 야마닷타 || ||<-4> 산더미 같은 관이 있었네 || ||<-4> || ||<-4> 奥方 「あらあら・・・」 || ||<-4> 아라아라 || ||<-4> 부인 「어머어머・・・」 || ||<-4> 主人 「見てしまったね・・・」 || ||<-4> 미테시맛타네 || ||<-4> 주인 「봐버렸군・・・」 || ||<-4> 少年人形 「Danger!! dangeR!!」 || ||<-4> 소년 인형 「Danger!! dangeR!!」 || ||<-4> メイド 「怖がらないで?♪」 || ||<-4> 코와가라나이데 || ||<-4> 메이드 「무서워하지 말아줄래?♪」 || ||<-4> 少年人形 「Where are you goinG??」 || ||<-4> 소녀 인형 「Where are you goinG??」 || ||<-4> 執事 「どこに行くのです?」 || ||<-4> 도코니 유쿠노데스 || ||<-4> 집사 「어디 가시는 거죠?」 || ||<-4> 「「お待ちなさい♡」」 {{{#FFC0CB ■}}} {{{#D80000 ■}}} {{{#0000FF ■}}} {{{#39CA25 ■}}} || ||<-4> 오마치나사이 || ||<-4> 「「기다려주시길♡」」 || ||<-4> || ||<-4> 君が主役の Crazy nighT {{{#FFA500 ■}}} {{{#FFE211 ■}}} {{{#FFC0CB ■}}} {{{#D80000 ■}}} {{{#0000FF ■}}} {{{#39CA25 ■}}} {{{#594D9E ■}}} || ||<-4> 키미가 슈야쿠노 크레이지 나잇 || ||<-4> 네가 주역인 Crazy nighT || ||<-4> 台本どおりに進むのかい? {{{#FFA500 ■}}} {{{#FFE211 ■}}} {{{#0000FF ■}}} || ||<-4> 다이혼도오리니 스스무노카이 || ||<-4> 대본대로 진행될까? || ||<-4> 今宵はどうなる? EndinG {{{#FFC0CB ■}}} {{{#D80000 ■}}} {{{#39CA25 ■}}} {{{#594D9E ■}}} || ||<-4> 코요이와 도오 나루 엔딩구 || ||<-4> 오늘밤은 어떻게 될까? EndinG || ||<-4> 全てはそう、君次第さ {{{#FFA500 ■}}} {{{#FFE211 ■}}} {{{#0000FF ■}}} || ||<-4> 스베테와 소우 키미 시다이사 || ||<-4> 모든 것은 그래, 너 하기에 달렸어 || ||<-4> 探せ 探せ Happy enD {{{#FFC0CB ■}}} {{{#D80000 ■}}} {{{#39CA25 ■}}} {{{#594D9E ■}}} || ||<-4> 사가세 사가세 핫피 엔도 || ||<-4> 찾아라 찾아라 Happy enD || ||<-4> 順番間違えたら終・わ・り {{{#FFA500 ■}}} {{{#FFE211 ■}}} {{{#0000FF ■}}} || ||<-4> 쥰반 마치가에타라 오와리 || ||<-4> 순서를 착각하면 끝·이·야 || ||<-4> True enD は棺行き? {{{#39C5BB ■}}} {{{#FFC0CB ■}}} {{{#D80000 ■}}} {{{#39CA25 ■}}} {{{#594D9E ■}}} || ||<-4> 츠루 엔도와 히츠기유키 || ||<-4> True enD는 관짝행? || ||<-2> さあ、今夜も {{{#FFA500 ■}}} {{{#FFC0CB ■}}} {{{#0000FF ■}}} ||<-2> Bad ∞ End ∞ Night? {{{#FFA500 ■}}} {{{#FFE211 ■}}} {{{#FFC0CB ■}}} {{{#D80000 ■}}} {{{#0000FF ■}}} {{{#39CA25 ■}}} {{{#594D9E ■}}} || ||<-2> 사아 콘야모 ||<-2> 밧 엔드 나잇 || ||<-2> 자, 오늘밤도 ||<-2> Bad ∞ End ∞ Night? || ||<-4> || ||<-4> 村娘 「どうしたら家に帰れるのかな?」 || ||<-4> 도오시타라 이에니 카에레루노카나 || ||<-4> 마을 소녀 「어떻게 하면 집으로 돌아갈 수 있을까?」 || ||<-4> 主人 奥方 「舞台が 終われば・・・」 {{{#D80000 ■}}} {{{#0000FF ■}}} || ||<-4> 부타이가 오와레바 || ||<-4> 주인 부인 「연극이 끝나면・・・」 || ||<-4> 執事 メイド 「帰れる でしょう・・・」 {{{#39CA25 ■}}} {{{#594D9E ■}}} || ||<-4> 카에레루데쇼우 || ||<-4> 집사 메이드 「돌아갈 수 있겠지・・・」 || ||<-4> || ||<-4> 村娘 「Happy enD の鍵は・・・」 || ||<-4> 핫피 엔도노 카기와 || ||<-4> 마을 소녀 「Happy enD의 열쇠는・・・」 || ||<-4> 村娘 「どこに落ちているの?」 || ||<-4> 도코니 오치테이루노 || ||<-4> 마을 소녀 「어디 떨어져 있는 거야?」 || ||<-4> 村娘 「キラリと冷たく光る鍵・・・」 || ||<-4> 키라리토 츠메타쿠 히카루 카기 || ||<-4> 마을 소녀 「반짝반짝 차갑게 빛나는 열쇠・・・」 || ||<-4> || ||<-4> 村娘 「・・・みーっつっけた」 || ||<-4> 미잇츳케타 || ||<-4> 마을 소녀 「・・・찾~았다」 || ||<-4> 私が主役の Crazy nighT || ||<-4> 와타시가 슈야쿠노 크레이지 나잇 || ||<-4> 내가 주역인 Crazy nighT || ||<-4> ナイフ片手にしゃれこうべ {{{#FFA500 ■}}} {{{#FFE211 ■}}} {{{#0000FF ■}}} || ||<-4> 나이후 카타테니 샤레코우베 || ||<-4> 나이프를 한 손에 든 백골 || ||<-4> ほどよく振り回したら・・・ {{{#FFC0CB ■}}} {{{#D80000 ■}}} {{{#39CA25 ■}}} {{{#594D9E ■}}} || ||<-4> 호도요쿠 부리마와시타라 || ||<-4> 적당히 휘둘렀더니・・・ || ||<-4> 楽しくなってきちゃった♥♡ || ||<-4> 타노시쿠낫테키챳타 || ||<-4> 재밌어져버렸어♥♡ || ||<-4> 逃げろ!逃げろ!一目散に! {{{#FFC0CB ■}}} {{{#D80000 ■}}} {{{#39CA25 ■}}} {{{#594D9E ■}}} || ||<-4> 니게로 니게로 이치몬쿠산니 || ||<-4> 도망가! 도망가! 재빠르게! || ||<-4> 舞台、台詞も忘れてさ {{{#FFA500 ■}}} {{{#FFE211 ■}}} {{{#0000FF ■}}} || ||<-4> 부타이 세리후모 와스레테사 || ||<-4> 무대도, 대사도 다 잊어버리고 || ||<-4> 気が狂っちゃうほどに {{{#FFC0CB ■}}} {{{#D80000 ■}}} {{{#39CA25 ■}}} {{{#594D9E ■}}} || ||<-4> 키가 쿠룻챠우호도니 || ||<-4> 미쳐버릴 정도로 || ||<-4> 壊しちゃえ Bad ∞ End ∞ Night {{{#FFA500 ■}}} {{{#FFE211 ■}}} {{{#0000FF ■}}} || ||<-4> 코와시챠에 밧 엔드 나잇 || ||<-4> 부숴버리자 Bad ∞ End ∞ Night || ||<-4> || ||<-4> 君が主役の Crazy nighT {{{#FFC0CB ■}}} {{{#D80000 ■}}} {{{#39CA25 ■}}} {{{#594D9E ■}}} || ||<-4> 키미가 슈야쿠노 크레이지 나잇 || ||<-4> 네가 주역인 Crazy nighT || ||<-4> キャストも舞台も無くなって {{{#FFA500 ■}}} {{{#FFE211 ■}}} {{{#0000FF ■}}} || ||<-4> 캬스토모 부타이모 나쿠낫테 || ||<-4> 배역도 무대도 없어지고 || ||<-4> 物語が終わったら {{{#FFC0CB ■}}} {{{#D80000 ■}}} {{{#39CA25 ■}}} {{{#594D9E ■}}} || ||<-4> 모노가타리가 오왓타라 || ||<-4> 이야기가 끝났다면 || ||<-4> さあ、みんなで帰りましょうか {{{#FFA500 ■}}} {{{#FFE211 ■}}} {{{#0000FF ■}}} || ||<-4> 사아 민나데 카에리마쇼우카 || ||<-4> 자, 모두 같이 돌아갈까 || ||<-4> 歌え 踊れ 騒ごうぜ {{{#FFC0CB ■}}} {{{#D80000 ■}}} {{{#39CA25 ■}}} {{{#594D9E ■}}} || ||<-4> 우타에 오도레 사와고우제 || ||<-4> 노래하고 춤추고 떠들자 || ||<-4> 酸いも甘いも忘れてさ {{{#FFA500 ■}}} {{{#FFE211 ■}}} {{{#0000FF ■}}} || ||<-4> 스이모 아마이모 와스레테사 || ||<-4> 싫은 것도 좋은 것도 잊어버리고 || ||<-4> 気が狂っちゃうほどに {{{#39C5BB ■}}} {{{#FFC0CB ■}}} {{{#D80000 ■}}} {{{#39CA25 ■}}} {{{#594D9E ■}}} || ||<-4> 키가 쿠룻챠우호도니 || ||<-4> 미쳐버릴 정도로 || ||<-2> 楽しんじゃえ {{{#FFA500 ■}}} {{{#FFC0CB ■}}} {{{#0000FF ■}}} ||<-2> Bad ∞ End ∞ Night {{{#FFA500 ■}}} {{{#FFE211 ■}}} {{{#FFC0CB ■}}} {{{#D80000 ■}}} {{{#0000FF ■}}} {{{#39CA25 ■}}} {{{#594D9E ■}}} || ||<-2> 타노신쟈에 ||<-2> 밧 엔드 나잇 || ||<-2> 즐기자 ||<-2> Bad ∞ End ∞ Night || ||<-4> || ||<-4> 静かになった部屋の中 || ||<-4> 시즈카니낫타 헤야노 나카 || ||<-4> 조용해진 방 안에 || ||<-4> 拍手を送る謎の影 || ||<-4> 하쿠슈오 오쿠루 나조노 카게 || ||<-4> 박수를 보내는 수수께끼의 그림자 || ||<-4> 「今宵は良い舞台でした・・・」 || ||<-4> 코요이와 요이 부타이데시타 || ||<-4> 「오늘 밤은 좋은 무대였습니다・・・」 || ||<-4> 手紙を拾って泣いていた || ||<-4> 테가미오 히롯테 나이테이타 || ||<-4> 편지를 주우며 울고 있었네 || ||<-4> [[https://ameblo.jp/tennis-setomaru-love/entry-12166828087.html|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4]] 아메바]][*파트] || == 외부 링크 == * [[http://www.ichijinsha.co.jp/special/bad_end_night/|이치진샤 측 Bad ∞ End ∞ Night 소설판 페이지]] * [[http://www.amazon.co.jp/dp/4758046433|Bad ∞ End ∞ Night 상권 아마존 링크]] * [[http://www.amazon.co.jp/dp/4758046441|Bad ∞ End ∞ Night 하권 아마존 링크]] * [[http://online.ichijinsha.co.jp/zerosum/comic/ben|제로섬 온라인 측 Bad ∞ End ∞ Night 만화판 페이지]] [[분류:VOCALOID 오리지널 곡/2012년]][[분류:VOCALOID 전설입성]][[분류:펌프 잇 업 수록곡]][[분류:MÚSECA의 수록곡]][[분류:사운드 볼텍스 II -인피니트 인펙션-의 수록곡]][[분류: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수록곡]][[분류:GROOVE COASTER의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