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BEMANI)] [include(틀:BEMANI 시리즈)] [목차] == 역사 == 대한민국에서는 1998년부터 비트매니아 2ndMIX가 '비트스테이지'라는 이름으로 처음 정식으로 발매된 이후 여러 작품이 정식 수입되고 있다. === 초창기 === [[유니아나]][* 당시 유니코전자. 2001년에 현 사명인 유니아나로 이름을 바꾸었다.]가 1998년 [[비트매니아 시리즈|비트매니아]] 2nd MIX를 정식 발매하였으며, 이후 [[댄스 댄스 레볼루션]], [[팝픈뮤직]], [[기타프릭스]], [[드럼매니아]], [[키보드매니아]], [[파라파라 파라다이스]], [[댄스매니악스]] 등의 다양한 BEMANI 기종을 정식으로 출시하였다. 비트매니아와 댄스 댄스 레볼루션, 드럼매니아는 당시 오락실을 대표하는 게임으로 자리매김하며 큰 성공을 거두었다. 하지만 [[EZ2AC 시리즈|EZ2DJ]], [[펌프 잇 업]] 등 BEMANI 시리즈를 벤치마킹한 한국산 유사 게임들이 한국 게이머들의 입맛을 공략하며 입지를 위협했고, 설상가상으로 온라인 기반 PC 게임이 게임 시장의 주도권을 잡은 2000년 하반기부터 2001년까지 [[리듬 게임|리듬게임]]의 인기가 정체되었다가 2002년부터 전반적으로 떨어지면서 시장성이 없다고 판단한 [[코나미]]는 대한민국 아케이드 시장에서 철수하였다. BEMANI 시리즈 또한 예외는 아니여서 [[2002년]]에 전격 철수했다. === 2000년대 === 2002년부터 2007년까지 5년동안 [[정발]] 뿐만 아니라 모든 정식적인 수입이 중단되었다. 압구정 조이플라자 등을 주축으로 몇몇 오락실이 개인 차원에서 들여와 가동을 시켰지만 유통되는 모든 게임은 심의를 받아야 하는 국내법상 수유 음악게임장이 투덱 5th를 자체적으로 심의를 받은 등 극소수의 사례를 제외하면 영등위나 게등위의 심의를 받지 않아서 가동하는 것은 모두 불법 가동이었다. 그러다가 2008년에 비록 [[e-amusement pass]]를 지원하지 않았지만 [[드럼매니아]] V4가 오랜 침묵을 뚫고 정식발매 되었고, 2009년에 아무도 기대하지 않았던 [[유비트]]의 인컴테스트와 정식 발매를 시작으로 2011년 [[리플렉 비트]], 2012년 [[사운드 볼텍스]] 등 신규 시리즈를 중심으로 정식 수입이 재개되었는데, 이들 작품은 그동안 리듬게임을 즐기지 않던 유저층을 끌어들이는데 성공하며 다시금 전성기를 이끌어내었다. 매니악한 성향으로 흘러가던 리듬게임이란 장르를 다시 수면 위로 띄운 [[유비트 시리즈]] 뿐만 아니라, [[리플렉 비트 시리즈]], [[사운드 볼텍스]]와 같은 2세대 BEMANI 시리즈의 잇따른 [[정발]]이 한국 아케이드 시장에서 기대할 수 있던 수준 이상의 성적을 거두었다는 점은 한국 아케이드 시장에 있어 매우 고무적인 사실이다. === 2010년대 === 2000년대 후반에 2세대 BEMANI 기종들이 기존에 아케이드 리듬게임을 하지 않던 신규 유저층을 유치하는데 성공하면서 2013년에 [[beatmania IIDX]]나 [[팝픈뮤직]] 등의 다른 BEMANI 시리즈들도 다시금 정발되었다. 거기에 [[펌프 잇 업]]에 밀려 멸종 직전으로 몰렸던 [[DanceDanceRevolution]]이 2014년 2월 7일 들어오고, 2015년 [[GITADORA 시리즈|기타도라]](드럼매니아), 2016년 기타도라(기타프릭스), [[MÚSECA]], 2017년 [[노스텔지어 시리즈|노스텔지어]] 등의 정발로 이어지면서 2017년 현역 가동중인 BEMANI 전기종이 정발되는 쾌거를 이루었다. 이러한 모습은 [[유니아나]]가 한국 아케이드 시장에 있어 다시금 희망적인 관측을 하고 있다는 의미이고, 이를 기회로 삼아 BEMANI 시리즈를 새로이 한국 아케이드 시장에 자리매김시키려 한다는 의미이다. 다만, 워낙 오랫동안 업계 전체가 시궁창에 처박혀 있었던 관계로 유니아나의 이 시도가 어찌 될지는 지켜봐야 할 것이다. 그래도 유니아나의 시도는 2017년 4월 5일 [[노스텔지어 시리즈|노스텔지어]]의 심의 통과를 기점으로 영영 올 것 같지 않았던 '''BEMANI 시리즈 한국 전기종 정발'''이라는 괄목할 성과로 이어졌다. 그러나 이런 밝은 면 뒤에는 어두운 면이 있다. 나날이 감소하는 유저수+비싼 기체가격+유지비용[* 유비트 1대를 구동하려면 기체값 980만원, 라우터 120만원, 연결세팅비 10만원에 매달 8만원의 회선료가 든다고 한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jubeat&no=8610|#1]]](+업그레이드 비용)으로 인해 관리를 포기, 기기를 빼거나 최악의 경우엔 폐업을 하는 오락실이 늘어나고 있다. 단적으로, [[beatmania IIDX 25 CANNON BALLERS]]가 업데이트 될 당시 업그레이트 킷 문제로 인해 발매가 지연되었으며, 최종적으로 업그레이드 비용이 약 290만원으로 정해지자 업데이트를 아예 포기하거나 뒤늦게 진행하는 오락실이 속속 생겨났다. 초창기에 유비트가 들어왔을때는 아직 PC게임 시장의 다양성이 크지 않았고, 신규 유저도 꾸준히 들어와 150~'''350만원'''[* 유비트 코피어스 한정 350만원.]이라는 업데이트 비용을 감수하면서 업데이트를 했었다. 그러나 소서를 기점으로 매니악화가 심화되면서 신규 유입이 줄었고, 전반적인 정체 현상을 빚은 것이다. 2019년에는 사운드 볼텍스 비비드 웨이브 업데이트로 인해 기체당 340만원의 업그레이드 비용이 발생하였고, [[beatmania IIDX 25 CANNON BALLERS]] 업그레이드 때와 같은 사태가 또 반복되었다. === 2020년대 이후 === TANO*C의 WACCA 진출 이후 WACCA에 참여하지 않은 [[RoughSketch]]를 제외한 타노시 멤버들의 곡이 더 이상 나오지 않게 되었으며 이식도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대해 코나미의 보복 의견도 심심치 않게 나오고 있으며, 서비스를 종료한 이후로도 세가나 이지투 쪽으로 멤버들이 참여하면서 코나미에 타노시 곡을 보기는 힘들어보인다. 2018년 후반 Zekk의 [[S7AGE]]를 시작으로 2020년대 들어 BEMANI 시리즈 전역에 한국인 작곡가의 외주곡이 점차 많이 나오고 있다. 과거 가요곡을 제외한 해외 작곡가의 악곡이 수록되는 경우는 DDR 정도를 빼면 극히 드물었던 것과, 아시아/한국 플로어 수록곡의 늦장대응 및 수록을 생각해보면 코나미의 스탠스가 많이 달라졌음을 느낄 수 있다. 초반까지는 공모전으로 곡을 받던 사운드 볼텍스, 초기 한국의 수요가 높았던 댄스러시[* Zekk만 해도 lapix의 레이블 MEGAREX의 일원이라서 채택되었다는 반응이 많았으나 이후 Aiobahn과 RiraN, KARUT 등 계속해서 한국인 작곡가가 등장하고 있다.]에서 한국인 작곡가를 쓰는 정도였지만, [[노스텔지어 Op.3]]에 [[Sobrem]]의 [[Gamja Dog]], [[팝픈뮤직 UniLab]]과 [[유비트 애비뉴]]에 [[ARForest]]의 [[Hibiki]]와 [[Anubis]], [[beatmania IIDX 30 RESIDENT]]에 [[Zekk]]의 [[GET UP AGAIN]]이 수록되는 등 비마니 전 기종으로 그 경향이 확대되고 있다. 이건 비단 한국에만 한정되는 것도 아니라서, 해외 작곡가인 Akira Complex가 [[BLACK JACKAL]]로 전 기종 이벤트에 참여하는 쾌거를 달성하기도 했다. == 가격 == 500원 3곡이 주였으나, IIDX에서 1000원 3곡+1곡으로 책정한 것을 시작으로 대다수의 기종이 500원 2곡, 1000원 3곡+@ 시스템을 채택하고 있다. 1000원 모드를 500원으로 가동하는 업소도 소수 있으나 과금 문제로 인해 대부분 이벤트성이다. [[PASELI]]도 없고 [[100원 주화]]가 거의 사장된 한국 시장 특성상 별 수 없는 경우에는 플레이 가능 곡 수를 깎거나 한국만의 플레이 모드를 별도로 마련한다. 500원 플레이가 완전히 불가능한 게임은 [[beatmania IIDX]]이며, 500원 플레이를 체험 모드로 두는 게임은 [[GITADORA 시리즈]], [[유비트 시리즈]], [[노스텔지어 시리즈]], [[DANCERUSH STARDOM]]이다. [[리플렉 비트 시리즈]]와 [[사운드 볼텍스]], [[DanceDanceRevolution]]은 추가 콘텐츠를 즐기기 위해서 1000원 모드 플레이를 요구하며, [[팝픈뮤직]]은 1000원 모드가 있긴 하나 메리트가 적어 선택할 이유가 없다. == 대한민국 정식발매 현황 == 한국에 정식으로 발매된 아케이드판 BEMANI 게임은 다음과 같다. 국내 발매 초기에는 게임 이름에 '마니아'가 들어가는 게임들이 전부 개명을 당했다. 실제로 영어 mania는 정신증적인 열광을 나타내는 단어라 막 쓸 단어는 못 되는 것이 사실이지만, 한국어에 외래어로 들어온 '마니아'는 정신병이라는 뜻보다는 순수한 의미의 애호가라는 뜻으로 변해서 들어왔는데도 굳이 바꾼 것은 쉽게 이해할 수 없는 부분이다. 2007년 드럼매니아 V4 이후로는 그냥 원래의 이름 그대로 발매하고 있다. || ★ || [[e-amusement pass]] 지원[* 발매 당시 지원이 아닌, 현시점까지 지원하는지에 대한 여부이다. 즉, 지원이 종료된 구 시리즈나 시리즈가 종결되어 오프라인화 키트가 배포된 게임들의 경우에는 해당사항이 없다.] || || ※ || 부분 한글화 || || ◆ || 다국어 옵션 존재[* BEMANI 시리즈의 해외 진출이 활발해지면서 언어 현지화를 시도하면서 언어 선택 옵션이 정식화된 게임들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 || ◎ || 한국판 전용 곡 존재 || 1998년 ~ 2001년 * [[비트매니아 시리즈/역사|비트스테이지]]: 이름만 '비트스테이지'고 실제로는 비트매니아 2ndMIX의 정식 발매판이다. 국내에서는 첫 작품이라 2ndMIX를 안 붙인 것으로 보이지만 다음 작품인 3rdMIX는 그대로 3rdMIX로 들여와서 일부 혼란이 있었다. * [[비트매니아 시리즈/역사|비트스테이지 3rdMIX]] * [[팝픈뮤직 1]] * [[DanceDanceRevolution(1998)]]: 1.5 버전. 항목의 '해외판' 문단을 참고. * 비트스테이지 complete MIX * [[드럼매니아|퍼커션프릭스]] * 비트스테이지 4thMIX * 퍼커션프릭스 2ndMIX * [[기타프릭스]] 3rdMIX * 비트스테이지 5thMIX * [[beatmania IIDX|비트스테이지 II]] 2nd Style * [[키보드매니아|키보드헤븐]] * 퍼커션프릭스 3rdMIX * [[DanceDanceRevolution 3rdMIX]] (Korea Ver.) ※◎: 한국 가요곡이 많이 추가되었다. 세부적으로 들어가면 Korea Ver. 1과 Korea Ver. 2로 나뉘어진다. * [[댄스 매니악스|댄스프릭스]] ※◎ * 퍼커션프릭스 4thMIX * [[파라파라 파라다이스|파라파라 댄싱]] ※◎ * 퍼커션프릭스 5thMIX ------ 2007년 정식발매 재개 이후 * 드럼매니아 V4 Rock x Rock: 북미판을 그대로 갖고와 e-AMUSEMENT를 지원하지 않은 상태로 발매. * [[유비트]]: 한국 최초 [[e-amusement pass]] 대응 게임 * 드럼매니아 V6 BURNING!!!!: 원제는 BLAZING!!!!이나 국내판은 부제를 바꾸었다. * [[유비트 리플즈]] ※ * 드럼매니아 V7 * [[유비트 니트]] ※ * [[리플렉 비트]] ※ * 드럼매니아 V8 * [[유비트 코피어스]] ※ * [[리플렉 비트 라임라이트]] ※ * [[사운드 볼텍스 부스]] ※ * [[유비트 소서]] ※ * [[리플렉 비트 콜레트]] ※ * [[사운드 볼텍스 II -인피니트 인펙션-]] ※ * [[beatmania IIDX 20 tricoro]] * [[팝픈뮤직 Sunny Park]] * [[beatmania IIDX 21 SPADA]] * [[DanceDanceRevolution(2013)]] * [[유비트 소서 풀필]] ※ * [[리플렉 비트 그루빈]] ※ * [[팝픈뮤직 라피스토리아]] ※ * [[DanceDanceRevolution(2014)]] * [[beatmania IIDX 22 PENDUAL]] ※ * [[사운드 볼텍스 III 그래비티 워즈]] ※ * [[리플렉 비트 그루빈 어퍼]] ※ * [[유비트 프롭]] ※ * [[리플렉 비트 VOLZZA]] ※ * [[GITADORA Tri-Boost|GITADORA Tri-Boost DrumMania]] ※ * [[beatmania IIDX 23 copula]] ※ * [[팝픈뮤직 éclale]] ※ * [[MUSECA]] * [[리플렉 비트 VOLZZA 2]] ※ * [[DanceDanceRevolution A]] * [[유비트 큐벨]] ※ * [[MÚSECA 1+1/2]] ※ * [[beatmania IIDX 24 SINOBUZ]] ※ * [[리플렉 비트 유구의 리플레시아]] ★※ * [[GITADORA Tri-Boost|GITADORA Tri-Boost GuitarFreaks]] ※ * [[팝픈뮤직 토끼와 고양이와 소년의 꿈]] ※ * [[사운드 볼텍스 IV 헤븐리 헤이븐]] ※ * [[GITADORA Tri-Boost Re:EVOLVE]] (GuitarFreaks, Drummania) ※ * [[노스텔지어]] ※ * [[유비트 클랜]] ※ * [[GITADORA Matixx]] (GuitarFreaks, Drummania) ※ * [[beatmania IIDX 25 CANNON BALLERS]] ※ * [[DANCERUSH STARDOM]] ★※◆◎[*L1 일본어, 한국어, 영어, 중국어(간체/번체) 지원] * [[유비트 페스토]] ★※ * [[GITADORA EXCHAIN]] (GuitarFreaks, Drummania) ※ * [[노스텔지어 Op.2]] ※ * [[팝픈뮤직 peace]] ※ * [[beatmania IIDX 26 Rootage]] ※ * [[사운드 볼텍스 비비드 웨이브]] ※ * [[DanceDanceRevolution A20]] ★※◆[*L2 일본어, 한국어, 영어 지원] * [[beatmania IIDX 27 HEROIC VERSE]] ※◆[*L2] * [[GITADORA NEX+AGE]] (GuitarFreaks, Drummania) ※◆[*L1] * [[노스텔지어 Op.3]] ★※ * [[DanceDanceRevolution A20 PLUS]] ★※◆[*L2] * [[beatmania IIDX 28 BISTROVER]] ※◆[*L2] * [[팝픈뮤직 해명 리들스]] ※ * [[GITADORA HIGH-VOLTAGE]] (GuitarFreaks, Drummania) ※◆[*L1] * [[사운드 볼텍스 익시드 기어]] ★※ * [[beatmania IIDX 29 CastHour]] ※◆[*L2] * [[DanceDanceRevolution A3]] ★※◆[*L2] * [[유비트 애비뉴]] ★※ * [[팝픈뮤직 UniLab]] ★※ * [[beatmania IIDX 30 RESIDENT]] ★※◆[*L2] * [[GITADORA FUZZ-UP]] (GuitarFreaks, Drummania) ★※◆[*L1] * [[유비트 비욘드 디 애비뉴]] ★※ == BEMANI 시리즈가 모두 또는 대부분 존재하는 오락실 == 2013년 이후 [[BEMANI 시리즈/이벤트|BEMANI 각 게임 사이의 연동 이벤트]]가 활발해짐에 따라 한국 정발 BEMANI 시리즈를 많이 보유하고 있는 오락실일수록 유저를 끌어모으기에 좋은 자리를 점하게 되었다. 아래에는 이러한 오락실 중 BEMANI 시리즈를 모두 또는 대부분 적어도 한 대 이상씩 가지고 있는 오락실에 대해 서술한다. 해당 오락실의 위치는 [[틀:오락실의 위치 정보]] 문서를 참고. 신기체의 지속적인 정식 발매로 인해 BEMANI 전 기종을 보유한 점포의 숫자가 반 정도로 줄었다. 기기의 적은 생산과, 국내 오락실 특유의 좁은 규모, 기기의 비싼 가격 등이 꼽힌다. 굳이 들여놓고자 한다면 기존 기기의 매각 혹은 공간 확장이 필요한데, 이를 모두 들일만한 공간을 가진 게임장도 드물고 생고생해서 신기종을 넣는 것 보다는 인기 기종을 여러대 들이는 것이 비인기 기종을 다양하게 들이는 것보다 매상 측면에서 효율적이기 때문이기도 하다. 2023년 5월 6일 기준 라이트닝 모델, 발키리 모델 입고 여부를 제외하면 BEMANI 시리즈를 모두 보유한 업종은 총 8곳이다. 단 [[리플렉 비트 시리즈]]의 업데이트 중단으로 이벤트도 끊기고 이용객이 적어지는 현 상황에서는 모든 기기를 다 넣더라도 리플렉만 없는 곳이 꽤 된다. 또한 BEMANI 시리즈를 전부 넣을 정도면 공간도, 유저 인프라도 꽤 된다는 소리이기 때문에 [[maimai DX]], [[CHUNITHM]]과 같은 다른 리듬 게임도 입고 되어 있을 확률이 높다. 특히 라이트닝 모델, 발키리 모델이 들어와 있는 곳일수록 더더욱. 아래 표는 BEMANI 시리즈를 모두 또는 대부분(정발된 기종 기준 3기종까지 미보유인 경우를 포함, 기타프릭스와 드럼매니아는 같은 게임으로 계산[* 즉, 드럼을 포함한 다른 기종은 있는데 DDR과 리플렉 비트, 노스텔지어, 기타가 없는 경우 드럼이 있으므로 기타가 없는 것을 무시해 3기종 미보유로 계산해 이 목록에 기재]) 존재하는 오락실의 목록을 적은 곳이다. 특정 권역에 해당 기준을 충족하는 오락실이 없는 경우 해당 권역 내에서 제일 많은 오락실[* 기종 수가 동일한 경우 기체가 더 많은 쪽] 1개를 적었다. 권역은 서울강북, 서울강남, 인천, 경기북부[* 북부청사 소관지역], 경기남부[* 본청 소관지역], 강원영서[* 본청사(춘천) 소관지역], 강원영동[* 제2청사(강릉) 소관지역], 대전, 세종, 충남, 충북, 대구, 경북, 부산, 울산, 경남, 광주, 전남, 전북, 제주로 나눴다. === [[오락실/서울|서울]] - 4곳 === || 오락실명 || 지역 || [[유비트 시리즈|유비트]] || [[리플렉 비트 시리즈|리플렉 비트]] || [[사운드 볼텍스]] || [[beatmania IIDX|IIDX]] || [[팝픈뮤직]] || [[DanceDanceRevolution|DDR]] || [[GITADORA 시리즈|드럼]] || [[GITADORA 시리즈|기타]] || [[노스텔지어 시리즈|노스텔지어]] || [[댄스러시]] || || 우리게임장2 || 성북구 || 1 || 1 || '''12''' || '''4''' || '''5''' || 1 || 2 || 1 || 1 || 1 || || 노리존 || 노원구 || 4 || 1 || 7 || 3 || 2 || 1 || 2 || 2 || 1 || 1 || || 비트연구소T || 노원구 || '''6''' || 2 || '''10''' || 2 || 4 || 1 || 1 || 1 || 1 || 2 || || 짱구게임장 || 은평구 || '''4''' || 2 || '''12''' || 5 || 4 || 2 || 2 || 3 || '''4''' || 2 || * 대부분 보유하고 있으나 일부 기종이 없는 오락실 || 오락실명 || 지역 || [[유비트 시리즈|유비트]] || [[리플렉 비트 시리즈|리플렉 비트]] || [[사운드 볼텍스]] || [[beatmania IIDX|IIDX]] || [[팝픈뮤직]] || [[DanceDanceRevolution|DDR]] || [[GITADORA 시리즈|드럼]] || [[GITADORA 시리즈|기타]] || [[노스텔지어 시리즈|노스텔지어]] || [[댄스러시]] || 미보유 기종 수 || || 건대 펀시티 || 광진구 || 1 || || 3 || 1 || 1 || || 1 || 1 || 1 || 2 || 2 || || 홍대 퍼니랜드 || 마포구 || 2 || || 4 || 1 || 1 || || 1 || || 1 || 1 || 2[*GF_3 기타프릭스 포함 시 3] || || 우리게임장(혜화) || 종로구 || 2 || || 4 || 2 || 2 || || 1 || 1 || 1 || 1 || 2 || || 천호 펀존 || 강동구 || 2 || 1 || 1 || 1 || 1 || 1 || 1 || 1 || 1 || || 1 || || [[노량진 어뮤즈타운]] || 동작구 || 2 || || '''13''' || '''7''' || 4 || 1 || '''3''' || '''3''' || 2 || || 2 || || 뿅뿅게임랜드 || 송파구 || 1 || || 2 || 1 || 1 || || 1 || 1 || 1 || || 3 || === [[오락실/경기|경기]], [[오락실/인천|인천]], [[오락실/강원|강원]] - 2곳 === || 오락실명 || 지역 || [[유비트 시리즈|유비트]] || [[리플렉 비트 시리즈|리플렉 비트]] || [[사운드 볼텍스]] || [[beatmania IIDX|IIDX]] || [[팝픈뮤직]] || [[DanceDanceRevolution|DDR]] || [[GITADORA 시리즈|드럼]] || [[GITADORA 시리즈|기타]] || [[노스텔지어 시리즈|노스텔지어]] || [[댄스러시]] || || [[부천 어택|어택]] || 경기도 부천시 || 4 || 1 || '''21'''[* 여담으로, 어택이 위치한 [[부천시]] [[심곡동(부천)|심곡2동]]에 있는 모든 사운드 볼텍스 기기 수를 합하면 31대나 된다.] || '''5''' || '''4''' || '''2''' || '''4''' || '''3''' || '''3''' || '''2''' || || 게임파크 21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 2 || 1 || 4 || 1 || 1 || 1 || 1 || 1 || 1 || 1 || * 대부분 보유하고 있으나 일부 기종이 없는 오락실 || 오락실명 || 지역 || [[유비트 시리즈|유비트]] || [[리플렉 비트 시리즈|리플렉 비트]] || [[사운드 볼텍스]] || [[beatmania IIDX|IIDX]] || [[팝픈뮤직]] || [[DanceDanceRevolution|DDR]] || [[GITADORA 시리즈|드럼]] || [[GITADORA 시리즈|기타]] || [[노스텔지어 시리즈|노스텔지어]] || [[댄스러시]] || 미보유 기종 수 || || 화정 게임랜드 || 경기도 고양시 || 2 || 1 || 7 || 1 || 1 || 1 || 1 || || 1 || || 1[*GF_2 기타프릭스 포함 시 2] || || 진주게임랜드 || 경기도 구리시 || 2 || 1 || 5 || 1 || 1 || || 1 || || || || 3[*GF_4 기타프릭스 포함 시 4] || || 게임플러스 || 경기도 의정부시 || 2 || || 6 || 1 || 1 || || 1 || 1 || 1 || 1 || 2 || || P2존 || 경기도 부천시 || 2 || 1 || '''10''' || 2 || 1 || || || || 1 || 1 || 2[*GFDM_3 기타프릭스와 드럼매니아를 별도의 기체로 볼 시 3] || || 짱오락실(부천) || 경기도 부천시 || 1 || || 2 || 1 || || || 1 || || 1 || 1 || 3[*GF_4] || || 짱오락실(영통) || 경기도 수원시 || 1 || || 5 || 1 || 1 || || 1 || 1 || 1 || 1 || 2 || || 스타뮤 || 경기도 수원시 || 4 || 1 || 5 || 3 || 3 || 1 || 2 || 1 || 1 || || 1 || || 짱오락실(수원역) || 경기도 수원시 || 1 || 1 || 9 || 1 || 2 || 1 || 1 || 1 || || 1 || 1 || || 팬시 앤 게임 || 경기도 안산시 || 2 || || 2 || 1 || 1 || || 1 || || 1 || || 3[*GF_4] || || 범계 게임천국 || 경기도 안양시 || 2 || || 6 || 2 || 1 || || 2 || 1 || 1 || 1 || 2 || || 안양1번가 노리존 || 경기도 안양시 || 2 || 1 || 4 || 1 || 1 || || 1 || || 1 || 1 || 1[*GF_2] || || 주안 CPU || 인천 미추홀구 || 4 || 1 || '''28''' || '''8''' || 3 || 2 || 1 || || 1 || 2 || 0[*GF_1 기타프릭스 포함 시 1] || || 짱오락실(부평) || 인천 부평구 || 1 || || 1 || 1 || || || 1 || || 1 || 2 || 3[*GF_4] || * 해당 조건을 충족하는 오락실이 없는 권역 || 권역 || 오락실명 || 지역 || [[유비트 시리즈|유비트]] || [[리플렉 비트 시리즈|리플렉 비트]] || [[사운드 볼텍스]] || [[beatmania IIDX|IIDX]] || [[팝픈뮤직]] || [[DanceDanceRevolution|DDR]] || [[GITADORA 시리즈|드럼]] || [[GITADORA 시리즈|기타]] || [[노스텔지어 시리즈|노스텔지어]] || [[댄스러시]] || 미보유 기종 수 || || 강원영서 || 컬쳐스페이스 || 강원도 춘천시 || 2 || || 4 || 2 || 1 || || 1 || || || || 4[*GF_5 기타프릭스 포함 시 5] || || 강원영동 || 1번가게임장 || 강원도 강릉시 || 1 || || 2 || 1 || 1 || 1 || || |||| || 4[*GFDM_5 기타프릭스와 드럼매니아를 별도의 기체로 볼 시 5] || 여담으로 강원도는 각 중심도시(춘천, 원주, 강릉)에 BEMANI 기종을 보유 중인 오락실이 1개씩만 존재하고(넷이 끊어진 원주 W시티는 제외) 다른 도시에는 존재하지 않아 이 목록이 의미가 없는 수준이다. === [[오락실/대전|대전]], [[오락실/충남|충남]], [[오락실/충북|충북]], [[오락실/세종|세종]] - 없음 === * 대부분 보유하고 있으나 일부 기종이 없는 오락실 || 오락실명 || 지역 || [[유비트 시리즈|유비트]] || [[리플렉 비트 시리즈|리플렉 비트]] || [[사운드 볼텍스]] || [[beatmania IIDX|IIDX]] || [[팝픈뮤직]] || [[DanceDanceRevolution|DDR]] || [[GITADORA 시리즈|드럼]] || [[GITADORA 시리즈|기타]] || [[노스텔지어 시리즈|노스텔지어]] || [[댄스러시]] || 미보유 기종 수 || || 더벙커게임존 || 대전 유성구 || 2 || || '''10''' || 2 || 1 || 1 || 2 || 1 || 1 || 1 || 1 || || 싸이뮤직 게임월드 || 대전 유성구 || 2 || 1 || 6 || 3 || 2 || 1 || 2 || 1 || 1 || || 1 || || 가오스 게임장 || 대전 중구 || 2 || || 3 || 1 || 1 || || 1 || || 1 || || 3[*GF_4] || || 비트코인 || 충북 청주시 상당구 || 1 || || 1 || || 1 || || 1 || || 1 || 1 || 3[*GF_4] || || 화성여행 게임장 || 충북 청주시 서원구 || 2 || 1 || 4 || 1 || 1 || || || || 1 || || 3[*GFDM_4 기타프릭스와 드럼매니아를 별도의 기체로 볼 시 4] || * 해당 조건을 충족하는 오락실이 없는 권역 || 권역 || 오락실명 || 지역 || [[유비트 시리즈|유비트]] || [[리플렉 비트 시리즈|리플렉 비트]] || [[사운드 볼텍스]] || [[beatmania IIDX|IIDX]] || [[팝픈뮤직]] || [[DanceDanceRevolution|DDR]] || [[GITADORA 시리즈|드럼]] || [[GITADORA 시리즈|기타]] || [[노스텔지어 시리즈|노스텔지어]] || [[댄스러시]] || 미보유 기종 수 || || 세종 || 에버월드 멀티게임장 || 세종특별자치시 || 1 || || 1 || || 1 || || || || || || 6[*GFDM_7 기타프릭스와 드럼매니아를 별도의 기체로 볼 시 7] || || 충남 || 스마일 오락장 || 충남 천안시 || 1 || || 2 || 1 || 1 || || || || 1 || || 4[*GFDM_5] || === [[오락실/대구|대구]], [[오락실/경북|경북]] - 1곳 === || 오락실명 || 지역 || [[유비트 시리즈|유비트]] || [[리플렉 비트 시리즈|리플렉 비트]] || [[사운드 볼텍스]] || [[beatmania IIDX|IIDX]] || [[팝픈뮤직]] || [[DanceDanceRevolution|DDR]] || [[GITADORA 시리즈|드럼]] || [[GITADORA 시리즈|기타]] || [[노스텔지어 시리즈|노스텔지어]] || [[댄스러시]] || || [[로얄게임장]] || 대구 중구 || 2 || 1 || '''4'''[* 일반 기체 3대 + 발키리 기체 1대] || 1 || 2 || 1 || 1 || 1 || 1 || 1 || * 대부분 보유하고 있으나 일부 기종이 없는 오락실 || 오락실명 || 지역 || [[유비트 시리즈|유비트]] || [[리플렉 비트 시리즈|리플렉 비트]] || [[사운드 볼텍스]] || [[beatmania IIDX|IIDX]] || [[팝픈뮤직]] || [[DanceDanceRevolution|DDR]] || [[GITADORA 시리즈|드럼]] || [[GITADORA 시리즈|기타]] || [[노스텔지어 시리즈|노스텔지어]] || [[댄스러시]] || 미보유 기종 수 || || 동성로 놀자 || 대구 중구 || 3 || || '''10''' || 1 || 1 || || 1 || 1 || 1 || 1 || 2 || || 짱오락실(대구점) || 대구 중구 || 2 || || 2 || 1 || 1 || || 1 || 1 || 2 || 1 || 2 || || 짱오락실(동성로점) || 대구 중구 || 2 || || 2 || || 1 || || 1 || || 1 || 1 || 3[*GF_4] || || 게임 스포츠텍 구미점 || 경북 구미시 || 3 || 1 || 3 || 2 || 1 || 1 || 2 || || 1 || || 1[*GF_2] || || 빅 게임 랜드 || 경북 구미시 || 2 || 1 || 3 || 1 || 1 || || || || || 1 || 3[*GFDM_4] || === [[오락실/부산|부산]], [[오락실/울산|울산]], [[오락실/경남|경남]] - 1곳 === || 오락실명 || 지역 || [[유비트 시리즈|유비트]] || [[리플렉 비트 시리즈|리플렉 비트]] || [[사운드 볼텍스]] || [[beatmania IIDX|IIDX]] || [[팝픈뮤직]] || [[DanceDanceRevolution|DDR]] || [[GITADORA 시리즈|드럼]] || [[GITADORA 시리즈|기타]] || [[노스텔지어 시리즈|노스텔지어]] || [[댄스러시]] || || 신세계 오락실 || 경남 창원시 마산회원구 || 2 || 1 || '''3'''[* 일반 기체 2대 + 발키리 기체 1대] || 1 || 1 || 1 || 1 || 1 || 1 || 1 || * 대부분 보유하고 있으나 일부 기종이 없는 오락실 || 오락실명 || 지역 || [[유비트 시리즈|유비트]] || [[리플렉 비트 시리즈|리플렉 비트]] || [[사운드 볼텍스]] || [[beatmania IIDX|IIDX]] || [[팝픈뮤직]] || [[DanceDanceRevolution|DDR]] || [[GITADORA 시리즈|드럼]] || [[GITADORA 시리즈|기타]] || [[노스텔지어 시리즈|노스텔지어]] || [[댄스러시]] || 미보유 기종 수 || || 보우게임랜드 || 부산 금정구 || 2 || 2 || 6 || 3 || 1 || || 1 || || || 1 || 2[*GF_3] || || [[경성대 게임D]] || 부산 남구 || 2 || 1 || '''13''' || '''6''' || 5 || 1 || 2 || 1 || 2 || || 1 || || [[삼보게임랜드]] || 부산 부산진구 || 4 || 1 || 6 || || 1 || 1 || 1 || || || 1 || 2[*GF_3] || * 해당 조건을 충족하는 오락실이 없는 권역 || 권역 || 오락실명 || 지역 || [[유비트 시리즈|유비트]] || [[리플렉 비트 시리즈|리플렉 비트]] || [[사운드 볼텍스]] || [[beatmania IIDX|IIDX]] || [[팝픈뮤직]] || [[DanceDanceRevolution|DDR]] || [[GITADORA 시리즈|드럼]] || [[GITADORA 시리즈|기타]] || [[노스텔지어 시리즈|노스텔지어]] || [[댄스러시]] || 미보유 기종 수 || || 울산 || 짱오락실(울산) || 울산 남구 || 1 || || || || || || 1 || 1 || 1 || 1 || 5 || === [[오락실/광주|광주]], [[오락실/전남|전남]], [[오락실/전북|전북]], [[오락실/제주|제주]] - 1곳 === || 오락실명 || 지역 || [[유비트 시리즈|유비트]] || [[리플렉 비트 시리즈|리플렉 비트]] || [[사운드 볼텍스]] || [[beatmania IIDX|IIDX]] || [[팝픈뮤직]] || [[DanceDanceRevolution|DDR]] || [[GITADORA 시리즈|드럼]] || [[GITADORA 시리즈|기타]] || [[노스텔지어 시리즈|노스텔지어]] || [[댄스러시]] || || 게임플라자 || 광주 동구 || 3 || 1[* 2023년 4월 26일자로 재입고. [[https://twitter.com/bestgame94/status/1651061704162426880|#]]] || '''14'''[* 일반 기체 9대 + 발키리 기체 5대] || 5[* 일반 기체 4대 + 라이트닝 기체 1대] || 3 || 1 || 1 || 1 || 2 || 1 || ## 우락실 명 지역 유비트 리플렉 사볼 투덱 팝픈 DDR 드럼 기타 놋텔 DRS 미보유 기종 수 * 대부분 보유하고 있으나 일부 기종이 없는 오락실 || 오락실명 || 지역 || [[유비트 시리즈|유비트]] || [[리플렉 비트 시리즈|리플렉 비트]] || [[사운드 볼텍스]] || [[beatmania IIDX|IIDX]] || [[팝픈뮤직]] || [[DanceDanceRevolution|DDR]] || [[GITADORA 시리즈|드럼]] || [[GITADORA 시리즈|기타]] || [[노스텔지어 시리즈|노스텔지어]] || [[댄스러시]] || 미보유 기종 수 || || 락휴 테마 파크 || 광주 광산구 || 2 || || 4 || 1 || 1 || 1 || 1 || || || 1 || 2[*GF_3] || || 그린피아 게임센터 || 전남 순천시 || 2 || || 3 || 1 || 1 || || 1 || || 1 || || 3[*GF_4] || || 사이버존 게임랜드 || 전북 전주시 || 2 || 1 || 4 || 2 || 2 || || 2 || || 1 || 1 || 1[*GF_2] || * 해당 조건을 충족하는 오락실이 없는 권역 || 권역 || 오락실명 || 지역 || [[유비트 시리즈|유비트]] || [[리플렉 비트 시리즈|리플렉 비트]] || [[사운드 볼텍스]] || [[beatmania IIDX|IIDX]] || [[팝픈뮤직]] || [[DanceDanceRevolution|DDR]] || [[GITADORA 시리즈|드럼]] || [[GITADORA 시리즈|기타]] || [[노스텔지어 시리즈|노스텔지어]] || [[댄스러시]] || 미보유 기종 수 || || 제주 ||<-13> e-amusement Participation이 적용되는 최신 버전 BEMANI 기종을 보유하고 있는 오락실이 없다. || == 한글 표기 == 일단 [[유니아나]]의 공식 표기법은 'BEMANI'이다. 완전히 한글로 쓴 때는 [[MÚSECA]] 소개 페이지에서 '비마니'라는 표기를 사용한 게 전부.[[http://www.uniana.com/main.php?mid=menu21&crud=view&board_num=145&sfl=0&page=1&search_gubun=1&search_sub_gubun=1|#]] IIDX의 폴더 명을 비롯한 게임 내 코나미의 공식 번역에서는 비마니도 비매니도 아닌 '비트 마니아 시리즈'라고 쓰고 있다. 비매니라고 주장하는 쪽은 비마니가 '비트마니아'의 준말인데 한국에서는 '비트'''매'''니아'라고 정발되었으므로 '비매니'라고 불러야 한다고 했고, 비마니라고 주장하는 쪽은 [[가타카나]] 표기인 'ビーマニ'를 따라 '비마니'라고 불러야 한다고 했다. 하지만 굳이 축약어의 발음이 원어를 따라갈 이유는 없고,[* 비슷한 사례로 'Application'의 줄임말에 대해 벌어진 논란이 있다. 'Application'은 '어플리케이션'이라 읽지만, 영문 축약어인 'App'은 '앱'이라 읽기 때문.] [[매니아]]도 [[자주 틀리는 외래어]] 중 대표적인 단어라 더욱 이렇게 불릴 근거는 없다. 그래서 유저들 사이에서는 비마니라는 이름이 거의 굳혀졌다. 위의 '비마니'와 '비 많이'의 발음이 같다는 것을 이용해 리듬게임 유저들은 비가 많이 올 때면 '아 BEMANI 오네요' 라고 하기도 한다. 물론 말장난. 더 확장되면 BEMANI 오면 날씨가 [[SHION]]하지만 [[메우 메우]] [[SPADA]]. [[유비트 니트|knit]] 껴입고 [[copula]] 가야지 로 늘어난다. == [[게임물관리위원회]] 심의에 따른 변경점 == 게임물관리위원회의 아케이드 게임물 심의 등급은 전체 이용가와 [[청소년 이용불가]], 등급분류거부의 세 가지로, 12세 이용가와 15세 이용가 등급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수위가 높은 자켓의 경우 삭제되기도 한다. 다음은 대한민국에서 자켓이 삭제된 수록곡의 목록이다. * [[기타도라 시리즈]] * [[準備運動]]: [[GITADORA EXCHAIN|EXCHAIN]]에서 삭제 * [[乙女繚乱 舞い咲き誇れ]]: [[GITADORA EXCHAIN|EXCHAIN]]에서 삭제 * [[유비트 시리즈]] * [[Chocolate Planet]]: [[유비트 클랜|클랜]]에서 삭제 * [[Spirit of the Beast]]: [[유비트 클랜|클랜]]에서 삭제 * [[Xibercannon]]: [[유비트 페스토|페스토]]에서 삭제 * [[Prayer]]: [[유비트 페스토|페스토]]에서 삭제 * [[veRtrageS]]: [[유비트 페스토|페스토]]에서 삭제 * [[乙女繚乱 舞い咲き誇れ]]: [[유비트 페스토|페스토]]에서 삭제 * [[記憶の欠片]]: [[유비트 페스토|페스토]]에서 삭제 * [[사운드 볼텍스]] * [[iLLness LiLin]] * [[노스텔지어 시리즈]] * [[Preserved Valkyria]]: [[노스텔지어 Op.2|Op.2]]에서 삭제 * [[Lord=Crossight]]: [[노스텔지어 Op.2|Op.2]]에서 삭제 == 작곡가 == || 게임 시리즈 || 작곡가 || 곡명 || 업데이트 날짜 || ||<|10> [[사운드 볼텍스]] || [[P4koo]] || [[Lionheart]] ||<|3> 2018/02/01 || || [[DJ LATI|LATI]] || [[Random Box]] || || [[https://twitter.com/AKi_Sound|ZerA]] || [[BREAKNECK NY☆N! NY★N!]] || ||<|5> #[[EmoCosine]] || [[VIVID DEBUT!]] || 2019/04/11 || || [[cloche|#EmoCloche]] || 2021/02/17 || || [[Going My Future!]] || 2021/11/11 || || [[Never Ending Future]] || 2022/11/17 || || [[Initiating League]] || 2022/12/29 || || [[Cosmograph]] || [[DataErr0r/리듬 게임 수록|DATAERR0R]] || 2022/04/25 || || [[Synthion]] || [[Blossom(Synthion)|Blossom]] || 2023/04/27 || ||<|5> [[DANCERUSH]] ||<|2> [[Zekk]] || [[S7AGE]] || 2018/10/17 || || [[8347]] || 2021/08/04 || || [[Aiobahn]] || [[Twinkle(BEMANI 시리즈)|Twinkle]] || 2019/08/21 || || [[RiraN]] || [[My Time]] || 2021/02/15 || || [[KARUT]] || [[NEW SOLUTION]] || 2021/07/29 || || [[노스텔지어 시리즈|노스텔지어]] || [[Sobrem]] || [[Gamja Dog]] || 2021/04/28 || || [[팝픈뮤직]] || [[ARForest]] || [[Hibiki]] || 2022/09/13 || || [[유비트 시리즈|유비트]] || [[ARForest]] || [[Anubis]] || 2022/10/05 || ||<|2> [[beatmania IIDX]] || [[Zekk]] || [[GET UP AGAIN]] || 2022/10/19 || || [[KARUT]] || [[GloriosA]] || 2023/10/18 || == 그 외 == [[댄스 에볼루션 아케이드]], [[미라이다갓키]], [[BeatStream]] 등 신 기종들은 인컴 테스트를 거쳤지만 정식 발매에는 이르지 못하고 단종되었다. 진행 경과는 신 기종의 인컴 테스트 → 구 기종의 정식발매 + 신 기종 미발매 순. * 2012년 - [[댄스 에볼루션]] 인컴 테스트 → [[사운드 볼텍스]] 정발 * 2013년 - [[미라이다갓키]] 인컴 테스트 → [[비트매니아 IIDX]], [[팝픈뮤직]] 정발 * 2014년 - [[BeatStream 시리즈]] / [[Dance Dance Revolution]] 인컴 테스트 → [[Dance Dance Revolution]] 정발 * 2015년 - [[MÚSECA]], [[사운드 볼텍스]] 리얼 어필카드 제네레이터 인컴 테스트 → [[GITADORA 시리즈]] 정발 이처럼 인컴 테스트를 거친 기기들 중 정발 된 건 [[댄스 댄스 레볼루션|DDR]] 하나 밖에 없는 상황. 하지만 아주 오래 전에 [[댄스 댄스 레볼루션/대한민국#s-1.1|정발된 경력]]이 있기 때문에 예외로 치는 경우가 많다. 그렇지만 2015년 [[MÚSECA]]가 정발되고, 2016년 3월에는 같이 인컴테스트를 했던 [[사운드 볼텍스]] 어필카드 제네레이터도 정발되면서 이러한 징크스는 깨졌다. == 관련 문서 == * [[beatmania IIDX/대한민국]] * [[팝픈뮤직/대한민국]] * [[DanceDanceRevolution/대한민국]] * [[유니아나]] [[분류:BEMAN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