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BEMANI]][[분류:BEMANI PRO LEAGUE]] [include(틀:상위 문서, top1=BEMANI PRO LEAGUE SEASON 2/beatmania IIDX)] [include(틀:BEMANI PRO LEAGUE SEASON 2 경기 일람)] [목차] [clearfix] == 개요 == ||<-2><:> [[BEMANI PRO LEAGUE|[[파일:bpl_logo_emblem.png|width=42]]]] {{{+1 {{{#white '''BEMANI PRO LEAGUE SEASON 2''' '''beatmania IIDX 결승전'''}}}}}} || ||<#fff,#222> [[파일:leisure_land.png|width=100%]] ||<#fff,#222><:> [[파일:logo_round-1.png|width=100%]] || ||<:> {{{+1 '''LEISURE LAND'''}}} ||<:> {{{+1 '''ROUND1'''}}} || ||<-4> [[파일:bpl_logo_emblem.png|width=32]] '''{{{#fff BEMANI PRO LEAGUE SEASON 2 IIDX 결승전 중계}}}''' || || '''사회자''' ||<-3> [[모리 잇쵸]] || || '''레지던트 DJ''' || [[나카하라 류타로]] || [[사이토 코스케]] || [[이시카와 타카유키]] || || '''캐스터''' ||<-3> 카와노 카이키 || || '''객원 해설''' ||<-3>{{{#!wiki style="margin: -16px -11px" || [[UCCHIE|[[파일:apina_vrames.png|width=50]]{{{#!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57b5; font-size: 1.0em; letter-spacing: -0.5px;" {{{#FFF '''UCCHIE'''}}}}}}]] || [[CORIVE|[[파일:gigo_cut.png|width=50]]{{{#!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0dbf7; font-size: 1.0em; letter-spacing: -0.5px;" {{{#006CDC '''CORIVE'''}}}}}}]] || [[이이야마 사토시|[[파일:game_panic.png|width=50]]{{{#!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B21; font-size: 1.0em; letter-spacing: -1.5px;" {{{#231815 '''MIKAMO'''}}}}}}]] || [[타카기 류조|[[파일:supernova_tohoku.png|width=50]]{{{#!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C0091; font-size: 1.0em; letter-spacing: -0.5px;" {{{#FFF356 '''VELVET'''}}}}}}]] || }}}|| BEMANI PRO LEAGUE SEASON 2 IIDX 종목 세미파이널 공개일로부터 3일 후인 2022년 10월 15일날 도쿄돔 시티 프리즘 홀에서 열린다. 대회 규칙은 [[BEMANI PRO LEAGUE SEASON 2/beatmania IIDX]] 문서를 참조할 것. == 스텟 분석 == || [[LEISURE LAND|{{{#fff '''LEISURE LAND'''}}}]] || [[BEMANI PRO LEAGUE|[[파일:bpl_logo_emblem.png|width=32]]]] ||<#D80C18> [[ROUND1|{{{#fff '''ROUND1'''}}}]] || || 1패, 5pt || 시즌 2 전적 || '''1승, 7pt''' || || 매치 1무 2패, 13pt[br]세트 2승 4무 3패 || 총 상대 전적 || '''매치 2승 1무, 23pt[br]세트 3승 4무 2패''' || || 3{{{-3 +7}}} || 자선곡 획득 pt || '''4{{{-3 +11}}}''' || || 2{{{-3 +1}}} || 타선곡 획득 pt || '''3{{{-3 +5}}}''' || ||<-3> 테마별 획득 pt || || '''0{{{-3 +4}}}''' || '''NOTES''' || '''0{{{-3 +4}}}''' || || 0{{{-3 +0}}} || '''CHORD''' || '''0{{{-3 +6}}}''' || || '''4''' || '''PEAK''' || 0 || || 0 || '''CHARGE''' || '''6''' || || 0{{{-3 +4}}} || '''SCRATCH''' || '''0{{{-3 +6}}}''' || || '''1''' || '''SOF-RAN''' || '''1''' || ||<-3> {{{-3 ※ 작게 표기한 것은 2021 시즌 전적을 의미.}}} || === 팀별 전망 === 모두가 예상하지 못했던 레져 랜드와 모두가 예상했던 라운드 원의 결승이자, 지난 시즌과 더불어 결국엔 정규 시즌 2강이 또 다시 결승전에 오르게 되었다. * '''{{{#ff1d84 LEISURE LAND}}}''' 드래프트가 공개 될 당시 꼴찌 예약팀, 하위권 전전이라는 조롱 섞은 암울한 예상이 있었지만, 그 예상을 완벽하게 부서버리는 동화를 완성하였다. 기여코 챔피언의 자리에 올라 그 재도전 이야기의 정점을 찍을 수 있을 지 지켜보자. * '''{{{#d80c18 ROUND1}}}''' 역시나 우승 후보 답게 결승에 올랐고, 똑같이 우승 후보 내지 강팀으로 불리던 아피나 브레임즈, 타이토 스테이션 트래즈가 세미 파이널에 오르지도 못한채 전멸하면서 진정한 강팀으로 등극했다. 에이스 유타카 역시 업그레이드를 거듭하면서 리그 내에서 막을 수 없는 유일신이 되었다는 점도 호재. 하지만 전년도 결승 때는 유타카 외 세 선수가 경기를 말아먹고 유타카도 한 번 삐끗했다가 통한의 준우승을 당했기에 절대 같은 결과가 되풀이되어선 안 되겠다. === 선수별 전망 === * 동일 지명간 비교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1지명: '''{{{#ff1d84 1-PIN}}}''' vs '''{{{#d80c18 U*TAKA}}}''' 1핀이 작년보다 꽤 성장한 건 맞지만 '''그래도 유타카 절대적 우세라는 평가가 만장일치이다.''' 물론 1핀이 못해서라기 보다는 유타카가 압도적인 리그 1황이라 그런 것이다. * 2지명: '''{{{#ff1d84 DINASO}}}''' vs '''{{{#d80c18 KUREI}}}''' 그나마 준에이스 선수는 서로 밸런스가 맞는 편이다. 두 선수의 상대 전적은 다이나소가 세트 1승 1무로 우세. 다이나소가 즈레 및 피크 테마에서 현란한 경기력을 보여주고 있는 반면 쿠레이는 다이나소에 비해 성적과 활약이 옅은 감이 있어 쿠레이가 조금 더 열세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상대 전적이나 현재 폼 자체도 다이나소에게 웃어주는 상황. 하지만 쿠레이가 기본 체급은 다이나소보다 약간 높게 평가받았고[* 쿠레이의 BPL 대상곡 전일은 60개에 달하며, BPL 선수들 중에서는 피스, 유타카, 미카모 바로 다음이다.] 칼리버를 상대로 변속 테마에서 1승을 거두는 등 포스트시즌에서 무기력했던 작년과 조금 다른 모습을 보여줄 수도 있으니 밸런스가 맞는 만큼 서로 만났을 경우 치열하게 다툴 것으로 예상된다. * 3지명: '''{{{#ff1d84 G*}}}''' vs '''{{{#d80c18 I6VV}}}''' 눈부신 성장을 보여준 G*가 압도적으로 우세한 전망이 있다. 다만 이가와도 초반에 허를 잘 찌르는 특기가 있기 때문에 초반 기세를 이어가면 승산은 있다. * 4지명: '''{{{#ff1d84 U76NER}}}''' vs '''{{{#d80c18 MAKO-G}}}''' 우나무네와 마코지 둘다 지력적인 측면에서는 애매한 모습이 보인다. 우나무네는 변속 테마 내에 지력 성향이 강한 곡은 상위 지명 선수에게 패배를 허용하였고, 마코지 역시 특기가 아닌 패턴에선 심하게 말리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전반적인 스크래치나 변속 등의 개인차 테마'''는 활약이 많은 우나무네가 좀 더 높게 평가받고 있다. }}} * 타 지명간 비교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이번 시즌 양팀이 기록한 (실제 및 평가 내 포지션[* 이 기준 적용시 아피나는 우치-니케-시로-켄탄, 토호쿠는 윌로우-하치샤크-벨벳-프립, 타이토는 리오-타츠-포포지테-노리가 된다.] 기준) 총 업셋 승리 수를 비교하면 레져 랜드 '''13회'''[* 레귤러 타이토 전 당시 다이나소가 리오의 선곡에서 무승부를 거둔 것을 포함. 선수별 횟수는 다이나소 4회(윌로우 3회, 리오 1회), G* 4회(우치 1회, 세이류 2회, 타츠 1회), 우나무네 5회(코시가야 2회, 벨벳 2회, 이가와 1회).], 라운드 원 2회[* 업셋을 일으킨 라원 측 선수는 쿠레이가 유일하다. 쿠레이가 업셋한 선수는 각각 리오, 칼리버.]로 레져 랜드가 압도한다. 피업셋 패배 수의 경우에는 레져 랜드 '''3회'''[* 선수별 횟수는 1핀 2회(하치샤크 2회), G* 1회(루트 1회).]에 라운드 원 4회[* 쿠레이와 이가와가 각각 2회씩(쿠레이: 켄탄, 코시가야 / 이가와: 우나무네, 마사).]로 피업셋 선수까지 고려했을 때 양 팀 모두 비슷한 편이다. * 에이스의 경우에는 유타카가 BPL 선수를 넘어 전체 IIDX 플레이어를 대상으로 봐도 경쟁자가 매우 적을 정도로 넘사벽에 '''이번 시즌에서 패배 자체를 한 적이 없어''' 다이나소에게 업셋을 당할 가능성은 낮을 것 같고, 반면 1핀은 업셋을 당한 시점이 이미 승리가 확정된 시점이었다고는 쳐도 준에이스 포지션인 하치샤크에게 2번 업셋을 당한 바 있기에 쿠레이의 또 다른 타깃이 될 수 있다. 쿠레이가 1핀보다 11레벨 전일이 많기 때문에 가능성도 꽤 높은편. 물론 작년 결승전에서 유타카가 당시 준에이스였던 우치에게 처음으로 업셋을 맞은 사례가 있기에 다이나소도 뾰족한 수를 갈아올 것 같고, 11레벨에는 다이나소가 전일을 가지고 있는 곡도 꽤 되기 때문에 유타카도 테마를 잘 골라잡을 필요가 있다. * 준에이스의 경우, 다이나소는 위에서 설명했듯이 유타카의 폼이 폼이라 업셋이 어려울 것 같지만, 라원의 3지명 선수 이가와의 폼이 지금도 애매해서 피업셋도 가능성이 적다. 쿠레이의 경우에는 그나마 1핀을 상대로 업셋을 노려볼 만 하지만, 레져 랜드의 하위 지명 선수들이 화려한 업셋 기록을 보여주고 있기에 방심은 금물. * 3지명을 보면 일단 레져 랜드의 G*는 업셋 4회 중 하나 빼고 전부 '''팀의 에이스들'''에게서 나왔다는 점이 큰 특기사항. 쿠레이가 유타카보단 못해도 나름 막강한 선수라 힘들수도 있겠지만 G*가 팀의 에이스들을 업셋할 때도 예상 밖의 상황이었다는 것을 감안하면 불가능한 이야기는 아니다. 반면, 이가와의 경우에는 똑같이 차지 패턴이 특기인 1핀이든, 더 빛나는 활약이 많은 다이나소든 업셋이 힘들 것으로 예상된다. 피업셋에 대해서는 G*와 마코지의 체급 차이가 꽤 보이니 G*가 업셋을 당할 가능성은 적고, 이가와도 우나무네에게 업셋을 한 차례 당했지만 개인차가 심한 변속으로 업셋을 당한 것이고 변속이 적어 지력 성향이 큰 패턴에서는 우나무네를 이겼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가능성은 크지 않은 편.}}} == 여담 == * 지난 시즌 두 팀의 최종 성적은 각각 뒤에서 2등, 앞에서 2등이라는 특징이 있다. * 이미지 컬러가 파란색인 팀이 나오지 않아 처음으로 파란색 팀 VS 빨간색 팀의 구도가 깨졌다. * 레져 랜드의 G*는 2년 만에 BPL 결승에 올랐고, 라운드 원의 U*TAKA는 유일한 3연속 파이널리스트이다. * 아래는 팀별 우승 시 가져오는 기록이다. * '''{{{#FF1D84 LEISURE LAND 우승 시}}}''' * '''전 시즌 정규시즌 하위팀이 팀원과 감코진을 교체하지 않고 그대로 유지한 채 우승을 하는 전 세계 e스포츠를 넘어 스포츠 내에서 엄청 희귀한 진기록을 남기게 된다.''' * [[DINASO]]가 코나미 주관 대회 '''[[어윤수|7연속 준우승]]의 징크스'''를 깨고 첫 우승을 거둔다. 또한, 1-PIN의 이이스포 준우승, [[G*]]의 BPL ZERO 준우승 등 방송대회 우승 경험이 없던 레져 랜드 선수들이 전원 징크스를 깨게 된다. * '''{{{#d80c18 ROUND1 우승 시}}}''' * [[U*TAKA]]의 진정한 첫 번째[* 제로 시즌에 우승했으나, 프리퀄 시즌이라 사실상 이벤트 리그로 취급 받는다.] 비마니 프로리그 우승을 하게 된다. * I6VV랑 MAKO-G가 로열로더를 달성한다. * 전 리그 드래프트 탈락자 였던 MAKO-G가 전 시즌 드래프트 탈락-현 시즌 지명 후 우승이라는 진귀한 기록을 세우게 된다. * 이번 시즌의 결승전은 유관중 생중계로 진행된다. 따라서 타 종목과 다음 시즌에도 유관중 결승전, 더 나아가 전 경기 유관중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그러나 결승전 직후 EDP 2022 공연이 있어선지 몰라도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rhythmgame_new1&no=386673&fcno=1203744&fpno=1203743|'''경기 생중계권을 약 6천엔'''에 판매]]하는 [[돈나미]]스러운 모습을 보여주면서 적지 않은 불만이 나오고 있다. 이는 EDP 2015 공연 전에 the 4th KAC 사볼 결승을 무료 중계 한 것과 대비된다. 결승전 영상은 10월 26일 수요일에 유튜브를 통해서 무료 공개된다. == 경기 전 예상 == ||<-4>
'''세트별 테마''' || || '''선봉전''' || '''차봉전''' || '''오장전''' || '''중견전''' || || '''{{{#purple CHARGE}}}''' || '''{{{#orange PEAK}}}''' || '''{{{#green CHORD}}}''' || '''{{{#blue SOF-LAN}}}''' || || '''삼장전''' || '''부장전''' || '''대장전''' || '''연장전''' || || '''{{{#fuchsia NOTES}}}''' || '''{{{#red SCRATCH}}}''' || '''{{{#green CHORD}}}[br]{{{#blue SOF-LAN}}}''' || '''{{{#fuchsia NOTES}}}[br]{{{#purple CHARGE}}}''' || ||<-4> {{{-3 ※연장전은 대장전까지 pt 동점일시에만 시행.}}} || >드디어 BPL S2 IIDX 파이널이 시작되었다! >총 7세트의 장기전을 치루는 이 싸움을 제압하고 어느 팀이 BPL 무대에 찬란하게 빛나는 우승 트로피를 거머지게 될 것인가! 선봉전부터 부장전까지는 포스트시즌과 동일하게 '''순위가 높은 팀부터 번갈아''' 테마를 배정하는 식으로 선정되었고, 대장전도 이와 비슷하게 진행되었으나, 배정하기 전에 테마 여섯 개 중 하나씩을 지우는('''BAN''') 과정이 이뤄져 남은 네 테마 중 두 테마가 배정되는 식으로 진행되었고, 마지막 남은 두 테마가 연장전의 테마로 선정되었다. 따라서 레귤러 스테이지 1위인 레져 랜드가 여기서 약간의 어드밴티지를 가져가게 되었다. 선정 결과 피크와 스크래치가 밴 되었고, 지력 계열 테마인 코드와 '''개인차가 큰 테마인 변속'''이 대장전의 테마가 되었다.[* 정황상 레져 랜드가 이길 확률이 낮고 유타카와 점수차가 크게 벌어질 수 있는 스크래치를 밴, 라운드 원은 그나마 유타카가 상대적으로 약한 피크를 밴한 것으로 보이며, 12렙 변속 대상곡들의 난이도를 생각하면 레져 랜드가 코드/라운드 원이 변속을 픽했을 가능성이 농후하다.] 그리고 마지막 남은 노트와 차지는 연장전의 테마가 되면서 대장전에 비하면 좀 더 지력에 가까운 세트가 되었다. 그 외에 유일한 12레벨 2pt 세트인 부장전에 개인차가 심한 스크래치가 들어가 있는 등 세미 파이널 경기와는 다른 양상으로 테마가 배치되었다. 덧붙여서, 레져 랜드 측의 우나무네 선수가 결승전 전날 트위터를 통해 [[https://twitter.com/u76ne_r/status/1580773440734126081|한 선수가 세트 두 개를 연이어 출전할 수 없음]]을 밝혔다. 이는 지난 시즌 포스트시즌과 결승전에서도 적용된 규칙이지만 이번 시즌의 규칙에는 누락된 내용이다.[* 쿼터파이널과 세미파이널도 마찬가지로 한 선수가 세트 두 개를 연속 출전할 수 없음을 레져 랜드 팀의 어드바이저 베어가 밝힌 바 있다.] 단, 연장전에 대한 내용은 연장전이 연속 세트 제한에 해당되지 않는다는 가정 하에 기술되었다. * 1pt 세트: '''{{{#purple CHARGE}}} - {{{#orange PEAK}}}''' 1pt 세트인 선봉전과 차봉전은 개인차 성향이 중간 쯤 되는 차지와 피크가 나왔다. 통상적인 경우라면 두 세트에 3,4지명 선수가 한 번씩 등장하며, 라원 측은 그를 따라 이가와를 차지 테마에 맞춰 __이가와-마코지__로 낼 것이다. 레져 랜드의 경우에는 4지명 우나무네의 특기 세트인 스크래치와 변속이 없지만, 4지명은 세트 하나만 뛰면 되니까 그래도 우나무네를 보낼 것이고, 선수 배치는 우나무네가 지난 시즌 유일하게 치뤘던 지력 테마에서 선곡한 [[PARANOiA MAX ~DIRTY MIX~]][* 지난 시즌 당시에는 노트 테마였다.]가 피크 테마에 있다는 것을 고려하여 __G*-우나무네__로 결정할 것이다. * 대장전 '''{{{#green CHORD}}}, {{{#blue SOF-LAN}}}''' 라운드 원은 볼 것도 없이 무조건 __유타카__가 등판할 것이다[* 12레벨로 유타카를 이기는 것 자체도 하늘의 별 따기인데다 현 IIDX 최고난도 패턴인 '''冥과 ICARUS 레겐다리아'''가 대장전의 테마 중 하나인 변속에 들어가 있어 지난 대장전처럼 디너쇼를 보여줄 수도 있기 때문에 라원에서 다른 선수가 나올 일은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다만 레져 랜드의 경우에는 유타카를 확실히 꺾을 선수가 없어 앞의 세트들에서 게임을 끝내야 하는 입장이라 선수 배치가 어느정도 자유로운 편인데, 코드 테마에 초점을 맞춰 __G*__를 내보낼 가능성이 높지만 유일하게 레져 랜드가 유타카에게 앞서는 12레벨인 1핀의 [[Triple Counter]]도[* 원래는 유타카의 곡이었으나 1핀이 캐스트아워 초기에 MAX-25로 기갱한뒤 약 10개월째 전일을 지키고 있다. 물론 기록보다 실전력이 더 중요한만큼 1핀이 저 점수를 고정적으로 낼 수 있냐가 중요하겠다.] 코드 테마라 __1핀__일 가능성도 있다. 대장전에서는 EX스트래티지를 쓸 수 없어 자선곡을 잃을 걱정이 없다는 점도 레져 랜드에게는 어찌보면 위안 요소. * 부장전: '''{{{#red SCRATCH}}}''' 상기한 세 세트의 예상 하에 라운드 원의 경우에는 2pt 세트들에 유타카 1회, 쿠레이 2회, 이가와 1회를 추가 배정해야 하며, 레져 랜드는 대장전 선수가 G*일시 1핀 2회, 다이나소 2회. 1핀일시 1핀 1회, 다이나소 2회, G* 1회를 더 배정해야 한다. 2pt 세트들 중 부장전은 유일하게 12레벨 세트인데, 개인차가 심한 스크래치가 테마로 선정되었다. 라운드 원 입장에선 쿠레이의 스크래치력이 영 불안하고, 이가와는 스크래치도 스크래친데 일단 12레벨 경기를 해본 적이 없다. 하지만 유타카를 대장전에 보내기 위해선 __쿠레이__가 들어갈 수 밖에 없기 때문에 라원 입장에서는 사실상 버리는 세트가 되어버린다.[* 아예 버릴거면 이가와를 넣어도 될 것 같지만, 후술할 11레벨 세트 배치에서 쿠레이가 지력 테마를, 유타카가 변속 테마를 맡는 비효율이 생겨 그럴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스크래치 부장전은 '''레져 랜드가 연속 출전 제한을 노리고 함정 배치'''를 한 것으로 점쳐진다. 레져 랜드의 입장에서는 대장전 선수가 G*라면 스크래치를 많이 뛰어본 __1핀__이 나올 것이고, 대장전 선수가 1핀이라면 라원 측 비에이스를 저격할 수 있는 __다이나소__가 나올 것이다. 다만 두 팀 중 한 팀이 EX스트래티지로 테마를 바꾸면 모든 상황이 달라질 수 있다. 꽤 골치 아픈 라원이든, 그런 라원을 골탕먹인 레랜이든 사용 가능성과 근거가 충분한 상태. * 11레벨 세트: '''{{{#green CHORD}}} - {{{#blue SOF-LAN}}} - {{{#fuchsia NOTES}}}''' 두 팀의 희비가 엇갈리기 시작하는 중요한 구간으로, 변속 테마가 걸린 중견전이 관건이다. 라운드 원은 상기한 예상들 하에 유타카, 쿠레이, 이가와가 11레벨 세트를 하나씩 맡게 된다. 이가와의 변속 경기력이 영 시원찮다는 것을 감안하면 지력 계열 테마가 걸린 오장전과 삼장전을 유타카와 이가와가, 그리고 남은 변속을 쿠레이가 맡을 것 같지만 삼장전에는 다이나소의 필살기 [[Illegal Function Call]]와 1핀이 전일을 가진 [[爆ゼニ☆がってんワーカー]], [[UNDERWORLD HOLOGRAPHY]]가 있어 유타카가 패배할 가능성이 있다.[* 뱀발이지만 지난 시즌 결승전에서 유타카의 충격패로 라원의 ~~멸망~~ 준우승에 결정타를 날린 곡인 [[murmur twins]]도 노트 테마 곡이다(...).] 그것까지 고려하면 최종 배치는 __유타카-쿠레이-이가와__가 될 것이다. 레져 랜드는 부장전과 마찬가지로 대장전 출전 선수에 따라 상황이 갈린다. 대장전 선수가 G*일시 __다이나소-1핀-다이나소__가 유일하고, 1핀일시 G*는 코드 테마를 따라 오장전, 다이나소는 부장전에 나가야 되니 중견전, 1핀은 자동으로 삼장전이 되어 __G*-다이나소-1핀__이 된다. * 종합 * 레져 랜드: __G*-우나무네-G*-다이나소-1핀-다이나소-1핀__[* 여담으로 이 로스터는 지난 시즌 챔피언 팀인 아피나 브레임즈의 결승전 로스터와 배치가 똑같다.] 또는 __G*-우나무네-다이나소-1핀-다이나소-1핀-G*__ * 라운드 원: __이가와-마코지-유타카-쿠레이-이가와-쿠레이-유타카__ * '''연속 세트 출전 제한''' 규칙이 대체로 레져 랜드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돌아가고 있다. 라운드 원의 로스터가 이 규칙 때문에 급격하게 한정되었고, 저격을 피하기도 어려워졌다. 반면에 레져 랜드는 대장전을 누구로 보내는가에 따라 로스터의 운신의 폭이 매우 넓어지고 예상 로스터상으로는 레져 랜드가 유타카에게 논개를 던지고 라운드 원의 아랫지명을 잡아먹거나 동일 지명끼리 맞붙는 경우가 많아 꽤 유동적이고 편리하게 선수를 배치할 수 있게 되었다. * EX스트래티지 지난 시즌과 달리 결승전에도 EX스트래티지가 주어진다. 단, 대장전에는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2pt 세트인 오장전~부장전 내에서 사용될 것이다. 그를 예상하는 것이 관건. 레져 랜드의 경우에는 이번에도 다이나소에게 맞출 가능성이 높고, 2순위로는 쿠레이 저격을 노릴 것이다. 부장전 사용시 둘 모두를 만족할 수 있기에 부장전에서 쓸 확률이 꽤 높고, 라운드 원도 테마 변경을 위해 부장전에 쓸 가능성이 높다. 즉, 부장전에서 EX스트래티지가 부딪힐 가능성이 높고, 만약 상대적으로 경기가 빠듯한 레져 랜드가 그를 우려할 경우에는 다이나소 버프와 쿠레이 저격 중 하나를 포기하고 11레벨 세트에서 쓰거나 로스터를 좀 더 변칙적으로 바꿀 가능성이 높다. * 정리 및 경기 공략 * 레져 랜드는 되도록 나머지 세 선수를 집중 공략해서 최대한 빨리 게임을 끝내려 할 것이다. 승리만 계속 한다고 가정하면 이론상 다섯 번째 세트인 삼장전의 자선곡에서 조기 우승을 확정지을 수 있다. 하지만 유타카가 최소 한 번은 11레벨 세트를 뛰어야 하고, 라원도 EX 스트래티지와 유타카로 pt 획득을 방해할 것이며, 유타카 외 선수들로부터 딸 수 있는 최대 포인트가 16pt기 때문에 상당히 빡센 경기가 된다. 그렇기 때문에 유타카를 한번이라도 이기는 것이 좋으며, 그를 위한 비장의 한 수를 준비해야 하는 상황. * 라운드 원의 경우에는 유타카가 2pt 세트 하나와 대장전에서 세트승을 거둔다 하더라도 승리를 위한 최소 pt에서 4pt가 부족하기 때문에 나머지 선수들의 활약이 필요하다. 따라서, 그 부족한 pt를 벌기 위해서 유타카 외 선수들은 '''자선곡을 빡세게 준비해서 버티는 방향'''으로 나올 것이며, 3pt밖에 못 따서 13대 13으로 동점이 되더라도 연장전에는 그렇게 개인차가 심한 패턴이 없어 유타카가 세트승을 딸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무승부를 노릴 수도 있다. 물론 이는 어디까지나 유타카가 10pt를 거둔다는 전제 하의 이야기이며, 유타카가 실점해버리면 그만큼 나머지 팀원들이 메워야 하기 때문에 상황이 급해진다. * 만약 대장전까지 동점에 연장전도 무승부가 되면 모든 경기의 점수 합계로 우승 팀을 가린다. 즉, 같은 pt라도 아슬아슬하게 이긴 쪽보다 압승을 더 많이 거둔 팀이 이기게 된다. 이 부분도 12레벨에서 뾰족한 활약이 부족해 유타카에게 큰 점수차로 질 위험이 큰 레져 랜드에게 다소 불리하게 돌아갈 수 있다. 물론 이는 무승부의 무승부가 발생했을 때 이야기니 실제로 이어질 가능성은 적은 편. * 또한, BPL 사상 처음으로 수 많은 관중들 앞에서 경기를 치룬다는 지금까지의 경기들과 꽤 다른 무대 환경이 조성되며, 그로 인한 긴장을 이기는 것도 선수들에게 필요하게 되었다. 이 점에 있어서는 아무래도 KAC 결승전을 많이 겪어본 유타카와 다이나소가 상당히 유리할 것으로 보인다. == 경기 진행 == 점수 우측에 붙은 위첨자 ^^FC^^는 FULL COMBO 달성을 의미한다. ||<-5> '''출전 로스터''' || || '''팀''' || '''선봉전[br]{{{-3 {{{#purple CHARGE}}}}}}''' || '''차봉전[br]{{{-3 {{{#orange PEAK}}}}}}''' || '''오장전[br]{{{-3 {{{#green CHORD}}}}}}''' || '''중견전[br]{{{-3 {{{#blue SOF-LAN}}}}}}''' || || '''LEISURE LAND''' || '''U76NER''' || '''G*''' || '''DINASO''' || '''1-PIN''' || || '''ROUND1''' || '''I6VV''' || '''MAKO-G''' || '''KUREI''' || '''U*TAKA''' || ||<-5>{{{#!wiki style="margin: -16px -11px" || '''팀''' || '''삼장전[br]{{{-3 {{{#fuchsia NOTES}}}}}}''' || '''부장전[br]{{{-3 {{{#red SCRATCH}}}}}}''' || '''대장전[br]{{{-3 {{{#green CHORD}}}, {{{#blue SOF-LAN}}}}}}''' || || '''LEISURE LAND''' || '''DINASO''' || '''1-PIN''' || '''G*''' || || '''ROUND1''' || '''KUREI''' || '''I6VV''' || '''U*TAKA''' || }}}|| ##연장전 돌입시 아래 템플릿을 사용. ##||<-5> '''출전 로스터''' || ##|| '''팀''' || '''선봉전[br]{{{-3 {{{#purple CHARGE}}}}}}''' || '''차봉전[br]{{{-3 {{{#orange PEAK}}}}}}''' || '''오장전[br]{{{-3 {{{#green CHORD}}}}}}''' || '''중견전[br]{{{-3 {{{#blue SOF-LAN}}}}}}''' || ##|| '''LEISURE LAND''' || '''★선봉전선수1''' || '''★차봉전선수1''' || '''★오장전선수1''' || '''★중견전선수1''' || ##|| '''ROUND1''' || '''★선봉전선수1''' || '''★차봉전선수1''' || '''★오장전선수1''' || '''★중견전선수1''' || ##|| '''팀''' || '''삼장전[br]{{{-3 {{{#fuchsia NOTES}}}}}}''' || '''부장전[br]{{{-3 {{{#red SCRATCH}}}}}}''' || '''대장전[br]{{{-3 {{{#green CHORD}}}, {{{#blue SOF-LAN}}}}}}''' || '''연장전[br]{{{-3 {{{#fuchsia NOTES}}}, {{{#purple CHARGE}}}}}}''' || ##|| '''LEISURE LAND''' || '''★선봉전선수1''' || '''★차봉전선수1''' || '''★오장전선수1''' || '''★중견전선수1''' || ##|| '''ROUND1''' || '''★선봉전선수1''' || '''★차봉전선수1''' || '''★오장전선수1''' || '''★중견전선수1''' || ||<-7>|| ||<-3> '''U76NER''' || {{{#fff '''선봉전: CHARGE'''}}} ||<-3> '''I6VV''' || || '''점수''' ||<-2> '''{{{#000,#fff 결과}}}''' || '''선곡''' ||<-2> '''{{{#000,#fff 결과}}}''' || '''점수''' || || '''1476'''^^FC^^ || '''승''' || '''1''' || [[真夏の花・真夏の夢|{{{#FF1D84 真夏の花・真夏の夢}}}]][br]{{{-2 ANOTHER LV.9}}} || 0 || 패 || 1469 || || 2482 || 패 || 1 || [[soldier's waltz|{{{#D80C18 soldier's waltz}}}]][br]{{{-2 ANOTHER LV.10}}} || '''1''' || '''승''' || '''2494''' || ||<-7> || ||<-3> '''G*''' || {{{#fff '''차봉전: PEAK'''}}} ||<-3> '''{{{#fff MAKO-G}}}''' || || '''점수''' ||<-2> '''{{{#000,#fff 결과}}}''' || '''선곡''' ||<-2> '''{{{#000,#fff 결과}}}''' || '''점수''' || || '''2255'''^^FC^^ || '''승''' || '''2''' || [[Backyard Stars|{{{#FF1D84 Backyard Stars}}}]][br]{{{-2 ANOTHER LV.10}}} || 1 || 패 || 2220^^FC^^ || || 1377^^FC^^ || 패 || 2 || [[Darling my LUV|{{{#D80C18 Darling my LUV}}}]][br]{{{-2 ANOTHER LV.8}}} || '''2''' || '''승''' || '''1380'''^^FC^^ || ||<-7> || ||<-3> '''DINASO''' || {{{#fff '''오장전: CHORD'''}}} ||<-3> '''{{{#fff KUREI}}}''' || || '''점수''' ||<-2> '''{{{#000,#fff 결과}}}''' || '''선곡''' ||<-2> '''{{{#000,#fff 결과}}}''' || '''점수''' || || '''2690'''^^FC^^ || '''승''' || '''4''' || [[Discloze|{{{#FF1D84 Discloze}}}]][br]{{{-2 ANOTHER LV.11}}} || 2 || 패 || 2682 || || '''3323'''^^FC^^ || '''승''' || '''6''' || [[SOUND OF GIALLARHORN|{{{#D80C18 SOUND OF GIALLARHORN}}}]][br]{{{-2 ANOTHER LV.11}}} || 2 || 패 || 3297^^FC^^ || ||<-7> || ||<-3> '''1-PIN''' || {{{#fff '''중견전: SOF-LAN'''}}} ||<-3> '''{{{#fff U*TAKA}}}''' || || '''점수''' ||<-2> '''{{{#000,#fff 결과}}}''' || '''선곡''' ||<-2> '''{{{#000,#fff 결과}}}''' || '''점수''' || || 2701^^FC^^ || 패 || 6 || [[(This Is Not) The Angels|{{{#FF1D84 (This Is Not) The Angels}}}]][br]{{{-2 ANOTHER LV.11}}} || '''4''' || '''승''' || '''2716'''^^FC^^ || || 2589^^FC^^ || 패 || 6 || [[D(BEMANI 시리즈)|{{{#D80C18 D}}}]][br]{{{-2 ANOTHER LV.11}}} || '''6''' || '''승''' || '''2596'''^^FC^^ || ||<-7> || ||<-3> '''DINASO''' || {{{#fff '''삼장전: NOTES'''}}}[*X 양 팀 모두 EX스트래티지 카드를 사용하여 선곡 유지.] ||<-3> '''{{{#fff KUREI}}}''' || || '''점수''' ||<-2> '''{{{#000,#fff 결과}}}''' || '''선곡''' ||<-2> '''{{{#000,#fff 결과}}}''' || '''점수''' || || '''2678''' || '''승''' || '''8''' || [[時空トラベローグ|{{{#FF1D84 時空トラベローグ}}}]][*X 양 팀 모두 EX스트래티지 카드를 사용하여 선곡 유지.][br]{{{-2 ANOTHER LV.11}}} || 6 || 패 || 2665 || || 3256 || 패 || 8 || [[UNDERWORLD HOLOGRAPHY|{{{#D80C18 UNDERWORLD HOLOGRAPHY}}}]][*X 양 팀 모두 EX스트래티지 카드를 사용하여 선곡 유지.][br]{{{-2 ANOTHER LV.11}}} || '''8''' || '''승''' || '''3263''' || ||<-7> || ||<-3> '''1-PIN''' || {{{#fff '''부장전: SCRATCH'''}}} ||<-3> '''{{{#fff I6VV}}}''' || || '''점수''' ||<-2> '''{{{#000,#fff 결과}}}''' || '''선곡''' ||<-2> '''{{{#000,#fff 결과}}}''' || '''점수''' || || '''3046''' || '''승''' || '''10''' || [[Lords Of The Roundtable|{{{#FF1D84 Lords Of The Roundtable}}}]][br]{{{-2 ANOTHER LV.12}}} || 8 || 패 || 3003 || || 3563 || 패 || 10 || [[バッド・スイーツ、バッド・ドリーム|{{{#D80C18 バッド・スイーツ、バッド・ドリーム}}}]][br]{{{-2 ANOTHER LV.12}}} || '''10''' || '''승''' || '''3564''' || ||<-7> || ||<-3> '''G*''' ||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fff '''대장전: CHORD, SOF-LAN'''}}}}}} ||<-3> '''{{{#fff U*TAKA}}}''' || || '''점수''' ||<-2> '''{{{#000,#fff 결과}}}''' || '''선곡''' ||<-2> '''{{{#000,#fff 결과}}}''' || '''점수''' || || 2979 || 패 || 10 || [[Sounds Of Summer|{{{#FF1D84 Sounds Of Summer}}}]][br]{{{-2 ANOTHER LV.12}}} || '''13''' || '''승''' || '''2998'''^^FC^^ || || 2683 || 패 || 10 || [[ピアノ協奏曲第1番 "蠍火"|{{{#D80C18 ピアノ協奏曲第1番 "蠍火"}}}]][br]{{{-2 ANOTHER LV.12}}} || '''16''' || '''승''' || '''2735''' || ##연장전 진행시 각주를 지우고 아래 내용을 덧붙일 것. ##||<-7> || ##||<-3> '''★연장전선수1''' || {{{#fff '''연장전: NOTES, CHARGE'''}}} ||<-3> '''{{{#fff ★연장전선수2}}}''' || ##|| '''점수''' ||<-2> '''{{{#000,#fff 결과}}}''' || '''선곡''' ||<-2> '''{{{#000,#fff 결과}}}''' || '''점수''' || ##|| ★점수1f^^FC^^ || ★승무패1f || ★pt1f || [[★연장전선곡1|{{{#FF1D84 ★연장전선곡1}}}]][br]{{{-2 ANOTHER LV.12}}} || '''★pt2f''' || '''★승무패2f''' || '''★점수2f'''^^FC^^ || ##|| '''★점수1g'''^^FC^^ || '''★승무패1g''' || '''★pt1g''' || [[★연장전선곡2|{{{#D80C18 ★연장전선곡2}}}]][br]{{{-2 ANOTHER LV.12}}} || ★pt2g || ★승무패2g || ★점수2g || ||<-7> || ||<-3> '''LEISURE LAND''' ||<|2> {{{#fff '''최종 결과'''}}} ||<-3> '''{{{#fff ROUND1}}}''' || ||<-3> 준우승 ||<-3> '''우승''' || === 총평 === 여러 고난과 역경을 뚫고 결승까지 올라온 레저 랜드였지만, 마찬가지로 승리를 위해 칼을 갈아온 라운드 원에게 결국 무릎을 꿇으면서 레져 랜드의 눈부신 활약은 결국 레귤러 1위와 결승 진출에 그치며 [[북산엔딩]]이 되어버렸다. 라운드 원은 레귤러 스테이지에서 제일 지적받았던 '''심해진 유타카의 의존도'''가 세미파이널을 거쳐 결승전에서도 상당히 보완되었음을 보여주었다. 포스트시즌에서 유타카에게 좋은 배턴을 넘겨주자고 약속한 비에이스들은 마치 지난 시즌 아피나 브레임즈처럼 제대로 각 잡고 실력을 갈고 닦았고, 그 결과 마코지는 G*를 상대로 자선곡을 방어하는데 성공, 쿠레이는 비록 오장전을 전패했으나, 삼장전에서 끝내 자선곡을 지켜 라원 쪽으로 게임을 꺾었고, 결정적으로 '''이번 시즌에서 제일 지적이 많았던 선수들 중 한명'''이었던 이가와는 '''에이스 1핀을 상대로 업셋'''을 터뜨리는 포텐을 터뜨리며 팀에서 유타카 다음으로 제일 많은 득점을 거두며 우승의 주역으로 등극했다. 덕분에 유타카가 등판하는 세트까지 게임을 무승부로 버틸 수 있었고, 유타카 역시 세트승으로 비에이스들의 노력을 승리로 연결지어주었다. 반면 레져 랜드는 차봉전까지 총 2pt를 실점하면서 불안한 스타트를 끊었다. 우나무네는 테마와 상대를 감안하면 그래도 선방은 했다는 느낌이 있지만 G*가 마코지의 선곡에서 패한 것이 패인이었다. 이 무승부 상황이 중견전 종료 시점까지 이어지며 삼장전과 부장전을 모두 이겨야 하는 어려움에 처했고, 끝내 삼장전에 출전한 다이나소가 쿠레이에게 결국 1승을 허락, 부장전에 나간 1핀 역시 이가와에게 난데없는 패배를 맞으며 핀치에 몰렸다. 팀에서 제일 중요한 두 선수가 제일 중요한 순간에 활약을 하지 못한 결과, 조커 카드로서 대장전에 등판한 G*는 유타카를 세트 째로 꺾어야 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고, 유타카의 선곡은 커녕 자선곡도 결국 패배하며 허무씁쓸하게 준우승을 받아들여야 했다. 라운드 원의 우승으로 BPL 프리퀄 시즌부터 이어져온 '''정규시즌 1위가 준우승, 정규시즌 2위가 우승'''하는 징크스가 계속 이어졌다. ~~또한 다이나소는 투덱에서도 콩라인으로 등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