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이펙터]] ||<-2> '''{{{#White {{{+2 BOSS BD-2}}}[br]Blues Driver}}}''' || ||<-2> {{{#!wiki style="margin: 10px 10px" [[파일:bd-2.jpg|width=50%]]}}} || || '''{{{#White 제작 시기}}}''' || [[1995년]] ~ || || '''{{{#White 제작사}}}''' || [[BOSS]] || || '''{{{#White 종류}}}''' || [[오버드라이브(음향기기)|오버드라이브]], [[디스토션(음향기기)|디스토션 이펙터]] || || '''{{{#White 형태 분류}}}''' || 스톰프박스 페달 || [목차] [clearfix] == 개요 == '''BOSS BD-2'''는 [[일본]]의 전기/전자악기 제작사인 [[Roland]]의 서브 브랜드 [[BOSS]]에서 [[1995년]]에 처음 출시한 [[일렉트릭 기타]]용 [[오버드라이브(음향기기)|오버드라이브]]/[[디스토션(음향기기)|디스토션]] 이펙터이다. == 역사 == [[미국]]의 대중음악계는 [[1990년대]]에 들어서며 [[메탈(음악)|메탈]]의 시대가 저물고 [[너바나(밴드)|너바나]], [[소닉 유스]], [[펄 잼]] 등을 위시한 [[그런지 록|그런지]], [[얼터너티브 록]] 밴드들로 채워지게 된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조금이나마 명맥을 이어가던 [[블루스]] 기타리스트들 또한 메탈이 저문 이 시기에 소소하게나마 주목을 받게 되는데, [[에릭 클랩튼]], [[게리 무어]], [[스티비 레이 본]] 같은 인물들이 보다 대중친화적으로 개량된 [[블루스]] 음악들을 들고나오며 제법 큰 흥행을 누린다. [[BOSS]]는 이러한 블루스 음악의 리바이벌, 그리고 이런 음악들이 당시 미국 음악계의 주류가 된 [[그런지 록]] 음반들보다 더욱 오랫동안 차트에 머무는 모습을 보고 여전히 이러한 음악들의 수요가 꾸준히 존재한다는 것을 인지한 뒤, 블루스를 포함한 다양한 관련 장르에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드라이브 페달의 개발하기 시작한다. BOSS는 적게는 [[오버드라이브(음향기기)|오버드라이브]] 수준의 약한 왜곡부터 많게는 [[디스토션(음향기기)|디스토션]] 수준으로 강한 왜곡까지 이 모든 음색을 하나의 페달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을 원했고, 그렇게 BD-2가 탄생하게 된다. [[1995년]]에 처음으로 세상에 모습을 드러낸 BD-2는 비록 그 전부터도 잘 판매되던 [[BOSS]]의 다른 이펙터들에 비하면 그 존재감은 약간 부족하였으나, 발매 당시부터 현재까지도 다양한 장르의 수많은 기타리스트들이 선택하며 수많은 음반들에 그 족적을 남긴다. == 상세 == === 사운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0mi5ILzTGks,width=100%,height=270)]}}}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11GbTlOaO6s,width=100%,height=270)]}}} || ||<-2> '''BD-2의 사운드 데모''' || '''[[BOSS]]에서 개발한 드라이브 페달들 중에는 그 범용성이 대단히 넓은 제품으로 꼽힌다.''' 위의 역사 문단에서 볼 수 있듯, 이 이펙터는 [[오버드라이브(음향기기)|오버드라이브]]부터 [[디스토션(음향기기)|디스토션]]에 가까운 소리까지 폭 넓게 낼 수 있도록 설계되었고, 실제 게인 노브를 돌렸을 때의 반응성이 매우 높고, 드라이브의 질감이 휙휙 바뀌는 편이다. 이게 어느정도냐면, 게인 노브를 가장 낮게 두면 약간의 크런치한 톤이, 대략 10시 ~ 11시를 넘어가면 슬슬 더티한 크런치 톤과 디스토션 리드 사이의 사운드가 나오며, 3시를 넘어가면 (기타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지만) 거의 하이게인 디스토션이나 [[퍼즈(음향기기)|퍼즈]](!)에 근접하는 사운드가 나오기도 한다. 이름처럼 [[블루스]]에 사용하는 것도 훌륭한 선택이긴 하나, 실제로 사용하는 아티스트들을 보면 블루스 아티스트들만 있지는 않다. 이 페달이 내어줄 수 있는 사운드의 범위가 얼마나 넓은지를 보여주는 사례라고 볼 수 있다. == 관련 모델 == === 파생 모델 === ==== BD-2W Blues Driver ==== == 사용자 == === 현실 === * [[존 메이어]] * [[빌리 조 암스트롱]] ([[그린 데이]]) * [[톰 모렐로]] ([[레이지 어게인스트 더 머신]], [[오디오슬레이브]]) * [[프린스(음악가)|프린스]] * [[디 에지]] ([[U2]]) * [[비니 무어]] * [[겜 아처]] ([[오아시스(밴드)|오아시스]], [[Noel Gallagher's High Flying Birds]]) * [[LUNA SEA#s-3.3|이노란]] ([[LUNA SEA]]) * 타부치 히사코 ([[넘버걸]]) * 링컨 브루스터 * 잭 타마랏 * 브레드 페이즐리 === 가상 === * [[고토 히토리]][* [[외톨이 THE ROCK!]]에서 [[:파일:Bocchi_the_Rock_Ep.12_Hitori_Effects_Board.jpg|묘사된 페달보드]]에 BD-2를 연상케하는 파란색 이펙터가 있으며, 8화에서 [[あのバンド]]를 연주하기 직전에 [[:파일:guitar Hero.gif|이걸 밟아 작동시키는 묘사]]도 등장한다. 작화상에서 완전 똑같은 모습으로 그리지 못한 이유는 해당 디자인이 [[BOSS]]의 고유 디자인이라 사용에 허가가 필요했는데, 이를 받지 못했었기 떄문이라고.] ([[결속밴드]]) - [[봇치 더 록!]] == 여담 == * [[외톨이 THE ROCK!]] 애니메이션 8화에서 작중 주인공 [[고토 히토리]]가 [[あのバンド]]를 연주하기 직전에 이걸 밟아 작동시킨 뒤 단독으로 즉흥 애드립을 넣는 장면이 등장한다. 해당 장면이 작중에서 처음으로 완전체 멤버가 관객들 앞에 선 라이브 장면이었다는 점. 그리고 멤버들이 점점 무너져가는 절망적인 상황에서 이 애드립을 시작으로 멤버 전체가 느슨해진 페이스를 붙잡고 성공적으로 라이브를 마무리하는 모습까지 보여주었기에 시청자들에게 매우 임팩트 있는 장면으로 각인되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5tc14WHUoMw,width=100%,height=250)]}}} || || '''[[외톨이 THE ROCK!]] 애니메이션 8화 中''' || * 이름이 비슷한 [[Marshall|마샬]]의 블루스 브레이커(Bluesbreaker) 페달과 혼동하는 경우가 있는데, 둘은 사운드의 성향적으로나, 내부 구조적으로나 전혀 다른 페달이다. 블루스 드라이버는 [[블루스]]와 여타 장르들에 적합한 드라이브 페달을 목표로 개발된 이펙터이며, 블루스브레이커는 마샬에서 개발한 동명의 기타 앰프 사운드를 스톰프박스 이펙터로 재현하기 위해 만든 것이기 때문. * 하이엔드 수제 이펙터 제작 업체인 [[JHS Pedals]]의 탄생에 큰 기여를 한 제품이기도 하다. JHS Pedals의 설립자 조쉬 스콧이 본인의 고장난 BD-2를 수리하기 위해 기타 이펙터의 구조를 공부하였고, 이를 계기로 기존 이펙터들을 모딩하여 재판매하는 소일거리를 하다가 아예 본격적으로 사업을 시작하면서 탄생했기 때문. 이후 JHS Pedals에서 [[2017년]]에 실제로 [[성공한 덕후|본인이 지금과 같은 사업을 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준 BOSS와의 협업까지 성사시키며]] 콜라보레이션 이펙터인 [[https://www.boss.info/us/products/jb-2/|JB-2]]를 내놓는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일렉트릭 기타)] [Include(틀:BO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