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 [[파일:Arirang Radio 로고.png|width=180]]||{{{#ED1846 '''{{{+1 Arirang Radio}}}'''[br]아리랑 라디오[br]아리랑 제주FM방송}}} ||}}} || ||<-2> '''국가'''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대한민국]] || ||<-2> '''개국''' ||[[2003년]] [[9월 1일]] (FM 라디오) || ||<-2> '''운영 중단''' ||[[2012년]] [[8월 31일]] (위성 DMB)[br][[2023년]] [[12월 31일]] (지상파 DMB)[br][[2024년]] [[3월 31일]] (siriusXM) || ||<-2> '''구분''' ||[[지상파]] [[라디오]] || ||<-2> '''유형''' ||[[공영방송]] || ||<-2> '''장르''' ||[[종합편성채널|라디오 종합편성채널]] || ||<-2> '''분야''' ||외국인 대상의 뉴스, 음악, 예능, 인사이트 || ||<-2> '''호출부호''' ||HLQE-FM[* [[https://kcc.go.kr/user.do?mode=view&page=A05020000&dc=K05020000&boardId=1112&cp=2&searchKey=ALL&searchVal=%EC%9E%AC%ED%97%88%EA%B0%80&boardSeq=47601|출처(방통위 재허가 의견청취 요약문 중 국제방송교류재단 참조)]] 그간 호출부호가 [[KFN 라디오]]가 사용 중인 HLSE-FM이나 HLSF-FM으로 잘못 알려져 있었다. HLSE는 [[KFN 라디오]]에서 사용하는 호출부호, HLSF는 현재 사용하지 않는 호출부호가 맞으며, 아리랑 라디오는 방통위 자료를 통해 해당 호출부호를 사용하고 있는 것이 밝혀졌다. 참고로 HLQE는 과거 [[KBS강릉방송국|KBS강릉]] [[KBS 제1라디오|1라디오]] 사북중계소에서 사용했던 적이 있으며 [[KBS울산방송국|KBS울산]] [[KBS 2TV|2TV]](HLQE-DTV)에서도 사용 중이다.] || ||<-2> {{{#FFF '''주파수'''}}} ||'''88.7㎒'''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ED1846,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 내용=제주)]|'''88.1㎒'''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ED1846,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 내용=서귀포)]|'''101.9㎒'''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ED1846,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 내용=대정읍)] || ||<|2> {{{#!wiki style="margin: 0 -20px" '''방송[br]품질'''}}} || {{{#!wiki style="margin: 0 -20px" '''FM'''}}} ||[[스테레오포닉 사운드|[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ED1846,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 내용=FM-AM 파일럿 톤 스테레오)]]] || || {{{#!wiki style="margin: 0 -10px" '''인터넷'''}}} ||[[AAC|[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ED1846,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 내용=MPEG-4 AAC)]]]{{{-3 (Part.3, 128/256kbps[*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비트레이트가 변경된다.])}}} || ||<-2> '''언어''' ||[[영어]] || ||<|2> {{{#!wiki style="margin: 0 -20px" '''가청취[br]권역'''}}} || {{{#!wiki style="margin: 0 -20px" '''FM'''}}} ||[[제주특별자치도]] || || {{{#!wiki style="margin: 0 -10px" '''인터넷'''}}} ||[[대한민국]], [[세계]] 전역 || ||<-2> '''운영''' ||[[국제방송교류재단]] 방송본부 || || {{{#!wiki style="margin: 0 -30px" '''방송[br]책임'''}}} || {{{#!wiki style="margin: 0 -10px" '''편성'''}}} ||황명수 ,,(스마트라디오팀장),, || ||<-2> '''소유''' ||[[국제방송교류재단]] || [목차] [clearfix] == 개요 == Arirang Radio는 [[국제방송교류재단]]의 국내 최초의 영어 라디오 방송으로서 K-Pop을 비롯한 한국의 문화, 생활정보, 드라마, 영화, 문학, 트렌드, 음식, 국내·외 뉴스 등을 제주FM, 애플리케이션, 홈페이지 On Air 서비스로 제공하고 있다. 한국 문화의 다채로움과 한국 사회의 생생한 면모를 전달함과 동시에 국제 사회 이슈에 동참하고 세계 각국의 사람들과의 소통을 통해 글로벌 문화 외교의 장으로서 역할하고 있다. == 편성표 == [include(틀:Arirang Radio)] === 아침(오전 7시 ~ 오전 9시) === ==== Good Morning Seoul (평일 7:00 ~ 9:00) ==== 아침 시사 프로그램이다. ==== K-Pop Mix (재방송, 주말 7:00 ~ 8:00) ==== ==== Just Dance (재방송, 주말 8:00 ~ 9:00) ==== === 아침/낮/저녁(오전 9시 ~ 오후 6시) === ==== #DaliyK (9:00 ~ 10:55 (주말 11:00)) ==== ==== Arirang NEWS (평일 10:55 ~ 11:00) ==== ==== PLAY11ST UP (11:00 ~ 12:00) ==== [[케이트 킴]]이 진행하는 음악 프로그램. ==== The Request Stop (12:00 ~ 12:55 (주말 13:00)) ==== ==== Arirang NEWS (평일 12:55 ~ 13:00) ==== ==== K-Poppin' (13:00 ~ 14:55 (주말 15:00)) ==== [[파일:K-POPPIN 로고.png|width=150px]] [[이삭 N 지연]]의 [[이삭(가수)|이삭]]이 진행하는 K-Pop 프로그램. ==== Arirang NEWS (평일 14:55 ~ 15:00) ==== ==== Radio' Clock (15:00 ~ 15:55 (주말 16:00)) ==== [[레이디스 코드]]의 [[애슐리(레이디스 코드)|애슐리]]가 진행하는 프로그램. ==== Arirang NEWS (평일 15:55 ~ 16:00) ==== ==== Super K-Pop (16:00 ~ 17:55 (주말 18:00)) ==== [[파일:Super K-Pop 로고.png|width=150px]] 가수 아이반이 진행하는 K-Pop 프로그램이다. ==== Arirang NEWS (평일 17:55 ~ 18:00) ==== === 저녁/밤(오후 6시 ~ 밤 12시) === ==== Korea Now (평일 18:00 ~ 19:55) ==== 저녁 시사 프로그램이다. ==== Arirang NEWS (평일 19:55 ~ 20:00) ==== ==== K-Pop Mix (재방송, 주말 18:00 ~ 19:00) ==== ==== Just Dance (재방송, 주말 19:00 ~ 20:00) ==== ==== Radio'n Us (20:00 ~ 21:55 (주말 22:00)) ==== [[서사무엘]]이 진행하는 음악 프로그램이다. ==== Arirang NEWS (평일 21:55 ~ 22:00) ==== ==== Wonders Of Jeju (22:00 ~ 23:55 (주말 0:00)) ==== 제주도에 대해 소개하는 프로그램이다. ==== JEJU NEWSLINE (평일 23:55 ~ 0:00) ==== === 심야(밤 12시 ~ 새벽 6시) === ==== K-Pop Mix (0:00 ~ 1:00) ==== K-Pop 노래를 선곡하는 BGM 프로그램이다. ==== Just Dance (1:00 ~ 2:00) ==== 댄스 노래를 위주로 선곡하는 BGM 프로그램이다. ==== K-Poppin' (재방송, 2:00 ~ 4:00) ==== ==== Super K-Pop (재방송, 4:00 ~ 6:00) ==== === 아침(오전 6시 ~ 오전 7시) === ==== Radio' Clock (재방송, 6:00 ~ 6:57) ==== ==== [[This is Arirang Radio]][* 애국가 1절+방송개시멘트] (6:57 ~ 7:00) ==== == AOD == AOD에서는 지난 라디오와 스크립트를 확인할 수 있다.[* 노래는 저작권상 제공하고 있지 않다.] == VOD == [[https://www.youtube.com/channel/UCUSSnoEQ8DSRK-gnWS0vfyA|VOD]]에서는 지난 라디오에 출연한 게스트의 모습을 유튜브 채널 Arirang Radio K-Pop을 통해 시청할 수 있다. == 송출 == 2023년까지만 해도 송출 수단이 많았으나 윤석열 정부가 국제방송교류재단에 제공하는 예산을 감축하면서 점정 송출 수단이 축소되고 있다. 이 추세가 이어진다면 FM마저 폐국하고 인터넷 라디오로 축소될 수도 있다. === FM === ||
'''{{{#ffffff 호출부호}}}''' || '''{{{#ffffff 주파수}}}''' || {{{#white '''출력[br](W)'''}}} || '''{{{#ffffff 송신소}}}''' || '''{{{#ffffff 송신지점}}}''' || '''{{{#ffffff 가청권역}}}''' || '''{{{#ffffff 비고}}}''' || ||<|4> HLQE-FM || 88.7㎒ || 3k || 견월악 || 제주 제주시 봉개동 산78-1 (제주방송) || 제주시(애월·조천·구좌·우도)·해남[* 해남읍 이남]·완도 || || || 88.1㎒ || 1k || 삼매봉 || 제주 서귀포시 서홍동 822-1 (제주방송) || 서귀포시(남원·표선) || || || 88.1㎒ || 100 || 어 음 || 제주 제주시 애월읍 어음리 산72-4 || 제주(애월, 한림) || || || 101.9㎒ || 100 || 광해악 || 제주 서귀포시 안덕면 서광리 937 (KBS제주) || 서귀포(안덕, 대정)·제주(한경) || || === DMB(폐국) === 제주도로 한정된 방송 커버리지를 극복하기 위해 2005년 태동기였던 DMB 방송으로 진출을 시도했다. ==== 위성DMB ==== 가장 먼저 진출한 곳은 전국 위성DMB 서비스였던 tu였다. 2005년 9월 1일 오디오 채널로 서비스를 개시해 2012년 8월 31일 전국 위성DMB SO인 tu와 함께 서비스 종료. 커버리지는 가장 넒었지만 tu가 유료 플랫폼이라 달마다 구독료를 내야 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 지상파DMB ==== 이후 2005년 12월 1일에는 서울과 수도권 지상파DMB 본방송 개시와 함께 MBC 앙상블 내 오디오 채널로 서울과 수도권에 진출해 서비스를 시작했다. 처음에는 앞서 말했듯 오디오 채널로 방송되었으나 2009~10년경부터 보이는 라디오 형식의 비디오 채널로 전환했으며, 2년 뒤인 2012년에는 SBS 앙상블로 옮겨가 18년을 막 지난 2023년 12월 31일까지 방송되었다. 커버리지는 전국 위성DMB에 비해 모자랐지만 대신 방송구역 내에서는 별도의 구독료 없이 수신할 수 있었다. 서비스 종료의 사유는 방송국 운영의 주체인 국제방송교류재단에 대한 윤석열 정부의 예산 감축 때문이라고 보는 영향이 우세하며, 방송 진출 당시와는 다르게 DMB 자체가 사양산업이 됐기 때문에 별다른 영향은 없겠으나 수도권에 체류한 영미권 외국인에게 한국 문화를 홍보할 창구가 하나 없어진 건 아쉬운 부분. 호출부호는 HLKV-TDMB → HLSQ-TDMB순으로 변화했으며, 보이는 라디오 송출 당시 영상부는 AVC 규격이 적용된 JPEG 화상을 8초당 1프레임(32kbps)으로, 음성부는 [[AAC|MPEG-4 Part.3 BSAC]] 코덱이 적용된 음성을 160kbps로, 총합 192kbps로 송출했다. === 위성 라디오(폐국) === 2017년 9월 1일부터는 미국의 위성 라디오 사업자 SiriusXM과 손잡고 미국 전역에 진출했다. 채널명은 로, SiriusXM이 탑재된 카오디오에서 Ch.144로 청취할 수 있었으며 음성부는 독자적인 PAC 코덱을 사용했다. 역시 국제방송교류재단에 대한 윤석열 정부의 예산 감축으로 인해 3월 31일을 끝으로 서비스 종료. === 인터넷 라디오 === 자사 홈페이지를 비롯한 여러 인터넷 플랫폼으로도 FM방송을 재송출하고 있으며 DMB와 위성 라디오가 폐국한 현재 제주특별자치도 외의 지역에서 Arirang Radio를 들을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이다. 송출 코덱의 경우 음성부는 MPEG-4 Part.3 AAC 코덱을 사용하며 이 코덱이 적용된 음성을 회선/통신파 상황에 맞춰 가변(VBR)으로 송출하고 있다.(최소 128/최대 256kbps) == SNS == [[https://www.facebook.com/arirangradio|페이스북]] [[https://www.instagram.com/arirangradio|인스타그램]] [[https://twitter.com/arirangradio|트위터]] == 둘러보기 == [include(틀:대한민국의 라디오 방송)] [include(틀:대한민국의 외국어 전문방송)] [[분류:Arirang TV]][[분류:라디오 방송]][[분류:국제방송]][[분류:2003년 설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