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음이의어는 [[에이콘]] 문서 참고. ||<-2> [[파일:에이콘고화질.jpg|width=100%]] || || '''본명''' ||'''Aliaune Damala Badara Akon Thiam[BR]알리아우네 다말라 바다라 에이콘 시암'''|| || '''이름''' ||'''Akon (에이콘)'''|| ||<|2> '''출생''' ||[[1973년]] [[4월 16일]] ([age(1973-04-16)]세)|| ||[[미국]] [[미주리]] 주 [[세인트루이스]]||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신장''' ||180cm|| || '''직업''' ||[[싱어송라이터]], [[프로듀서]], [[사업가]]|| || '''데뷔''' ||[[1996년]] Operations of Nature|| || '''종교''' ||[[이슬람]][* 세네갈계 미국인. 다만 [[I Just Had Sex]]같은 노래에 피쳐링으로 참가하는 등의 행보를 보인것으로 보아 신양심이 그렇게 깊진 않은듯 하다. 사실 [[세네갈]]이라는 나라 자체가 근본주의 하고는 거리가 멀고 세속적인 점도 있기는 하다.]|| || '''링크''' ||[[https://www.akon.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https://twitter.com/Akon|[[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24&theme=light]][[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width=24&theme=dark]]]] [[https://www.facebook.com/AKON|[[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5]]]] [[https://www.instagram.com/akon/|[[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https://www.youtube.com/Akon|[[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https://www.youtube.com/AkonVEVO|[[파일:VEVO 로고.svg|width=55]]]]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R&B 뮤지션. 1973년 4월 16일 미국 [[미주리]] [[세인트루이스]] 출신 [[세네갈]]계 미국인이다.[* [[월로프족]] 출신이라고 한다.] 풀네임은 Aliaune Damala Badara Thiam. 또는 Aliaune Damala Bouga Time Bongo Puru Nacka Lu Lu Lu Badara Akon Thiam.(...)[* [[https://www.youtube.com/watch?v=Xp6RAwEqNis]]] == 상세 == 그 특유의 앵앵거리는 목소리로 상당히 유명하다. Operations Of Nature 라는 EP 앨범으로 1996년 데뷔를 했으며, 후 왕성한 피쳐링 활동과 앨범으로 큰 인지도를 쌓게 된다. 피쳐링을 상당히 자주 하는 편이다. Akon의 노래를 모르는 사람들도 Akon이 피쳐링한 노래는 들어본 경우가 많다. 클럽에 가면 자주 목소리가 나온다. 2009년 [[다비드 게타]]와의 합작 Sexy Bitch로 히트를 쳤고, 최근엔 또 한번 데이빗 게타와의 합작으로 Crank it up으로 인기몰이를 했다. 국내에선 Beautiful, [[Lonely]], Right Now (Na Na Na), [[I Just Had Sex]](...)등이 유명하다. [[I Just Had Sex|I Just Had Sex]]를 피처링 한 것 때문에 이상하게 생각하는 경우도 있지만 이 양반은 '''팝의 황제 [[마이클 잭슨]], 팝의 여왕 [[마돈나(가수)|마돈나]]'''와 '''[[힙합 음악|힙합]]의 신 [[에미넴]]'''과 작업한 적도 있는 실력파 가수다.[* 마돈나와 함께 작업한 노래는 다비드 게타와도 함께한 Celebration][* 마이클 잭슨과 함께 작업한 곡은 마이클 잭슨의 첫 번째 사후앨범 [[Michael(음반)|Michael]]의 수록곡 Hold my hand.][* 에미넴과 함께 작업한 곡은 본인의 싱글 'Smack That'이다. 에미넴이 피쳐링.] '''데뷔앨범부터 2010년까지''' 영미권 내에서는 인기 최고 가수 중 한 명이었다. 2009년, 앞서 발매한 앨범들처럼 세계적으로 히트하며 대중성과 평단의 호평을 동시에 거머쥔 Freedom 앨범 이후로 자신의 앨범활동보다는 후배 양성과 아프리카 관련 사회공헌 활동에 전념하며 그의 음악을 기다리는 수많은 팬들의 애간장을 태우고 있다. [[레이디 가가]]의 프로듀서로 그녀를 발탁해 데뷔시켜 대박을 터뜨렸다. 대표곡인 Just Dance의 피쳐링도 해주었다. [[T-Pain]]도 에이콘이 발굴한 가수이다. [[2020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무소속 후보로 준비하고 있다. 본인의 곡 Don't Matter가 ceo of swag의 밈을 통해 다시 폭발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 디스코그래피 == === Trouble === ||<-2> '''{{{#FFFFFF ''{{{+1 Troubl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에이콘1집.jpg|width=100%]]}}} || ||<-2> '''{{{#FFFFFF 발매 : 2004. 6. 29.}}}''' || || '''트랙''' || '''제목''' || || 1 || [[Locked Up]] || || 2 || Trouble Nobody || || 3 || Bananza (Belly Dancer) || || 4 || Gangsta (feat. Daddy T, Picklehead and Devyne) || || 5 || Ghetto || || 6 || Pot of Gold || || 7 || Show Out || || 8 || [[Lonely]] || || 9 || When The Time's Right || || 10 || Journey || || 11 || Don't Let Up || === Konvicted === [include(틀:빌보드 선정 2000년대 200대 명반, 순위=144)] ||<-2> '''{{{#FFFFFF ''{{{+1 Konvicted }}}''}}}'''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에이콘2집.jpg|width=100%]]}}} || ||<-2> '''{{{#FFFFFF 발매 : 2006. 11. 14.}}}''' || || '''트랙''' || '''제목''' || || 1 || Shake Down || || 2 || Blown Away (feat. Styles P) || || 3 || Smack That (feat. [[Eminem]]) || || 4 || [[I Wanna Love You]] (feat. [[Snoop Dogg]]) || || 5 || The Rain || || 6 || Never Took the Tim || || 7 || Mama Africa || || 8 || Can't Wait" (feat. [[T-Pain]]) || || 9 || Gangsta Bop || || 10 || Tired of Runnin || || 11 || Once in a While || || 12 || Don't Matter || === Freedom === ||<-2> '''{{{#FFFFFF ''{{{+1 Freedom}}}''}}}'''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attachment/Akon/akon.jpg|width=100%]]}}} || ||<-2> '''{{{#FFFFFF 발매 : 2008. 12. 1.}}}''' || || '''트랙''' || '''제목''' || || 1 || Right Now (Na Na Na) || || 2 || Beautiful (feat. Colby O'Donis , Kardinal Offishall) || || 3 || Keep You Much Longer || || 4 || Troublemaker (feat. Sweet Rush) || || 5 || We Don't Care || || 6 || I'm So Paid (feat. [[Lil Wayne]] , [[Young Jeezy]]) || || 7 || Holla Holla" (feat. [[T-Pain]]) || || 8 || Against the Grain (feat. Ray Lavender) || || 9 || Be with You || || 10 || Sunny Day (feat. Wyclef Jean) || || 11 || Birthmark || || 12 || Over the Edge || || 13 || Freedom || === El Negreeto === == 싱글 == === [[빌보드 핫 100]] 1위 === * [[I Wanna Love You]] (2006) * Don't Matter (2007) === 빌보드 핫 100 2위 === * Smack That (feat. [[Eminem]]) (2006) * The Sweet Escape (2006)[* [[Gwen Stefani]]의 곡에 피처링] === 빌보드 핫 100 3위 ~ 10위 === * [[Locked Up]] (2004) - 8위 * [[Lonely]] (2005) - 4위 * [[Soul Survivor]] (2005) - 4위[* [[Young Jeezy]]의 곡에 피처링] * Sorry, Blame It On Me (2006) - 7위 * I Tried (2007) - 6위[* [[Bone Thugs-N-Harmony]]의 곡에 피처링] * Bartender (2007) - 5위[* [[T-Pain]]의 곡에 피처링] * Dangerous (2008) - 5위[* Kardinal Offishall의 곡에 피처링] * Right Now (Na Na Na) (2008) - 8위 * Sexy Bitch (2009) - 5위[* [[David Guetta]]의 곡에 피처링] === 빌보드 핫 100 11 ~ 40위 === * [[Baby, I'm Back]] (2005) - 19위[* Baby Bash의 곡에 피처링] * Belly Dancer (Bananza) (2005) - 30위 * We Takin' Over (2007) - 28위[* [[DJ Khaled]]의 곡을 [[T.I.]], [[Rick Ross]], [[Fat Joe]], [[Birdman]], [[Lil Wayne]]과 함께 피처링] * Sweetest Girl (Dollar Bill) (2007) - 12위[* Wyclef Jean의 곡을 [[Lil Wayne]], Niia와 함께 피처링] * Hypnotized (2007) - 14위[* Plies의 곡에 피처링] * What You Got (2008) - 14위[* Colby O'Donis의 곡에 피처링] * Out Here Grindin (2008) - 38위[* [[DJ Khaled]]의 곡을 [[Rick Ross]], [[Young Jeezy]], Lil Boosie, Trick Daddy, [[Ace Hood]], Plies와 함께 피처링] * I'm So Paid (2008) - 31위 * Beautiful (2009) - 19위 * Hold My Hand (2010) - 39위 * Kush (2010) - 34위[* [[Dr. Dre]]의 곡을 [[Snoop Dogg]]과 함께 피처링] * [[I Just Had Sex]] (2011) - 30위[* [[The Lonely Island]]의 곡에 피처링] * Who Dat Girl (2011) - 29위[* [[Flo Rida]]의 곡에 피처링] [[분류:Ak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