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글레시커''' [목차] [clearfix] == 개요 == ||<-5> '''{{{#fff 역대 Arcaea Song Contest 우승곡}}}''' || || 2019 ||<|3> → || 2020 ||<|3> → || 2023 || || {{{#!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5px" [[迷える音色は恋の唄|[[파일:awanderingmelodyofloveday.jpg|width=150]]]]}}} || {{{#!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5px" [[Aegleseeker|[[파일:Arcaea/Aegleseeker.jpg|width=150]]]]}}} || {{{#!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5px" [[Abstruse Dilemma|[[파일:Arcaea/Abstruse Dilemma.jpg|width=150]]]]}}} || || [[迷える音色は恋の唄]] || [[Aegleseeker]] || [[Abstruse Dilemma]] || [include(틀:Arcaea Song Contest 2020)]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s0K53t4dNyg)]}}} || || 원곡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wq7BdtAFU5w)]}}}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6atS7dyEmTY)]}}} || || "Afterworld" 풀 버전 || "Over the Horizon" 풀 버전 || [[Silentroom]]과 [[Frums]]가 [[Arcaea]] 2020년 공모전에 공동 투고한 최우수 당선 곡. Silentroom의 앨범 『In My Heart』에 "Afterworld" 풀 버전이, Arcaea 사운드 컬렉션 앨범『Memories of Myth』에 "Over the Horizon" 풀 버전이 수록되었다. 전자는 Silentroom의 앨범인 만큼 사일런트룸의 색채가 강하며, 후자는 Frums 스타일의 익스텐디드로 곡 초반부에 나레이션이 추가되었으며 후반부에는 Frums 특유의 난해함이 강조된 부분이 추가되었다. == [[Arcaea]] == [include(틀:Arcaea/보스곡)] [include(틀:Arcaea/11레벨 이상 수록곡)] [include(틀:Arcaea/채보/빛, 곡명=Aegleseeker, 작곡링크=Silentroom, 작곡표기=Silentroom, 작곡틈=vs, 작곡링크2=Frums, 작곡표기2=Frums, BPM=234, PST제작=〈RECORD START〉 0:,PRS제작=〈OBSRV〉 boundary(?°a\,?°A), FTR제작=L₆: The Void, PST레벨=5, PRS레벨=9, FTR레벨=11, PST세부레벨=5.5, PRS세부레벨=9.1, FTR세부레벨=11.1, PST노트=973, PRS노트=1235, FTR노트=1568, PST해금=, PRS해금=, FTR해금=, PST파트너=라그랑주, PRS파트너=라그랑주, FTR파트너=라그랑주, PRS선곡링크=Löschen, PRS선곡=Löschen, PRS선곡조건=[PRS] 클리어, FTR선곡링크=Paper Witch, FTR선곡=Paper Witch, FTR선곡조건=[FTR] 달성도 'EX' 이상으로 클리어 혹은 'AA'로 클리어 10회, FTR선곡링크2=Crystal Gravity, FTR선곡2=Crystal Gravity, FTR선곡조건2=[FTR] 달성도 'EX' 이상으로 클리어 혹은 'AA'로 클리어 10회, FTR선곡링크3=Far Away Light, FTR선곡3=Far Away Light, FTR선곡조건3=[FTR] 달성도 'EX' 이상으로 클리어 혹은 'AA'로 클리어 10회, FTR선곡링크4=Löschen, FTR선곡4=Löschen, FTR선곡조건4=[FTR] 달성도 'AA' 이상으로 클리어 혹은 'A'로 클리어 10회, FTR포텐셜=11.00, 배경=Aegleseeker, side스토리=, 특이사항=Esoteric Order 팩 보스곡
순간 노트밀도 4위
5번째 11레벨 악곡
사이드 스토리 팩 최초의 11레벨 악곡
해금 조건에 조각을 필요로 하지 않음
Arcaea Song Contest 2020 우승작
일정 Potential을 요구하는 악곡(FTR), 확장자=jpg)] [include(틀:Arcaea/Esoteric Order)] 2021년 5월 11일 공개된 Esoteric Order 팩의 보스곡. === 채보 === ==== Past ==== [youtube(kzT5XZRd6L0)] PM 영상, 플레이어는 K.N.S.M 빠르게 움직이는 아크와 따닥이의 비중이 높아 5레벨 중에서는 최상위권이다. ==== Present ==== [youtube(pJDCO0IT-0w)] '''PURE MEMORY''' (-31) 영상. 플레이어는 KONSOMEth. 초반부터 [[Flashback]]급의 고밀도 연타가 환영하고 이후에 나오는 가독성이 낮은 개박의 스카이+플로어 복합노트, 후반에는 상당한 손꼬임을 유발시키는 아크가 난이도를 높인다. 출시 당시에는 8레벨로, 8레벨 답지 않은 패턴 때문에 [[dropdead]]와 [[Vexaria]]와 더불어 8레벨 보스곡으로 평가받았다. 이 보면의 출시로 PRS, [[dropdead|FTR]], [[Vexaria|BYD]] 모두 8레벨 보스 자리를 한번씩 꿰차게 되었다. [* 공교롭게도 세 곡의 어려운 원인이 서로 다르다. dropdead는 극저속을 기반으로 한 요동치는 변속과 순간적으로 강하게 몰아치는 패턴 밀집성, Vexaria는 암기성이 강한 스카이 노트 및 아크 배치로 인한 초견살, Aegleseeker는 채보 전반에 걸친 고밀도 연타와 엇박자로 난이도를 높였다.] 다만 이것도 결국은 Present인지라, Present 난이도에 강하다면 3곡 중 제일 먼저 FR 할 수 있다. 이후 4.0 패치로 9레벨로 상향되어 제 위치를 찾게 되었다.[* 기존 8레벨 PRS 보스곡 입지는 [[GENOCIDER]]에게 넘어갔다.] ==== Future ==== [youtube(Ie7YUKd7IOQ)] '''MAX SCORE (이론치)''' 영상. 플레이어는 Abeyuu. [youtube(CX7qutkop6s)] 패턴 캡처 영상. 해금 조건이 같은 11레벨인 [[SAIKYO STRONGER]]와 비슷하다. 포텐셜을 11.00 이상으로 맞춰야 하며, 같은 팩의 9+ 이하 곡들[* [[Paper Witch]], [[Crystal Gravity]], [[Far Away Light]]]을 모두 EX 이상으로 클리어해야 하고, 10레벨인 [[Löschen]] 또한 AA 이상으로 클리어 해야되는 등 나머지 조건들도 포텐셜 요구치 정도의 스코어링을 요구한다. 마지막으로 파트너 라그랑주를 월드에서 해금해 후술할 연출을 봐야 그제서야 곡이 해금된다. 아르케아의 다섯번째 11레벨이자 사이드 스토리에선 최초의 11레벨. Esoteric Order 팩의 보스곡이자 동시에 사이드 스토리의 보스곡이기도 하다. '''234'''[* 11레벨 곡들 중 BPM이 가장 빠르다.]라는 BPM과 그걸 타고 쏟아지듯 내려오는 노트들을 처리해야되는 극한의 폭타곡이자 체력곡. 노트가 내려오는 속도가 매우 빠르고 정신없기에 그 노트들을 읽을 수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개인차가 갈린다. 곡이 어지간히 빠르다 보니 기존 10+들은 물론 [[Tempestissimo]]를 제외한 다른 11렙들보다도 확실히 밀도가 높고, 손이 그 밀도 높은 노트를 따라가야 되기에 자신이 평소에 손이 느리거나 빠른 트릴들을 처리하기 어려워한다면 곡 난이도가 올라갈 것이다. 특히 채보 초반의 234BPM 24비트 연타[* 16비트로 환산 시 351BPM] 덕분에, [[Tempestissimo]] 최후살의 231BPM 24비트[* 16비트로 환산 시 346.5BPM]를 제치고 Arcaea 순간 노트 밀도 '''4위'''의 타이틀을 얻게 되었다.[* 1위는 [[Fracture Ray]]의 '''200BPM 32비트''' (16비트로 환산 시 '''400BPM'''), 2위는 [[Arghena]]의 185BPM 32비트(16비트로 환산 시 370BPM), 3위는 [[NULL APOPHENIA]]의 177BPM 32비트(16비트로 환산 시 354BPM).][* 스위치판은 5위로, 4위 자리는 [[eden(WACCA)|eden]]의 246BPM 24비트 트릴이 가져갔다.][* 다만 16비트 폭타 사이 24비트가 섞여있는 Tempestissimo와 달리 여기는 정직한 24비트 4연타밖에 안되기 때문에 비교적 쉽다.] 그러나 빠른 BPM에 비해서 노트 배치 자체는 그다지 복잡하지 않다. 요상한 엇박으로 공격해오는 [[Fracture Ray]]나 노트 자체는 정직하나 가독성을 많이 떨어뜨린 [[SAIKYO STRONGER]]같은 다른 11레벨들에 비하면 처리 자체는 비교적 쉽다. 하지만 11레벨 중에서는 쉽다는 거지, 234란 BPM은 절대 무시할 수 없는 수치고 중간중간에 기존 10+들과는 차원이 다른 속도로 떨어지는 트릴들도 존재하는 등[* 트릴이 엄청나게 많은 곡이지만 그 중에서도 주의해야 할 곳은 970콤보 부근이나 1330콤보 부근의 트릴이다. 970콤보 부근의 트릴은 배치 자체는 단순하지만, 234BPM 16비트라는 무시할 수 없을 정도의 빠른 속도로 떨어지기 때문에 당황하기 쉽다. 1330콤보 부근의 트릴은 앞부분의 트릴보다 배치가 까다로운 채로 떨어지기 때문에 초견 플레이 시에는 정확히 읽어내기 어렵다.] 피지컬로 밀어붙이는 패턴. 상수가 0.1 올랐지만 이 곡 말고도 다른 11.0도 이 이상으로 어렵다는 의견이 많아서 상향조치에 대해 의견이 갈린다. 2023년 6월 2일 기준 이론치 달성자가 20명을 돌파한 상태다. [[분류:Arcaea의 11레벨 수록곡]][[분류:Lanota의 수록곡]] ===# 첫 플레이 시 연출 #=== [include(틀:스포일러)] [youtube(Zfxh_gGdtBU)] > {{{+1 and in that light, I find deliverance.}}}[* 해석하면 "그리고 그 빛 속에서, 난 구원을 찾는다."] 이 곡을 해금한 뒤 라그랑주로 처음 플레이하면 곡 중반부터 페이드 아웃 효과가 나오기 시작한다. 그리고 완전히 페이드 아웃 된 뒤 트레일러에서 나온 문구가 나오면서 뒷배경이 바뀐다. 이후로는 점수판과 게이지가 사라지고 게임을 끄지 않는 이상 채보 중간에 나갈 수 없으며, 플레이 이후 라그랑주의 능력이 해금된다. 해당 연출은 해금 이후, [[Arcaea/파트너#라그랑주|라그랑주]] 10레벨 이상을 달성한 후 파트너로 설정하고 플레이하면 다시 볼 수 있다. 단, 스코어는 가려지지 않는다. Arcaea의 엔딩을 본 이후에는 처음 플레이와 동일하게 점수판과 게이지가 사라지며, 도중에 중단하고 나갈 수는 있다. == [[Lanota]] == [include(틀:Lanota/기간 한정 이벤트)] ||<-5> '''{{{+1 Aegleseeker }}}'''[br]{{{-1 Silentroom vs Frums }}} || ||<-5> - || || BPM ||<-4> 234 || || 연주 시간 ||<-4> 2:30 || ||<|2> 레벨 || Whisper || Acoustic || Ultra || Master || || 6 || 10 || 14 || 15+ || || 노트 수 || 852 || 946 || 1389 || 1655 || || 특이사항 ||<-4> 특수 연출 존재 || === 채보 === ==== Whisper ==== [youtube(MMbArFEBqSM)] PP 패턴캡쳐 영상. ==== Acoustic ==== ==== Ultra ==== [youtube(n73xgB8Zd14)] PP 영상. ==== Master ==== [youtube(RqpAIITQFGs)] PP 영상. 플레이어는 HeavenEGHD. ===# 해금 시 연출 #=== [include(틀:스포일러)] [youtube(VLHuruqnXAo)] 기간 한정 도전장을 구매한 뒤 이벤트 챌린지 임무를 완료하면 해당 곡의 해금 챌린지에 도전할 수 있게 되는데, 이때 메인 챕터 보스곡들처럼 애니메이션이 나온다.[* 단, 제한시간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후 곡 중반부터 Arcaea와 동일하게 페이드 아웃 효과가 나타나며 완전히 페이드 아웃 된 후 [[Lanota/세계관#s-5.4|Lanota 문자]]로 되어있는 문구[* 아르케아와 동일하게 "And in that light, I find deliverance" 라고 써있다. ]가 나오면서 배경과 조율기[* 형태는 Tune 모드의 조율기와 동일하지만 색이 보라색에 가깝다.]가 바뀐다.[* 이때 Arcaea처럼 스코어 바와 정지 버튼 또한 사라진다.]이후 채보를 완주하고 나면 해당 곡이 해금된다. 이후 기간 한정 이벤트를 통해 얻을 수 있는 "Arcaea Collaboration 2022" 아이콘[* [[#1f1e33#]]의 기간 한정 맵에서 얻을 수 있다.]을 장착하고 해당 곡을 플레이하면 해당 연출을 다시 볼 수 있다. 다만 해당 연출이 나올 때마다 '''스코어 바와 정지 버튼이 같이 사라진다'''는게 문제. == [[maimai]] == ||<-7>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85deg, #e9e8ef, #514a8e, #0d142f 90%)" '''{{{#!html Aegleseeker}}}'''}}} || ||<-7> [[파일:Arcaea/Aegleseeker.jpg|width=50%]] || ||<-2> 아티스트 ||<-5> [[Silentroom]] vs [[Frums]] || ||<-2> 장르 ||<-5> GAME & VARIETY || ||<-2> BPM ||<-5> 234 || ||<-2> 버전 ||<-5> [[maimai DX FESTiVAL|FESTiVAL]] || ||<-2> 최초 수록일 ||<-5> 2023/03/02 || ||<-7><:> '''[[maimai DX|{{{#ffcc21 m}}}{{{#3182ff a}}}{{{#54C320 i}}}{{{#ffcc21 m}}}{{{#fd006b a}}}{{{#d0f i}}} {{{#ffe302 D}}}{{{#a0b036 X}}}]] {{{#373a3c,#ddd 난이도 체계}}}''' || ||<-7> '''{{{#fd006b D}}}{{{#orange E}}}{{{#ffcc21 LU}}}{{{#54C320 X}}}{{{#3182ff E}}}''' || ||<-2> 난이도 || BASIC || ADVANCED || EXPERT || MASTER || 宴 || ||<-2> 레벨 || 5{{{-2 {{{#GRAY (5.x)}}}}}} || 8{{{-2 {{{#GRAY (8.x)}}}}}} || 12+{{{-2 {{{#GRAY (12.8)}}}}}} || 14{{{-2 {{{#GRAY (14.5)}}}}}} || 蔵 14+? || ||<|6> 노트 수 || TAP || 184 || 312 || 480 || 754 || 774 || || HOLD || 19 || 17 || 88 || 87 || 69 || || SLIDE || 4 || 18 || 41 || 49 || 64 || || TOUCH || 31 || 23 || 35 || 114 || 72 || || BREAK || 7 || 20 || 21 || 80 || 85 || || 합계 || '''245''' || '''390''' || '''665''' || '''1084''' || '''1269''' || ||<-2> 보면제작 || - || - || はっぴー || サファ太 vs 翠楼屋 || and in that light, I find deliverence. || * [[maimai/수록곡|수록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 MASTER === [youtube(Umpuc-NFKio)] '''AP''' 플레이 영상.[* 플레이어는 Amakage!.] [youtube(UbPAJ9WtlSc)] '''AP''' 스크린 캡처 영상.[* 플레이어는 S.R.project.] 중반부의 양손 고속 2긁기 구간과 최후반부의 슬라이드 탭 발광 구간이 킬링 파트인 채보로, 해당 구간의 처리력 요구치가 상당히 높은 편이다. === 연회장 === [youtube(z45RRfcldHE)] '''AP''' 플레이 영상.[* 플레이어는 Tsukiho.] 원본인 Arcaea의 박자를 그대로 살려냈으며, 연회장 채보지만 사실상 리마스터라는 반응이 많다. == 여담 == * Anomaly 혹은 World 해금 방식의 곡은 아니지만, World의 6번째 신규 챕터에서 얻을 수 있는 파트너 '''라그랑주'''를 보유하지 않으면 해금조차 불가하며, 기존의 Anomaly 보스곡들과 같이 미리듣기와 레벨 확인이 불가하다. * 준 Anomaly나 다름없는 특성, 두 작곡가의 명성, 사이드 스토리 팩 최초의 11레벨 등 여러가지 특이사항으로 공모전 당선자 발표부터 수록 당일까지 화제가 되었던 곡이다. * 제목인 '''Aegleseeker'''는 '''Aegle'''과 '''Seeker'''의 합성어이다. Aegle{{{-3 (Αἴγλη)}}}은 고대 그리스어로 '눈부신 빛{{{-3 (Brightness, Dazzling light)}}}'을 뜻하며, 이를 차용한 이름도 그리스 신화에 많이 등장한다.[* 태양신 [[Helios]]의 자녀 [[Heliades]] 중 빛의 여신의 이름, [[황금사과|Hesperides]] 네 자매 중 한 요정의 이름 등.] Seeker는 찾다, 구하다, 추구하다를 뜻하는 영단어 Seek에 접미사 -er를 붙인 것으로 '~를 추구하는 사람'이라는 뜻이다. 즉, 빛을 찾는(추구하는) 사람 정도로 해석하면 좋을 것이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arcaea&no=102016&page=1|이런 뜻이 아니다.]]-- 작곡가가 밝힌 제목 읽는 방법도 원어를 따라 '''아이글레시커'''. [[https://m.dcinside.com/board/arcaea/102761|#]] 다만 한국 커뮤니티에서는 보통 '''에이글시커'''로 읽는 편이다. * 공개 다음날인 2021년 5월 12일에 [[https://youtu.be/Ie7YUKd7IOQ|플레이어 Abeyuu가 '''첫 번째 FTR 이론치'''를 달성]]했다. 뒤이어 [[https://twitter.com/SGGalbi/status/1392365724090257414/photo/1|플레이어 G4L이 대한민국 1호, 세계 2호 이론치를 달성]]했고, [[https://twitter.com/Takuanhaumaiyo/status/1392425005607100419|플레이어 TAKUAN이 세 번째로 이론치를 달성]]했다. * 3.6.2 업데이트 이후 버그인지는 모르겠지만 PRS 난이도가 해금되어 있으면 포텐셜 및 곡 클리어등의 해금조건을 달성하지 않았음에도 모든 난이도가 해금된다. * Future 채보 제작자 명의인 L₆: The Void[* L₆(여섯 번째 라그랑주 점): 존재하지 않는 것.]는 [[라그랑주점]]에 착안한 명의인데, 라그랑주 점은 5개 밖에 없다는 점에서 착안해 만든 명의로 추측된다. * Over the Horizon 풀 버전에 추가된 나레이션의 내용은 아래와 같다.[*스포일러 사이드 스토리 9-6의 일부분이다.] >For now she sees this: a split in reality. >The sky is being again divided, but not as it was by the girl in red. > >The girl chased by shadows... she is there. > >And there is a girl cloaked in light. Yes... > >Another "end" is manifesting. > >With a sense that she might fall through the crack through which she bears witness, >Lagrange watches that ending transpire. > >Beyond, to its conclusion. To the fall. > >To dissolution. > >It makes her smile again, although she can see... what progresses now is a tragedy. > >This is a dance of light and conflict... > >'''Arca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