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Arcaea의 11레벨 수록곡]] [목차] == 개요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523b56, #b75366, #E8D7BB)" {{{#fff '''역대 Arcaea Song Contest 우승곡'''}}}}}} || || 2019 ||<|3> → || 2020 ||<|3> → || 2022 || || {{{#!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5px" [[迷える音色は恋の唄|[[파일:awanderingmelodyofloveday.jpg|width=150]]]]}}} || {{{#!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5px" [[Aegleseeker|[[파일:Arcaea/Aegleseeker.jpg|width=150]]]]}}} || {{{#!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5px" [[Abstruse Dilemma|[[파일:Arcaea/Abstruse Dilemma.jpg|width=150]]]]}}} || || [[迷える音色は恋の唄]] || [[Aegleseeker]] || [[Abstruse Dilemma]] || [include(틀:Arcaea Song Contest 2022)] [youtube(nnpyIv4wGeQ)] [youtube(gs2diLxRKV0)] "A" side long ver. [youtube(7VOuvpq20NQ)] "D" side long ver. Ashrount와 [[打打だいず]]가 [[Arcaea]] 2022년 공모전에 공동 투고한 최우수 당선 곡. == [[Arcaea]] == [include(틀:Arcaea/보스곡)] [include(틀:Arcaea/11레벨 이상 수록곡)] [include(틀:Arcaea/채보/빛, 곡명=Abstruse Dilemma, 작곡=Ashrount vs., 작곡표기2=打打だいず, 작곡링크2=打打だいず, BPM=216, PST제작=Remnant ⇐ Guilt, PRS제작=Remnant ⇒ Doubt, FTR제작=Remnant ⇑⇓ Volition, PST레벨=5, PRS레벨=8, FTR레벨=11, PST세부레벨=5.5, PRS세부레벨=8.4, FTR세부레벨=11.1, PST노트=983, PRS노트=1127, FTR노트=1467, PST해금=통상 해금, PRS해금=, FTR해금=, PRS선곡링크=UNKNOWN LEVELS, PRS선곡=UNKNOWN LEVELS, PRS선곡조건=[PRS] 클리어, PRS조각=80, FTR선곡링크=WAIT FOR DAWN, FTR선곡=WAIT FOR DAWN, FTR선곡조건=[FTR] 달성도 'EX' 이상으로 클리어 혹은 'AA'로 클리어 10회, FTR선곡링크2=レイヴンズ・プライド, FTR선곡2=Raven's Pride, FTR선곡조건2=[FTR] 달성도 'EX' 이상으로 클리어 혹은 'AA'로 클리어 10회, FTR선곡링크3=Rise of the World, FTR선곡3=Rise of the World, FTR선곡조건3=[FTR] 달성도 'AA' 이상으로 클리어 혹은 'A'로 클리어 10회, FTR선곡링크4=UNKNOWN LEVELS, FTR선곡4=UNKNOWN LEVELS, FTR선곡조건4=[FTR] 달성도 'AA' 이상으로 클리어 혹은 'A'로 클리어 10회, FTR포텐셜=11.00, FTR조각=1000, 배경=Abstruse Dilemma, side스토리=, 특이사항=Lasting Eden 팩 보스곡 1
10번째 11레벨 악곡
Arcaea Song Contest 2022 우승작
일정 Potential을 요구하는 악곡(FTR), 확장자=jpg)] [include(틀:Arcaea/Lasting Eden)] === 채보 === ==== Past ==== ==== Present ==== [youtube(hvku-7AumJs)] Pure Memory(MAX-40) 영상. 플레이어는 ArishionJS. Future의 열화판으로, 12비트 트릴이 주가 되는 패턴이다. 트릴이 꽤 자주 등장해 체력을 잡아먹고, 곡 길이도 2분 40초 정도로 짧지 않아 지력이 약한 8레벨 유저는 고전할 수 있다. 마지막에는 4마디에 거쳐 36연타 트릴도 나온다. ==== Future ==== [youtube(tFCKXtQBJ58)] 이론치 영상. 플레이어는 sosuke 고속 아크와 빠른 손이동을 요구하는 12비트 변형 트릴이 주요 패턴이다. 이 외에도 특정 구간에 지속적으로 등장하는 12비트 2동-1동-1동 패턴에서 노트를 대량으로 놓치기 쉽다. 해당 패턴은 노트의 위치가 일정하다는 점을 이용하여 왼손으로는 2동타를, 오른손으로는 가운데의 2연타를 치는 방식으로 처리할 수도 있다. 고밀도임에도 직각이라 판정이 없는 아크와, Beyond 외의 난이도에서 보기 드문 Sky Input 라인보다 높이 위치하는 트레이스도 있다. == 여담 == * 곡명의 대문자 A,D는 두 작곡가의 명의 첫 글자를 따온 것이다.[* '''A'''shrount vs. 打打だいず('''D'''-D-Dice)] * 두 작곡가의 파트 분배 [[https://twitter.com/Ashrount_/status/1692841738271130041?t=TFwWNdfkMq4pi5fkJqQHOA&s=19|#]] * 해당 곡의 추가로 11레벨 이상 악곡의 개수가 11개가 되었고, 포텐셜 이론치를 달성한다고 가정할 시 Recent 프레임에서 사라지는 11레벨 악곡이 생기게 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Arcaea/Potential]]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