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원래 의미 또는 동음이의어, rd1=아발론)] ||||||||||<#ff8a00><:>'''< [[BOF]] 역대 개인전 스코어 우승·준우승·3위 곡 >''' || ||<:> 2006[* 2007년은 대회가 열리지 않았다.] || → ||<:> 2008 || → ||<:> 2009 || ||||||||||<:>'''우승''' || ||<:> [[路上のギリジン#s-2|路上のギリジン-Shou+rt Mix-]] || → ||<:> '''[[Lapis]]''' || → ||<:> [[DRAGONLADY]] || ||||||||||<:>'''준우승''' || ||<:> [[VIP~飛べない俺はただのクマー~]] || → ||<:> '''AVALON''' || → ||<:> [[Jack-the-Ripper◆]] || ||||||||||<:>'''3위''' || ||<:> [[私食べごろよ]] || → ||<:> '''[[SAMBISTA]]''' || → ||<:> [[JULIAN]] || == 소개 == ||<#FFFFAA><:> '''곡명''' ||<:> '''AVALON''' || ||<#FFAAFF><:> '''[[장르]]''' ||<:> '''[[오메가|Ω]]''' || ||<#AAFFAA><:> '''[[BPM]]''' ||<:> '''200[* BPM이 변하긴 하지만 기본 BPM에서 몇배 정도로 느려지거나 하는 구간 뿐이다. 중간에 연출을 위해 잠깐 BPM이 2008이 되는 구간이 있지만 논외로 친다.]''' || ||<#FFAAAA><:> '''[[작곡가]]''' ||<:> '''[[sasakure.UK]]''' || ||<#AAFFFF><:> '''[[BGA]]''' ||<:> '''[[sasakure.UK]]''' || ||<#AAAAFF><:> '''BGA 형식''' ||<:> '''BMP BGA''' || ||<#AAAAAA><:> '''Extended''' ||<:> '''Mistletoe -Viscumalbum-''' (3:59) || [youtube(fmsEDGd2q_E,width=480,height=360)] BGA Only [youtube(A7HYkXeuKwY)] 2020 리마스터[* 중간에 쓰인 폰트가 [[가면라이더 세이버|동년 방영된 작품]]에서 나온 것과 [[아발론(가면라이더 세이버)|매우 유사]]하다.] [youtube(Gv7izykrhig,width=480,height=360)] Another 패턴(☆12) 영상 [[BMS OF FIGHTERS]] 2008 참가곡. 제목의 유래는 [[아발론]]의 1번 항목 참고. 작곡은 Team:SASAKURATION의 [[sasakure.UK]](라지만 사실 1인팀이다). 장르는 [[오메가|Ω]]인데, 실제 표기 장르명이 이렇다. 채보에서 압권인 것은 스크래치의 사용. 이것은 동 작곡가의 [[EZ2AC]] 수록곡 [[神威]]에서 더욱 강화된다. 여하튼 본 곡에서 노트를 치면서 8연타 스크래치를 하려면 어느게 메인인지 헷갈린다. 중간의 쉬어가는 피아노 채보에서 변속을 사용하며 심지어는 '''정지'''까지 사용하여 그 드라마틱을 끌어내는 곡이다. 이러한 요소들 덕분에 높은 평가를 받았으나 다만 아쉽게도 [[SHIKI]]의 [[Lapis]]에 밀려 '''2위'''를 기록. 비주얼적인 면에서 드라마틱함을 최대한으로 끌어냈다는 호평을 받는 곡이다. [[아서 왕]]의 전설을 각인시켜주는 것과 사과의 섬이라는 아발론에서 사과가 썩어들어가는 것을 보여주는 등 여러모로 추상적인 [[BGA]]를 보여준다. 특히 썩은 사과를 다시 되돌리는 부분에서 그 드라마틱이 극에 달한다. 그 이후 예의 '''정지'''가 나오고 하이라이트 부분. 전체적인 곡 전개가 과거 작품인 [[X(BMS)|X]]와 거의 일치한다[* 초반 전개-중반 저속 구간(분위기 전환)-정지-후반 하이라이트]. IIDX 차분이 개인차가 대폭발하는 차분으로도 유명하다. 못 치는 사람은 끝까지 못 치는 패턴이라는 게 중론. 대부분이 정배치나 미러배치를 황금배치로 꼽고 있지만, 랜덤을 돌려도 잘 나오는 경우가 있다. 은근히 스크래치보다는 악랄한 저배속 구간과 후반에 나오는 초고속 연타가 관건으로 통한다. [[츄니즘]]의 BOF 곡 수록 경향(준우승곡 후 우승곡 수록)으로 볼때 [[DRAGONLADY]] 이후 수록될 것이라 예상되었으나 우승곡인 Lapis가 2달만에 먼저 수록되었다. 기존 BMS 수록곡들은 1달 간격으로 수록된걸 생각하면 2016년 5월에 공백이 하나 생기는데, 현재 사사쿠레 본인의 과거 BMS 시절의 취급이 꽤나 미묘한걸 생각하면[* 자세한 것은 [[sasakure.UK#s-6|sasakure.UK 문서의 '의혹' 항목]] 참조.] 본래 2016년 5월 즈음 이 곡을 수록을 하려 했으나 사사쿠레가 수록을 꺼려 공백이 생긴 것일 수도 있다. 그리고 결국은 이례적으로 총점 3위였던 [[SAMBISTA]]가 수록됨으로써 사사쿠레는 과거작(BMS) 기피설을 피할수 없다고 여겨졌다. 하지만 이는 2018년 5월 24일에 츄니즘 수록이 된다는 공식 정보가 뜸으로써 깨졌다. 이후 [[ああああ(작곡가)|ああああ]]의 곡 [[∀(BMS)|∀]]가 AVALON을 오마주하였다. == 대회 결과 == 대회 : '''[[BOF|BMS OF FIGHTERS 2008 - Resurrection -]]''' (2008) 총점 : '''6682''' (79 임프레션) 중앙값 : 99.00 / 100.00 평점 : 96.10 / 100.00 개인전 스코어 순위 : 2위 개인전 중앙값 순위 : 3위 == 차분 == ||<-6> [[발광 BMS]] 난이도 체계 || || 차분명 || 발광 난이도 || 노트 수 || 판정 || 차분 제작자 || 참고 || || ANOTHER || ▼1 || 1378 || EASY || || 제2발광, 동봉차분 || || IIDX || ★13 || 2008 || EASY || || 동봉차분 || || aballava(?) [expert7] || ▼14 || 1708 || EASY || siokaze || 제2발광, 원곡 기반[*A 곡 변경 차분 대회인 MUSIC OBJECTIVE에서 tarolabo가 제작한 차분. 곡 변경 차분인만큼 곡 자체는 원곡과 동떨어져 있지만 일단 차분이기에 원곡 파일이 필요하다.] || || aballava (Clover?) || ★20 || 2106 || EASY || mitsuba || 제2발광 동시수록, 원곡 기반[*A] || || A14 || ★7 || 1834 || EASY || ucc || DP || || aballava(?) [A14] || ★9 || 1924 || EASY || ucc || DP, 원곡 기반[*A] || || EX14 || ★10 || 2267 || EASY || ucc || DP || || PMS EX || ●10 || 1716 || EASY || o || PMS || [youtube(FIn-qTE6dR4,width=640,height=480)] IIDX 패턴(☆0, ★13) 영상 동봉된 차분인 IIDX는 그야말로 참... 아름다운 패턴을 보여준다. 일단 준우승까지 한 곡의 인기와 더불어 동봉 차분이라는 것 때문에 플레이 인원수가 상당히 많은 편인데, 패턴이 ★13에서 아주 어려운 축에 속하기 때문에 ★13에서 하드클리어율이 가장 낮다. 초중반에는 사실 그렇게 위협적인 부분은 없고, 스크래치만 주의해서 쳐주면 되는 수준이다. 하지만 중반에 비슷한 스크래치 밀도와 저속 구간이 등장하면서 피를 갉아먹게 되고, 이후에 중후반부터 수 십초간 휘몰아치는 구간에서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폭사하는게 다반사. 영상을 보면 정배치가 꽤나 잘 정돈이 되어 있어서 정배치나 미러를 추천하는데, 배치 자체가 한 곳이 황금배치면 다른 곳도 황금배치인 편이라 랜덤으로 해도 나쁘지 않은 패턴이 꽤 나온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더미:Avalon, version=16)] * [[나무위키:문서 삭제식 이동|문서 삭제식 이동]]((Avalon → 더미:Avalon) → AVALON) [[분류:BOF/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