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from=ATT, other1=AT&T의 이동통신 관련 자회사, rd1=AT&T 모빌리티, other2=Apple의 '앱 추적 투명성(ATT)', rd2=앱 추적 투명성)] ||<-3> {{{+1 {{{#white '''AT&T Inc.'''}}}}}} || ||<-3> [[파일:AT&T 로고.svg|width=70%]] || ||<-2> '''창립''' ||[[1983년]] {{{-2 (Southwestern Bell)}}}[br][[1995년]] {{{-2 (SBC)}}}[br][[2005년]] {{{-2 (AT&T Inc.)}}}[* 명칭은 옛 모체였던 '''A'''merican '''T'''elephone '''&''' '''T'''elegraph Company 의 약자에서 유래했다. 단, 지금의 회사명은 약자가 아니라 정식사명이 AT&T Inc.이며 한때 소문자 at&t 표기를 쓰기도 했으나 다시 대문자로 환원했다.] || ||<-2> '''국가'''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2> '''본사''' ||[[미국]] [[텍사스]] [[댈러스-포트워스|댈러스]][* 2005년 합병한 AT&T Corp는 1900년대 초부터 [[뉴욕]]이 본사였으나, 복잡한 과정을 통해 탄생한 현 AT&T Inc.는 [[반독점법]]으로 분리된 '''Baby Bell''' 중 텍사스를 중심으로 분리된 Southwestern Bell을 중심으로 합병된 것이기에 현 본사는 텍사스 댈러스에 소재하고 있다.] || ||<-2> '''산업''' ||[[통신]] || ||<|2> '''조직''' || '''부서''' ||AT&T 커뮤니케이션즈[br]AT&T 코퍼레이션[br]AT&T 멕시코 || || '''자회사''' ||[[DirecTV]] {{{-2 (70%)}}} || ||<-2> '''지배 구조''' ||[[뱅가드그룹]] {{{-2 (8.52%)}}}[br][[블랙록]] {{{-2 (7.30%)}}} || ||<-2> '''상장 거래소''' ||[[뉴욕증권거래소]] ([[https://www.nyse.com/quote/XNYS:T|T]]) || ||<-2> '''이사회'''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a8e0; font-size: 0.75em" {{{#fff '''의장'''}}}}}} 윌리엄 케너드 {{{-2 (2021년~ )}}} || ||<-2> '''경영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a8e0; font-size: 0.75em" {{{#fff '''CEO'''}}}}}} 존 스탠키 {{{-2 (2020년~ )}}}[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a8e0; font-size: 0.75em" {{{#fff '''CFO'''}}}}}} 파스칼 데스로치스[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a8e0; font-size: 0.75em" {{{#fff '''COO'''}}}}}} 제프 맥엘프래시 || ||<-2> '''시가 총액''' ||1,060억 달러 ^^(2023년 10월)^^ || ||<-2> '''부채''' ||2,923억 8,200만 달러 ^^(2023년 2분기)^^ || ||<-2> '''자본''' ||1,160억 7,500만 달러 ^^(2023년 2분기)^^ || ||<-2> '''매출''' ||1,207억 4,000만 달러 ^^(2022년)^^ || ||<-2> '''영업 손실''' ||45억 9,000만 달러 ^^(2022년)^^ || ||<-2> '''고용 인원''' ||약 160,700명 ^^(2022년)^^ || ||<-2> '''슬로건''' ||More For Your Thing || ||<-2> '''링크'''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https://www.att.com/|[[파일:AT&T 로고.svg|width=50]]]][br][[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25]] [[https://www.att.com.mx|[[파일:AT&T 로고.svg|width=50]]]] || [목차] [clearfix] == 역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jpg|width=100%]]}}}|| || [[댈러스]] 본사 ||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이 설립한 Bell Telephone Company의 자회사로 1885년에 출범했으며, 1899년 되려 모회사를 인수하였다. 그리고 'Bell System'이라고도 불리는 거대한 기업집단을 형성했다. 이 시기의 AT&T 로고는 창립자의 성씨에서 착안한 [[종(악기)|종 모양]]이었다. 1969년 로고와 반독점법을 얻어맞기 직전 채택한 줄무늬 로고[* 현 로고는 여기서 변형된 것이다.]는 모두 솔 배스(Saul Bass)라는 디자이너의 작품이다.([[https://www.youtube.com/watch?v=xKu2de0yCJI|최후의 Bell System 로고]]) 장거리 통신과 지역별 전화 회사들을 소유하면서 [[웨스턴 유니온]] 등 기존 [[전신]] 시장을 무너뜨리고 막강한 자본력에 기반한 로비와 연구개발 등으로 근 100년 가까이 미국 내 통신 시장을 독점했다. 이시기 AT&T의 주 수입원은 장거리 전화와 통신장비 제조였다. 여러차례 AT&T를 해체하려는 시도가 있어왔지만, 그때마다 일부 사업에서 철수하거나 특허를 공개하는 식으로 해체를 피했다. 벨 연구소에서 개발한 [[트랜지스터]]를 다른 기업들이 로열티 없이 사용하도록 한게 대표적. 1978년에 [[미합중국 법무부]]가 자사의 통신기기만 사용하는것을 [[반독점법]]에 근거해 소송을 제기했고, [[1982년]]에 [[워싱턴 D.C.]] [[미국/사법#s-1.3|연방지방법원]]의 명령에 따라 AT&T는 장거리 통신 및 통신 기술 관련 자회사만 유지한 채로 지역별로 분리하라는 판결이 떨어졌다. 결국, 법무부와의 합의에 따라 84년 장거리와 통신장비 및 연구소를 소유한 모회사를 제외하고 7개의 지역전화회사들로 분사되었다. AT&T는 수익성이 높던 장거리 전화와 통신장비 사업을 유지하고, 기존의 반독점 규제로 인해 진출하지 못한 [[컴퓨터]] 사업을 하고 싶어했다. 하지만 MCI 같은 경쟁사들의 등장으로 장거리 통신 요금이 대폭 하락하고, 통신기기 사업도 더이상 독점을 누리지 못하고 부진한다. 기대했던 컴퓨터도 [[IBM]], [[애플]]에 밀려 실패. 반대로 별 기대를 안하고 분리시킨 지역 전화회사들은 [[인터넷]] 보급으로 급성장했다. 결국 그토록 지키고 싶어했던 통신기기 사업을 매각한다. AT&T 분할은 [[엑슨모빌|스탠더드 오일]] 분할, [[NBC(미국 방송)|NBC]]의 분할과 함께 반독점법의 대표적인 적용 사례로 손꼽힌다. 그리고 2000년, AT&T Alascom(구 Bell Pacific이자 CenturyLink 전신)이 자회사인 AT&T Pacific(현재는 AT&T Corp로 통합)을 통해 미국 서부 시장을 중심으로 한 Cingular Wireless를 인수하며 AT&T Mobility(Wireless)가 출범했다. 처음 몇년간 상표명은 AT&T Cingular 였지만 이후 2003년 부터는 Cingular라는 이름을 버리고 AT&T 또는 AT&T Wireless 라는 이름으로 사업을 진행하였다. 당시에는 이동통신 커버리지가 대부분 서부와 동부의 일부 대도시(뉴욕, 보스턴 등)에 국한되었으나 2004년, GSM 구축 및 2009년 UMTS 구축 이후 막대한 자본을 투자하며 미국 전역에 기하급수적으로 인프라를 늘렸다. 이로 인해 당시 Bell Atlantic에서 탄생한 Verizon Wireless와 경쟁 구도가 형성되었다. AT&T는 아래와 같은 회사들로 분할되었다. 비분리된 부분 * AT&T Corp. → 장거리 통신망(국제전화포함)과 통신장비관련 자회사만 유지 * AT&T Communications * AT&T Alascom * AT&T Laboratories 분리된 부분 * Ameritech → [[일리노이]]주를 중심으로 한 중서부 지역 * Bell Atlantic → [[뉴저지]], [[펜실베이니아]]주를 중심으로 한 동부 지역 * BellSouth → [[조지아 주]]를 중심으로 한 남동부 지역 * NYNEX → [[뉴욕 주]]를 중심으로 한 동북부 지역 * Pacific Telesis → [[캘리포니아]]주를 중심으로 한 서부 지역 * Southwestern Bell → 후에 SBC로 개명. [[텍사스]]주를 중심으로 한 남서부, 중부 지역 * US West → [[콜로라도]]주를 중심으로 한 북부, 북서부 지역 [[파일:bell company map.jpg|width=450]] || 2000년대 초반의 지역 통신사 분포도 || 분할된 지역별 회사들은 '''Baby Bells'''(자식벨)로 불렸으며, [[1982년]]에 분할되기 이전의 AT&T는 '''Ma Bell'''(어미벨)로 불렸다. 하지만, 1990년대부터 'Baby Bell'은 SBC(Southwestern Bell)와 Bell Atlantic 중심으로 재편되기 시작했다. {{{#!wiki style="word-break: keep-all" ||<|9> American[br]Telephone &[br]Telegraph[br](Bell System) ||<|9> → ||<-3> AT&T Corporation[br] (Ma Bell) || ↘ ||<|6> [[AT&T|{{{#white __AT&T Inc.__}}}]][br] (new AT&T) || ||<-3> Bell South || ↘ || || Southwestern Bell || → ||<|4> Southwestern Bell (SBC) ||<|4> → || || Pacific Telesis || ↗ || || Southern New England Telephone || ↗ || || Ameritech || ↗ || || US West || → || [[퀘스트|{{{#118745 __Qwest__}}}]] || → || CenturyLink || || Bell Atlantic || ↘ ||<|3><-3> [[버라이즌|{{{#white __Verizon Communications__}}}]] || || NYNEX || ↘ || ||<-3> GTE || → ||}}} * AT&T * Southwestern Bell → 후에 SBC로 개명하고, [[2005년]]에 모체였던 AT&T Corporation를 인수합병하면서 현재 AT&T Inc.의 모체가 되었다. * Pacific Telesis → 1997년에 SBC에 합병, 그 이후 AT&T Inc.가 됨 * Ameritech → 1999년에 SBC에 합병, 그 이후 AT&T Inc.가 됨 * BellSouth → 2006년에 AT&T Inc.에 합병됨 * Verizon * Bell Atlantic → 2000년에 GTE를 인수했고, 현재 [[버라이즌 와이어리스]]의 모회사인 Verizon Communications이 됐다. * NYNEX → 1996년에 Bell Atlantic에 합병됨. 현재는 [[버라이즌|Verizon Communications]]이 되었다. * CenturyLink * US West → 2000년에 Qwest에 매각. 후 2011년에 CenturyLink 가 샀다. 그 결과, 반독점법에 의해서 나뉘어진 것이 무색하게 여러 차례의 [[인수합병]]을 통해서 [[2019년]] 현재 미국의 통신공룡인 [[AT&T]]와 [[버라이즌|Verizon Communications]]의 양강구도를 이루게 되었다. 스탠더드 오일도 마찬가지다.([[엑슨모빌]]과 [[셰브런]]) === [[타임 워너]] 인수 === 2016년 10월 22일, [[워너미디어|타임 워너]]를 854억 달러에 인수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9wne8UZWcOw|공식 발표 영상]]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법무부(미국)|법무부]]가 반독점법에 관련한 행정 소송을 걸었지만 [[2018년]] [[6월 12일]]에 워싱턴 D.C [[미국/사법#s-1.3|연방지방법원]]이 AT&T와 타임 워너의 손을 들어주면서 공식적으로 타임 워너 인수 절차가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으며 [[https://www.comicbookmovie.com/disney/uh-oh-att-victory-sets-stage-for-comcast-to-challenge-disney-for-21st-century-foxs-assets-a161329|#]], 인수가 마무리된 이후 타임 워너는 이름을 [[워너미디어]]로 바꿨다. 워너미디어를 인수하면서 AT&T는 [[월트 디즈니 컴퍼니]] 및 [[컴캐스트]]와 함께 세계 3대 미디어 그룹이 되었지만 2022년, 인수 6년만에 분사시킨 뒤 [[디스커버리(기업)|디스커버리 커뮤니케이션]]과 합병해 [[워너 브라더스 디스커버리]]를 만드는 방법으로 손을 땠다. 인수과정에서 막대한 빚을 진데다, [[OTT]]가 급성장하면서 기대했던 통신 사업과의 시너지 효과가 저조했던 것이 원인으로 평가받는다. == 사업 == === [[AT&T 모빌리티|이동통신]]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AT&T 모빌리티)] === 이동통신 외 === 1980년대에 이미 '''핸드폰'''을 개발하였지만 그 값어치를 과소평가하여서 모토로라에 제조 기술을 판매하는 실수를 행하기도 하였다. [[선불폰]] 사업도 벌이고 있다. 그런데, [[창렬|요금도 비싸고 고객 지원도 악명 높아서]] 4대 이동통신사를 굳이 사용해야한다면 차라리 [[T-모바일/미국|티모빌 US]]의 선불폰 서비스를 신청하는 것이 낫다는 의견이 많았다. 그래서, AT&T는 [[2013년]]에 [[통신회사/MVNO 통신사 목록/미국|미국의 MVNO 통신사]] 중에서 가장 많은 가입자를 보유하고 있던 '''[[크리켓 와이어리스]]'''(Cricket Wireless)를 인수했고 인수 후 자사의 선불폰 브랜드인 Aio Wireless를 크리켓 와이어리스에 통합시켰다. 따라서, 현재는 [[크리켓 와이어리스]] = AT&T 선불폰이다.[* AT&T 모빌리티도 선불폰이 있긴 하지만 크리켓에 비하면 존재감이 없다. [[AT&T 모빌리티]] 문서에 있는 이유 때문에(...)] [[2006년]]부터 AT&T 유버스(U-Verse)라는 [[IPTV]]와 인터넷 전화, [[인터넷]] 서비스 역시 하고 있'''었'''다. 독점을 통해 질 낮은 인터넷을 보급하기로 유명한 여러 [[미국]] ISP 중에서도 [[컴캐스트]]와 더불어 최악인 수준. U-Verse와 연동된 [[IPTV]] 서비스 역시 문제가 많았지만, 디지털 위성방송 사업자로서 최상의 고객 서비스와 꽉찬 컨텐츠와 패키지로 유명한 [[디렉TV]]를 인수하여 환골탈태한 상황이다. 그리고, 디렉TV 인수로 가입자수가 상대적으로 적고 일부 지역에서만 서비스하고 있는 IPTV에 집착할 필요가 없어진 AT&T는 [[2016년]]에 유버스 통합 브랜드를 폐지했으며, 현재는 ~~언제 서비스 종료를 할지 모르는~~ IPTV에만 유버스 브랜드를 적용시키고 있다. 유버스 통합 브랜드 폐지 이후 인터넷 전화는 AT&T Phone, [[VDSL]] [[인터넷]] 서비스는 AT&T Internet으로 불리고 있다. 또한 [[2014년]]부터 '''[[기가 인터넷#s-5.2.1.2|AT&T 파이버]]'''(AT&T Fiber)라고 부르는 [[기가 인터넷]] 서비스를 시작했다. ~~어디까지나 미국 기준으로~~ 꽤나 빠르게 [[FTTH]]망을 구축하고 있으며 [[2019년]] 기준으로 84개 도시에서 AT&T 파이버를 이용할 수 있다. 기가 인터넷은 월 $80에 제공하고 있으며,[* 2019년 기준] 기가 인터넷 이외에도 100, 300 Mbps 플랜이 있다. 2022년 기준으로 현재 약 8개의 도시에 시범적으로 2.5Gbps와 5Gbps의 가정용(주거용) AT&T 파이버를 사용할 수 있다. == 과거의 주요 계열사 == * [[TMZ]] : 2021년 9월 13일자로 [[폭스 코퍼레이션]]에 매각. * [[크런치롤]] : 2020년 12월자로 [[소니]]에 매각. * [[알카텔|AT&T 테크놀로지스]] : 분리 이후 [[노키아]]가 인수 * [[웨스턴 일렉트릭]] * Xandr : 2021년 [[마이크로소프트]]에게 매각. * AppNexus * [[DirecTV]] : 2021년 분리 이후 지분 30%를 TPG에 매각. * [[워너 미디어|워너미디어]] (WarnerMedia) : 2022년 [[워너 브라더스 디스커버리]]로 분사. * 워너미디어 엔터테인먼트 (WarnerMedia Entertainment) * [[TBS(미국)|터너 브로드캐스팅 시스템]] (Turner Broadcasting System) * [[TBS(미국)|TBS]] * 터너 브로드캐스팅 시스템 아시아 퍼시픽 (Turner Broadcasting System Asia Pacific) * 터너 엔터테인먼트 네트웍스 코리아 (Turner Entertainment Networks Korea) * [[TNT(미국 방송)|TNT]] * TruTV * [[HBO|홈 박스 오피스]] (HBO, Home Box Office) * CINEMAX[* HBO와 자매사이. 1980년 8월 11일 개국.] * HBO 필름 (HBO Films) * HBO 홈 엔터테인먼트 (HBO Home Entertainment) * 오터 미디어 (Otter Media) * 센트럴 유러피안 미디어 엔터프라이즈 (Central European Media Enterprises, 75%) * 워너미디어 뉴스 앤 스포츠 (WarnerMedia News & Sports) * CNN 월드와이드 (CNN Worldwide) * [[CNN]] * HLN[* 1982년 개국한 미국의 케이블 TV 뉴스 채널로, CNN의 부속 채널이며 개국 초기 30분 단위의 스트레이트 뉴스 프로그램을 편성했다. 그러다가 2005년부터 와이드 형태의 대중 문화 뉴스 프로그램과 토론 프로그램 등을 방송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2000년대 중반부터 아시아와 카리브 해, 남아메리카 일부에서도 케이블 TV와 위성 방송을 통해 시청할 수 있게 되었다.] * CNN 인터내셔널 (CNN International) * 터너 스포츠 (Turner Sports) * [[NBA]] TV * [[AT&T SportsNet|AT&T 스포츠넷]] ([[AT&T SportsNet]]) * [[워너 브라더스]] (Warner Bros.) * 워너 브라더스 픽처스 그룹 (Warner Bros. Pictures Group) * 워너 브라더스 픽처스 (Warner Bros. Pictures) * 워너 브라더스 픽처스 인터내셔널 (Warner Bros. Pictures International) * [[워너 브라더스 코리아]] (Warner Bros. Korea) * [[DC 필름스]] (DC Films) * [[뉴 라인 시네마]] (New Line Cinema) * 터너 엔터테인먼트 (Turner Entertainment) * 워너 브라더스 텔레비전 그룹 (Warner Bros. Television Group) * 텔레픽처스 (Telepictures) * [[The CW]] (50%) * 판당고 미디어 (Fandango Media, 30%) * 터너 클래식 무비 (Turner Classic Movies) * 워너 브라더스 홈 엔터테인먼트 그룹 (Warner Bros. Home Entertainment Group) * 워너 홈 비디오 (Warner Home Video) * [[워너 브라더스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 (Warner Bros. Interactive Entertainment) * [[네더렐름 스튜디오]] (NetherRealm Studios) * [[모노리스 프로덕션]] (Monolith Productions) * [[WB 게임즈 보스턴]] (WB Games Boston) * [[WB 게임즈 몬트리올]] (WB Games Montréal) * WB 게임즈 샌프란시스코 (WB Games San Francisco) * 아발란체 소프트웨어 (Avalanche Software) * TT 게임즈 (TT Games) * [[락스테디 스튜디오]] (Rocksteady Studios) * 워너 브라더스 글로벌 키즈 앤 영 어덜트 (Warner Bros. Global Kids & Young Adults) * [[워너 애니메이션 그룹]] (Warner Animation Group) * 워너 브라더스 애니메이션 (Warner Bros. Animation) * 카툰 네트워크 (The Cartoon Network) * [[카툰네트워크 스튜디오]] (cartoon network Studios) * [[카툰 네트워크]] (Cartoon Network) * [[어덜트 스윔]] (Adult Swim) * [[부메랑(미국 방송)|부메랑]] (Boomerang) * [[DC 엔터테인먼트]] (DC Entertainment) * [[DC 코믹스]] (DC Comics) * 와일드스톰 프로덕션 (WildStorm Productions) == 여담 == * 미국의 통신 시장을 독점했을 때 개인이 마트같은 데서 살 수 있는 집 [[전화기]]까지도 독점 했었다. 정확히는 이 회사 가입시 전화기를 줬다. * 전화기 제조 사업으로 시작하여 설립하거나 인수한 통신장비 제조사도 여럿 가지고 있었는데 대표적으로 [[웨스턴 일렉트릭]][* AT&T(당시 벨 전화회사)와 특허권을 가지고 법적 분쟁을 하기도 했다가 인수되었다.]이 있다. 통신장비 계열사들은 96년 계열 분리되어 [[알카텔|알카텔 루슨트]]가 되고, 이후 [[노키아]]에 매각되었다. * 퍼시픽 벨 시절부터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홈 구장[*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서 가장 아름다운 구장으로 꼽힌다.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항목 참조.]의 [[명명권|네이밍 라이츠]]를 구매하여 광고에 써먹고 있었고, 인수합병에 따라서 SBC 파크→AT&T 파크로 변경되는 와중에서도 명명권을 유지하고 있었으나 2018 시즌을 끝으로 명명권 계약을 종료했다. 현재의 이름은 [[오라클 파크]]. * [[NFL]] [[댈러스 카우보이스]]의 홈 구장의 명명권도 사들여서 AT&T 스타디움으로 이름을 [[2013년]]에 바꿨다. * [[NBA]] [[샌안토니오 스퍼스]]의 홈코트 이름 또한 AT&T 센터인데 여기도 구 AT&T에서 찢어져 나온 지역 전화회사 SBC가 네이밍 라이츠를 가지고 SBC 센터라고 하던 걸 SBC가 AT&T를 합병하면서 명칭이 변경된 것이다. * [[버라이즌]]처럼 [[세계무역센터]] [[쌍둥이 빌딩]]에 입주해 있었다고 한다. '''[[9.11테러|그러나..]]''' * 힐그래이브 [[하이퍼터미널]]에서 AT&T로고를 볼수있다.[* 기본 아이콘으로 내장되어있다.] * 주식시장에서는 접근에 굉장히 유의해야 할 주식이다. 2023년 기준으로 얼핏 보면 '''배당률이 7.66%'''를 찍기에 '''[[배당주]]로 각광받고 있는 주식'''으로 보이지만 현실은 함정이다. 당장 해당년도 [[7월 17일]]에 미국에서 미국 통신사들이 독성 납으로 뒤덮인 케이블을 방치하고 있다는 소식이 뜨자 이에 영향을 받아 당일만에 주가가 -6.69%나 하락했으며 이는 곧 30년 전인 1993년 주가보다 낮은 수준이 되었다. 배당률만 놓고 보면 굉장히 매력적인 주식이지만 최근의 분위기와 주가 흐름을 보면 실상은 굉장히 위험한 주식이라는 뜻이다. 다만 이는 경쟁사인 VZ도 마찬가지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더미:at&t, version=59)] [[분류:AT&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