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AFC 아약스)] * [[AFC 아약스]]의 2022-23 시즌에 대한 문서.[* 영입, 경기 등 사건의 날짜 및 요일은 한국시간 기준.] ||<-6> '''{{{#ffffff AFC 아약스 정규 시즌}}}''' || || [[AFC 아약스/2021-22 시즌|{{{#000000 2021-22 시즌}}}]] || {{{+1 →}}} || '''{{{#ffffff 2022-23 시즌}}}''' || {{{+1 →}}} || [[AFC 아약스/2023-24 시즌|{{{#000000 2023-24 시즌}}}]] || [include(틀:AFC 아약스/관련 문서)] ||<-2>
[[AFC 아약스|[[파일:AFC 아약스 로고.svg|height=45]]]][br] {{{+1 '''{{{#fff AFC 아약스 2022-23 시즌}}}''' }}} || || 구단주 ||프랑크 에이컨 (Frank Eijken) || || 감독 ||[[욘 헤이팅아]] (John Heitinga) || || 수석코치 ||[[마이클 레이저허르]] (Michael Reiziger) || || 주장 ||[[두샨 타디치]] (Dušan Tadić) || || 부주장 ||[[위리엔 팀버르]] (Jurriën Timber) || ||<-2> '''{{{#fff {{{+1 경과}}}[br]2023년 5월 28일 기준}}}''' || || [[에레디비시|[[파일:에레디비시 로고(화이트).svg|height=50]]]] || '''{{{+1 3위}}}[br]34전 20승 9무 5패 86득점 38실점''' || || [[UEFA 챔피언스 리그|[[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height=50]]]] || '''{{{+1 조별리그 탈락}}}[br](6전 2승 0무 4패 11득점 16실점)''' || || [[UEFA 유로파 리그|[[파일:UEFA 유로파 리그 로고 화이트.svg|height=50]]]] || '''{{{+1 16강 PO 탈락}}}[br](2전 0승 1무 1패 1득점 3실점)''' || || [[KNVB 베이커|[[파일:KNVB 베이커 로고.svg|height=50]]]] || '''{{{+1 준우승}}}[br](5전 4승 1무 0패 9득점 2실점)''' || || [[요한 크루이프 스할|[[파일:요한 크루이프 스할 로고.svg |height=50]]]] || '''{{{+1 준우승}}}[br](1전 0승 0무 1패 3득점 5실점)''' || || '''최다 득점''' || '''[[브라이언 브로비]]''' (13득점) || || '''최다 도움''' || '''[[두샨 타디치]]''' (18도움)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electie-ajax-1-09-2022-1280.jpg|width=100%]]}}} || AFC 아약스의 2022-23 시즌에 대한 문서. == 스쿼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fff 20%, #d50032 20%, #d50032 80%, #fff 80%, #fff)" [[AFC 아약스|[[파일:AFC 아약스 로고.svg|width=50]]]][br]{{{-1 '''{{{#!html AFC 아약스 2022-23 시즌 스쿼드}}}'''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d50032,#ff295b }}}''' || '''{{{#d50032,#ff295b }}}''' || '''{{{#d50032,#ff295b }}}''' || '''{{{#d50032,#ff295b }}}''' || '''{{{#d50032,#ff295b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jax-profile-photos-ajax-maarten-stekelenburg.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jax-profile-photos-ajax_0024_ajax-2022-2023-jurien-timber-0005.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jax-profile-photos-ajax-bassey.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jax-profile-photos-ajax_0033_ajax-2022-2023-edson-alvarez-0006.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jax-profile-photos-ajax_0014_ajax-2022-2023-owen-wijndal-0006.png|width=100]]}}} || || '''{{{#d50032 1}}}''' || '''{{{#fff 2 (VC)}}}''' || '''{{{#fff 3}}}''' || '''{{{#fff 4}}}''' || '''{{{#fff 5}}}''' || || [[마르턴 스테켈렌뷔르흐]][br]Maarten '''Stekelenburg'''[br][[네덜란드|[[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 GK[br]1982.09.22[br]2020~2023 || [[위리엔 팀버르]][br]Jurriën '''Timber'''[br][[네덜란드|[[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 DF[br]2001.06.17[br]2020~2025 || [[캘빈 배시]][br]Calvin '''Bassey'''[br][[나이지리아|[[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width=30]]]] | DF[br]1999.12.31[br]2022~2027 || [[에드손 알바레스]][br]Edson '''Álvarez'''[br][[멕시코|[[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30]]]] | DF[br]1997.10.24[br]2019~2025 || [[오언 베인달]][br]Owen '''Wijndal'''[br][[네덜란드|[[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 DF[br]1999.11.28[br]2022~2027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jax-profile-photos-ajax_0038_ajax-2022-2023-davy-klaassen-0006.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jax-profile-photos-ajax-bergwijn.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jax-profile-photos-ajax_0023_ajax-2022-2023-kenneth-taylor-0006.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jax-profile-photos-ajax-brobbey.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jax-profile-photos-ajax_0034_ajax-2022-2023-dusan-tadic-0004.png|width=100]]}}} || || '''{{{#fff 6}}}''' || '''{{{#fff 7}}}''' || '''{{{#fff 8}}}''' || '''{{{#fff 9}}}''' || '''{{{#fff 10 (C)}}}''' || || [[데이비 클라선]][br]Davy '''Klaassen'''[br][[네덜란드|[[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 MF[br]1993.02.21[br]2020~2024 || [[스티븐 베르흐베인]][br]Steven '''Bergwijn'''[br][[네덜란드|[[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 FW[br]1997.10.08[br]2022~2027 || [[케네스 테일러]][br]Kenneth '''Taylor'''[br][[네덜란드|[[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 MF[br]2002.05.16[br]2021~2022 || [[브라이언 브로비]][br]Brian '''Brobbey'''[br][[네덜란드|[[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 FW[br]2002.02.01[br]2022~2027 || [[두샨 타디치]][br]Dušan '''Tadić'''[br][[세르비아|[[파일:세르비아 국기.svg|width=30]]]] | FW[br]1988.11.20[br]2018~2024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jax-profile-photos-ajax_3000_ajax-2022-2023-geronimo-rulli-1000.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jax-profile-photos-ajax-kaplan.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jax-profile-photos-ajax_0037_ajax-2022-2023-devyne-rensch-0004.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jax-profile-photos-ajax-lucca.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jax-profile-photos-ajax-sanchez.png|width=100]]}}} || || '''{{{#d50032 12}}}''' || '''{{{#fff 13}}}''' || '''{{{#fff 15}}}''' || '''{{{#fff 18}}}''' || '''{{{#fff 19}}}''' || || [[헤로니모 루이]][br]Gerónimo '''Rulli'''[br][[아르헨티나|[[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30]]]] | GK[br]1992.05.20[br]2023~2026 || [[아흐메트잔 카플란]][br]Ahmetcan '''Kaplan'''[br][[튀르키예|[[파일:튀르키예 국기.svg|width=30]]]] | DF[br]2003.01.16[br]2022~2027 || [[데빈 렌스]][br]Devyne '''Rensch'''[br][[네덜란드|[[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 DF[br]2003.01.18[br]2020~2025 || [[로렌초 루카]][br]'''Lorenzo Lucca'''[br][[이탈리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 | FW[br]2000.09.10[br]2022~2023[*a [[피사 SC]]에서 임대] || [[호르헤 산체스]][br]Jorge '''Sánchez'''[br][[멕시코|[[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30]]]] | DF[br]1997.12.10[br]2022~2026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jax-profile-photos-ajax_0017_ajax-2022-2023-mohammed-kudus-0006.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jax-profile-photos-ajax-grillitsch.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jax-profile-photos-ajax_0011_ajax-2022-2023-remko-pasveer-0005.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jax-profile-photos-ajax_0004_ajax-2022-2023-steven-berghuis-0006.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jax-profile-photos-ajax_0002_ajax-2022-2023-youri-baas-0004.png|width=100]]}}} || || '''{{{#fff 20}}}''' || '''{{{#fff 21}}}''' || '''{{{#d50032 22}}}''' || '''{{{#fff 23}}}''' || '''{{{#fff 25}}}''' || || [[모하메드 쿠두스]][br]Mohammed '''Kudus'''[br][[가나|[[파일:가나 국기.svg|width=30]]]] | MF[br]2000.08.02[br]2020~2025 || [[플로리안 그릴리치]][br]Florian '''Grillitsch'''[br][[오스트리아|[[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width=30]]]] | MF[br]1995.08.07[br]2022~2025 || [[렘코 파스베이르]][br]Remko '''Pasveer'''[br][[네덜란드|[[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 GK[br]1983.11.08[br]2021~2024 || [[스티븐 베르하위스]][br]Steven '''Berghuis'''[br][[네덜란드|[[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 FW[br]1991.12.19[br]2021~2025 || [[유리 바스]][br]Youri '''Baas'''[br][[네덜란드|[[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 DF[br]2003.03.17[br]2022~2026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jax-profile-photos-ajax_0000_jong-ajax-2022-2023-youri-regeer-0004.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jax-profile-photos-ajax_0022_ajax-2022-2023-kian-fitz-jim-0003.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jax-profile-photos-ajax_0016_ajax-2022-2023-naci-unuvar-0003.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jax-profile-photos-ajax-conceicao.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jax-profile-photos-ajax_0040_ajax-2022-2023-christian-rasmussen-0004.png|width=100]]}}} || || '''{{{#fff 26}}}''' || '''{{{#fff 28}}}''' || '''{{{#fff 32}}}''' || '''{{{#fff 35}}}''' || '''{{{#fff 37}}}''' || || [[유리 레헤이르]][br]Youri '''Regeer'''[br][[네덜란드|[[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 DF[br]2003.08.18[br]2022~2025 || [[키안 피츠짐]][br]Kian '''Fitz-Jim'''[br][[네덜란드|[[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 MF[br]2003.07.05[br]2022~2024 || [[나지 위뉘바르]][br]Naci '''Ünüvar'''[br][[튀르키예|[[파일:튀르키예 국기.svg|width=30]]]] | FW[br]2003.06.13[br]2022~2026 || [[프란시스쿠 콘세이상]][br]Francisco '''Conceição'''[br][[포르투갈|[[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30]]]] | FW[br]2002.12.14[br]2022~2027 || [[크리스티안 라스무센]][br]Christian '''Rasmussen'''[br][[덴마크|[[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30]]]] | FW[br]2003.01.19[br]2021~2027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jajax-profile-photos-ajax_0009_ajax-2022-2023-mika-godts-0003.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jax-profile-photos-ajax_0008_ajax-2022-2023-silvano-vos-0006.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jax-profile-photos-ajax_0015_ajax-2022-2023-olivier-aertssen-0006.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jax-profile-photos-ajax_0041_ajax-2022-2023-charlie-setford-0009.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jax-profile-photos-ajax_3000_ajax-2022-2023-jorrel-hato-1000.png|width=100]]}}} || || '''{{{#fff 39}}}''' || '''{{{#fff 41}}}''' || '''{{{#fff 43}}}''' || '''{{{#d50032 51}}}''' || '''{{{#fff 57}}}''' || || [[미카 고츠]][br]Mika '''Godts'''[br][[벨기에|[[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30]]]] | FW[br]2005.06.07[br]2023~2025 || [[실바노 보스]][br]Silvano '''Vos'''[br][[네덜란드|[[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 MF[br]2005.03.16br]2021~2024 || [[올리비어르 아르트선]][br]Olivier '''Aertssen'''[br][[네덜란드|[[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 DF[br]2004.08.07[br]2022~2025 || [[찰리 셋퍼드]][br]Charlie '''Setford'''[br][[잉글랜드|[[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30]]]] | GK[br]2004.05.11[br]2021~2023 || [[요렐 하토]][br]Jorrel '''Hato'''[br][[네덜란드|[[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 DF[br]2006.03.07[br]2023~2025 || ||<-5> '''{{{#fff [[AFC 아약스|{{{#fff AFC 아약스}}}]] [[AFC 아약스/2022-23 시즌|{{{#fff 2022-23 시즌}}}]] 임대선수}}}''' || || {{{#!wiki style="margin: -5px -10px" [[모하메드 다라미|[[파일:ajax-profile-photos-ajax_0017_ajax-2022-2023-mohamed-daramy-0006.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킥 피리|[[파일:ajax-profile-photos-ajax_0021_ajax-2022-2023-kik-pierie-0005.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제이 호르터르|[[파일:ajax-profile-photos-ajax_0027_ajax-2022-2023-jay-gorter-0012.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AFC 아약스|[[파일:AFC 아약스 로고.sv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AFC 아약스|[[파일:AFC 아약스 로고.svg|width=100]]]]}}} || || '''{{{#fff 15}}}''' || '''{{{#fff 3}}}''' || '''{{{#fff 19}}}'''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0f0f0, #fff 20%, #d50032 20%, #b8042b 45%, #b8042b 55%, #d50032 80%, #fff 80%, #f0f0f0)" '''{{{#fff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0f0f0, #fff 20%, #d50032 20%, #b8042b 45%, #b8042b 55%, #d50032 80%, #fff 80%, #f0f0f0)" '''{{{#fff -}}}'''}}} || || [[모하메드 다라미]][br]Mohamed '''Daramy'''[br][[덴마크|[[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30]]]] | FW[br]2002.01.17[br]2021~2026[br][[FC 코펜하겐]] 임대 || [[킥 피리]][br]Kik '''Pierie'''[br][[네덜란드|[[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 DF[br]2000.07.20[br]2019~2024[br][[엑셀시오르 로테르담|SBV 엑셀시오르]] 임대 || [[제이 호르터르]][br]Jay '''Gorter'''[br][[네덜란드|[[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 GK[br]2000.05.30[br]2021~2025[br][[에버딘 FC]] 임대 || || || ||<-6> '''[[AFC 아약스 (|{{{#fff 구단 정보}}}]]''' || ||<-6> {{{#d50032,#ff295b '''단장: [[네덜란드|[[파일:UEFA NED.png|width=30]]]] [[에드빈 판데르사르|{{{#d50032,#ff295b 에드빈 판데르사르}}}]] / 감독 : [[네덜란드|[[파일:UEFA NED.png|width=30]]]] [[욘 헤이팅아|{{{#d50032,#ff295b 욘 헤이팅아}}}]] / 구장 : [[요한 크루이프 아레나|{{{#d50032,#ff295b 요한 크루이프 아레나}}}]]'''}}} || ||<-7> '''{{{#d50032 출처: [[https://www.ajax.nl/|{{{#d50032 AFC 아약스 공식 웹사이트}}}]], [[https://www.transfermarkt.com/ajax-amsterdam/kader/verein/610/plus/1/galerie/0?saison_id=2022|{{{#d50032 트랜스퍼마크트}}}]]}}}''' || }}}}}} || ===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2022 FIFA 월드컵]] 차출 명단 === 2022년 11월 20일부터 12월 18일(한국시간)까지 펼쳐지는 카타르 월드컵에 각국의 축구 국가대표로 차출되는 AFC 아약스 소속 선수단은 다음과 같다. * A조 * [[네덜란드 축구 국가대표팀|네덜란드]] (7명) - [[데일리 블린트]], [[위리엔 팀버르]], [[데이비 클라선]], [[스티븐 베르하위스]], [[스티븐 베르흐베인]], [[렘코 파스베이르]], [[케네스 테일러]] * C조 * [[멕시코 축구 국가대표팀|멕시코]] (2명) - [[에드손 알바레스]], [[호르헤 산체스]] * G조 * [[세르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세르비아]] (1명) - [[두샨 타디치]] * H조 * [[가나 축구 국가대표팀|가나]] (1명) - [[모하메드 쿠두스]] 무려 11명이 국가대표팀에 차출되었다. 2018년 러시아월드컵에 비해 많은 선수들이 국가대표팀에 차출되었다. 러시아월드컵 당시에는 네덜란드가 예선탈락을 해버리는 바람에 3명의 선수들이 차출되었던것과 비교하면 네덜란드가 월드컵에 있는것과 없는것에 따라 차출 인원 수가 극심하게 비교된다는것을 알 수 있다. == 유니폼 및 스폰서 == ||<-4>
'''{{{#F5F5F5 AFC 아약스 2022-23 시즌 유니폼}}}''' || ||<#F5F5F5> [[파일:22-23 ajax home kit.png|width=100%]] ||<#F5F5F5> [[파일:22-23 ajax away kit.png|width=100%]] ||<#F5F5F5> [[파일:22-23 ajax third kit.png|width=100%]] ||<#F5F5F5> [[파일:22-23 ajax goalkeeper kit.png|width=100%]] || ||<#d50032> '''{{{#ffffff HOME}}}''' ||<#1d2d5c> '''{{{#EEC476 AWAY}}}''' ||<#EEC476> '''{{{#ffffff THIRD}}}''' ||<#0190DB> '''{{{#7BCCF3 GK HOME}}}''' || ||<-4>
'''{{{#F5F5F5 메이커 및 스폰서}}}''' || || [[아디다스|[[파일:adidas.png|width=80%]]]] || [[파일:ziggo.png|width=80%]] || [[파일:Ziggo GigaNet.png|width=80%]] || [[파일:CURACA.png|width=80%]] || || '''{{{#F5F5F5 유니폼 메이커}}}''' || '''{{{#F5F5F5 메인 스폰서}}}''' || '''{{{#F5F5F5 백 스폰서}}}''' || '''{{{#F5F5F5 소매 스폰서}}}''' || === 부착 패치 === ||
'''{{{#ffffff AFC 아약스 2022-23 시즌 부착 패치}}}''' || || [[파일:UCL_4.png|width=150]] || || '''[[UEFA 배지 오브 오너|{{{#ffffff UEFA 배지 오브 오너}}}]]''' || == 여름 이적시장 == === IN === ||<-6>
'''{{{#ffffff AFC 아약스 2022-23 시즌 여름 이적시장 영입 선수 명단}}}''' || || '''{{{#ffffff 이름}}}''' || '''{{{#ffffff 영문}}}''' || '''{{{#ffffff From.}}}''' || '''{{{#ffffff 포지션}}}''' || '''{{{#ffffff 국적}}}''' || '''{{{#ffffff 이적료}}}''' || || [[킥 피리]] || Kik Pierie || [[FC 트벤터]] || DF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 임대 복귀 || || [[리산드로 마가샨]] || Lisandro Magallán || [[RSC 안데를레흐트]] || DF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30]] || 임대 복귀 || || [[하산 반데]] || Hassane Bandé || [[NK 이스트라 1961]] || FW ||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width=30]] || 임대 복귀 || || [[유리 레헤이르]] || Youri Regeer || [[용 아약스]] || DF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 유스 콜업 || || [[나지 위뉘바르]] || Naci Ünüvar || [[용 아약스]] || FW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 유스 콜업 || || [[키안 피츠 짐]] || Kian Fitz-Jim || [[용 아약스]] || MF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 유스 콜업 || || [[유리 바스]] || Youri Baas || [[용 아약스]] || DF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 유스 콜업 || || [[스티븐 베르흐베인]] || Steven Bergwijn || [[토트넘 홋스퍼 FC]] || FW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 €31.25m || || [[오언 베인달]] || Owen Wijndal || [[AZ 알크마르]] || DF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 €10m || || [[캘빈 배시]] || Calvin Bassey || [[레인저스 FC]] || DF ||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width=30]] || €23m + €3.5m || || [[프란시스쿠 콘세이상]] || Francisco Conceição || [[FC 포르투]] || FW || [[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30]] || €5m || || [[브라이언 브로비]] || Brian Brobbey || [[RB 라이프치히]] || FW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 €16.35m + €3m || || [[로렌초 루카]] || Lorenzo Lucca || [[피사 SC]] || FW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 || 임대 || || [[호르헤 산체스]] || Jorge Sánchez || [[클루브 아메리카]] || DF || [[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30]] || €5m || || [[아흐메트잔 카플란]] || Ahmetcan Kaplan || [[트라브존스포르]] || DF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width=30]] || €9.6m || || [[루카스 오캄포스]] || Lucas Ocampos || [[세비야 FC]] || FW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30]] || 임대 || || [[플로리안 그릴리치]] || Florian Grillitsch || FA || MF ||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width=30]] || 자유 계약 || === OUT === ||<-6>
'''{{{#ffffff AFC 아약스 2022-23 시즌 여름 이적시장 방출 선수 명단}}}''' || || '''{{{#ffffff 이름}}}''' || '''{{{#ffffff 영문}}}''' || '''{{{#ffffff To.}}}''' || '''{{{#ffffff 포지션}}}''' || '''{{{#ffffff 국적}}}''' || '''{{{#ffffff 이적료}}}''' || || [[다닐루(1999)|다닐루]] || Danilo ||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 FW ||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 FA || || [[프셰미스와프 티톤]] || Przemysław Tytoń || [[FC 트벤터]] || GK || [[파일:폴란드 국기.svg|width=30]] || FA || || [[누사이르 마즈라위]] || Noussair Mazraoui || [[FC 바이에른 뮌헨]] || DF || [[파일:모로코 국기.svg|width=30]] || FA || || [[라이언 흐라번베르흐]] || Ryan Gravenberch || [[FC 바이에른 뮌헨]] || MF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 €19m[* 옵션 발동 시 €24.5m] || || [[도미니크 코타르스키]] || Dominik Kotarski || [[PAOK FC]] || GK ||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width=30]] || €1m || || [[브라이언 브로비]] || Brian Brobbey || [[RB 라이프치히]] || FW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 임대 복귀 || || [[자카리아 라비아드]] || Zakaria Labyad || - || MF || [[파일:모로코 국기.svg|width=30]] || FA || || [[안드레 오나나]] || André Onana ||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 GK || [[파일:카메룬 국기.svg|width=30]] || FA || || [[세바스티앵 알레]] || Sébastien Haller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FW ||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width=30]] || €31+ €3.5m || || [[리산드로 마르티네스]] || Lisandro Martínez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 DF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30]] || €57.37m + €10m || || [[니콜라스 탈리아피코]] || Nicolás Tagliafico || [[올랭피크 리옹]] || DF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30]] || €4.2m || || [[모하메드 다라미]] || Mohamed Daramy || [[FC 코펜하겐]] || FW || [[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30]] || 임대 || || [[페르 스휘르스]] || Perr Schuurs || [[토리노 FC]] || DF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 €9m[* 옵션 발동 시 €11.3m] || || [[숀 클라이버르]] || Sean Klaiber || [[FC 위트레흐트]] || DF || [[파일:수리남 국기.svg|width=30]] || FA || || [[안토니(2000)|안토니]] || Antony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 FW ||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 €95m + €5m || || [[나지 위뉘바르]] || Naci Ünüvar || [[트라브존스포르]] || FW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 임대 || === 여름 오피셜 === * 2022년 5월 20일, [[다닐루(1999)|다닐루]]가 FA 신분으로 [[페예노르트 로테르담]]으로 자유 이적했다. * 2022년 5월 24일, [[프셰미스와프 티톤]]이 FA 신분으로 [[FC 트벤터]]로 자유 이적했다. * 2022년 5월 24일, [[누사이르 마즈라위]]가 FA 신분으로 [[FC 바이에른 뮌헨]]으로 자유 이적했다. * 2022년 6월 14일, [[FC 바이에른 뮌헨]]이 이적료 €25m[* 옵션 포함]을 지불하고 [[라이언 흐라번베르흐]]를 영입하였다. * 2022년 6월 18일, [[PAOK FC]]가 €1을 지불하고 [[도미니크 코타르스키]]를 영입하였다. * 2022년 7월 1일, [[안드레 오나나]]가 FA신분으로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로 자유 이적했다. * 2022년 7월 7일, [[보루시아 도르트문트]]가 이적료 €31m + 보너스 €3.5m을 지불하고 [[세바스티앵 알레]]를 영입하였다. * 2022년 7월 8일, [[토트넘 홋스퍼 FC]]한테 이적료 €31.25m을 지불하고 [[스티븐 베르흐베인]]을 영입하였다. * 2022년 7월 12일, [[AZ 알크마르]]한테 이적료 €10m을 지불하고 [[오언 베인달]]을 영입하였다. * 2022년 7월 17일,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가 이적료 €57.37m + 보너스 €10m을 지불하고 [[리산드로 마르티네스]]를 영입하였다. * 2022년 7월 20일, [[레인저스 FC]]한테 이적료 €23m + 보너스 €3.5m을 지불하고 [[캘빈 배시]]를 영입하였다. * 2022년 7월 22일, [[FC 포르투]]한테 이적료 €5m을 지불하고 [[프란시스쿠 콘세이상]]을 영입하였다. * 2022년 7월 22일, [[RB 라이프치히]]한테 이적료 €16.35m + 보너스 €3m을 지불하고 [[브라이언 브로비]]를 영입하였다. * 2022년 7월 23일, [[올랭피크 리옹]]이 이적료 €4.2m 지불하고 [[니콜라스 탈리아피코]]를 영입하였다. * 2022년 8월 3일, [[모하메드 다라미]]가 [[FC 코펜하겐]]으로 임대 이적하였다. * 2022년 8월 5일, [[피사 SC]]에서 [[로렌초 루카]]를 임대영입 하였다. * 2022년 8월 11일, [[클루브 아메리카]]한테 이적료 €5m을 지불하고 [[호르헤 산체스]]를 영입하였다. * 2022년 8월 19일, [[토리노 FC]]가 이적료 €11.3m[* 옵션 포함]을 지불하고 [[페르 스휘르스]]를 영입하였다. * 2022년 8월 19일, [[트라브존스포르]]한테 이적료 €9.6m을 지불하고 [[아흐메트잔 카플란]]을 영입하였다. * 2022년 8월 29일, [[숀 클라이버르]]가 FA 신분으로 [[FC 위트레흐트]]로 자유 이적했다. * 2022년 8월 30일,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가 이적료 €95m + 보너스 €5m을 지불하고 [[안토니(2000)|안토니]]를 영입하였다. * 2022년 8월 30일, [[나지 위뉘바르]]가 [[트라브존스포르]]으로 임대 이적하였다. * 2022년 9월 1일, [[세비야 FC]]에서 [[루카스 오캄포스]]를 임대영입 하였다. * 2022년 9월 2일, [[TSG 1899 호펜하임]] 소속이자 자유계약 신분이였던 [[플로리안 그릴리치]]를 영입하였다. === 여름 이적설 === ==== 영입설 ==== * {{{#d50032 '''[영입 완료]'''}}} [[스티븐 베르흐베인]] : [[토트넘 홋스퍼 FC]]한테 이적료 €31.25m을 지불하고 영입하였다. * {{{#d50032 '''[영입 완료]'''}}} [[오언 베인달]] : [[AZ 알크마르]]한테 이적료 €10m을 지불하고 영입하였다. * {{{#d50032 '''[영입 완료]'''}}} [[캘빈 배시]] : [[레인저스 FC]]한테 이적료 €23m + 보너스 €3.5m을 지불하고 영입하였다. * {{{#d50032 '''[영입 완료]'''}}} [[프란시스쿠 콘세이상]] : [[FC 포르투]]한테 이적료 €5m을 지불하고 영입하였다. * {{{#d50032 '''[영입 완료]'''}}} [[브라이언 브로비]] : [[RB 라이프치히]]한테 이적료 €16.35m + 보너스 €3m을 지불하고 영입하였다. * {{{#d50032 '''[영입 완료]'''}}} [[로렌초 루카]] : [[피사 SC]] 소속 공격수 로렌초 루카를 임대영입 하였다. 구매옵션이 포함되어있고 임대료는 €1m, 완전이적료는 €10m. * {{{#d50032 '''[영입 완료]'''}}} [[호르헤 산체스]] : [[클루브 아메리카]]한테 이적료 €5m을 지불하고 영입하였다. * {{{#d50032 '''[영입 완료]'''}}} [[아흐메트잔 카플란]] : [[트라브존스포르]]한테 이적료 €9.6m을 지불하고 영입하였다. * {{{#d50032 '''[영입 완료]'''}}} [[루카스 오캄포스]] : [[세비야 FC]] 소속 공격수 루카스 오캄포스를 임대영입 하였다. 구매옵션이 포함되어 있고 계약기간은 2023년 7월까지. * {{{#d50032 '''[영입 완료]'''}}} [[플로리안 그릴리치]] : 자유계약 신분인 [[플로리안 그릴리치]]를 영입하였다. 계약기간은 2025년 6월까지. * {{{#d50032 '''[영입 무산]'''}}} [[하킴 지예흐]] : [[첼시 FC]]에서 주전경쟁을 실패한 지예흐가 [[AFC 아약스]]로 돌아갈것이다 라는 기사가 나오고 있다. [[알프러트 스뢰더르]] 역시 지예흐를 원한다고 보도되었다. 그러나 현재 [[AC 밀란]] 이적 기사가 쏟아져 나오고 있는 상황이라 사실상 영입 무산이 되는줄 알았으나 [[안토니(2000)|안토니]] 맨유 이적 루머가 급격하게 쏟아져 나오면서 그의 대체자로 [[하킴 지예흐]]를 영입 1순위로 주시하고 있다. 그러나 첼시와 협상과정에서 교착 상태에 빠지면서 영입 가능성이 낮아졌고 결국 영입 무산되었다. * {{{#d50032 '''[영입 무산]'''}}} [[안와르 엘 가지]] : [[안토니(2000)|안토니]]의 맨유 이탈로 인하여 대체자원으로 뽑히고 있는 선수 중 하나이다. 원래는 [[하킴 지예흐]]가 유력하였으나 교착 상태로 인하여 영입이 어려워져 현재 1순위 영입자원이라고 한다. 그러나 아약스는 [[루카스 오캄포스]]를 임대영입이 되었고 엘가지는 [[PSV 에인트호번]] 이적이 확정되었다. * {{{#d50032 '''[영입 무산]'''}}} [[레온 베일리]] : [[안토니(2000)|안토니]]의 맨유 이탈로 인하여 대체자원으로 뽑히고 있는 선수 중 하나이다. 그러나 [[아스톤 빌라 FC]]가 스쿼드 뎁스 우려 때문에 영입 무산되었다. * {{{#d50032 '''[영입 무산]'''}}} [[저스틴 클라위버르트]] : [[안토니(2000)|안토니]]의 맨유 이탈로 인하여 대체자원으로 뽑히고 있는 선수 중 하나이다. 그러나 [[AS 로마]]는 그를 매각시킬 의사가 없다고 하면서 영입 무산되었다. * {{{#d50032 '''[영입 무산]'''}}} [[오디세아스 블라호디모스]] : [[SL 벤피카]] 골키퍼 블라호디모스를 계속 주시하고 있다. 원래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와 강하게 연결되었으나 [[마르틴 두브라프카]]로 선회하면서 무산되었고 현재 아약스와 강하게 연결되고 있다. 선수 본인도 아약스행을 원하고 있고 아약스는 [[루카스 오캄포스]]와 함께 영입 1순위 선수라고 한다. 그러나 아약스 수뇌부에서 의견이 갈리면서 겨울이적시장때 그를 다시 영입 타겟으로 잡기로 결정되었다. * {{{#d50032 '''[영입 무산]'''}}} [[케니 테터]] : [[누사이르 마즈라위]]의 이탈로 대체자원으로 영입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도되고있다. [[케니 테테]] 역시 [[AFC 아약스]] 이적에 배제하지 않는다고 인터뷰 하였다. 그러나 [[풀럼 FC]]가 이번시즌 [[프리미어 리그]]로 승격하면서 이적 생각이 없다고 하였고 구단 역시 NFS 선언을 하면서 영입 무산이 되었다. * {{{#d50032 '''[영입 무산]'''}}} [[야스퍼르 실레선]] : [[안드레 오나나]]의 이적루머, [[마르턴 스테켈렌뷔르흐]], [[렘코 파스베이르]] 같은 노장 골키퍼들 때문에 확실한 주전키퍼를 영입가능성이 높다고 보도되었다. 그러나 [[PSV 에인트호번]] 역시 실레선 영입을 고려하고 있다고 보도되어 경쟁할 것으로 예측되었으나 결국 자신의 친정팀이였던 [[NEC 네이메헌]]으로 이적했다. * {{{#d50032 '''[영입 무산]'''}}} [[퇸 코프메이너르스]] : [[라이언 흐라번베르흐]]의 이탈로 선발자원으로 뛸 수 있는 수비형 미드필더 중 한명으로 지목되었으나 [[아탈란타 BC]]가 NFS 선언을 하면서 영입 무산이 되었다. * {{{#d50032 '''[영입 무산]'''}}} [[마르크 플레컨]] : [[안드레 오나나]]의 이적루머, [[마르턴 스테켈렌뷔르흐]], [[렘코 파스베이르]] 같은 노장 골키퍼들 때문에 확실한 주전키퍼를 영입가능성이 높을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PSV 에인트호번]]과 영입경쟁을 하고 있는 [[야스퍼르 실레선]] 영입이 실패할 경우, [[마르크 플레컨]]으로 선회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선수 본인이 이적을 꺼리고 있고 그의 소속팀도 매각을 꺼리고 있어 영입이 무산되었다. * {{{#d50032 '''[영입 무산]'''}}} [[미콜라 마트비옌코]] : [[리산드로 마르티네스]] 이적 시 대체자원으로 영입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아스날 FC]]와 영입 경쟁 및 이적료가 비싸 철회 한것으로 밝혀졌다. * {{{#d50032 '''[영입 무산]'''}}} [[사샤 칼라이지치]] : [[브라이언 브로비]] 완전 영입이 실패 시 칼라이지치로 선회할 것으로 예상됐으나 [[브라이언 브로비]] 완전 영입이 선공되면서 영입을 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후 [[울버햄튼 원더러스 FC]]로 이적하였다. ==== 방출설 ==== * {{{#d50032 '''[방출 완료]'''}}} [[다닐루(1999)|다닐루]] : [[페예노르트 로테르담]]으로 자유 이적했다. * {{{#d50032 '''[방출 완료]'''}}} [[프셰미스와프 티톤]] : [[FC 트벤터]]로 자유 이적했다. * {{{#d50032 '''[방출 완료]'''}}} [[누사이르 마즈라위]] : [[FC 바이에른 뮌헨]]으로 자유 이적했다. * {{{#d50032 '''[방출 완료]'''}}} [[라이언 흐라번베르흐]] : [[FC 바이에른 뮌헨]]이 이적료 19m을 지불하고 영입하였다. * {{{#d50032 '''[방출 완료]'''}}} [[도미니크 코타르스키]] : [[PAOK FC]]]가 1m을 지불하고 영입하였다. * {{{#d50032 '''[방출 완료]'''}}} [[자카리아 라비아드]] : 21-22시즌 끝으로 [[AFC 아약스]]와 제계약을 하지않아 계약이 만료되어 팀을 떠나게 되었다. * {{{#d50032 '''[방출 완료]'''}}} [[안드레 오나나]] : 21-22시즌 끝으로 [[AFC 아약스]]와 제계약을 하지않아 계약이 만료되어 팀을 떠나게 되었다. 7월 1일,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로 자유 이적했다. * {{{#d50032 '''[방출 완료]'''}}} [[세바스티앵 알레]]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가 이적료 31m + 보너스 4m을 지불하고 영입하였다. * {{{#d50032 '''[방출 완료]'''}}} [[리산드로 마르티네스]]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가 이적료 57.37m + 보너스 10m을 지불하고 영입하였다. * {{{#d50032 '''[방출 완료]'''}}} [[니콜라스 탈리아피코]] : [[올랭피크 리옹]]이 이적료 4.2m을 지불하고 영입하였다. * {{{#d50032 '''[방출 완료]'''}}} [[모하메드 다라미]] : [[FC 코펜하겐]]으로 임대 이적하였다. 임대 기간은 2023년 6월 30일 까지. * {{{#d50032 '''[방출 완료]'''}}} [[페르 스휘르스]] : [[토리노 FC]]가 이적료 9m을 지불하고 영입하였다. * {{{#d50032 '''[방출 완료]'''}}} [[숀 클라이버르]] : [[FC 위트레흐트]]로 자유 이적했다. * {{{#d50032 '''[방출 완료]'''}}} [[안토니(2000)|안토니]]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가 이적료 95m + 보너스 5m을 지불하고 영입하였다. * {{{#d50032 '''[방출 완료]'''}}} [[나지 위뉘바르]] : [[트라브존스포르]]으로 임대 이적하였다. 임대 기간은 2023년 6월 30일 까지. * {{{#d50032 '''[방출 무산]'''}}} [[모하메드 쿠두스]] : [[에버튼 FC]]와 강하게 이적링크가 나오고 있다. 구단과 선수간의 합의는 끝났지만 이미 전력누수가 심한 아약스는 더 이상 선수 방출은 어렵다고 판단해 방출 거부하고 있고 결국 잔류하였다. * {{{#d50032 '''[방출 무산]'''}}} [[리산드로 마가샨]] : [[위리엔 팀버르]], [[캘빈 배시]]의 확고한 주전때문에 주전입지가 좁아진 이유로 임대, 이적 할것으로 보여진다. 그러나 공식적으로 오퍼 들어온 팀이 없어 잔류 확정 되었다. * {{{#d50032 '''[방출 무산]'''}}} [[위리엔 팀버르]]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이적 링크가 자주 나오고 있다. 옛스승 [[에릭 텐하흐]]가 팀버 영입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AFC 아약스]]중에서 데리고 싶은 선수 중 1명이라고 말했으나 [[위리엔 팀버르]] 본인이 월드컵 최종선발에 들어가기 위해 [[AFC 아약스]]에서 경기출전을 보장 받고 싶다고 인터뷰에서 밝히면서 잔류를 선택하였다. * {{{#d50032 '''[방출 무산]'''}}} [[에드손 알바레스]] : [[RB 라이프치히]]가 대략 30m의 이적 제안을 하였으나, 월드컵 최종선발에 들어가기 위해 경기출전 보장의 이유로 [[AFC 아약스]] 잔류를 선언하였다. 이후 이적시장 마감전에 [[첼시 FC]]한테 이적 제안이 왔고 본인도 이적을 선호 하고 있었으나 전력 누수가 심해 방출을 거부하였고 결국 잔류하였다. == 겨울 이적시장 == === IN === ||<-6>
'''{{{#ffffff AFC 아약스 2022-23 시즌 여름 이적시장 영입 선수 명단}}}''' || || '''{{{#ffffff 이름}}}''' || '''{{{#ffffff 영문}}}''' || '''{{{#ffffff From.}}}''' || '''{{{#ffffff 포지션}}}''' || '''{{{#ffffff 국적}}}''' || '''{{{#ffffff 이적료}}}''' || || [[헤로니모 루이]] || Gerónimo Rulli || [[비야레알 CF]] || GK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30]] || €8m + €2m || || [[미카 고츠]] || Mika Godts || [[KRC 헹크]] || FW || [[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30]] || €1m || === OUT === ||<-6>
'''{{{#ffffff AFC 아약스 2022-23 시즌 여름 이적시장 방출 선수 명단}}}''' || || '''{{{#ffffff 이름}}}''' || '''{{{#ffffff 영문}}}''' || '''{{{#ffffff To.}}}''' || '''{{{#ffffff 포지션}}}''' || '''{{{#ffffff 국적}}}''' || '''{{{#ffffff 이적료}}}''' || || [[킥 피리]] || Kik Pierie || [[엑셀시오르 로테르담|SBV 엑셀시오르]] || DF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 임대 || || [[무함마드 이하타렌]] || Mohamed Ihattaren || [[유벤투스 FC]] || MF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 임대 복귀 || || [[데일리 블린트]] || Daley Blind || FA || DF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 계약 해지 || || [[리산드로 마가샨]] || Lisandro Magallán || [[엘체 CF]] || DF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30]] || FA || || [[루카스 오캄포스]] || Lucas Ocampos || [[세비야 FC]] || FW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30]] || 임대 복귀 || || [[제이 호르터르]] || Jay Gorter || [[애버딘 FC]] || GK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 임대 || || [[빅토르 옌센]] || Victor Jensen || [[FC 위트레흐트]] || FW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 €1.1m || || [[손체 한선]] || Sontje Hansen || [[NEC 네이메헌]] || FW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 FA[* 시즌 도중 자유 이적] || === 겨울 오피셜 === * 2022년 11월 1일, [[무함마드 이하타렌]]이 2023년 1월 4일에 [[유벤투스 FC]]로 임대 복귀 하기로 결정되었다. * 2022년 12월 1일, [[킥 피리]]가 [[엑셀시오르 로테르담|SBV 엑셀시오르]]으로 임대 이적했다. * 2022년 12월 27일, [[데일리 블린트]]가 계약기간이 6개월이나 남았는데도 불구하고 계약 해지를 하게 되었다. * 2023년 1월 6일, [[리산드로 마가샨]]이 [[엘체 CF]]로 자유 이적하였다. * 2023년 1월 7일, [[비야레알 CF]]한테 이적료 €8m을 지불하고 [[헤로니모 루이]]를 영입하였다. * 2023년 1월 17일, [[루카스 오캄포스]]가 임대기간이 5개월이나 남았는데도 불구하고 [[세비야 FC]]로 복귀하면서 조기 임대 종료가 되었다. * 2023년 2월 1일, [[제이 호르터르]]가 [[애버딘 FC]]로 임대 이적했다. * 2023년 2월 1일, [[FC 위트레흐트]]가 이적료 €1.1m을 지불하고 [[빅토르 옌센]]을 영입하였다. * 2023년 5월 10일, [[NEC 네이메헌]]이 성인팀으로 등록이 안된 [[손체 한선]]을 자유계약신분으로 영입하였다. === 겨울 이적설 === ==== 영입설 ==== * {{{#d50032 '''[영입 완료]'''}}} [[헤로니모 루이]] : [[비야레알 CF]]한테 이적료 €8m을 지불하고 영입하였다. * {{{#d50032 '''[영입 무산]'''}}} [[마르쿠스 레오나르두]] : [[모하메드 쿠두스]]가 내년 1월 이탈 시, 대체자원으로 뽑히고 있다. 그러나 [[모하메드 쿠두스]]가 팀에 잔류하면서 영입 무산되었다. * {{{#d50032 '''[영입 무산]'''}}} [[릭 카르스도르프]] : [[AS 로마]]에서 입지를 잃은 카르스도르프가 아약스와 대화를 나눴다고 알려젔다. 그러나 아약스는 관심이 없다고 밝혀 영입 무산되었다. * {{{#d50032 '''[영입 무산]'''}}} [[아르나우트 단주마]] : [[루카스 오캄포스]]가 [[세비야 FC]]로 조기복귀 하면서 긴급임대를 할것으로 보인다. 단주마 역시 후반기는 [[비야레알 CF]]에서 보내고 싶지 않다고 의견을 밝히면서 추가 윙어 자원이 필요한 아약스가 관심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선수는 PL무대를 원했고 결국 [[토트넘 홋스퍼 FC]]로 임대이적 하게 되면서 무산되었다. * {{{#d50032 '''[영입 무산]'''}}} [[하킴 지예흐]] : 여름 이적시장에 이어 겨울 이적시장이 다가오자 다시 링크가 나오고 있다. 지예흐는 아약스 복귀를 열망하고 있다고 알려저 있다. 그러나 신성 [[프란시스쿠 콘세이상]]이 생각외로 활약을 보여주고 있어서 추가 윙어 자원 영입은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 {{{#d50032 '''[영입 무산]'''}}} [[오디세아스 블라호디모스]] : 여름 이적시장 영입 타겟이였던 [[SL 벤피카]] 골키퍼 블라호디모스가 겨울 이적시장이 다가오자 다시 링크가 나오고 있다. 그러나 [[파브리지오 로마노]]에 따르면, [[SL 벤피카]]는 블라호디모스를 연장 계약을 할 예정이라고 밝히면서 영입 가능성은 매우 낮아졌다. 이후 연장 계약이 발표되면서 무산되었다. * {{{#d50032 '''[영입 무산]'''}}} [[안드리스 노퍼르트]] :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에서 맹활약을 펼친 [[SC 헤이렌베인]] 골키퍼 노퍼르트가 강하게 링크가 나오고 있다. 내년 2023년에 [[마르턴 스테켈렌뷔르흐]], [[렘코 파스베이르]] 2명의 베테랑 골키퍼들이 계약 만료가 되고, 현재 골키퍼 문제가 심각한 아약스이기 때문에 영입 1순위 선수로 평가되고 있다. 노퍼르트 본인 또한 아약스 이적에 부정적 시선으로 보고 있지 않고 있다. [[SC 헤이렌베인|헤이렌베인]]이 제시한 이적료는 10m 이다. 그러나 [[헤로니모 루이]]가 아약스로 합류하면서 영입 무산되었다. * {{{#d50032 '''[영입 무산]'''}}} [[도미니크 리바코비치]] :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에서 맹활약을 펼친 [[GNK 디나모 자그레브]] 골키퍼 리바코비치에게 관심이 있다고 보도하였다. 내년 2023년에 [[마르턴 스테켈렌뷔르흐]], [[렘코 파스베이르]] 2명의 베테랑 골키퍼들이 계약 만료가 되고, 현재 골키퍼 문제가 심각한 아약스이기 때문에 골키퍼 보강을 위해 리바코비치를 주시하고 있다. 그러나 [[헤로니모 루이]]가 아약스로 합류하면서 영입 무산되었다. * {{{#d50032 '''[영입 무산]'''}}} [[다비드 라야]] : [[헤로니모 루이]] 영입이 어려워지자 브렌트포드의 [[다비드 라야]] 골키퍼 링크가 강하게 나오고 있다. 현재 1차협상은 마친것으로 알려저 있다. 그러나 [[헤로니모 루이]]가 아약스로 합류하면서 영입 무산되었다. * {{{#d50032 '''[영입 무산]'''}}} [[레오나르도 발레르디]] : 센터백 보강이 절실한 아약스가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마르세유]]의 [[레오나르도 발레르디|발레르디]]를 주시하고 있다. 그러나 1차협상을 했으나 실패하였고, 곧바로 이적료를 올려 2차협상에 들어갔으나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마르세유]]가 거절하였고 [[레오나르도 발레르디|발레르디]] 역시 아약스 이적에 대하여 매우 부정적으로 밝히면서 영입 무산이 되었다. ==== 방출설 ==== * {{{#d50032 '''[방출 완료]'''}}} [[킥 피리]] : [[엑셀시오르 로테르담|SBV 엑셀시오르]]으로 임대 이적했다. * {{{#d50032 '''[방출 완료]'''}}} [[무함마드 이하타렌]] : 2023년 1월 4일에 [[유벤투스 FC]]로 복귀한다. 아약스는 이하타렌을 구매하지 않고, 임대를 연장하지 않겠다고 통보하였다. * {{{#d50032 '''[방출 완료]'''}}} [[데일리 블린트]] : 급격한 기량저하로 인하여 결국 2023년 1월 1일에 팀을 떠나기로 결정되었다. 기존계약이 6개월이 남아있는데도 불구하고 중도 계약해지를 하게 되었다. * {{{#d50032 '''[방출 완료]'''}}} [[리산드로 마가샨]] : 한국시각으로 2023년 1월 6일, [[엘체 CF]]로 자유 이적하였다. * {{{#d50032 '''[방출 완료]'''}}} [[루카스 오캄포스]] : 2023년 1월 17일, 친정팀 [[세비야 FC]]로 복귀하였다. * {{{#d50032 '''[방출 완료]'''}}} [[제이 호르터르]] : [[애버딘 FC]]로 임대 이적했다. * {{{#d50032 '''[방출 완료]'''}}} [[빅토르 옌센]] : [[FC 위트레흐트]]가 이적료 €1.1m을 지불하고 영입하였다. * {{{#d50032 '''[방출 무산]'''}}} [[모하메드 쿠두스]] : [[토트넘 홋스퍼 FC]], [[리버풀 FC]], [[에버튼 FC]], [[FC 바르셀로나]],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5팀이 쿠두스를 노리고 있다. 쿠두스 본인도 내년 1월에 아약스 떠나고 싶다는 의사를 보내고 있다. 아약스는 쿠두스를 46m 정도 이적료 측정을 하였다. 그러나 쿠두스는 아약스 잔류를 선택하였다. * {{{#d50032 '''[방출 무산]'''}}} [[에드손 알바레스]] : 여름 이적시장에 이어 겨울 이적시장 역시 [[첼시 FC]]와 링크가 나오고 있다. 첼시도 현재 알바레스를 주시하고 있고 알바레스 역시 첼시 이적을 갈망하고 있다. 그러나 알바레스는 아약스 잔류를 선택하였다. == 프리 시즌 == === vs [[SV 메펜]] (원정, 3:0 승) === ||<-3> [[파일:AFC 아약스 로고.svg|height=50]][br]'''{{{#FFF 2022 친선 경기 1[br]2022년 6월 29일 수요일 01:00}}}''' || ||<-3> '''{{{#d50032 헨슈 아레나}}} [[메펜|{{{#d50032 (독일, 메펜)}}}]]''' || ||<:>[[파일:SV 메펜 1912 로고.svg|height=100]]||<|2> '''{{{+5 {{{#d50032 0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10%, #d50032 10%, #d50032 90%, #FFF 90%)" [[파일:AFC 아약스 로고.svg|height=100]]}}}|| || '''{{{#004494 SV 메펜}}}''' || '''{{{#d50032 AFC 아약스}}}''' || ||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18' [[크리스티안 라스무센]] [br] 22', 36' [[손체 한선]]''' || ||<-3> '''[[https://youtu.be/hTisVtWkp-Q|{{{#FFF 경기 하이라이트}}}]]''' || === vs [[SC 파더보른 07]] (원정, 2:5 패) === ||<-3> [[파일:AFC 아약스 로고.svg|height=50]][br]'''{{{#FFF 2022 친선 경기 2[br]2022년 7월 2일 토요일 20:00}}}''' || ||<-3> '''[[홈디럭스 아레나|{{{#d50032 홈디럭스 아레나}}}]] [[파더보른|{{{#d50032 (독일, 파더보른)}}}]]''' || ||<:>[[파일:SC 파더보른 07 로고.svg|height=100]]||<|2> '''{{{+5 {{{#d50032 5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10%, #d50032 10%, #d50032 90%, #FFF 90%)" [[파일:AFC 아약스 로고.svg|height=100]]}}}|| || '''{{{#0065a5 SC 파더보른 07}}}''' || '''{{{#d50032 AFC 아약스}}}''' || || '''2' [[라파엘 오베르마이어]] [br] 68' [[시어로드 콘테]] [br] 78' [[켈빈 오포리]] [br] 79' [[데니스 스르베니]] [br] 89' [[존 아이데일]]'''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4', 24' [[무함마드 이하타렌]]''' || ||<-3> '''[[https://youtu.be/guiDrwZBSuw|{{{#FFF 경기 하이라이트}}}]]''' || === vs [[NK 로코모티바 자그레브]] (홈, 3:0 승) === ||<-3> [[파일:AFC 아약스 로고.svg|height=50]][br]'''{{{#FFF 2022 친선 경기 3[br]2022년 7월 9일 토요일 21:00}}}''' || ||<-3> '''{{{#d50032 더 투콤스트}}} [[암스테르담|{{{#d50032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10%, #d50032 10%, #d50032 90%, #FFF 90%)" [[파일:AFC 아약스 로고.svg|height=100]]}}}||<|2> '''{{{+5 {{{#d50032 3 : 0}}}}}}''' ||<:>[[파일:NK 로코모티바 자그레브 로고.svg|height=100]] || || '''{{{#d50032 AFC 아약스}}}''' || '''{{{#FFF NK 로코모티바 자그레브}}}''' || || '''18' [[케네스 테일러]] [br] 41' [[유리 바스]] [br] 86' [[제이 에넴]]'''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 ||<-3> '''[[https://youtu.be/LUMxOxltWyU|{{{#FFF 경기 하이라이트}}}]]''' || === vs [[KAS 오이펜]] (홈, 1:1 무) === ||<-3> [[파일:AFC 아약스 로고.svg|height=50]][br]'''{{{#FFF 2022 친선 경기 4[br]2022년 7월 15일 금요일 22:30}}}''' || ||<-3> '''{{{#d50032 TBC}}} [[암스테르담|{{{#d50032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10%, #d50032 10%, #d50032 90%, #FFF 90%)" [[파일:AFC 아약스 로고.svg|height=100]]}}}||<|2> '''{{{+5 {{{#d50032 1 : 1}}}}}}''' ||<:>[[파일:KAS 오이펜 로고.svg|height=100]] || || '''{{{#d50032 AFC 아약스}}}''' || '''{{{#FFF KAS 오이펜}}}''' || || '''84' [[모하메드 쿠두스]]'''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50' [[스마일 프레블리악]]''' || ||<-3> '''[[https://youtu.be/DJLdpeUbKuM|{{{#FFF 경기 하이라이트}}}]]''' || === vs [[FC 레드불 잘츠부르크]] (원정, 3:2 승) === ||<-3> [[파일:AFC 아약스 로고.svg|height=50]][br]'''{{{#FFF 2022 친선 경기 5[br]2022년 7월 20일 수요일 01:30}}}''' || ||<-3> '''{{{#d50032 잘펠덴 아레나}}} {{{#d50032 (오스트리아, 잘펠덴)}}}''' || ||<:>[[파일:FC 레드불 잘츠부르크 로고.svg|height=100]]||<|2> '''{{{+5 {{{#d50032 2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10%, #d50032 10%, #d50032 90%, #FFF 90%)" [[파일:AFC 아약스 로고.svg|height=100]]}}}|| || '''{{{#FFD504 FC 레드불 잘츠부르크}}}''' || '''{{{#d50032 AFC 아약스}}}''' || || '''33' [[니콜라스 카팔도]] [br] 71' [[베냐민 세슈코]]'''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28' (PK) [[두샨 타디치]] [br] 40' [[모하메드 쿠두스]] [br] 52' [[케네스 테일러]]''' || ||<-3> '''[[https://youtu.be/DSdQmGhLwx0|{{{#FFF 경기 하이라이트}}}]]''' || === vs [[FC 샤흐타르 도네츠크]] (홈, 3:1 승) === ||<-3> [[파일:AFC 아약스 로고.svg|height=50]][br]'''{{{#FFF 평화를 위한 글로벌 투어[br]2022년 7월 23일 토요일 22:00}}}''' || ||<-3> '''[[요한 크루이프 아레나|{{{#d50032 요한 크루이프 아레나}}}]] [[암스테르담|{{{#d50032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10%, #d50032 10%, #d50032 90%, #FFF 90%)" [[파일:AFC 아약스 로고.svg|height=100]]}}}||<|2> '''{{{+5 {{{#d50032 3 : 1}}}}}}''' ||<:>[[파일:FC 샤흐타르 도네츠크 로고.svg|height=100]] || || '''{{{#d50032 AFC 아약스}}}''' || '''{{{#000 FC 샤흐타르 도네츠크}}}''' || || '''45' [[두샨 타디치]] [br] 73' [[스티븐 베르하위스]] [br] 85' [[모하메드 쿠두스]]'''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33' [[미하일로 무드리크]]''' || ||<-3> '''[[https://youtu.be/76nJ-9EnFxk|{{{#FFF 경기 하이라이트}}}]]''' || === vs [[블랙번 로버스 FC|블랙번]] (중립, 0:2 패) === ||<-3> [[파일:AFC 아약스 로고.svg|height=50]][br]'''{{{#FFF 월드컵 브레이크 친선 경기[br]2022년 12월 3일 토요일 18:00}}}''' || ||<-3> '''{{{#d50032 마르베야 훈련센터}}} [[말라가|{{{#d50032 (스페인, 말라가)}}}]]''' || ||<-3> '''{{{#d50032 주심: 카마초 마르테}}}''' || ||<-3> '''{{{#d50032 관중: 50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10%, #d50032 10%, #d50032 90%, #FFF 90%)" [[파일:AFC 아약스 로고.svg|height=100]]}}}||<|2> '''{{{+5 {{{#d50032 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3da5 10%, #FFF 10%, #FFF 50%, #003da5 50%, #003da5 90%, #FFF 3%)" [[파일:블랙번 로버스 FC 로고.svg|height=100]]}}} || || '''{{{#d50032 AFC 아약스}}}''' || '''{{{#003da5 블랙번 로버스}}}''' || || '''-'''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 || ||<-3> '''[[https://youtu.be/TXyGOBGclqw?si=I3bapNk7Cr7rIm4t|{{{#FFF 경기 하이라이트}}}]] | [[https://www.ajax.nl/artikelen/oefenduel-ajax-blackburn-0-2/|{{{#FFF 매치 리포트}}}]]''' || === vs [[FC 폴렌담]] (홈, 5:4 승) === ||<-3> [[파일:AFC 아약스 로고.svg|height=50]][br]'''{{{#FFF 2022 친선 경기 8[br]2022년 12월 7일 수요일 20:00}}}''' || ||<-3> '''{{{#d50032 더 투콤스트}}} [[암스테르담|{{{#d50032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10%, #d50032 10%, #d50032 90%, #FFF 90%)" [[파일:AFC 아약스 로고.svg|height=100]]}}}||<|2> '''{{{+5 {{{#d50032 5 : 4}}}}}}''' ||<:>[[파일:FC 폴렌담 로고.svg|height=100]] || || '''{{{#d50032 AFC 아약스}}}''' || '''{{{#000 FC 폴렌담}}}''' || || '''56' [[요렐 하토]] [br] 58', 69' [[프란시스쿠 콘세이상]] [br] 65', 89' [[브라이언 브로비]]'''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7' [[가에타노 오리스타니오]] [br] 46', 74' [[조이 안토니올리]] [br] 48' [[브라이언 플랫]]''' || ||<-3> '''[[https://youtu.be/gRUzw2WvJnI|{{{#FFF 경기 하이라이트}}}]]''' || === vs [[SC 텔스타]] (홈, 5:1 승) === ||<-3> [[파일:AFC 아약스 로고.svg|height=50]][br]'''{{{#FFF 2022 친선 경기 9[br]2022년 12월 30일 금요일 20:00}}}''' || ||<-3> '''{{{#d50032 더 투콤스트}}} [[암스테르담|{{{#d50032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10%, #d50032 10%, #d50032 90%, #FFF 90%)" [[파일:AFC 아약스 로고.svg|height=100]]}}}||<|2> '''{{{+5 {{{#d50032 5 : 1}}}}}}''' ||<:>[[파일:SC 텔스타 로고.svg|height=100]] || || '''{{{#d50032 AFC 아약스}}}''' || '''{{{#f2c007 SC 텔스타}}}''' || || '''21' [[데이비 클라선]] [br] 76', 82', 90+21' [[브라이언 브로비]] [br] 91+10' [[올리비어르 아르트선]]'''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90+8' [[레인 스미트]]''' || ||<-3> '''[[https://youtu.be/boBsQia6YJM|{{{#FFF 경기 하이라이트}}}]]''' || == 정규 시즌 == === [[파일:에레디비시 로고.svg|width=40]] [[에레디비시]] === ||
<:> {{{+1 {{{#d50032 '''{{{#d50032 2022-23 에레디비시}}}''' }}}}}} || ||<:> [[AFC 아약스|[[파일:AFC 아약스 로고.svg|width=200&align=center]]]] || ||<:> '''[[AFC 아약스|{{{#FFFFFF {{{+1 AFC Ajax}}}}}}]]''' || ||<:> {{{#d50032 '''34전 20승 9무 5패 86득점 38실점''' }}} || ===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엠블럼.svg|width=40]] [[UEFA 챔피언스 리그]] === ||<-8><:>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0CED1, #00008B 20%, #00008B 80%, #9400D3)" [[UEFA 챔피언스 리그/2022-23 시즌|[[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height=50]]]][br],,'''[[틀:UEFA 챔피언스 리그/A조|{{{#fff 2022-23 UEFA 챔피언스 리그 A조}}}]]''',,}}} || ||<#FFFFFF,#191919><:> [[파일:AFC 아약스 로고.svg|height=50]] ||<:><#DCDCDC,#000> [[AFC 아약스|아약스]][br]{{{#000,#fff (Ajax)}}} ||<#FFFFFF,#191919><:> [[파일:리버풀 FC 로고.svg|height=50]] ||<:><#DCDCDC,#000> [[리버풀 FC|리버풀]][br]{{{#000,#fff (Liverpool)}}} ||<#FFFFFF,#191919><:> [[파일:SSC 나폴리 로고.svg|height=50]] ||<:><#DCDCDC,#000> [[SSC 나폴리|나폴리]][br]{{{#000,#fff (Napoli)}}} ||<#FFFFFF,#191919><:> [[파일:레인저스 FC 로고.svg|height=50]] ||<:><#DCDCDC,#000> [[레인저스 FC|레인저스]][br]{{{#000,#fff (Rangers)}}} || ==== 조별 리그 ==== ||<-11>
[[UEFA 챔피언스 리그|[[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엠블럼.svg|height=60]]]][br]'''{{{#000 2022-23 UEFA 챔피언스 리그 A조}}}''' || ||<-2> {{{#FFF '''팀'''}}} || {{{#FFF '''경기 수'''}}} || {{{#FFF '''승'''}}} || {{{#FFF '''무'''}}} || {{{#FFF '''패'''}}} || {{{#FFF '''득점'''}}} || {{{#FFF '''실점'''}}} || {{{#FFF '''득실차'''}}} || {{{#FFF '''승점'''}}} || {{{#FFF '''순위'''}}} || || [[SSC 나폴리|[[파일:SSC 나폴리 로고.svg|height=40]]]] || '''[[SSC 나폴리|{{{#000 나폴리}}}]]''' || {{{#000 6}}} || {{{#000 5}}} || {{{#000 0}}} || {{{#000 1}}} || {{{#000 20}}} || {{{#000 6}}} || {{{#000 14}}} || '''{{{#000 15}}}''' || {{{+3 {{{#FFF '''1위'''}}}}}} || || [[리버풀 FC|[[파일:리버풀 FC 로고.svg|height=40]]]] || '''[[리버풀 FC|{{{#000 리버풀}}}]]''' || {{{#000 6}}} || {{{#000 5}}} || {{{#000 0}}} || {{{#000 1}}} || {{{#000 17}}} || {{{#000 6}}} || {{{#000 11}}} || '''{{{#000 15}}}''' || {{{+3 {{{#FFF '''2위'''}}}}}} || || [[AFC 아약스|[[파일:AFC 아약스 로고.svg|height=40]]]] || '''[[AFC 아약스|{{{#000 아약스}}}]]''' || {{{#000 6}}} || {{{#000 2}}} || {{{#000 0}}} || {{{#000 4}}} || {{{#000 11}}} || {{{#000 16}}} || {{{#000 -5}}} || '''{{{#000 6}}}''' || {{{+3 {{{#ff8c00 '''3위'''}}}}}} || || [[레인저스 FC|[[파일:레인저스 FC 로고.svg|height=40]]]] || '''[[레인저스 FC|{{{#000 레인저스}}}]]''' || {{{#000 6}}} || {{{#000 0}}} || {{{#000 0}}} || {{{#000 6}}} || {{{#000 2}}} || {{{#000 22}}} || {{{#000 -20}}} || '''{{{#000 0}}}''' || {{{+3 {{{#fff '''4위'''}}}}}} || ||<-11> {{{#8e8 '''■'''}}} 16강 진출 | {{{#ff8c00 '''■'''}}} UEL 16강 PO 진출 | {{{#fbb '''■'''}}} 탈락 || ===== 1차전 vs [[레인저스 FC]] ([[요한 크루이프 아레나]]) (홈, 4:0 승)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0CED1, #00008B 20%, #00008B 80%, #9400D3)" [[UEFA 챔피언스 리그|[[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height=50]]]][br]'''{{{#FFF 2022-23 UEFA 챔피언스 리그 조별리그 A조 1차전[br]2022년 9월 8일 목요일 01:45 (CEST+7)}}}'''}}} || ||<-3> '''[[요한 크루이프 아레나|{{{#00008B 요한 크루이프 아레나}}}]] [[암스테르담|{{{#00008B (암스테르담)}}}]]''' || ||<-3> '''{{{#00008B 주심: [[토비아스 슈틸러|{{{#00008B 토비아스 슈틸러}}}]]}}}''' || ||<-3> '''{{{#00008B 관중: 52,86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10%, #d50032 10%, #d50032 90%, #FFF 90%)" [[파일:AFC 아약스 로고.svg|height=100]]}}}||<|2> '''{{{#00008B {{{+5 4 : 0}}}}}}'''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0000 1%, #fff 1%, #fff 5%, #0032a0 5%, #0032a0 95%, #fff 95%, #fff 99%, #ff0000 99%)" [[파일:레인저스 FC(5성)로고.svg|height=100]]}}} || ||<:>'''{{{#BD1814 아약스}}}''' || '''{{{#fff 레인저스}}}''' || || '''17' [[에드손 알바레스]][br]32' [[스티븐 베르하위스]][br]33' [[모하메드 쿠두스]][br]80' [[스티븐 베르흐베인]]'''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 || ||<-3><:>'''[[https://www.uefa.com/uefachampionsleague/video/0279-160e82f9dafc-edeb0a613338-1000--highlights-ajax-4-0-rangers/|{{{#00008B 경기 하이라이트}}}]] | [[https://www.uefa.com/uefachampionsleague/match/2035641/|{{{#00008B 매치 리포트}}}]]'''|| ||<-3><:>'''{{{#FFF Player of the Match: [[모하메드 쿠두스|{{{#FFF 모하메드 쿠두스}}}]]}}}'''|| ---- ||<:><-1>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0CED1, #00008B 20%, #00008B 80%, #9400D3)" [[UEFA 챔피언스 리그|[[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height=50]]]][br]'''{{{#FFF 아약스 vs 레인저스 조별리그 매치데이 1 라인업}}}'''}}}|| ||<:><#FFF>{{{#!folding [ 펼치기 · 접기 ] ||<-4> '''{{{#BD1814 아약스 라인업 4-3-3}}}''' || ||<-4><:> GK[br][[렘코 파스베이르]] || ||<:> RB[br][[데빈 렌스]] ||<:> RCB[br][[위리엔 팀버르]] ||<:> LCB[br][[캘빈 배시]] ||<:> LB[br][[데일리 블린트]] 81' {{{#red '''▼'''}}}[br][[유리 바스]] 81' {{{#green '''▲'''}}}|| ||<-1><:> RCM[br][[스티븐 베르하위스]] 81' {{{#red '''▼'''}}}[br][[데이비 클라선]] 81' {{{#green '''▲'''}}}||<-2><:> CM[br][[에드손 알바레스]] 88' {{{#red '''▼'''}}}[br][[호르헤 산체스]] 88' {{{#green '''▲'''}}}||<-1><:> LCM[br][[케네스 테일러]] || ||<-1><:> RW[br][[두샨 타디치]] ||<-2><:> CF[br][[모하메드 쿠두스]] 88' {{{#red '''▼'''}}}[br][[브라이언 브로비]] 88' {{{#green '''▲'''}}}||<-1><:> LW[br][[스티븐 베르흐베인]] 81' {{{#red '''▼'''}}}[br][[루카스 오캄포스]] 81' {{{#green '''▲'''}}}|| ||<#00008B><-4>|| ||<-4><:> CF[br][[안토니오 촐락]] || ||<-1><:> LW[br][[라이언 켄트]] ||<-2><:> CAM[br][[글렌 카마라]] 78' {{{#red '''▼'''}}}[br][[스티븐 데이비스]] 78' {{{#green '''▲'''}}}||<-1><:> RW[br][[말릭 틸만]] 46' {{{#red '''▼'''}}}[br][[라이언 잭]] 46' {{{#green '''▲'''}}}|| ||<-2><:> LCM[br][[존 룬스트럼]] ||<-2><:> RCM[br][[스콧 라이트]] 46' {{{#red '''▼'''}}}[br][[라비 마톤도]] 46' {{{#green '''▲'''}}}|| ||<:> LB[br][[보르나 바리시치]] ||<:> LCB[br][[제임스 샌즈]] ||<:> RCB[br][[코너 골드슨]] ||<:> RB[br][[제임스 태버니어]] (C) 46' {{{#red '''▼'''}}}[br]레온 킹 46' {{{#green '''▲'''}}}|| ||<-4><:> GK[br][[존 맥러플린]]|| ||<-4> '''{{{#fff 레인저스 라인업 4-2-3-1}}}''' || }}}|| ---- 전반 17분 [[에드손 알바레스]]의 헤더골과 전반 32분, 33분에 [[스티븐 베르하위스]]와 [[모하메드 쿠두스]]가 각각 골을 성공시키면서 3:0으로 전반전을 잘 마무리하였다. 후반전 들어서도 80분에 [[라이언 잭]]의 패스미스를 기회로 삼아 [[스티븐 베르흐베인]]이 골로 성공시키면서 4:0으로 점수차를 벌렸다. 이후 별 상황없이 4:0으로 경기가 종료되면서 기분 좋은 챔피언스리그 조별예선 스타트를 끊었다. ===== 2차전 vs [[리버풀 FC]] ([[안필드]]) (원정, 2:1 패)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0CED1, #00008B 20%, #00008B 80%, #9400D3)" [[UEFA 챔피언스 리그|[[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height=50]]]][br]'''{{{#FFF 2022-23 UEFA 챔피언스 리그 조별리그 A조 2차전[br]2022년 9월 14일 수요일 04:00 (BST+8)}}}'''}}} || ||<-3> '''[[안필드|{{{#00008B 안필드}}}]] [[리버풀|{{{#00008B (리버풀)}}}]]''' || ||<-3> '''{{{#00008B 주심: 아르투르 디아스}}}''' || ||<-3> '''{{{#00008B 관중: 52,387명}}}''' || ||<:>[[파일:리버풀 FC 라이버 버드 로고(화이트).svg|height=100]]||<|2> '''{{{#00008B {{{+5 2 : 1}}}}}}'''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EC476 35%, #d50032 35%, #d50032 40%, #000 40%, #000 60%, #d50032 60%, #d50032 65%, #EEC476 65%)" [[파일:AFC 아약스 로고_white.svg|height=100]]}}}|| ||<:>'''{{{#FFF 리버풀}}}''' ||<:>'''{{{#BD1814 아약스}}}''' || || '''17' [[모하메드 살라]][br]89' [[조엘 마티프]]'''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27' [[모하메드 쿠두스]]''' || ||<-3><:>'''[[|{{{#00008B 경기 하이라이트}}}]] | [[https://www.uefa.com/uefachampionsleague/match/2035657/|{{{#00008B 매치 리포트}}}]]'''|| ||<-3><:>'''{{{#FFF Player of the Match: [[조엘 마티프|{{{#FFF 조엘 마티프}}}]]}}}'''|| ---- ||<:><-1>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0CED1, #00008B 20%, #00008B 80%, #9400D3)" [[UEFA 챔피언스 리그|[[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height=50]]]][br]'''{{{#FFF 리버풀 vs 아약스 조별리그 매치데이 2 라인업}}}'''}}}|| ||<:><#FFF>{{{#!folding [ 펼치기 · 접기 ] ||<-4> '''{{{#fff 리버풀 라인업 4-3-3}}}''' || ||<-4><:> GK[br][[알리송 베케르]] || ||<:> RB[br][[트렌트 알렉산더아놀드]] ||<:> RCB[br][[조엘 마티프]] ||<:> LCB[br][[버질 반 다이크]] (C) ||<:> LB[br][[코스타스 치미카스]] || ||<-1><:> RCM[br][[하비 엘리엇]] 66' {{{#red '''▼'''}}}[br][[호베르투 피르미누]] 66' {{{#green '''▲'''}}}||<-2><:> CM[br][[파비뉴]] ||<-1><:> LCM[br][[티아고 알칸타라]] 90+4' {{{#red '''▼'''}}}[br][[스테판 바세티치]] 90+4' {{{#green '''▲'''}}}|| ||<-1><:> RW[br][[모하메드 살라]] ||<-2><:> CF[br][[디오구 조타]] 66' {{{#red '''▼'''}}}[br][[다르윈 누녜스]] 66' {{{#green '''▲'''}}}||<-1><:> LW[br][[루이스 디아스]] 90+2' {{{#red '''▼'''}}}[br][[제임스 밀너]] 90+2' {{{#green '''▲'''}}}|| ||<#00008B><-4>|| ||<-1><:> LW[br][[스티븐 베르흐베인]] ||<-2><:> CF[br][[모하메드 쿠두스]] 86' {{{#red '''▼'''}}}[br][[브라이언 브로비]] 86' {{{#green '''▲'''}}}||<-1><:> RW[br][[두샨 타디치]] (C) || ||<-1><:> LCM[br][[케네스 테일러]] 80' {{{#red '''▼'''}}}[br][[플로리안 그릴리치]] 80' {{{#green '''▲'''}}}||<-2><:> CM[br][[에드손 알바레스]] ||<-1><:> RCM[br][[스티븐 베르하위스]] || ||<:> LB[br][[데일리 블린트]] ||<:> LCB[br][[캘빈 배시]] ||<:> RCB[br][[위리엔 팀버르]] ||<:> RB[br][[데빈 렌스]] 68' {{{#red '''▼'''}}}[br][[호르헤 산체스]] 68' {{{#green '''▲'''}}}|| ||<-4><:> GK[br][[렘코 파스베이르]]|| ||<-4> '''{{{#fff 아약스 라인업 4-3-3}}}''' || }}}|| ---- 전반 17분 [[모하메드 살라]]의 선제골을 먹혔으나 10분 뒤, 전반 27분에 [[모하메드 쿠두스]]의 동점골이 터졌다. 그러나 [[AFC 아약스|아약스]]는 [[리버풀 FC|리버풀]]의 강한 전방압박에 힘을 못쓰며 끌려가는 전반전이 되었다. 후반전에는 수비적으로 전술을 바꾸어 역습을 노리는 방향으로 바꿨고 [[리버풀 FC|리버풀]]은 전반전과 똑같이 강한압박과 라인을 끌어올리는 공격수비를 선보였다. 매번 위기의 순간이 있었지만 [[렘코 파스베이르]]의 신들린 선방, [[캘빈 배시]]의 동물적인 수비로 창과방패의 경기력을 보여주었으나 후반 89분에 [[조엘 마티프]]의 극적인 역전 헤더골이 터지면서 2:1로 역전패 당하게 되었다. ===== 3차전 vs [[SSC 나폴리]] ([[요한 크루이프 아레나]]) (홈, 1:6 패)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0CED1, #00008B 20%, #00008B 80%, #9400D3)" [[UEFA 챔피언스 리그|[[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height=50]]]][br]'''{{{#FFF 2022-23 UEFA 챔피언스 리그 조별리그 A조 3차전[br]2022년 10월 5일 수요일 04:00 (CEST+7)}}}'''}}} || ||<-3> '''[[요한 크루이프 아레나|{{{#00008B 요한 크루이프 아레나}}}]] [[암스테르담|{{{#00008B (암스테르담)}}}]]''' || ||<-3> '''{{{#00008B 주심: [[프랑수아 르텍시에|{{{#00008B 프랑수아 르텍시에}}}]]}}}''' || ||<-3> '''{{{#00008B 관중: 52,89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10%, #d50032 10%, #d50032 90%, #FFF 90%)" [[파일:AFC 아약스 로고.svg|height=100]]}}}||<|2> '''{{{#00008B {{{+5 1 : 6}}}}}}'''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199fd6 10%, #546377 10%)" [[파일:SSC 나폴리 로고.svg|height=100]]}}}|| ||<:>'''{{{#BD1814 아약스}}}''' ||<:>'''{{{#fff 나폴리}}}''' || || '''9' [[모하메드 쿠두스]]'''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18', 47' [[자코모 라스파도리]][br]33' [[조반니 디 로렌초]][br]45' [[피오트르 지엘린스키]][br]63' [[흐비차 크바라츠헬리아]][br]81' [[지오반니 시메오네]]''' || ||<:><#FCC>'''73' [[두샨 타디치]]'''||<:><#C00>[[파일:경고 퇴장 아이콘.svg|height=20]]||<:><#FCC> '''-''' || ||<-3><:>'''[[https://www.uefa.com/uefachampionsleague/video/027a-1644ead6277d-ed6ee848b438-1000--highlights-ajax-1-6-napoli/|{{{#00008B 경기 하이라이트}}}]] | [[https://www.uefa.com/uefachampionsleague/match/2035674/|{{{#00008B 매치 리포트}}}]]'''|| ||<-3><:>'''{{{#FFF Player of the Match: [[조반니 디 로렌초|{{{#FFF 조반니 디 로렌초}}}]]}}}'''|| ---- ||<:><-1>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0CED1, #00008B 20%, #00008B 80%, #9400D3)" [[UEFA 챔피언스 리그|[[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height=50]]]][br]'''{{{#FFF 아약스 vs 나폴리 조별리그 A조 매치데이 3 라인업}}}'''}}}|| ||<:><#FFF>{{{#!folding [ 펼치기 · 접기 ] ||<-4> '''{{{#BD1814 아약스 라인업 4-3-3}}}''' || ||<-4><:> GK[br][[렘코 파스베이르]] || ||<:> RB[br][[데빈 렌스]] 84' {{{#red '''▼'''}}}[br][[유리 바스]] 84' {{{#green '''▲'''}}}||<:> RCB[br][[위리엔 팀버르]]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height=20]] 80' {{{#red '''▼'''}}}[br][[플로리안 그릴리치]] 80' {{{#green '''▲'''}}}||<:> LCB[br][[캘빈 배시]] ||<:> LB[br][[데일리 블린트]] || ||<-1><:> RCM[br][[스티븐 베르하위스]] 72' {{{#red '''▼'''}}}[br][[브라이언 브로비]] 72' {{{#green '''▲'''}}}||<-2><:> CM[br][[에드손 알바레스]] ||<-1><:> LCM[br][[케네스 테일러]] 72' {{{#red '''▼'''}}}[br][[데이비 클라선]] 72' {{{#green '''▲'''}}}|| ||<-1><:> RW[br][[두샨 타디치]] (C) [[파일:경고 퇴장 아이콘.svg|height=20]] ||<-2><:> CF[br][[모하메드 쿠두스]]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height=20]] ||<-1><:> LW[br][[스티븐 베르흐베인]] || ||<#00008B><-4>|| ||<-1><:> LW[br][[흐비차 크바라츠헬리아]]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br]64' {{{#red '''▼'''}}}[br][[엘리프 엘마스]] 64' {{{#green '''▲'''}}}||<-2><:> CF[br][[자코모 라스파도리]]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height=20]] 64' {{{#red '''▼'''}}}[br][[지오반니 시메오네]]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64' {{{#green '''▲'''}}}||<-1><:> RW[br][[이르빙 로사노]] || ||<-1><:> LCM[br][[피오트르 지엘린스키]]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46' {{{#red '''▼'''}}}[br][[탕기 은돔벨레]] 46' {{{#green '''▲'''}}}||<-2><:> CM[br][[스타니슬라프 로보트카]] 80' {{{#red '''▼'''}}}[br][[잔루카 가에타노]] 80' {{{#green '''▲'''}}}||<-1><:> RCM[br][[앙드레프랑크 잠보 앙귀사]] || ||<:> LB[br][[마티아스 올리베라]] ||<:> LCB[br][[아미르 라흐마니]] ||<:> RCB[br][[김민재]] ||<:> RB[br][[조반니 디 로렌초]] (C)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84' {{{#red '''▼'''}}}[br][[알레산드로 자놀리]] 84' {{{#green '''▲'''}}}|| ||<-4><:> GK[br][[알렉스 메렛]]|| ||<-4> '''{{{#fff 나폴리 라인업 4-3-3}}}''' || }}}|| ---- 전반 9분, [[모하메드 쿠두스]]의 선제골로 기선 제압을 하였으나, 이는 나폴리의 참혹한 보복의 시작점일 뿐이었다. 18분, 33분, 45분에 [[자코모 라스파도리]], [[조반니 디 로렌초]], [[피오트르 지엘린스키]]한테 3골이나 먹히면서 순식간에 경기가 뒤집어졌다. 후반 47분, [[렘코 파스베이르]]와 [[캘빈 배시]]의 사인 미스로 인해 [[자코모 라스파도리]]한테 멀티골 헌납하였고 이후 63분에 [[흐비차 크바라츠헬리아]]한테 실점하면서 4점차가 되었다. 최악의 경기력으로 모자라 후반 73분, [[두샨 타디치]]가 불필요한 파울을 범해 경고누적으로 퇴장당하면서 악재가 겹쳤다. 경기 분위기는 완전히 [[SSC 나폴리|나폴리]]한테 넘어갔고, 후반 81분에 [[지오반니 시메오네]]한테 경기를 끝내버리는 6번째 골이 터지면서 1:6 대패하였다. ===== 4차전 vs [[SSC 나폴리]] ([[스타디오 디에고 아르만도 마라도나]]) (원정, 2:4 패)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0CED1, #00008B 20%, #00008B 80%, #9400D3)" [[UEFA 챔피언스 리그|[[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height=50]]]][br]'''{{{#FFF 2022-23 UEFA 챔피언스 리그 조별리그 A조 4차전[br]2022년 10월 13일 목요일 01:45 (CEST+7)}}}'''}}} || ||<-3> '''[[스타디오 디에고 아르만도 마라도나|{{{#00008B 스타디오 디에고 아르만도 마라도나}}}]] [[나폴리|{{{#00008B (나폴리)}}}]]''' || ||<-3> '''{{{#00008B 주심: [[펠릭스 츠바이어|{{{#00008B 펠릭스 츠바이어}}}]]}}}''' || ||<-3> '''{{{#00008B 관중: 52,22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000 10%, #199fd6 10%)" [[파일:SSC 나폴리 로고.svg|height=100]]}}}||<|2> '''{{{#00008B {{{+5 4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EC476 35%, #d50032 35%, #d50032 40%, #000 40%, #000 60%, #d50032 60%, #d50032 65%, #EEC476 65%)" [[파일:AFC 아약스 로고_white.svg|height=100]]}}}|| ||<:>'''{{{#199fd6 나폴리}}}''' ||<:>'''{{{#d50032 아약스}}}''' || || '''4' [[이르빙 로사노]][br]16' [[자코모 라스파도리]][br]62' [[흐비차 크바라츠헬리아]][br]89' [[빅터 오시멘]][br]'''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49' [[데이비 클라선]][br]83' (PK) [[스티븐 베르흐베인]][br]''' || ||<-3><:>'''[[|{{{#00008B 경기 하이라이트}}}]] | [[https://www.uefa.com/uefachampionsleague/match/2035689/|{{{#00008B 매치 리포트}}}]]'''|| ||<-3><:>'''{{{#FFF Player of the Match: [[흐비차 크바라츠헬리아|{{{#FFF 흐비차 크바라츠헬리아}}}]]}}}'''|| ---- ||<:><-1>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0CED1, #00008B 20%, #00008B 80%, #9400D3)" [[UEFA 챔피언스 리그|[[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height=50]]]][br]'''{{{#FFF 나폴리 vs 아약스 조별리그 A조 매치데이 4 라인업}}}'''}}}|| ||<:><#FFF>{{{#!folding [ 펼치기 · 접기 ] ||<-4> '''{{{#199fd6 나폴리 라인업 4-3-3}}}''' || ||<-4><:> GK[br][[알렉스 메렛]] || ||<:> RB[br][[조반니 디 로렌초]] (C) ||<:> RCB[br][[김민재]] ||<:> LCB[br][[주앙 제주스]]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height=20]] ||<:> LB[br][[마티아스 올리베라]] || ||<-1><:> RCM[br][[앙드레프랑크 잠보 앙귀사]] 49' {{{#red '''▼'''}}}[br][[탕기 은돔벨레]] 49' {{{#green '''▲'''}}}||<-2><:> CM[br][[스타니슬라프 로보트카]] ||<-1><:> LCM[br][[피오트르 지엘린스키]] 89' {{{#red '''▼'''}}}[br][[잔루카 가에타노]] 89' {{{#green '''▲'''}}}|| ||<-1><:> RW[br][[이르빙 로사노]]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77' {{{#red '''▼'''}}}[br][[마테오 폴리타노]]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height=20]] 77' {{{#green '''▲'''}}}||<-2><:> CF[br][[자코모 라스파도리]]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50' {{{#red '''▼'''}}}[br][[빅터 오시멘]]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height=20]] 50' {{{#green '''▲'''}}}||<-1><:> LW[br][[흐비차 크바라츠헬리아]]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77' {{{#red '''▼'''}}}[br][[엘리프 엘마스]] 77' {{{#green '''▲'''}}}|| ||<#00008B><-4>|| ||<-1><:> LW[br][[스티븐 베르흐베인]]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height=20]] 84' {{{#red '''▼'''}}}[br][[루카스 오캄포스]] 84' {{{#green '''▲'''}}}||<-2><:> CF[br][[모하메드 쿠두스]] 64' {{{#red '''▼'''}}}[br][[브라이언 브로비]] 64' {{{#green '''▲'''}}}||<-1><:> RW[br][[스티븐 베르하위스]] 84' {{{#red '''▼'''}}}[br][[프란시스쿠 콘세이상]] 84' {{{#green '''▲'''}}}|| ||<-1><:> LCM[br][[케네스 테일러]]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height=20]] 64' {{{#red '''▼'''}}}[br][[플로리안 그릴리치]] 64' {{{#green '''▲'''}}}||<-2><:> CM[br][[에드손 알바레스]]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height=20]] ||<-1><:> RCM[br][[데이비 클라선]]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 LB[br][[캘빈 배시]]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height=20]] ||<:> LCB[br][[데일리 블린트]] (C) ||<:> RCB[br][[위리엔 팀버르]]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height=20]] ||<:> RB[br][[호르헤 산체스]]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height=20]] 64' {{{#red '''▼'''}}}[br][[유리 바스]] 64' {{{#green '''▲'''}}}|| ||<-4><:> GK[br][[렘코 파스베이르]]|| ||<-4> '''{{{#d50032 아약스 라인업 4-3-3}}}''' || }}}|| ---- [[요한 크루이프 아레나|홈구장]]에서 대참사를 당한 이후, 선수들은 심기일전한 모습으로 경기를 임했으나 폭주하는 나폴리 공세는 막을 수 없었다. 전반 4분에 [[이르빙 로사노]]한테 골 헌납, 전반 16분에 [[자코모 라스파도리]]한테 골을 헌납하면서 2:0으로 전반전을 마쳤다. [[AFC 아약스|아약스]]는 이대로 물러날 수 없었는지 후반 49분에 [[데이비 클라선]]의 골로 추격의 의지를 불태웠다. 그러나 62분에 [[위리엔 팀버르]]의 핸드볼 파울로 PK 헌납, 키커로 나선 [[흐비차 크바라츠헬리아]]가 PK를 성공시키면서 다시 2점차로 벌려젔다. 후반 83분, 박스 안에서 [[주앙 제주스]]가 [[브라이언 브로비]]한테 파울을 범하면서 PK 헌납, 키커로 나선 [[스티븐 베르흐베인]]이 침착하게 골로 성공시키면서 다시 추격의 의지를 불태웠다. 그러나 후반 89분에 [[데일리 블린트]]가 [[렘코 파스베이르]]한테 백패스를 하였는데 그걸 [[빅터 오시멘]]이 인터셉트를 성공해 그대로 골로 성공시키면서 경기를 끝내는 4번째 골을 터트렸다. 이 경기로 결국 4:2로 패배, 나폴리에게 총합 무려 10실점 하면서 챔피언스리그 16강 진출가능성은 어렵게 되었다. ===== 5차전 vs [[리버풀 FC]] ([[요한 크루이프 아레나]]) (홈, 0:3 패)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0CED1, #00008B 20%, #00008B 80%, #9400D3)" [[UEFA 챔피언스 리그|[[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height=50]]]][br]'''{{{#FFF 2022-23 UEFA 챔피언스 리그 조별리그 A조 매치데이 5[br]2022년 10월 27일 목요일 04:00 (CEST+7)}}}'''}}} || ||<-3> '''[[요한 크루이프 아레나|{{{#00008B 요한 크루이프 아레나}}}]] [[암스테르담|{{{#00008B (암스테르담)}}}]]''' || ||<-3> '''{{{#00008B 주심: [[호세 마리아 산체스 마르티네스|{{{#00008B 호세 마리아 산체스}}}]]}}}''' || ||<-3> '''{{{#00008B 관중: 53,32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10%, #d50032 10%, #d50032 90%, #FFF 90%)" [[파일:AFC 아약스 로고.svg|height=100]]}}}||<|2> '''{{{#00008B {{{+5 0 : 3}}}}}}''' ||<:>[[파일:리버풀 FC 라이버 버드 로고(레드).svg|height=100]]|| ||<:>'''{{{#BD1814 아약스}}}''' || '''{{{#E92536 리버풀}}}''' || || '''-'''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42' [[모하메드 살라]][br]49' [[다르윈 누녜스]][br]52' [[하비 엘리엇]]''' || ||<-3><:>'''[[|{{{#00008B 경기 하이라이트}}}]] | [[https://www.uefa.com/uefachampionsleague/match/2035706/|{{{#00008B 매치 리포트}}}]]'''|| ||<-3><:>'''{{{#FFF Player of the Match: [[앤디 로버트슨|{{{#FFF 앤디 로버트슨}}}]]}}}'''|| ---- ||<:><-1>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0CED1, #00008B 20%, #00008B 80%, #9400D3)" [[UEFA 챔피언스 리그|[[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height=50]]]][br]'''{{{#FFF 아약스 vs 리버풀 조별리그 A조 매치데이 5 라인업}}}'''}}}|| ||<:><#FFF>{{{#!folding [ 펼치기 · 접기 ] ||<-4> '''{{{#BD1814 아약스 라인업 4-3-3}}}''' || ||<-4><:> GK[br][[렘코 파스베이르]] || ||<:> RB[br][[호르헤 산체스]] ||<:> RCB[br][[위리엔 팀버르]] ||<:> LCB[br][[캘빈 배시]] ||<:> LB[br][[데일리 블린트]] 58' {{{#red '''▼'''}}}[br][[오언 베인달]] 58' {{{#green '''▲'''}}}|| ||<-1><:> RCM[br][[데이비 클라선]] 58' {{{#red '''▼'''}}}[br][[모하메드 쿠두스]] 58' {{{#green '''▲'''}}}||<-2><:> CM[br][[에드손 알바레스]] 85' {{{#red '''▼'''}}}[br][[플로리안 그릴리치]] 85' {{{#green '''▲'''}}}||<-1><:> LCM[br][[스티븐 베르하위스]] 85' {{{#red '''▼'''}}}[br][[프란시스쿠 콘세이상]] 85' {{{#green '''▲'''}}}|| ||<-1><:> RW[br][[스티븐 베르흐베인]] ||<-2><:> CF[br][[브라이언 브로비]] 63' {{{#red '''▼'''}}}[br][[케네스 테일러]] 63' {{{#green '''▲'''}}}||<-1><:> LW[br][[두샨 타디치]] (C) || ||<#00008B><-4>|| ||<-1><:> LW[br][[다르윈 누녜스]]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63' {{{#red '''▼'''}}}[br][[커티스 존스]] 63' {{{#green '''▲'''}}}||<-2><:> CF[br][[호베르투 피르미누]] ||<-1><:> RW[br][[모하메드 살라]]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1><:> LCM[br][[조던 헨더슨]] (C) 71' {{{#red '''▼'''}}}[br][[제임스 밀너]] 71' {{{#green '''▲'''}}}||<-2><:> CM[br][[파비뉴]] 71' {{{#red '''▼'''}}}[br][[스테판 바이체티치]] 71' {{{#green '''▲'''}}}||<-1><:> RCM[br][[하비 엘리엇]]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71' {{{#red '''▼'''}}}[br][[파비우 카르발류]] 71' {{{#green '''▲'''}}}|| ||<:> LB[br][[앤디 로버트슨]] 87' {{{#red '''▼'''}}}[br][[코스타스 치미카스]] 87' {{{#green '''▲'''}}}||<:> LCB[br][[버질 반 다이크]] ||<:> RCB[br][[조 고메즈]] ||<:> RB[br][[트렌트 알렉산더아놀드]] || ||<-4><:> GK[br][[알리송 베케르]]|| ||<-4> '''{{{#E92536 리버풀 라인업 4-3-3}}}''' || }}}|| ---- 5차전 경기에서 2점차 승리를 해야 챔피언스리그 16강 친출 가능성이 있는 아약스이기에 전반 시작부터 매우 강한 압박과 공격적인 축구를 하였다. 전반 3분, 박스 안 혼전상황에서 [[스티븐 베르하위스]]가 기습적인 슛팅을 때렸으나 골대를 강타하였다. 이후 36분에 [[두샨 타디치]]가 수비자리가 풀린상황에서 슛팅을 시도했으나 [[트렌트 알렉산더아놀드]]의 블로킹으로 골을 실패하였다. 이후 계속해서 라인을 높게 올리고 공격축구를 하였으나 42분에 [[조던 헨더슨]]의 기막힌 패스를 [[모하메드 살라]]가 그대로 골로 성공시키면서 1:0으로 리드한채 전반전이 종료되었다. 그러나 후반전에는 전반전과 다르게 최악의 경기력을 보여주었다. 결국, 후반 48분에 [[다르윈 누녜스]]한테 골을 헌납하였고 52분에는 [[하비 엘리엇]]한테 골을 헌납하면서 3점차로 벌어졌다. 이후 별 상황없이 경기가 종료되었다. 3:0으로 패배하였고 [[AFC 아약스|아약스]]는 챔피언스리그 조별예선을 탈락하였다. ===== 6차전 vs [[레인저스 FC]] ([[아이브록스 스타디움]]) (원정, 1:3 승)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0CED1, #00008B 20%, #00008B 80%, #9400D3)" [[UEFA 챔피언스 리그|[[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height=50]]]][br]'''{{{#FFF 2022-23 UEFA 챔피언스 리그 조별리그 A조 매치데이 6[br]2022년 11월 2일 수요일 05:00 (GMT+9)}}}'''}}} || ||<-3> '''[[아이브록스 스타디움|{{{#00008B 아이브록스 스타디움}}}]] [[글래스고|{{{#00008B (글래스고)}}}]]''' || ||<-3> '''{{{#00008B 주심: 글렌 뉘베리}}}''' || ||<-3> '''{{{#00008B 관중: 48,817명}}}'''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0000 1%, #fff 1%, #fff 5%, #0032a0 5%, #0032a0 95%, #fff 95%, #fff 99%, #ff0000 99%)" [[파일:레인저스 FC(5성)로고.svg|height=100]]}}} ||<|2> '''{{{#00008B {{{+5 1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EC476 35%, #d50032 35%, #d50032 40%, #000 40%, #000 60%, #d50032 60%, #d50032 65%, #EEC476 65%)" [[파일:AFC 아약스 로고_white.svg|height=100]]}}}|| || '''{{{#fff 레인저스}}}''' ||<:>'''{{{#BD1814 아약스}}}''' || || '''87' (PK) [[제임스 태버니어]]'''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4' [[스티븐 베르하위스]][br]29' [[모하메드 쿠두스]][br]89' [[프란시스쿠 콘세이상]]''' || ||<-3><:>'''[[|{{{#00008B 경기 하이라이트}}}]] | [[https://www.uefa.com/uefachampionsleague/match/2035722/|{{{#00008B 매치 리포트}}}]]'''|| ||<-3><:>'''{{{#FFF Player of the Match: [[모하메드 쿠두스|{{{#FFF 모하메드 쿠두스}}}]]}}}'''|| ---- ||<:><-1>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0CED1, #00008B 20%, #00008B 80%, #9400D3)" [[UEFA 챔피언스 리그|[[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height=50]]]][br]'''{{{#FFF 레인저스 vs 아약스 조별리그 A조 매치데이 6 라인업}}}'''}}}|| ||<:><#FFF>{{{#!folding [ 펼치기 · 접기 ] ||<-4> '''{{{#fff 레인저스 라인업 4-2-3-1}}}''' || ||<-4><:> GK[br][[앨런 맥그레거]] || ||<:> RB[br][[제임스 태버니어]] (C)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RCB[br][[제임스 샌즈]] ||<:> LCB[br][[리언 킹]] ||<:> LB[br][[보르나 바리시치]] || ||<-2><:> RCM[br][[스콧 아필드]] 83' {{{#red '''▼'''}}}[br][[알렉스 로리]] 83' {{{#green '''▲'''}}}||<-2><:> LCM[br][[스티븐 데이비스]] 60' {{{#red '''▼'''}}}[br][[글렌 카마라]] 60' {{{#green '''▲'''}}}|| ||<-1><:> RW[br][[패션 사칼라]] ||<-2><:> CAM[br][[말릭 틸만]] 60' {{{#red '''▼'''}}}[br][[스콧 라이트]] 60' {{{#green '''▲'''}}}||<-1><:> LW[br][[라이언 켄트]] 83' {{{#red '''▼'''}}}[br][[라비 마톤도]] 83' {{{#green '''▲'''}}}|| ||<-4><:> CF[br][[안토니오 촐락]] 60' {{{#red '''▼'''}}}[br][[알프레도 모렐로스]] 60' {{{#green '''▲'''}}}|| ||<#00008B><-4>|| ||<-1><:> LW[br][[두샨 타디치]] (C) ||<-2><:> CF[br][[모하메드 쿠두스]]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1><:> RW[br][[스티븐 베르흐베인]] 87' {{{#red '''▼'''}}}[br][[프란시스쿠 콘세이상]]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height=20]]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87' {{{#green '''▲'''}}}|| ||<-1><:> LCM[br][[케네스 테일러]]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height=20]] 87' {{{#red '''▼'''}}}[br][[플로리안 그릴리치]] 87' {{{#green '''▲'''}}}||<-2><:> CM[br][[에드손 알바레스]] ||<-1><:> RCM[br][[스티븐 베르하위스]]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55' {{{#red '''▼'''}}}[br][[데이비 클라선]] 55' {{{#green '''▲'''}}} || ||<:> LB[br][[오언 베인달]] 44' {{{#red '''▼'''}}}[br][[데빈 렌스]] 44' {{{#green '''▲'''}}} ||<:> LCB[br][[캘빈 배시]] ||<:> RCB[br][[위리엔 팀버르]] ||<:> RB[br][[호르헤 산체스]] || ||<-4><:> GK[br][[렘코 파스베이르]]|| ||<-4> '''{{{#d50032 아약스 라인업 4-3-3}}}''' || }}}|| ---- [[레인저스 FC|레인저스]]한테 4점차 패배할 경우, 4위로 탈락할 수 있는 최악의 경우의 수가 있기에 이경기에서 꼭 승리가 필요했다. 그러나 예상했던대로 전반 4분에 [[스티븐 베르하위스]]의 선제골, 29분에 [[모하메드 쿠두스]]의 추가골이 터지면서 2:0으로 전반전이 종료되었다. 후반 87분, [[에드손 알바레스]]의 다소 위험한 태클로 [[레인저스 FC|레인저스]]한테 PK 헌납, 키커로 나선 [[제임스 태버니어]]가 골로 성공시키면서 1점차가 되었다. 그러나 몇분 안지나서 후반 89분 [[프란시스쿠 콘세이상]]이 쐐기골이 나왔고 경기는 1:3으로 승리, [[UEFA 유로파 리그|유로파리그]] 16강 플레이오프 진출을 확정 지었다. === [[파일:UEFA 유로파 리그 로고.svg|width=40]] [[UEFA 유로파 리그]] === ==== 16강 플레이오프 ==== ||<-4> [[UEFA 유로파 리그/2022-23 시즌|[[파일:UEFA 유로파 리그 로고 화이트.svg|height=50]]]][br],,[[UEFA 유로파 리그/2022-23 시즌#s-8.1|'''{{{#ffffff 2022-23 UEFA 유로파 리그 16강 플레이오프}}}''']],, || || [[파일:1. FC 우니온 베를린 로고.svg|width=75]] || [[1. FC 우니온 베를린|우니온 베를린]][br](Union Berlin) || [[파일:AFC 아약스 로고.svg|width=50]] || [[AFC 아약스|아약스]][br](Ajax) || ===== 1차전 VS [[1. FC 우니온 베를린]] ([[요한 크루이프 아레나]]) (홈, 0:0 무) ===== ||<-3> [[UEFA 유로파 리그|[[파일:UEFA 유로파 리그 로고 화이트.svg|height=50]]]][br]'''{{{#FFF 2022-23 UEFA 유로파 리그 16강 플레이오프 1차전[br]2023년 2월 17일 금요일 02:45(UTC+9)}}}''' || ||<-3> '''[[요한 크루이프 아레나|{{{#000 요한 크루이프 아레나 }}}]] [[암스테르담|{{{#000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 ||<-3> '''{{{#000 주심: 할릴 우무트 멜레르}}}''' || ||<-3> '''{{{#000 관중: 54,32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10%, #d50032 10%, #d50032 90%, #FFF 90%)" [[파일:AFC 아약스 로고.svg|height=100]]}}}||<|2> '''{{{+5 {{{#d50032 0 : 0}}}}}}''' ||<:>[[파일:1. FC 우니온 베를린 로고.svg|height=45]] || ||<:> '''{{{#BD1814 아약스}}}''' ||<:>'''{{{#660000 우니온 베를린}}}''' || || ''' '''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 ''' || ||<-3><:>'''[[|{{{#000 경기 하이라이트}}}]] | [[https://www.uefa.com/uefaeuropaleague/match/2036600--ajax-vs-union-berlin/|{{{#000 매치 리포트}}}]]'''|| ||<-3><:>'''{{{#FFF Player of the Match: [[헤로니모 루이|{{{#FFF 헤로니모 루이}}}]]}}}'''|| ---- ||<:><-1>[[UEFA 유로파 리그|[[파일:UEFA 유로파 리그 로고 화이트.svg|height=50]]]][br]'''{{{#FFF 아약스 vs 우니온 베를린 16강 플레이오프 1차전 라인업}}}'''|| ||<:><#FFF>{{{#!folding [ 펼치기 · 접기 ] ||<-4> '''{{{#BD1814 아약스 라인업 4-2-3-1}}}''' || ||<-4><:> GK[br][[헤로니모 루이]] || ||<:> RB[br][[데빈 렌스]] ||<:> RCB[br][[위리엔 팀버르]] ||<:> LCB[br][[캘빈 배시]] ||<:> LB[br][[오언 베인달]] 46' {{{#red '''▼'''}}}[br][[브라이언 브로비]] 46' {{{#green '''▲'''}}}|| ||<-2><:> RDM[br][[에드손 알바레스]] ||<-2><:> LDM[br][[케네스 테일러]] || ||<-1><:> RW[br][[스티븐 베르하위스]] ||<-2><:> CAM[br][[모하메드 쿠두스]] ||<-1><:> LW[br][[스티븐 베르흐베인]] 75' {{{#red '''▼'''}}}[br][[데이비 클라선]] 75' {{{#green '''▲'''}}}|| ||<-4><:> CF[br][[두샨 타디치]] (C) || ||<#FF6900><-4>|| ||<-2><:> CF[br][[케빈 베렌스]] 70' {{{#red '''▼'''}}}[br][[조르당 시바체우]] 70' {{{#green '''▲'''}}}||<-2><:> CF[br][[셰랄도 베커르]] 82' {{{#red '''▼'''}}}[br][[스벤 미헬]] 82' {{{#green '''▲'''}}}|| ||<:> LWB[br][[제롬 루시용]] 90' {{{#red '''▼'''}}}[br][[니코 기셀만]] 90' {{{#green '''▲'''}}} ||<:> LCM[br][[모르텐 토르스비]] ||<:> RCM[br][[아이사 라이두니]] ||<:> RWB[br][[요시프 유라노비치]] || ||<-4><:> CM[br][[라니 케디라]] (C)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height=20]] || ||<-1><:> LCB[br][[디오구 레이트]] ||<-2><:> CB[br][[로빈 크노헤]] ||<-1><:> RCB[br][[다닐료 두키]]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height=20]] || ||<-4><:> GK[br][[프레데리크 뢰노우]] || ||<-4> '''{{{#660000 우니온 베를린 라인업 3-5-2}}}''' || }}}|| ---- [[요한 크루이프 아레나|홈구장]]에서 열리는 1차전, 전반전에 [[1. FC 우니온 베를린|우니온 베를린]]을 밀어붙었으나 골까지 만들지는 못하였다. 이후 후반 65분에 [[모르텐 토르스비]]한테 선제골을 먹혔으나 VAR 판독결과 핸드볼 파울이 선언되면서 노골 선언되었다. 후반전에는 [[1. FC 우니온 베를린|우니온 베를린]]한테 일방적으로 얻어 맞았으나 [[헤로니모 루이]]의 선방쇼로 0:0 무승부를 만들면서 2차전 원정으로 가게 되었다. ===== 2차전 VS [[1. FC 우니온 베를린]] ([[슈타디온 안 데어 알텐 푀르스테라이]]) (원정, 3:1 패) ===== ||<-3> [[UEFA 유로파 리그|[[파일:UEFA 유로파 리그 로고 화이트.svg|height=50]]]][br]'''{{{#FFF 2022-23 UEFA 유로파 리그 16강 플레이오프 2차전[br]2023년 2월 24일 금요일 05:00(UTC+9)}}}''' || ||<-3> '''[[슈타디온 안 데어 알텐 푀르스테라이|{{{#000 알텐 푀르스테라이}}}]] [[베를린|{{{#000 (독일, 베를린)}}}]]''' || ||<-3> '''{{{#000 주심: [[리카르도 데 부르고스 벤고에체아|{{{#000 리카르도 데 부르고스 벤고에체아}}}]]}}}''' || ||<-3> '''{{{#000 관중: 21,800명}}}''' || ||<:>[[파일:1. FC 우니온 베를린 로고.svg|height=45]]||<|2> '''{{{+5 {{{#d50032 3 : 1}}}}}}'''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EC476 35%, #d50032 35%, #d50032 40%, #000 40%, #000 60%, #d50032 60%, #d50032 65%, #EEC476 65%)" [[파일:AFC 아약스 로고_white.svg|height=100]]}}}|| ||<:> '''{{{#fff 우니온 베를린}}}''' ||<:>'''{{{#BD1814 아약스}}}'''|| || '''20' (PK) [[로빈 크노헤]][br]44' [[요시프 유라노비치]][br]50' [[다닐료 두키]]'''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47' [[모하메드 쿠두스]]''' || ||<:><#FCC>'''-'''||<:><#C00>[[파일:경고 퇴장 아이콘.svg|height=20]]||<:><#FCC> '''90+7' [[에드손 알바레스]]''' || ||<-3><:>'''[[|{{{#000 경기 하이라이트}}}]] | [[https://www.uefa.com/uefaeuropaleague/match/2036612--union-berlin-vs-ajax/|{{{#000 매치 리포트}}}]]'''|| ||<-3><:>'''{{{#FFF Player of the Match: [[요시프 유라노비치|{{{#FFF 요시프 유라노비치}}}]]}}}'''|| ---- ||<:><-1>[[UEFA 유로파 리그|[[파일:UEFA 유로파 리그 로고 화이트.svg|height=50]]]][br]'''{{{#FFF 아약스 vs 우니온 베를린 16강 플레이오프 2차전 라인업}}}'''|| ||<:><#FFF>{{{#!folding [ 펼치기 · 접기 ] ||<-4> '''{{{#ffffff 우니온 베를린 라인업 3-5-2}}}''' || ||<-4><:> GK[br][[프레데리크 뢰노우]] || ||<-1><:> RCB[br][[다닐료 두키]]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height=20]] ||<-2><:> CB[br][[로빈 크노헤]]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1><:>LCB[br][[디오구 레이트]] || ||<-4><:> CM[br][[라니 케디라]] || ||<:> RWB[br][[요시프 유라노비치]]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90' {{{#red '''▼'''}}}[br][[크리스토퍼 트리멜]] 90' {{{#green '''▲'''}}}||<:> RCM[br][[아이사 라이두니]] 65' {{{#red '''▼'''}}}[br][[모르텐 토르스비]] 65' {{{#green '''▲'''}}}||<:> LCM[br][[야니크 하버러]] ||<:> LWB[br][[제롬 루시용]] 90' {{{#red '''▼'''}}}[br][[니코 기셀만]] 90' {{{#green '''▲'''}}}|| ||<-2><:> CF[br][[케빈 베렌스]] 65' {{{#red '''▼'''}}}[br][[조르당 시바체우]] 65' {{{#green '''▲'''}}}||<-2><:> CF[br][[셰랄도 베커르]]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height=20]] 85' {{{#red '''▼'''}}}[br]제이미 레벨링 85' {{{#green '''▲'''}}}|| ||<#FF6900><-4>|| ||<-4><:> CF[br][[두샨 타디치]] (C)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height=20]] || ||<:> LW[br][[스티븐 베르흐베인]] 80' {{{#red '''▼'''}}}[br][[로렌초 루카]] 80' {{{#green '''▲'''}}}||<:> LAM[br][[데이비 클라선]]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height=20]] 64' {{{#red '''▼'''}}}[br][[브라이언 브로비]] 64' {{{#green '''▲'''}}}||<:> RAM[br][[스티븐 베르하위스]] ||<:> RW[br][[모하메드 쿠두스]]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height=20]] || ||<-4><:> CDM[br][[케네스 테일러]] || ||<:> LB[br][[캘빈 배시]]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height=20]] ||<:> LCB[br][[위리엔 팀버르]] ||<:> RCB[br][[에드손 알바레스]] [[파일:경고 퇴장 아이콘.svg|height=20]] ||<:> RB[br][[데빈 렌스]] 84' {{{#red '''▼'''}}}[br][[프란시스쿠 콘세이상]] 84' {{{#green '''▲'''}}} || ||<-4><:> GK[br][[헤로니모 루이]] || ||<-4> '''{{{#d50032 아약스 라인업 4-3-3}}}''' || }}}|| ---- 1차전에서 무승부를 거두면서 2차전 원정에서 무조건 이겨야 16강 진출이 가능한 경기이다. 그러나 경기 내내 [[1. FC 우니온 베를린|우니온 베를린]]한테 일방적으로 맞고 있었다. 전반 20분에 [[로빈 크노헤]]한테 한골 헌납, 44분에 [[요시프 유라노비치]]한테 한골 헌납하면서 2:0으로 끌려갔으나 후반시작하지 얼마 안 돼서 47분에 [[모하메드 쿠두스]]의 추격골로 따라가기 시작하였다.[* 특히 44분에 먹힌 골은 치명적이었다. [[헤로니모 루이]]가 바운드 돼서 오는 공을 제대로 처리하지 못한채 먹혔기 때문에 아약스 입장에서는 뼈아픈 실점이었다.] 그러나 몇분 안지나서 50분, [[다닐료 두키]]한테 한골 헌납하면서 3:1로 스코어가 벌어지고 말았다. 설상가상 90분에는 [[에드손 알바레스]]가 경고누적 퇴장을 당하면서 수적열세에 놓이게 되었고 결국 별 상황없이 경기가 종료되었다. 3:1로 패배, 아약스는 이렇게 유럽대항전 일정을 마치게 되었다. === [[KNVB 베이커]] === ||<-3>
[[KNVB 베이커|[[파일:KNVB 베이커 로고.svg|height=50]]]][br]'''{{{#fff 2022-23 KNVB 베이커 결승전}}}''' || ||<-3> '''{{{#000000 시간: 2023년 5월 1일}}}''' || ||<-3> '''{{{#000000 장소: [[스타디온 페예노르트|더 카위프]]}}}''' || || [[파일:AFC 아약스 로고.svg|width=100]][br]'''{{{#dc052d AFC 아약스}}}''' || {{{+1 ''' 1 : 1 '''}}} || [[파일:PSV 에인트호번 로고.svg|width=100]][br]'''{{{#fff PSV 에인트호번}}}''' || || 42' (O.G) [[재러드 브랜스웨이트]]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67' [[토르간 아자르]]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color: #fff;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85d6, #3385d6)" '''[[승부차기|{{{#fff 승부차기}}}]]'''}}} || ||<-2> [[파일:AFC 아약스 로고.svg|height=18]] [[AFC 아약스|{{{#dc052d '''아약스'''}}}]][br]'''{{{#dc052d GK: [[헤로니모 루이|{{{#dc052d 헤로니모 루이}}}]]}}}''' ||<|2> '''{{{+5 2 : 3}}}''' ||<-2> '''[[파일:PSV 에인트호번 로고.svg|height=18]] [[PSV 에인트호번|{{{#fff PSV}}}]]'''[br]'''{{{#fff GK: [[요엘 드로멀|{{{#fff 요엘 드로멀}}}]]}}}''' || ||<-2> 선축 ||<-2> 후축 || || [[두샨 타디치]] || [[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height=20]] || '''1''' || [[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height=20]] || [[토르간 아자르]] || || [[브라이언 브로비]] || [[파일:승부차기 실패 아이콘.svg|height=20]][br]{{{-2 (골대 빗나감)}}} || '''2''' || [[파일:승부차기 실패 아이콘.svg|height=20]][br]{{{-2 (골키퍼 선방)}}} || [[안드레 하말류]] || || [[위리엔 팀버르]] || [[파일:승부차기 실패 아이콘.svg|height=20]][br]{{{-2 (골대 맞힘)}}} || '''3''' || [[파일:승부차기 실패 아이콘.svg|height=20]][br]{{{-2 (골대 맞힘)}}} || [[이브라힘 상가레]] || || [[미카 고츠]] || [[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height=20]] || '''4''' || [[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height=20]] || [[안와르 엘 가지]] || || [[에드손 알바레스]] || [[파일:승부차기 실패 아이콘.svg|height=20]][br]{{{-2 (골키퍼 선방)}}} || '''5''' || [[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height=20]] || [[파비우 실바]] || 2시즌 연속 [[KNVB 베이커]] 결승에서 만난 [[PSV 에인트호번]], 저번시즌 뼈아픈 역전패를 만회해야 하고 준우승을 하게 되면 무관 확정이 되는 경기이기 때문에 중요한 경기이다. 전반적으로 양팀이 치열하게 붙고 있다가 전반 42분, [[스티븐 베르흐베인]]이 때린 슛팅이 [[재러드 브랜스웨이트]] 발 맞고 들어가면서 아약스가 리드한채 전반이 종료되었다. 이후 65분에 [[브라이언 브로비]]의 결정적인 골찬스가 있었으나 이걸 그대로 놓치면서 1:0 불안한 리드는 계속됐고 [[브라이언 브로비|브로비]]가 놓친 골찬스가 스노우볼이 굴렀는지 67분에 [[토르간 아자르]]한테 동점골을 먹히면서 연장전으로 돌입하게 되었다. 연장전에는 양팀이 중요한 골찬스가 있었으나 골키퍼 선방과 아쉬운 골 결정력으로 날리면서 별 상황없이 연장전이 끝났고 승부차기로 들어가게 되었다. 두샨 타디치가 1번 키커로 나섰고 성공시키면서 기분 좋은 출발을 하였으나 곧바로 2번, 3번 키커 [[브라이언 브로비]]와 [[위리엔 팀버르]]가 연달아 실축하면서 불리하게 흘러갔다. 그러나 [[헤로니모 루이]]가 2, 3번 키커였던 [[안드레 하말류]], [[이브라힘 상가레]] 상대로 연달아 막으면서 기사회생 하였다. 하지만 5번 키커, [[에드손 알바레스]]가 실축하고 곧바로 에인트호번의 5번 키커였던 [[파비우 실바]]가 승부차기 성공시키면서 2:3으로 패배. 2시즌 연속 [[PSV 에인트호번]]한테 [[KNVB 베이커]] 우승컵을 주게 되었다. === [[파일:요한 크루이프 스할 로고.svg |width=40]] [[요한 크루이프 스할]] === ||<-3>
[[요한 크루이프 스할|[[파일:요한 크루이프 스할 로고.svg |height=50]]]][br]'''{{{#45436C 2022-23 요한 크루이프 스할 결승전}}}''' || ||<-3> '''{{{#000000 시간: 2022년 7월 31일}}}''' || ||<-3> '''{{{#000000 장소: [[요한 크루이프 아레나|요한 크루이프 아레나]]}}}''' || || [[파일:AFC 아약스 로고.svg|width=100]][br]'''{{{#dc052d AFC 아약스}}}''' || {{{+1 ''' 3 : 5 '''}}} || [[파일:PSV 에인트호번 로고.svg|width=100]][br]'''{{{#fff PSV 에인트호번}}}''' || || '''16' [[스티븐 베르흐베인]][br] 54' [[안토니(2000)|안토니]][br] 72' [[모하메드 쿠두스]]'''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32', 45+2', 69' [[휘스 틸]][br] 66' [[코디 각포]][br] 90+1' [[사비 시몬스]]''' || ||<:> ''' 78' [[캘빈 배시]]'''||<:>[[레드 카드|[[파일:퇴장 카드 아이콘.svg|height=20px]]]]||<:>|| 전반 16분, [[스티븐 베르흐베인]]의 선제골로 아약스가 분위기를 주도 했으나 32분, 45+2분에 [[휘스 틸]]의 멀티골로 에인트호번이 주도권을 들고간채 전반전이 종료되었다. 후반 54분, [[안토니(2000)|안토니]]의 귀중한 동점골로 아약스가 분위기를 들고가나 싶었으나 후반 66분에 아약스 골키퍼 [[제이 호르터르]]의 캐칭 실수[* 리바운드 전 슈팅이 상당한 무회전으로 온 걸 감안하면 어처구니 없지는 않다. 리플레이로 봐도 마구 수준이였다.]를 범하는 바람에 리바운드를 받은 [[코디 각포]]한테 실점을 내주면서 분위기가 넘어가는 분위기였고 후반 69분에 [[휘스 틸]]의 해트트릭으로 아약스가 심하게 흔들리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72분에 [[모하메드 쿠두스]]의 추격 원더골로 분위기가 살아나는가 싶더니 얼마 안지나서 78분, [[캘빈 배시]]의 다이렉트 퇴장으로 인하여 분위기가 에인트호번한테 완전히 넘어갔다. 이후 90+1분, [[사비 시몬스]]한테 쐐기골을 먹히면서 사실상 에인트호번 승리가 굳어졌고 결국 3:5로 패배하였다. == 평가 == === 전반기 평가 === 시즌 개막 전, [[리산드로 마르티네스|수많은]] [[세바스티앵 알레|주축]] [[누사이르 마즈라위|선수]][[라이언 흐라번베르흐|들이]] 팀을 떠나게 되었지만 [[스티븐 베르흐베인|곧바로]] [[오언 베인달|대체]] [[캘빈 배시|선수]][[브라이언 브로비|들을]] 영입하면서 보강을 했다. 시즌 초반에 리그 6연승을 하면서 순조롭게 출발했지만 [[UEFA 챔피언스리그]] 조별예선 2차전 [[리버풀 FC]]한테 패배했을때부터 분위기가 안좋기 시작하였다. 리그에서는 [[엑셀시오르 로테르담|엑셀시오르]], [[RKC 발베이크|발베이크]], [[FC 폴렌담|폴렌담]] 3팀과의 경기에서 승리한거 제외하고는 리그에서 무승부를 하거나 패배를 하는 등 분위기가 매우 안좋았고 [[UEFA 챔피언스리그]] 조별예선 3차전 [[SSC 나폴리]]한테 홈에서 1:6이라는 대참사를 당하기도 하였다. 결국 전반기 말기때는 최악의 결과를 매경기 보여주면서 [[알프러트 스뢰더르]]감독의 경질설이 나오면서 전반기가 종료되었다. === 후반기 평가 === 반등이 반드시 필요했던 후반기였지만 후반기 초반 분위기가 더욱 더 안좋았다. 월드컵 브레이크가 끝나고 재개한 리그에서 4경기 연속 무승부, 전반기 말기까지 합치면 7경기 연속 무승부를 하면서 최악의 시간을 보냈다.[* 리그 7경기 무승부는 1965년 이후 두번째라고 한다.] 결국 리그 강등권에 속해있는 [[FC 폴렌담|폴렌담]] 상대로 무승부를 거둔 후, [[알프러트 스뢰더르]] 감독은 경질되었고 후임 감독으로 [[용 아약스]]를 이끌고 있는 [[욘 헤이팅아]]가 감독 지휘봉을 잡게 되었다. 앞으로 후반기를 어떻게 마칠것인지 주목이 되는 후반기였지만 리그 상위권에 있는 [[PSV 에인트호번]],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AZ 알크마르]] 상대로 승점 3점을 챙기지 못하면서 불리하게 흘러갔고 결국 리그 3위로 마감하였다. == 총평 == 3위라는 [[에레디비시|리그]] 성적으로 챔피언스 리그 진출 실패, 챔피언스 리그 조별리그 탈락, 유로파 리그 16강 플레이오프 탈락, 요한 크루이프 스할 준우승, KNVB 베이커 준우승. 아약스라는 클럽 위상에 걸맞지 않는 성적을 보여주면서 실망스러운 시즌을 보냈다. 특히 무관을 하였다는 자체가 아약스한테는 엄청난 자존심이 상하는 시즌이 되었다. 새로 영입된 선수들이 기대했던 기량을 보여주지 못했고 특히 중반기 때 [[안토니(2000)|팀의 중축이 되어야 하는 선수]]는 갑작스럽게 이탈하는 상황도 있으면서 악재가 많이 겹쳤다. 또한 중반기 때는 [[알프러트 스뢰더르|감독]] 경질과 보드진 불화로 시끄러운 시즌이 되고 말았다. 경기에서도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KNVB 베이커]] 4강에서는 [[데이비 클라선]]이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서포터가 던진 라이터를 맞으면서 경기 중단이 되었고 리그에서는 [[스티븐 베르하위스]]가 [[PSV 에인트호번]] 서포터가 던진 물병을 맞는 사건이 벌어지면서 경기 중단이 되었던 적이 있었다. 심지어 [[FC 흐로닝언]]과의 원정 경기에서는 [[FC 흐로닝언|흐로닝언]] 서포터들의 난동으로 인해 경기가 취소될 정도로 힘들었던 시즌이 되었다. 그나마 [[용 아약스]]에서 1군으로 임시 감독을 맡았던 [[욘 헤이팅아]]가 후반기 리그에서 차곡차곡 승점을 쌓으면서 가까스로 유로파 리그 진출권 티켓이라도 얻으면서 다음 시즌에도 유럽 대항전을 나가게 되었다. 앞으로 선수 보강과 제대로 된 감독 선임이라는 중요한 숙제를 떠안은 채로 시즌이 마무리되었다. [[분류:AFC 아약스]][[분류:AFC 아약스/역대 시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