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냉전/미국 기갑차량)] ||
[[파일:external/media.defense.gov/160829-D-HV319-002.jpg|width=100%]]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USMarines_AAV_Iraq_apr_2004_116_hires.jpg|width=100%]] || || '''Amphibious Assault Vehicle''' || [목차] == 개요 == ||
[youtube(BiyS-DHZeKU)] || || AAV-7A1 운용 영상 || [[미국]]의 FMC(현 [[BAE 시스템스]])사가 개발한 [[상륙장갑차]]이다. [[미 해병대]] 이외에도 [[대한민국 해병대]][* 舊 [[삼성테크윈]]에서 면허생산.]와 [[대만]] [[해군육전대]] 등이 도입했으며, [[일본]] [[육상자위대]]도 [[수륙기동단]]의 창설과 함께 도입하였다. [[상륙장갑차]]는 [[상륙작전]]을 위해 개발된 장갑차지만 미군에서는 해병대를 단순히 상륙전만을 위한 [[육전대]]에서 끝나는 게 아니라 지상군 기계화부대마냥 굴리는 입장이라 [[걸프 전쟁]]이나 [[이라크 전쟁]] 때는 해병대를 따라 사막을 질주하는 '''[[상륙장갑차|수륙양용장갑차]]'''가 되었다.[* [[미합중국 해병대|미 해병대]]가 [[LAV-25]]같은 [[차륜형 장갑차]]를 주력으로 굴리는 이유도 한몫했다.] 오히려 상륙임무보다는 단순 [[병력수송장갑차|APC]] 겸 [[IFV]] 임무를 도맡아 해서 후속작으로 나오려다 취소된 [[EFV]]가 더 두꺼운 [[장갑(무기)|장갑]]과 강한 화력을 요구받기도 했다. [[방어력]]과 기동력에 있어서는 순수한 지상용 장갑차로서도 충분한 성능을 지니고 있고, [[병력수송장갑차]]로서는 여러모로 합격점에 들 만한 성능을 갖추고 있다. 하지만 공격력 면에서는 [[Mk.19 고속유탄기관총]]을 주무장으로 탑재하는 등 일반적인 APC들보다는 나은 수준이긴 해도 역시 본격적인 [[보병전투차]]로서 운용하기에는 다소 미흡한 점이 적지 않았고, 이 문제 때문에 EFV가 개발되었던 면도 있었다. 미 해병대가 이 차량과는 별개로 차륜식 IFV인 LAV-25를 채용하고 있는 것도 이와 무관하지는 않다. == 제원 == ||||
'''AAV-7A1''' || || 전장 ||8,161 mm || || 전폭 ||3,269 mm || || 전고 ||3,315 mm || || 중량 ||25.652 t || || 엔진 ||[[커민스]]사 VTA-903T 8기통 525마력 수랭식 [[디젤엔진]] || || 탑승인원 ||기본 승무원 3명 + 최대 탑승자 25명 수용 혹은 화물 4.5톤 || || 장갑 ||44.45~7.4mm [[알루미늄 합금 장갑]], 아플리케 아머, [br] 부력장갑 등 ([[14.5×114mm]] 탄 방어가능) || || 주무장 ||'''[[M85 중기관총|M85 12.7mm 중기관총]] 탑재 1인승 폐쇄식 반구형 포탑형'''(LVTP-7) [br] - [[M2 브라우닝 중기관총]] 또는 M85 12.7mm 중기관총 [br] '''[[https://en.wikipedia.org/wiki/Cadillac-Gage_1_metre_turret|캐딜락-게이지 1metre 터릿]] 운용형'''(AAV-7A1) [br] - [[M2 브라우닝 중기관총|M2HB/M2A1 12.7mm 중기관총]] + [[Mk.19 고속유탄기관총|Mk.19 40mm 자동유탄발사기]] [br]'''한국군 면허생산 및 RCWS 개량형'''(KAAV-7A1) ([[https://www.youtube.com/watch?v=YYTdbOm74sM|2022년 RCWS 개량 예정]])[br] - [[M2 브라우닝 중기관총|M2HB]]/[[K6 중기관총|K-6 12.7mm 중기관총]] + [[K4 고속유탄기관총|K4 40mm 고속유탄발사기]] || || 속도 ||72.42km/h (지상에서 기동 시) [br] 13km/h (수상에서 항해 시) || || 행동거리 ||483km (지상에서 기동 시) [br] 72km (수상 항해 시) [br] 3.7kn/2해리 (해상 발진 시) || == 개발 == ||
[[파일:U.S._Marines,_aboard_tracked_landing_vehicle_(LVTP-7),_land_during_Valiant_Blitz,_the_amphibious_assault_landing_phase_of_exercise_Team_Spirit_'82_-_DPLA_-_487b492b7e5c6681f8f55abd97b7b2cc.jpg |width=100%]] || || 미 해병대 소속의 LVTP-7 || 1964년 3월, 미 해병대가 베트남전 시기부터 운용하여 왔던 상륙장갑차인 [[LVT-5|LVTP-5]]의 후계 차량 요구안을 발표함에 따라 1966년 2월, 본격적인 개발이 시작되었다. 1966년까지 시험개발과 제작이 이루어졌으며, 1967년 9월 FMC에서 LVTPX12 시제차 15대를 제작하여 미 해병대에서 1969년 6월까지 성능 평가를 받았다. 미국 해병대는 성능에 만족했고 1970년 6월 LVTP-7로 제식 채용하였다. 1971년, 첫 양산형이 미 해병대에 인도되었고 이듬해 3월부터 부대에 배치되기 시작했다. 1974년, 부대 배치를 완료하고 생산이 종료되었다. 1977년에는 LVTP-7의 개량목적으로 14량의 시작차량을 제작했고, 중량증가에 의한 차고(車高)를 낮추고 서스펜션을 강화했으며, 발전기와 전자기기 증설이 이루어졌다. 1980년에 LVTP-7A1으로 개량되었으며, 제식명이 AAVP-7A1로 바뀌었다. AAVP-7A1은 지상에서는 72km/h, 수상에서는 13km/h의 속도를 낼 수 있으며, 수상에서의 추진력은 주로 [[워터제트]] 추진 방식을 이용하나 [[무한궤도]]의 회전만으로도 7.2km/h의 추진력을 갖고 있다. 해병대원 25명을 수용할 수 있었으며, 초기형인 LVTP-7의 무장으로는 [[M2 브라우닝 중기관총|M2 12.7mm 중기관총]] 혹은 M85 12.7mm 중기관총만으로 구성된 [[http://www.modelersite.com/Ago2002/images/LVTP-7/LVTP7-18.jpg|1인승 포탑을 적용하고 있었고]], [[화생방]]에 대한 설비는 장착되어 있지 않았다. 1970년대에는 LVTP-7을 베이스로 XM723이 시험 제작되어 개발되었고 이는 [[M2 브래들리]]로 이어진다. ||
[[파일:external/farm8.staticflickr.com/6858014257_8af799d459_z.jpg|width=100%]] || || EAAK 장착형 AAV-7A1 || 1985년부터는 이스라엘 [[라파엘(동음이의어)#s-3|라파엘 사]]제 추가 장갑인 아플리케 아머, 일명 EAAK(Enhanced Applique Armor Kits, 강화형 증가장갑 키트)를 추가하여 [[14.5mm]] 구경[* 구 소련제 [[ZPU-4]] [[대공포]]의 구경이다.] 기관총까지 방호가 가능한 것으로 알려진 A1모델로 개량했다. A1형은 이외에도 포탑을 새롭게 설계해 M2 중기관총 외에 40mm MK-19 고속 유탄 발사기가 추가된 포탑이 적용되었으며 적용 시, 포탑 구동장치를 유압식에서 전기식으로 변경해 피탄 시 생존성을 높이고, 야시장비와 [[연막탄]] 발사기를 추가했다.[* 후에 텍스트론 시스템즈가 되는 캐딜락 게이지 사의 '''[[https://en.wikipedia.org/wiki/Cadillac-Gage_1_metre_turret|Cadillac-Gage 1 metre 터릿]]'''을 기존의 M2/M85 12.7mm 중기관총 탑재 1인승 포탑 자리에 적용한 것으로, Mk.19 유탄기관총과 M2 중기관총이 각각 1정씩 총 2정이 설치되고 보병용 소화기 방호능력도 구비되어 동시기 다른 군용차량보다 포탑 사수 생존성이 높았다. 해당 포탑은 [[M1117]] 장갑차에도 적용되어 있다.] ||
[[파일:external/www.armyrecognition.com/American_Company_SAIC_unveils_first_upgraded_AAV_LVTP-7_amphibious_tracked_personnel_carrier_640_002.jpg|width=100%]] || || '''AAC-SU''' || ||
[youtube(bSaGnEalZLA)] || || AAC-SU 기동 영상 || 후속 차량이었던 [[EFV]]가 취소되면서 AAV-SU(Survivability Upgrade)로 개량 중이다. AAV-SU는 기존의 아플리케 아머 대신 49장의 부력장갑판을 둘러서 더욱 뚱뚱해졌다. 무게도 무려 4.5톤이나 늘었는데 이 때문에 엔진 출력을 525마력에서 675마력으로 늘렸으며, 변속기와 서스펜션도 신형으로 교체했다. 그리고 수상주행 시의 속력을 늘리기 위해 신형 [[워터제트]]를 장착했다. 내부의 좌석도 방탄좌석으로 교체하였다. 2020년 8월 캘리포니아 해안에서 상륙훈련 도중 침수에 이은 침몰로 해병대원 8명이 익사하는 참극이 벌어졌다. 결국 미 해병대는 2022년부터 위기 대응에 필요한 경우를 제외한 모든 AAV의 수상 운용을 중지하고 지상에서만 운용하기로 결정했으며, AAV의 후속모델로 선정되었다가 예인장치 결함으로 인해 도입이 일시중지되었던 ACV로 대체하려는 계획을 재개하였다. [[https://news.usni.org/2021/12/15/breaking-marines-keeping-aavs-out-of-the-water-permanently|#]] == 파생형 == * LVTP-7 : 초기형 모델. 병력수송용 차량. M2HB 중기관총으로만 무장한 1인승 포탑 장착. * AAVP-7A1: 후기형 모델. 병력수송용 차량. M2HB 중기관총과 Mk.19 고속 유탄 기관총으로 무장한 포탑 장착. * AAVC-7A1: 지휘형. 포탑이 없고 안테나 대량 장착. (Command) * AAVR-7A1: 구난형. 포탑이 없고 크레인 장착. (Rescue) * XM723: [[MICV-65|MICV-70]] 프로젝트로 개발이 시작된 [[M2 브래들리]]의 [[프로토타입]] == 운용국 == === [[미국]] === ||
[[파일:1-6_conducts_ship-to-shore_assault_150413-M-PJ201-027.jpg|width=100%]] || || 미 해병대 소속 AAV-7A1 || 원조 사용국. 초기형인 LVTP-7를 포함해 AAV-7A1파생형 포함 1,300여대를 운용중이다. === [[대한민국]] === ||
[[파일:external/img.atwiki.jp/namacha_561.jpg|width=100%]] || || 대한민국 해병대 소속의 LVTP-7(앞)과 KAAVP-7A1(뒤)[* 해외에서도 유명한 샤크마우스 도색 단차가 있다. AAV-7A1 도입 이전 LVTP-7 운용 시절에는 저런 도색을 흔히 하였지만, 현재 부가 장갑이 장착되는 AAV-7A1에는 하지 않는다.] || ||
[youtube(BFens0jcC-s)] || || [youtube(MKAWw-F6Tfg)] || || [youtube(3O-UHQPFDwM)] || || [youtube(ju-72oXPD5I)] || || 대한민국 국방부 공식 KAAVP-7A1 운용 영상 || 140대를 보유하고 있으며, 미국 다음으로 많은 수량이다. [[대한민국 해병대]]가 운용하는 형식으로, 기존에는 [[LVT|LVT-3C]]와 LVTP-7을 각각 1970년, 1990년까지 운용하다가 1998년부터 LVTP-7의 대체 사업을 하면서 AAVP-7A1을 기술도입 방식으로 [[한화테크윈]]이 KAAVP-7A1이란 제식명칭을 부여해 면허생산 후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107&contents_id=6884|운용 중]]이다. [[상륙작전]]을 펼치는 대한민국 해병대의 대표적인 핵심 무기체계 중 하나로 '[[상륙장갑차]]'의 앞글자를 따 ‘상장’, ‘상장차’ 라는 별칭으로 LVTP-7 운용 시절부터 불리기 시작했다. 무장은 [[K6 중기관총]]과 [[K4 고속유탄기관총]]이 장착되며 보병중대 하나정도는 간단히 상대할 수 있는 화력을 보유한다. ||
[youtube(YYTdbOm74sM)] || || [youtube(iMBRgFIojs0)] || || RCWS 탑재형 KAAVP7A1 || 차륜형장갑차용 RCWS 수주 사업이 완료되어 상륙돌격장갑차의 원격사격통제체계 RCWS가 2022년에 탑재되어 전력화되었으며, [[림팩 훈련|림팩 2022훈련]]에서 첫 선을 보였다. ||
[youtube(qGmrWV_rZk4)] || 2022년 11호 태풍 [[힌남노]]가 포항을 포함한 경상도를 강타하자 [[해병대 제1사단]] 소속 상륙돌격장갑차 2대가 출동하여 이재민들을 구조했다. [[2023년 한반도 폭우 사태]]로 인한 예천 실종자 수색에 [[해병대 제1사단]] 소속 상륙돌격장갑차 6대가 출동하여 한천, 석관천, 내성천 일대 주변을 수색하였다. === [[일본]] === ||
[[파일:E1btlC9VgAcWdD3.jpg|width=100%]] || || [[파일:E1bu2z3VcAIacv4.jpg|width=100%]] || || 육상자위대 수륙기동단 소속 AAV-7A1 || ||
[youtube(Jyx0tVQ5YBY)] || || 수륙기동단 AAV-7A 최초 공개 영상 || 2015년, 일본은 [[육상자위대]] [[서부방면대]] 소속으로 [[수륙기동단]]을 2018년에 창설하는 것과 함께 미국 BAE 시스템스의 라인을 살려 기존 형태보다 엔진 출력과 구동계, 차체 서스펜션이 강화된 RAM/RS형으로 58대를 신규 도입하기로 결정했다.(전투수송형 46대/지휘형 6대/구급형 6대) 2017년 10월 2일 구마모토 켄군주둔지(健軍駐屯地)에서 행하는 서부방면대창설 62주년 기념행사에서 처음으로 등장시켜 시연했다. ||
[youtube(oBz386wTDSY)] || 2018년 [[수륙기동단]] 발족과 관련한 아이우라 주둔지(相浦駐屯地) 창립 63주년 기념행사 모의전투 훈련(도서지역 상륙작전)에서 처음으로 모의 전투가 시연되었다. === [[태국]] === 33대를 운용중. === [[아르헨티나]] === 20대 운용중. [[포클랜드 전쟁]]에서도 소수 운용했으나 전후 일부가 영국군에게 압수당했다. === [[필리핀]] === 8대를 운용중이며 전량 대한민국이 판매한 KAAV7A1 사양이다. === [[이탈리아]] === 25대 운용중. === [[스페인]] === 19대 운용중. === [[브라질]] === 16대 운용중. === [[베네수엘라]] === 12대 운용중. === [[인도네시아]] === 10여대를 운용중이며, 전량 대한민국이 무상 공여한 M85 기관총 탑재 1인승 포탑인 구형 LVTP-7이다. === [[대만]] === 구형을 운용중이고 2020년 7월 초에 RAM/RS 1차 도입분 2대 인도 예정이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1735297?sid=104|#]] === [[그리스]] === 76대 도입 예정. == 미디어 == === [[쥬라기 공원 3]] === 엔딩씬에 [[이슬라 소르나]]에 갇힌 일행을 구조하러 여러 대가 [[https://youtu.be/oxJ4vRa4ulU|일행이 보는 앞에 상륙하며]] 해병들을 내려주면서 처음이자 마지막 등장을 한다. === [[ARMA 2]] === 미해병대 기갑장비로 등장. 15명 이상의 보병을 태울 수 있고 실제와 같이 수상기동도 가능하다. === [[월드 인 컨플릭트]] === 상륙장갑차로 나온다. 다른 상륙장갑차들과는 다르게 유탄을[* 다른 것들은 소이탄을 사용한다.] 발사할 수 있다. === [[워게임: 레드 드래곤]] === 대한민국 국군과 미군이 이용하는데, 미군이 5포인트 더 내고 유탄발사기가 달린 1-metre 복합 포탑이 달린 AAV-7A1도 이용할 수 있는 반면, 대한민국 국군은 [[M2 브라우닝 중기관총]]이 달린 1인승 반구형 포탑이 달린 구형 LVTP-7이다. 성능은 미군 기준으로 하차 한 미해병대와 함께 전투를 치룬다면 사기적인 발사 속도를 가진 40mm 유탄 공격과 아군 하차 전투한 미 해병대 보병의 합동 작전이면 적 [[알보병]]이 땡볕에 내놓은 아이스크림 마냥 녹는다. === [[배틀필드 시리즈]] === [[배틀필드 3]], [[배틀필드 4]]에서 미해병대 전용 상륙돌격장갑차로 나온다. 전차와는 다르게 운전수와 사수가 분리되어 있어 화력은 약한 편. 하지만 방어력은 상당하다 못해 떡장갑을 자랑하는데. 정면에선 주력전차도 3발을 겨우 버티는 RPG-7을 7발을 맞아야 무력화에 빠진다. === [[Squad]] === 미 해병대 진영의 수륙양용장갑차로 등장한다. AAVP-7A1은 무장이 탑제되고 방탄성능에 자원 수송까지 가능하기에 범용성이 매우 높다. AAVC-7A1은 비무장 자원수송용으로 등장한다. === [[제너레이션 킬]] === ||
[[파일:external/www.imcdb.org/i185950.jpg|width=100%]] || || '''제너레이션 킬에서 등장한 격파된 AAV-7A1''' || 다우디 중령이 매티스 장군에게 까이는 장소인 다리 위에 미합중국 해병대 소속 AAV-7A1이 잔해로 등장한다. 반군 세력에 의해 파괴된 것으로 보인다. === Part of Me === 케이티 페리의 뮤직비디오 'Part of Me'에서는 케이티 페리가 차 안에 있는 장면이 있다. == 모형 == === 프라모델 === 타미야에서 AAVP-7A1과 LVTP-7A1을 1/35 스케일로 출시한 적이 있다. 하비보스에서 1/35 스케일 LVTP-7을 출시하였다. [[아카데미과학]]에서 아주 오래전에 1/35 스케일로 LVTP-7A1을 출시하였고, 나중에 이를 기반으로 LVTP-7 한국 해병대형을 출시하였다. 이 제품은 타미야 LVTP-7A1의 카피품이며, 현재는 오리지널 제품인 해병대형 버전만 생산되고 있다. 초창기 LVTP-7A1의 부품들이 불용부품으로 들어가 있어서 실력만 된다면 LVTP-7A1으로 만들수도 있다. 궤도는 연결식인데 고무 패드 부분에 수축이 나있는 경우가 종종 있고, 차체 공간이 넓지 않아 조립 난이도가 약간 높다. 지금은 찾아보기 매우 힘든 상태. 토이스타의 M1카빈과 비슷한 운명이다... 초기에는 모터라이즈 버전도 만들어졌지만 오래전에 단종되었다. 옛날에 뉴스타(현 토이스타)에서 LVTP-7A1을 1/48 스케일로 출시한 적이 있다. == 기타 == *청주대학교 학군단 앞 안보공원에 1대가 2011년부터 전시되어 있다.(구형인 M85 중기관총 장착 기관총탑을 가진 LVTP-7A1이다.) * [[http://m.pub.chosun.com/mobile/news/view.asp?cate=C01&mcate=M1006&nNewsNumb=20161222309&nidx=22310|*]] 조선일보에 따르면 북한이 이 차량을 밀수하여 역설계를 하려 했던게 적발이 되었다는 카더라가 있다. * [[EFV]]가 취소됨에 따라 생긴 화력 공백을 메우기 위해 이 AAV-7의 화력이 업그레이드될 가능성이 생겼는데, 기존 AAV-7 상륙돌격장갑차들의 성능개량 사업을 바라 본 이스라엘의 엘빗 시스템즈(Elbit Systems)[* [[M120 BMS]]를 만든 그 회사다.]가 제안 중인 안을 따르면,--또 이스라엘이냐. 역시 마개조 장인 대량 보유국가-- AAV-7의 상부에 25미리 M242 Bushmaster[* 브래들리 전투차의 그 기관포다.]와 7.62미리 기관총을 탑재한 자사의 Elbit UT 25 RWS를 올려 화력 상승을 꾀하고, 이마저도 부족하면 30mm Mk44 Bushmaster II 기관포 적용 버전인 Elbit-UT 30 RWS를 탑재해 EFV의 화력 공백을 메운다는 파격적인 제안이다. 이 제안에 따르면 미 해병대의 AAV-7A1들은 기존에 쓰는 말랑한 40mm 유탄과 50구경 유인포탑에서 벗어나 25mm 혹은 30mm 짜리 기관포탄을 원격조작식으로 날리게 되어 방호력은 몰라도 화력만큼은 EFV의 공백을 매울 수 있게 된다.[[https://bemil.chosun.com/nbrd/bbs/view.html?b_bbs_id=10044&num=168959|#]][* 기존 Cadillac-Gage 1 metre 터릿 자리는 아니다. 링크에 달린 사진을 보면 기존 1 metre 터릿 자리는 철거된 채 일반 해치로 바뀌어 있고, 기존 해치들 뒤에 따로 해당 RWS를 올려둔 모양새이다. 기존 1 metre 터릿 자리가 오른쪽에 위치한 차장 해치 자리다보니 아무래도 해당 자리에 기관포까지 올려두기에는 [[스트라이커 장갑차#s-5.1|M1127 Reconnaissance Vehicle]]처럼 무게 중심 문제가 불거지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기존 Cadillac-Gage 1 metre 포탑은 기관포의 우측 사격각 문제로 철거한 것으로 보인다.] 심지어는 대전차미사일도 장착가능하다. 흠좀무. 다만 이 화력 계획안은 아직 엘빗 시스템즈의 단독 제안으로, 전술되었듯 우리 해병대 소속 AAV-7A1들의 RCWS 설치가 2022년으로 확실히 예정이 된 데에 반해[* 비록 차륜형장갑차용 RCWS 수주 사업이 그 이전에 완료되어야 한다는 전제가 붙어있지만.] 이쪽은 전망이 불투명하다는 것이 문제점이다. == 둘러보기 == [include(틀:현대전/미국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브라질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이탈리아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스페인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그리스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한국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일본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대만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태국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인도네시아 기갑차량)] [include(틀:기갑차량 둘러보기)] == 관련 문서 == * [[상륙장갑차]]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상륙장갑차,version=42)] [[분류:상륙장갑차]][[분류:지상 병기/냉전]][[분류:지상 병기/현대전]][[분류:미군/기갑차량]][[분류:대한민국 국군/기갑차량]][[분류:자위대/기갑차량]][[분류:스페인군/기갑차량]][[분류:대만군/기갑차량]][[분류:브라질군/기갑차량]][[분류:인도네시아군/기갑차량]][[분류:필리핀군/기갑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