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냉전/소련 기갑차량)]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9K330_Tor.jpg|width=100%]]}}} || || '''9К330 «Тор»''' || [목차] == 개요 == 1975년 [[9K33 오사]]의 구식화에 따른 소련군의 수요 제기로 알마즈 사 산하 니에미 연구소 주도 하에 80년대 초반부터 개발이 시작되어 1990년 소련군에 정식으로 배치된 대공미사일 시스템이다. 이름의 유래는 [[러시아어]]로 [[원환면]]을 뜻하는 토르(Тор)[* 북유럽 신화의 유명한 신 [[토르(북유럽 신화)|토르]]와는 관련없다.]. == 제원 == |||| 9A331(이동 플랫폼) || || 전투중량 ||34t || || 전장 ||7.5m || || 전폭 ||3.3m || || 전고 ||5.1m[* 레이더 마스트가 없는 상태 기준.] || || 엔진 ||V-46-2S1 공랭식 디젤엔진 || || 마력 ||830hp || || 최대기동거리 ||500km || || 최대속도 ||65km/h || || VLS ||4셀x2(총 8기) || || 운용인원 ||3인 || |||| 미사일(9K331) || || 전투중량 ||167kg || || 전장 ||2.9m || || 직경 ||0.235m || || 탄두 ||Frag-HE || || 탄두 중량 ||15kg || || 기폭방식 ||근접RF || || 유도 시스템 ||무선지령유도(Radio Command guidance) || || 추진방식 ||고체 연료 로켓 || || 최대사정거리 ||12km || || 최대고도 ||6km || || 사출방식 ||콜드런칭(Cold launch) || || 방출거리 ||20m || || 속도 ||850m/s || || 운용 플랫폼 ||9A331 전투차량 || |||| 레이더 || || 전파밴드 ||G/H 밴드 /K밴드[* M2 기준.] || || 레이더 형태 ||PESA || || 최대 추적감시거리 ||25km[* 수색레이더인 TLAR 기준.] || || 최대 교전탐지거리 ||20km || || 탐지방향 ||360도 || || 동시 최대탐지능력 ||48개 || || 동시 최대교전능력 ||4개 || [[http://www.ausairpower.net/APA-9K331-Tor.html|출처]],[[http://www.military-today.com/missiles/tor.htm|출처1]],[[https://en.wikipedia.org/wiki/Tor_missile_system#9K331_Tor_M1|출처2]],[[https://ko.wikipedia.org/wiki/%ED%86%A0%EB%A5%B4_%EB%AF%B8%EC%82%AC%EC%9D%BC|출처3]],[[http://bemil.chosun.com/nbrd/gallery/view.html?b_bbs_id=10044&num=44849|출처4]] == 상세 == 당시로서도 그렇지만 상당히 획기적인 저고도 방공체계였는데 지상에서 [[VLS]] 즉 수직발사체계를 이용한 방공체계는 당시로서도 매우 드문 편이었다. 그나마 소련은 S-300을 통하여 즉흥성과 야전전개가 용이한 VLS의 장점을 활용한 형태라고 볼 수 있는 셈이었다. [[NATO 코드명]]은 SA-15 건틀렛(Gauntlet)으로 명명된다. [[파일:external/s-media-cache-ak0.pinimg.com/414aea0a4d24bf6250f346b937a7b6fa.jpg]] 이 공격체계의 특기할 점이라면 선술한 것처럼 실전배치 된 기갑차량중 유일하게 [[VLS]] 형식의 미사일 발사관을 갖추고 있다는 점이다. 대부분의 지상발사형 대공미사일 운용체계는 미사일을 발사관을 눕혀서 싣고 있다가 발사시 수직으로 들어올리는 방식이지만 9K330의 경우 함선처럼 처음부터 수직으로 솟아있는 [[VLS]]를 내장하고 있다. 이런 독특한 발사방식을 채택한 이유는 도달고도를 조금이라도 높이기 위해서인데, 덕분에 9K330은 다른 자주방공체계보다 높은 6km의 높은 상승한도를 지닌다. 이 덕분에 일반적인 [[자주대공포]]는 맞출 수 없는 중고도 비행체도 격추시킬 수 있다. 93년에 개량형 버전인 9K331 Tor-1M이 등장하였으며 07년에 9K332 Tor-M2E가 등장했다. 특히 M2 버전에서는 기존의 VLS 체계를 조금 더 개량하면서 방공미사일을 개량했는데 그 결과물이 9M338 미사일이다. 기존의 9K331보다 작기 때문에 기존의 8발 수납에서 16발을 수납하여 운용가능하게 만든 것이다. == 종류 == [[파일:13623.png]] 토르의 기본 구성형태는 위 이미지 형태이다. === 9K330 토르 === [[파일:9М330_missiles.jpg|width=100%]] 1986년에 처음 배치된 시리즈 맏이격에 해당하는 물건이다. 1983년부터 1985년까지 혹독한 테스트를 거쳤다고 알려졌으며 소련군도 성능에 만족한 입장이었다고 한다. 당시로서는 이 물건이 바로 세계최초의 저고도 수직발사체계 방공 시스템이었는지라 소련이 첨단화 형태를 적극적으로 추진한 모델이기도 했다. 게다가 공수모델까지 되는 만큼 전개능력도 매우 뛰어난 편이나 수륙양용은 되지 못했다. 이 기준은 현재까지 나온 모든 토르 시리즈들이 마찬가지이다. === 9K331 토르-M1 === 1991년 기존체계에 9K331 미사일을 적용하여 내놓은 버전이다. 기존대비 정확도와 정밀성을 많이 손을 보았다고 알려진다. 때문에 미사일뿐만 아니라 기존의 시스템에서 광학조준장비인 EOTS 형태의 시스템을 개선하였고 핵전쟁 상황을 대비하여 ECM 능력과 EMP 대응에 대한 강화력도 늘린 것으로 알려져 있다. 토르-M1V 버전이 추가적으로 존재하는데 95년 [[보스니아 내전]]에서 [[NATO]] 공군의 폭격능력에 대응하여 러시아가 이를 관찰한 결과 네트워크적 상호연계체계의 부족성이 제기되었기 때문에 V형에서는 네트워크 체계와 표적공유체계를 확립한 소프트웨어 강화가 이어졌다. === 9K332 토르-M2E === 2007년에 나온 모델로서 상당히 많은 요소들이 강화된 것이 특징으로 알려져 있다. 탑재하는 미사일 모델이 바뀌어서 9K332 미사일이 채용되었는데, 사거리와 탄속이 증가했음에도 기존 미사일보다 크기가 훨씬 작아져서 무려 16발을 탑재할 수 있게 되었다 알려진 개량사항은 다음과 같다. * 사격통제시스템 디지털화 및 개선 * 레이더 변경. 기존의 기계식 탐색 레이더가 전자식 위상배열 레이더로 변경되었다. * 사격대기 반응시간 7초로 단축 * 9K332 미사일 채용 사정거리 16km로 증대, 속도 1000m/s로 증대, 요격고도 10km로 증대. * 시스템 부분 자동화에 따르는 운영인력 축소(3명->2명) 2017년 모스크바 전승 열병식에선 트레일러형 [[설상차]] DT-30에 탑재한 토르-M2E가 등장했다. === 그 외 === [[러시아 해군]]에서도 단거리 방공 미사일로 운용되고 있다. 모델명은 3K95 킨잘(Kinzhal)로 알려져 있다. 물론 이 버전은 토르 버전이며 토르-1M은 요즈(Yozh)라는 명칭이 붙었고 2형은 토르-M2KM이라는 명칭이 붙었다. == 사용국가 == 중국판으로 [[HQ-17]]이 존재한다. 중국 외에도 아제르바이잔/벨라루스/키프로스/이집트/그리스/이란/페루/우크라이나/베네수엘라/예멘/모로코/시리아가 최소 10대 이상씩 운용하며 자국의 주요 저고도 방공체계로 활용중에 있다. 북한에도 유사한 체계가 확인되었다. [[조선인민군 신형 저고도 대공체계]] 참조. == 실전 == * [[2020년]] 1월 8일(현지시각) [[이란군]]이 [[우크라이나 국제항공 752편 격추 사건|우크라이나 국제항공 소속 B737-800을 오인 격추]]하는데 사용하였다.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도 다수가 투입되었다. == 대중매체 == === [[워게임: 레드 드래곤]] === 동독군과 소련군의 방공무기로 등장한다. 베타까지만 해도 성능에 비해서 가격이 너무나도 저렴해서 대인기였지만 정작 정식발매 후에는 가격이 2배가 되어버린데다가 대항공기 사거리는 더럽게 짧아서 전자전기 경험치 제공원이 되어 버렸고 애초에 근접방공을 주름잡고 있던 퉁구스카에게 밀려서 잉여 취급. 해상형 킨잘도 등장하며 우달로이급 구축함에 탑재된다. === [[워노]] === 소련군의 방공차량이다. 퉁구스카보다 값이 싸고 미사일 명중률이 좀더 높다. 대신 대공포가 없어서 종합 공격력은 더 낮다. === [[워 썬더]] === Fire and Ice 업데이트에서 중국 지상 방공 트리에 추가되었다. 소련 트리가 아닌 중국 트리에 처음으로 등장하였는데 중국이 소련에서 직도입한 물건을 낸걸로 보인다. 후에 소련에도 추가가 될 예정인데 개발국이 아닌 국가가 먼저 해당 장비를 받은 선례[* F-5A]가 있지만 공개 시점에서 아주 좋지 않은 반응을 얻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현대전/러시아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벨라루스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그리스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미얀마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카자흐스탄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이란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이집트 기갑차량)] [include(틀:기갑차량 둘러보기)] [[분류:대공 미사일]][[분류:지상 병기/냉전]][[분류:지상 병기/현대전]][[분류:소련군/장비]][[분류:러시아군/미사일]][[분류:벨라루스군/장비]][[분류:우크라이나군/미사일]][[분류:그리스군/미사일]][[분류:이란군/장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