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애국가, top2=애국가(북한))] [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WoodenDeadpanUglyHearing, 합의사항1=존치하기)] [include(틀:사건사고)] [목차] == 개요 == [[2020년]] [[6월 25일]] 진행된 [[https://youtu.be/3bpABygz9Hk?t=786|6.25 전쟁 제70주년 행사(13:06부터)]]에서 연주된 6.25 70주년 [[애국가]]의 전주가 [[애국가(북한)|북한 애국가]]의 전주와 매우 유사하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논란이 된 사건. == 상세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3bpABygz9Hk,start=786)]}}}|| || 6.25 70주년 애국가 || [[애국가|6.25 70주년 애국가]]와 [[애국가(북한)|북한 애국가]] 도입부의 악보는 박자, 음계, 음표까지 유사하지만 이는 원곡 버전[[https://en.m.wikipedia.org/wiki/Aegukka|#]][[https://musescore.com/user/7281856/scores/5208076|#]][[http://cantorion.org/music/4146/Aegukka-Voice|#]]에는 없는 부분이라는 점에서 편곡 버전의 도입부와 유사한 것으로 보이며 도입부 일부는 남북 애국가 모두 [[God Save the King|영국 국가]]의 도입부와 유사한 점도 있다. == 반박 == 논란이 된 도입부는 [[표트르 차이콥스키|차이코프스키]] [[교향곡 제4번(차이콥스키)|교향곡 4번 1악장]]으로 영국 국가 [[God Save the King]], [[아이다(오페라)|오페라 아이다]] 등에도 자주 들어가는 전주였다. 다만 이 두 곡은 남북 애국가 모두와 리듬이 다르다. [[https://www.youtube.com/watch?v=OpZmPd4rUvE|#]] 또 [[조선중앙TV]]가 방송 시작 시 트는 북한 애국가에는 전주 부분이 없고 편곡 버전이 아닌 북한 애국가 원곡 악보에는 해당 전주 부분이 없으며[[https://en.m.wikipedia.org/wiki/Aegukka|#]][[https://musescore.com/user/7281856/scores/5208076|#]][[http://cantorion.org/music/4146/Aegukka-Voice|#]] 해당 전주 부분으로 [[결혼행진곡]]을 연주한 [[https://www.youtube.com/watch?t=372s&v=eoS0AqDikMg|영상]]도 있는 점도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반박을 뒷받침한다. 차이코프스키 교향곡과도 유사하다는 점은 이 논란을 최초 보도한 [[동아일보]]에서도 인정했다.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00629/101724457/1|#]]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drDh3r_NUF4)]}}}|| || 영국 국가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eoS0AqDikMg)]}}}|| || 악보 비교 영상 || 위의 영상을 요약하자면 논란이 된 도입부는 가장 기본적인 리듬으로써 영국 국가나 바그너의 [[결혼 행진곡]]에서 쓰인 것이며 심지어 원래 애국가에도 있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n6WaTObHRJM&t=60s]][* 들어가자마자 화려강산이 끝나는 부분이 나오는데 그 부분이 바로 그 [[논란]]이 된 도입부와 같다는 것이다. ] 그렇기 때문에 저 논리대로 하자면 애국가에는 원래 북한의 전주 부분이 들어가 있는 것이므로 말이 안 된다고 한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은 애초에 실제 북한 애국가에는 저런 [[전주]] 부분이 없다는 것이다.''' [[파일:북한 애국가 논란.jpg]] 음악 전문가인 김범기 경상대 음악교육과 작곡 전공 교수는 "군대 팡파르도 다 비슷하고 하물며 미국 군가에도 이렇게 비슷하게 시작하는 게 많이 있거든요. 오해를 받을 부분은 있지만 그다음 곡 전개 방식은 완전히 다르거든요."라고 설명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52/0001458688|#]] == 반응 == === 관계자 === 편곡가 김바로도 "북한 애국가가 이렇게 (영국 국가와 비슷하게) 돼 있다는 걸 만약 제가 알았으면 피했을 수 있죠. [[표절|오해]]를 살 수 있으니까"라고 말하면서 편곡을 담당한 KBS 교향악단 측의 사전 점검 소홀을 인정했다. [[https://m.ytn.co.kr/news_view.php?s_mcd=0101&key=202006291943242700&pos=|#]] === 정치권 === ==== [[더불어민주당]] ==== 더불어민주당 [[윤건영]] 의원은 [[가짜 뉴스]]라며 사태 진정에 나섰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25&aid=0003013638|#]] ==== [[미래통합당]] ==== 미래통합당 의원 [[태영호]]는 편곡된 애국가를 듣자마자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3&aid=0009941933|북한 국가와 비슷해 귀를 의심하였다고 한다.]] [[분류:2020년/사건사고]][[분류:문재인 정부/사건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