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미개통, 노선명=534번 지방도, 공사구간=덕산면 도기리 도기 삼거리~단양군 단성면 벌천리, 공사진행상황=토지보상 추진 중, 노선개통예정일=알 수 없음)] [include(틀:폐선)] ||||<#FFBF00> ~~'''534번 지방도'''~~ (지정해제) || |||| '''덕산~올산''' || || '''시점''' || [[충청북도]] [[제천시]] 덕산면 성암리 || || '''종점''' || [[충청북도]] [[단양군]] 대강면 올산리 || || 경유지 || [[충청북도]] [[단양군]] 단성면 || || 연결도로 || [[36번 국도]] [br] [[59번 국도]] [br] [[927번 지방도]] || [목차] == 개관 == [[지방도]] 제534호선은 [[충청북도]] [[제천시]] 덕산면과 [[단양군]] 대강면을 잇는 충청북도의 지방도이다. 일부 구간은 개설되지 않았다. 2017년 7월 7일 지방도에서 폐지되었다. == 노선 == === [[제천시]] === * 약초로 덕산면 성암리에서 [[36번 국도]]([[월악로]])와 만나며 출발한다. * 도기길 덕산면 도기리 도기 삼거리에서 '''길이 끊긴다'''. 여기부터 단양군 단성면 벌천리까지는 '''개설되지 않았으며''', 도로 공사를 위해 토지보상을 [[http://www.korea.go.kr/news/locgov/locgovMainNewsView.do?news_id=2257218|추진 중이다]]. 정확히는 도기삼거리에서 더 들어가면 어떤 한 삼거리가 보이는데 거기가 임도의 시작점이다. 현재는 두 지역 사이에 난 임도를 통해 넘어가야 하며, 모녀재(毛女재)--엄마와 자식이라고 보면 지는 거다--를 넘는데,[* 모녀재는 [[월악산]] 국립공원 내부에 있다.] 비포장 산길이라 차량 통행이 힘들다. 더군다나 두 지역 사이에 [[경상북도]] [[문경시]] 동로면 명전리[* 명전리는 다른 [[문경시]], 넓게보면 [[경상도]]의 월경지 중 하나다. 만약 명전리에서 다른 문경시나 경상도 지역으로 넘어가려면 [[단양군]] 단성면 벌천리와 방곡리를 지나가야 한다. 이로 인해 명전리의 생활권은 단양 및 제천 생활권에 가깝다.]가 끼어 있는데, 경계조정 대상 지역으로 거론되었으나 실제 경계조정은 [[http://www.yeongnam.com/mnews/newsview.do?mode=newsView&newskey=20120925.010120732520001|지지부진한]] 상태이다. 참고로 이 고개는 차량이 보급되기 이전에는 많은 사람들이 오갔으나 도로가 많이 포장되고 고속도로가 많이 뚫리며 차량이 보급되자 사람들에게 잊혀진 고갯길이 되었다. * '''{{{#red 통행금지}}}''' 2017년 7월 지방도 지정에서 해제되면서 비법정탐방로로 지정되었다. === [[단양군]] === * '''{{{#red 통행금지}}}''' * 벌천로 문경시 동로면 명전리의 어떤 한 논밭에서부터 다시 차량 통행이 가능하다. 단양군 단성면 모여티마을 정류장부터 실질적으로 다시 통행이 가능하다. 단성면 벌천리 벌천삼거리에서 [[59번 국도]]에 합류한다. 우회전하자. 59번 국도와 중첩되다가 대강면 방곡리 오목내에서 분기된다. * 도예로 대강면 방곡리와 올산리 사이에 고개가 있다. 방곡리 구간에서 완만하지만 길게 오르막을 올라가다가 생태이동통로 통과 후 올산리에서 잠깐 내려오고 나서 [[927번 지방도]]와 만나며 종료된다. [[분류:충청북도의 지방도]]